KR102028053B1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8053B1 KR102028053B1 KR1020120144628A KR20120144628A KR102028053B1 KR 102028053 B1 KR102028053 B1 KR 102028053B1 KR 1020120144628 A KR1020120144628 A KR 1020120144628A KR 20120144628 A KR20120144628 A KR 20120144628A KR 102028053 B1 KR102028053 B1 KR 1020280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ve plate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electrode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페이스 실(face seal)에 사용되는 배리어 필름(barrier film)을 2분의 1파장판과 4분의 1파장판이 일정 각도로 결합된 위상차 필름(retardation film)으로 대체함으로써 블랙화면에서의 색변이(color shift)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상기 표시패널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2분의 1파장판 및 4분의 1파장판의 적층으로 이루어진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위상차 필름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한다.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rrier film used for a face seal is a retardation film in which a quarter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re comb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improve the color shift (black shift) on the black screen by replacing the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n image; A phase difference film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o surround the display panel, the retardation film comprising a stack of a quarter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retardation film.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드 밴드(wide band) 구조를 적용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입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 wide band structure.
최근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표시장치인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경량 박형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information display and increasing demand for using a portable information carrier, a lightweight flat panel display (FPD), which replaces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 cathode ray tube (CRT), is used. The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of Korea is focused on.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분야에서, 지금까지는 가볍고 전력소모가 적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가 가장 주목받는 디스플레이 장치였지만,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발광소자가 아니라 수광소자이며 밝기, 명암비 및 시야각 등에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In the field of flat panel displays, l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have been the most attracting display devices, bu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not light emitting devices but light receiving devices, and have brightness, contrast ratio and viewing angle. Since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e back, development of a new display device that can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is being actively developed.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과 명암비 등이 우수하며 백라이트(backlight)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그리고,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is one of the new display devices, has a bette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tha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ecause of its self-luminous type, and is lightweight and thinner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C low-voltage drive is possible and the response speed is fast, in particular, it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이러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에는 액정표시장치나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과는 달리 증착 및 봉지(encapsulation) 공정이 공정의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또한, 각 화소마다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가지는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방식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낮은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므로 저소비 전력, 고정세 및 대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plasma display panel (PDP), the deposition and encapsulation process are all process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simple. In addition,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driven by an active matrix method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as a switching element for each pixel, the same luminance is displayed even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ged and large.
이하, 상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 특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emission principle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 1과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화소전극인 양극(anode)(18)과 공통전극인 음극(cathode)(8)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19a, 19b, 19c, 19d, 19e)을 구비한다.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s shown in FI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이때, 상기 유기 화합물층(19a, 19b, 19c, 19d, 19e)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19a),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19b), 발광층(emission layer)(19c),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19d)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19e)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양극(18)과 음극(8)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정공수송층(19b)을 통과한 정공과 상기 전자수송층(19d)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19c)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19c)이 가시광선을 발산하게 된다.When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가지는 화소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그 화소들을 데이터전압과 스캔전압으로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arranging pixels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a matrix form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ixels with data voltage and scan voltage.
이와 같은 상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 또는 스위칭소자로써 TFT를 이용하는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이 중 상기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능동소자인 TFT를 선택적으로 턴-온(turn on)시켜 화소를 선택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에 유지되는 전압으로 화소의 발광을 유지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or an active matrix type using a TFT as a switching element. Among these, the active matrix method selectively turns on the active TFT, selects a pixel, and maintains light emission of the pixel at a voltage maintained in a storage capacitor.
도 2는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하나의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로써,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일반적인 2T1C(2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를 포함)의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in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pixel of a general 2T1C (including two transistors and one capacitor) in an organic matrix display of an active matrix type. Indicates.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서로 교차하는 데이터라인(DL)과 게이트라인(GL), 스위칭 TFT(SW), 구동 TFT(D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a pixel of an organic matrix display device of an active matrix typ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data line DL and a gate line GL, a switching TFT SW, and a driving TFT DR that intersect each other. ) And a storage capacitor Cst.
이때, 상기 스위칭 TFT(SW)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됨으로써 자신의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킨다. 상기 스위칭 TFT(SW)의 온-타임기간 동안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은 스위칭 TFT(SW)의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경유하여 구동 TFT(DR)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인가된다.At this time, the switching TFT SW is turned on in response to a scan pulse from the gate line GL to conduct a current path between its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During the on-time period of the switching TFT SW, the data voltage from the data line DL passes through the gate electrode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of the driving TFT DR via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switching TFT SW. Is applied to.
이때, 상기 구동 TFT(DR)는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그리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전압과 저전위 전원전압(VSS) 사이의 전압을 저장한 후, 한 프레임기간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킨다.In this case, the driving TFT DR control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ccording to a data voltage applied to its gate electrode. The storage capacitor Cst stores a voltage between the data voltage and the low potential power supply voltage VSS and maintains the voltage constant for one frame period.
이러한 특성을 가진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광의 반사를 막아주기 위해 상부 표면에 선형 편광자(linear polarizer)와 4분의 1파장판(quarter wave plate)으로 이루어진 원편광(circular polarization)의 편광판을 부착하게 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s provided with a polarizer of circular polarization consisting of a linear polarizer and a quarter wave plate on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do.
도 3a는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또한,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3A.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10)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10)의 상부에는 편광판(30)이 제 1 점착제(31a)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그리고, 상기 편광판(30)의 상부 표면에는 하드 코팅(hard coating)의 보호필름(35)이 부착되어 있다.A hard coating
이때, 상기 표시패널(10)은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원편광의 편광판(30)은 크게 선형 편광자(34)와 4분의 1파장판(32)(= λ/4 위상차판(retardation plate))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표시패널(10)을 유기발광소자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액티브 영역에는 부화소(sub pixel)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데, 글라스로 이루어진 TFT 기판(11)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20)가 형성되며, 그 위에 발광층(R, G, B)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상기 부화소를 구성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표시패널(10)은 그 상부에 평탄화막(15) 및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16)이 형성되며, 또한 그 상부에는 상기 제 1 점착제(31a)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30)이 부착되게 된다.In the
그리고, 상기 편광판(30)은 상기 선형 편광자(34)와 상기 선형 편광자(34)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2, 제 1 지지체(33b, 33a) 및 상기 제 1 지지체(33a) 하부에 위치하며, 제 2 점착제(31b)를 통해 상기 제 1 지지체(33a)에 부착되는 상기 4분의 1파장판(32)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olarizing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막에 의해 외부 광원이 반사되어 블랙 반사율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4분의 1파장판(32)을 포함하는 편광판(30)을 적용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원은 상기 편광판(30)의 선형 편광자(34)에 의해 선편광 되고, 선편광된 빛이 4분의 1파장판(32)을 지나면서 원편광이 된다. 이러한 원편광의 빛은 금속막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4분의 1파장판(32)을 지나면서 선편광이 되는데, 이때의 위상차가 입사 때의 선편광과 λ/2가 되어 외부로 빛이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an external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a metal film used as an electrode, thereby increasing black reflectanc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es the polarizing
다만, 상기 4분의 1파장판(32)의 사용으로 인해 블랙화면에서 색변이(color shift)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표시패널(10)을 바라보는 방향과 각도에 따라 많은 색감 차이를 보이며, 실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olor shift occurs in the black screen due to the use of the quart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랙화면에서의 색변이를 개선하도록 한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improve color shift on a black screen.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onfigura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상기 표시패널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4분의 1파장판(quarter wave plate)으로 이루어진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위상차 필름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선형 편광자 및 2분의 1파장판(half wave plate)의 적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n image; A phase difference film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o surround the display panel, the phase difference film comprising a quarter wave plate;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retardation film,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s formed by lamination of a linear polarizer and a half wav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상기 표시패널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2분의 1파장판 및 4분의 1파장판의 적층으로 이루어진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위상차 필름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한다.In addition, anothe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n image; A phase difference film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o surround the display panel, the retardation film comprising a stack of a quarter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retardation film.
이때, 상기 표시패널은 TFT 기판 상에 제 1 전극과 유기 화합물층 및 제 2 전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compound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laminated on the TFT substrate in order.
이때, 상기 편광판은 제 1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차 필름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the upper phase retardation film using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상기 표시패널 전면에 형성된 멀티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위상차 필름은 상기 멀티 보호층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ulti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retardation film is formed on the multi protective layer.
상기 위상차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나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ycloolefin polymer; COP) 재질의 상기 4분의 1파장판을 베이스 층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ardation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quarter wave plate made of polycarbonate (PC) or cycloolefin polymer (COP) material is used as a base layer.
상기 편광판은 상기 선형 편광자; 상기 선형 편광자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2, 제 1 지지체; 및 상기 제 1 지지체 하부에 위치하며, 제 2 점착제를 통해 상기 제 1 지지체에 부착되는 상기 2분의 1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arizing plate is the linear polarizer; Second and first support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linear polarizer, respectively; And a half-wave plate positioned below the first support and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through a second adhesive.
상기 위상차 필름은 PC나 COP 재질의 상기 2분의 1파장판 및 상기 4분의 1파장판의 적층을 베이스 층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ardation film is characterized by using a laminate of the quarter wave plate and quarter quarter plate made of PC or COP material as a base layer.
이때, 제 2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상기 4분의 1파장판 위에 상기 2분의 1파장판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aid quarter wave plate is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quarter wave plate with the 2nd adhesive agent interposed.
상기 편광판은 선형 편광자; 및 상기 선형 편광자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2, 제 1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arizer is a linear polarizer; And second and first supports positioned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linear polarizer.
상기 제 1, 제 2 지지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이나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be made of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or acryl.
이때, 상기 제 1, 제 2 지지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는 TAC 필름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체는 아크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s formed of a TAC film, the oth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crylic.
상기 제 1, 제 2 지지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가 생략되거나 상기 제 1, 제 2 지지체 모두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be omitted,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be omitted.
상기 선형 편광자의 흡수축을 기준으로 상기 2분의 1파장판은 15°의 각도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4분의 1파장판은 75°의 각도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quarter-wave plate is disposed at an angle of 15 ° based on the absorpt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er, while the quarter-wave plate is disposed at an angle of 7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페이스 실(face seal)에 사용되는 배리어 필름(barrier film)을 2분의 1파장판과 4분의 1파장판이 일정 각도로 결합된 위상차 필름(retardation film)으로 대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낮추면서 블랙화면에서의 색변이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se difference in which a barrier film used for a face seal is combined with a quarter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Replacing with a retardation film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lor shift on a black screen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이와 같이 배리어 필름의 베이스 층을 상기 위상차 필름으로 대체함으로써 제품의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더 낮은 단가로 와이드 밴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replacing the base layer of the barrier film with the retardation film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ransmittance of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wide band structure at a lower cost.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2는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하나의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
도 3a는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c는 와이드 밴드(wide band) 구조에 적용되는 2분의 1파장판과 4분의 1파장판의 상대적인 각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와이드 밴드 구조의 적용 유무에 따른 색좌표를 보여주는 사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다른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9b는 상기 도 9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emission principle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in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3A.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A.
FIG. 4C shows the relative angles of a quarter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pplied to a wide band structure. FIG.
5A and 5B are photographs showing color coordinates depending on whether a wide band structure is applied.
6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A.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A.
9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9A.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b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4A.
도 4c는 와이드 밴드(wide band) 구조에 적용되는 2분의 1파장판과 4분의 1파장판의 상대적인 각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ve angles of a quarter wave plate and a quarter wave plate applied to a wide band structure.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110)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110)의 상부에는 편광판(130)이 제 1 점착제(131a)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4A and 4B,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110)의 상부와 하부는 특정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상기 편광판(130)이 제 1 점착제(131a)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그리고, 상기 편광판(130)의 상부 표면에는 하드 코팅의 보호필름(135)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표시패널(110)은 유기발광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드 밴드 구조의 편광판(130)은 크게 선형 편광자(134)와 2분의 1파장판(136)(= λ/2 위상차판(retardation plate)) 및 4분의 1파장판(132)(= λ/4 위상차판)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표시패널(110)을 유기발광소자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액티브 영역에는 부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부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가 위치한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부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구동회로부로 이루어지는데, 폴리이미드(polyimide; PI)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TFT 기판(111)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120)가 형성되며, 그 위에 발광층(R, G, B)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subpix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driving circuit unit, and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TFT 기판(111)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페이스 실(face seal)이라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표시패널(110) 전면에 멀티 보호층(passivation layer)(115)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이를 감싸기 위해 배리어 필름(barrier film)(116)을 사용하게 된다.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use a structure called a face seal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when plastic is used as the
상기 배리어 필름(116)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나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ycloolefin polymer; COP) 재질의 베이스 층과 그 상, 하부에 구비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30)은 상기 선형 편광자(134)와 상기 선형 편광자(134)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2, 제 1 지지체(133b, 133a) 및 상기 제 1 지지체(133a) 하부에 위치하며, 제 3 점착제(131c)를 통해 상기 제 1 지지체(133a)에 부착되는 상기 2분의 1파장판(13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30)은 상기 2분의 1파장판(136) 하부에 위치하며, 제 2 점착제(131b)를 통해 상기 2분의 1파장판(136)에 부착되는 상기 4분의 1파장판(132)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 1, 제 2 지지체(133a, 133b)는 위상지연이 없는 일반적인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상기 2분의 1파장판(136)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의 사이에 2분의 1파장의 광행로차(光行路差)를 발생시키도록 두께가 정해진 광학적 이방성의 얇은 판을 의미한다.The half-
상기 4분의 1파장판(132)은 파장 λ의 투과광에 대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두 개의 편광성분 사이에 λ/4의 광행로차가 발생하도록 만들어진 광학적 이방성의 얇은 판을 의미하며, 판의 내부에서 빛의 진동방향이 입사광의 진동방향에 대해 45°가 되도록 직선편광을 수직으로 입사시키면 투과광은 원편광이 된다. 역으로 원편광을 직선편광으로 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The quart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 밴드 구조의 편광판(130)은 위상차판 2매(2분의 1파장판 1매와 4분의 1파장판 1매)를 일정 각도로 배치하여, 적, 녹 및 청색의 모든 파장의 빛이 동일한 편광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일 예로, 상기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선형 편광자(134)의 흡수축을 기준으로 상기 2분의 1파장판(136)은 15°의 각도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4분의 1파장판(132)은 75°의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In the wide band
그 결과 적, 녹 및 청색의 모든 파장의 빛이 이상적인(ideal) 특성에 근접하기 때문에 기존의 블랙화면에서의 색변이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light of all wavelengths of red, green, and blue are close to ideal characteristics, thereby improving color shift in the existing black screen.
도 5a 및 도 5b는 와이드 밴드 구조의 적용 유무에 따른 색좌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5A and 5B are photographs showing color coordinates depending on whether a wide band structure is applied.
상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드 밴드 구조를 적용하지 않은 기존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색좌표에서 블루 영역까지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어 시야각별 색감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no wide band structure is distributed from a color coordinate to a blue region, and thus, a difference in color per viewing angle may occur.
반면, 와이드 밴드 구조를 적용한 본 발명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 단품 상태에서 다소 옐로이시(yellowish)하지만 시야각별 색감에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wide band structure is applied is slightly yellowish in a single display panel state as shown in FIG. 5B,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colors for each viewing angle.
다만,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위상차판 2매를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편광판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using two retardation plat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becomes thick.
이에 따라 1매 또는 2매의 위상차판을 표시패널의 배리어 필름에 결합하여 대체함으로써 그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다음의 본 발명의 제 2, 제 3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retarder may be reduced by bonding one or two retardation plates to the barrier film of the display panel,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A.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전면발광(top emission)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전면발광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면발광(bottom emission)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d illustrates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p emission ty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ront emission method, but may be applied to a bottom emission method.
상기 전면발광 방식은 하부 기판, 즉 TFT 기판 위에 TFT 구동회로(driving circuit)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순서대로 형성하게 된다.In the top emission method, a TFT driving circui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sequentially formed on a lower substrate, that is, a TFT substrate.
TFT 기판 반대쪽으로 빛이 방출되는 상기 전면발광 방식은 개구율 및 TFT 영역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으나 투명한 봉지층이 필요하다.The front emission method in which light is emit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FT substrate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perture ratio and the TFT area, but requires a transparent encapsulation layer.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210)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210)의 상부에는 편광판(230)이 제 1 점착제(231a)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210)의 상부와 하부는 특정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210)의 하부에 상기 편광판(230)이 제 1 점착제(231a)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그리고, 상기 편광판(230)의 상부 표면에는 하드 코팅의 보호필름(235)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표시패널(210)은 유기발광소자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액티브 영역에는 부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부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가 위치한다.In this case, when the
이때, 상기 부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구동회로부(22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ubpix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 1 전극(218)과 유기 화합물층(219) 및 제 2 전극(208)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극(208)은 단차를 갖는다. 예를 들어, TFT 기판(211)으로부터, 제 2 전극(208)은 유기 화합물층(219)에 대응하여 제 1 높이를 갖고 화소정의막(215f)에 대응하여 제 1 높이보다 큰 제 2 높이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7,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es a
상기 유기 화합물층(219)은 실제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층(R, G, B) 이외에 정공 또는 전자의 캐리어를 발광층(R, G, B)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유기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기 층들은 제 1 전극(218)과 발광층(R, G, B)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제 2 전극(208)과 발광층(R, G, B)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organic layers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208 positioned between the
즉,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TFT 기판(211) 상에 투명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 1 전극(218)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218) 위에는 순차적으로 정공수송층, 발광층(R, G, B),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제 2 전극(208)이 적층되어 있다.That is, the
상기 TFT 기판(211)으로 폴리이미드 재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TFT 기판(211) 배면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백 필름(back film)이 부착될 수 있다.A polyimide plastic may be used as the
상기 구조를 기반으로 유기발광소자는 제 1 전극(218)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제 2 전극(208)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각각의 수송을 위한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R, G, B)에서 결합한 후 낮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발광층(R, G, B)에서의 에너지 차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생성하게 된다.Based on the structu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by combining holes injected from the
이때, 백색광의 발광을 위하여 상기 발광층(R, G, B)은 더욱 구체적으로 적색발광층(R), 녹색발광층(G) 및 청색발광층(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emit white light, the light emitting layers R, G, and B may more specifically include a red light emitting layer 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G, and a blue light emitting layer B.
그리고, 상기 구동회로부(220)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The driving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스캔라인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라인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로 전송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 라인에 연결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과 전원라인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The switching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scan line and the data line, and transmits a data voltage input to the data line to the driving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witching voltage input to the scan line. The storage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power line, and stores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ceived from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voltage supplied to the power line.
구동 트랜지스터(TFT)는 전원 라인과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류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출력 전류에 의해 발광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전극(221)과 소오스전극(223) 및 드레인전극(222)을 포함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 1 전극(218)이 구동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222)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TFT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and a storage capacitor to supply an output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at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and the threshold voltag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output. It emits light by electric current. The driving transistor TFT includes a
다만, 이러한 부화소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subpixel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참고로, 미설명 도면부호 215a, 215b, 215c, 215d, 215e, 215f 및 224는 각각 버퍼막, 게이트절연막, 층간절연막, 보호막, 평탄화막, 화소정의막 및 액티브층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TFT 기판(211)으로 폴리이미드 재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페이스 실이라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구조는 표시패널(210) 전면에 멀티 보호층(215g)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이를 감싸기 위해 배리어 필름으로 위상차 필름(217)을 사용하게 된다.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use a structure called a face seal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when polyimide plastic is used as the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217)은 베이스 층으로 4분의 1파장판을 적용함으로써 그 상부에 부착되는 상기 편광판(230)의 2분의 1파장판(236)과 함께 와이드 밴드 구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일 예로, 상기 위상차 필름(217)은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재질의 4분의 1파장판을 베이스 층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멀티 보호층(215g)은 평탄한 상부면을 갖고, 이에 따라 위상차 필름(217)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For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편광판(230)은 선형 편광자(234)와 상기 선형 편광자(234)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2, 제 1 지지체(233b, 233a) 및 상기 제 1 지지체(233a) 하부에 위치하며, 제 2 점착제(231b)를 통해 상기 제 1 지지체(233a)에 부착되는 상기 2분의 1파장판(236)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일 예로, 상기 선형 편광자(234)는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계 필름에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선형 편광자(234)를 구성하는 PVA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PVA resin constituting the
이러한 선형 편광자(234)는 상기와 같은 PVA계 필름을 이색성 물질로 염색, 붕산 수용액으로 가교, 일축연신, 수세 및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제 2 지지체(233a, 233b)는 위상지연이 없는 일반적인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C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제 2 지지체(233a, 233b)는 위상지연이 없는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은 상기 TAC 필름에 비해 수분팽창계수(Coefficient of Humidity Expansion; CHE)와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제 2 지지체(233a, 233b)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는 TAC 필름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체는 아크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제 2 지지체(233a, 233b)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를 생략하거나 상기 제 1, 제 2 지지체(233a, 233b) 모두를 생략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of the first and
상기 제 1, 제 2 점착제(231a, 231b)로는 상기 표시패널(210)과 편광판(230) 사이를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광학 투명성이 우수하며 경시적인 변화가 없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PVA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The first an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2분의 1파장판(236) 1매를 편광판(230)에 배치하는 한편, 4분의 1파장판 1매를 배리어 필름의 베이스 층으로 사용하여, 적, 녹 및 청색의 모든 파장의 빛이 동일한 편광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 예로 상기 선형 편광자(234)의 흡수축을 기준으로 상기 2분의 1파장판(236)은 15°의 각도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4분의 1파장판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217)은 75°의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배리어 필름의 베이스 층을 상기 위상차 필름으로 대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낮추면서 블랙화면에서의 색변이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base layer of the barrier film with the retardation film,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on the black screen. The color shift of the can be improved.
또한, 이와 같이 배리어 필름의 베이스 층을 삭제함으로써 제품의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더 낮은 단가로 와이드 밴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the base layer of the barrier film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ransmittance of the product and to realize a wide band structure at a lower cos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 지지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를 생략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하부의 제 1 지지체를 생략한 다른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be omitted, and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lower first support is omitted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상기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다른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A.
이때, 상기 도 8은 편광판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8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B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즉,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표시패널(미도시)의 상부에는 편광판(230')이 제 1 점착제(231a')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판(230')의 상부 표면에는 하드 코팅의 보호필름(235')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8, a
이때, 상기 편광판(230')은 선형 편광자(234')와 상기 선형 편광자(234')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체(233') 및 상기 선형 편광자(234') 하부에 위치하며, 제 2 점착제(231b')를 통해 상기 선형 편광자(234')에 부착되는 2분의 1파장판(236')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 전면에 멀티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4분의 1파장판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을 형성한 다음, 선형 편광자와 2분의 1파장판이 배치된 편광판을 상기 2분의 1파장판이 상기 위상차 필름 쪽을 향하도록 표시패널과 합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ed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panel, a phase difference film having a quarter wave plate is formed thereon, and a linear polarizer and a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one-wavelength plate is disposed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to the display panel such that the one-half wave plate faces the retardation film.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 전면에 멀티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4분의 1파장판 및 2분의 1파장판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을 형성한 다음, 선형 편광자가 배치된 편광판을 상기 위상차 필름 쪽을 향하도록 표시패널과 합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다음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inear polarizer is formed by forming a multi protective layer on the entire display panel, and forming a phase difference film having a quarter wave plate and a half wave plate on the top thereof. May be manufactured by bonding to the display panel such that the polarizer is disposed toward the retardation film,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상기 도 9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in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9A.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예를 들어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전면발광 방식의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상기 전면발광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면발광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op emission typ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ront light emitting method, but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light emitting metho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발광 방식은 하부 기판, 즉 TFT 기판 위에 TFT 구동회로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순서대로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mission method forms a TFT driving circui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 order on a lower substrate, that is, a TFT substrate.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310)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310)의 상부에는 편광판(330)이 제 1 점착제(331a)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310)의 상부와 하부는 특정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310)의 하부에 상기 편광판(330)이 제 1 점착제(331a)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그리고, 상기 편광판(330)의 상부 표면에는 하드 코팅의 보호필름(335)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rd coat
이때, 상기 표시패널(310)은 유기발광소자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액티브 영역에는 부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부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가 위치한다.In this case, when the
이때, 상기 부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구동회로부(32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ubpix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 1 전극(318)과 유기 화합물층(319) 및 제 2 전극(30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es a
상기 유기 화합물층(319)은 실제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층(R, G, B) 이외에 정공 또는 전자의 캐리어를 발광층(R, G, B)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유기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일 예로,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TFT 기판(311) 상에 투명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 1 전극(318)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318) 위에는 순차적으로 정공수송층, 발광층(R, G, B),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제 2 전극(308)이 적층될 수 있다.For example, a
상기 TFT 기판(311)으로 폴리이미드 재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TFT 기판(311) 배면에는 PET의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A polyimide plastic may be used as the
상기 구조를 기반으로 유기발광소자는 제 1 전극(318)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제 2 전극(308)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각각의 수송을 위한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R, G, B)에서 결합한 후 낮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발광층(R, G, B)에서의 에너지 차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생성하게 된다.Based on the structu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by combining holes injected from the
이때, 백색광의 발광을 위하여 상기 발광층(R, G, B)은 더욱 구체적으로 적색발광층(R), 녹색발광층(G) 및 청색발광층(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emit white light, the light emitting layers R, G, and B may more specifically include a red light emitting layer 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G, and a blue light emitting layer B.
그리고, 상기 구동회로부(320)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스캔라인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라인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로 전송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 라인에 연결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송 받은 전압과 전원라인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The switching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scan line and the data line, and transmits a data voltage input to the data line to the driving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witching voltage input to the scan line. The storage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power line, and stores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ceived from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voltage supplied to the power line.
구동 트랜지스터(TFT)는 전원 라인과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류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출력 전류에 의해 발광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전극(321)과 소오스전극(323) 및 드레인전극(322)을 포함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 1 전극(318)이 구동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322)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TFT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and a storage capacitor to supply an output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at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and the threshold voltag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output. It emits light by electric current. The driving transistor TFT includes a
다만, 이러한 부화소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subpixel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참고로, 미설명 도면부호 315a, 315b, 315c, 315d, 315e, 315f 및 324는 각각 버퍼막, 게이트절연막, 층간절연막, 보호막, 평탄화막, 화소정의막 및 액티브층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TFT 기판(311)으로 폴리이미드 재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페이스 실이라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표시패널(310) 전면에 멀티 보호층(315g)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이를 감싸기 위해 배리어 필름으로 위상차 필름(317)을 사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lled a face seal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when a polyimide plastic is used as the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317)은 베이스 층으로 2분의 1파장판(336) 및 4분의 1파장판(332)이 적층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그 자체로 와이드 밴드 구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일 예로, 상기 위상차 필름(317)은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 재질의 2분의 1파장판(336) 및 4분의 1파장판(332)이 적층된 베이스 층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제 2 점착제(331b)를 사이에 두고 상기 4분의 1파장판(332) 위에 2분의 1파장판(336)이 적층되어 있다.For example, the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편광판(330)은 선형 편광자(334) 및 상기 선형 편광자(334)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2, 제 1 지지체(333b, 333a)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일 예로, 상기 선형 편광자(334)는 PVA계 필름에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제 1, 제 2 지지체(333a, 333b)는 위상지연이 없는 일반적인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AC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제 2 지지체(333a, 333b)는 위상지연이 없는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제 2 지지체(333a, 333b)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는 TAC 필름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체는 아크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제 2 지지체(333a, 333b) 중 어느 하나의 지지체를 생략하거나 상기 제 1, 제 2 지지체(333a, 333b) 모두를 생략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of the first and
상기 제 1, 제 2 점착제(331a, 331b)로는 상기 표시패널(310)과 편광판(330) 사이를 충분히 접착할 수 있고 광학 투명성이 우수하며 경시적인 변화가 없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PVA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The first an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2분의 1파장판(336) 1매 및 4분의 1파장판(332) 1매를 배리어 필름의 베이스 층으로 사용하여, 적, 녹 및 청색의 모든 파장의 빛이 동일한 편광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 예로 상기 선형 편광자(334)의 흡수축을 기준으로 상기 2분의 1파장판(336)은 15°의 각도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4분의 1파장판(332)은 75°의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uses one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Many details are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but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0,210,310 : 표시패널 130,230,230',330 : 편광판
131a,231a,231a',331a, 131b,213b,231b',331b, 131c : 점착제
132,332 : 4분의 1파장판
133a,233a,333a, 133b,233b,333b, 233' : 지지체
134,234,234',334 : 선형 편광자 136,236,236',336 : 2분의 1파장판
217,317 : 위상차 필름110,210,310: display panel 130,230,230 ', 330: polarizer
131a, 231a, 231a ', 331a, 131b, 213b, 231b', 331b, 131c: Adhesive
132,332 quarter-wave plate
133a, 233a, 333a, 133b, 233b, 333b, 233 ': support
134,234,234 ', 334: Linear polarizer 136,236,236', 336: 1/2 wavelength plate
217,317: Retardation Film
Claims (14)
상기 위상차 필름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2분의 1파장판(half wave plate), 상기 2분의 1파장판 상부의 선형 편광자, 상기 2분의 1파장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4분의 1파장판에 부착되는 제 1 점착제, 상기 2분의 1파장판과 상기 선형 편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점착제, 상기 제 2 점착제와 상기 선형 편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지지체, 상기 선형 편광자 상의 제 2 지지체의 적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극은 단차를 갖고 상기 멀티 보호층은 상기 표시패널 전면에 형성되며 평탄한 상부면을 갖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상기 멀티 보호층과 직접 접촉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제 2 지지체 중 하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TAC 필름보다 수분팽창계수와 열팽창계수가 낮은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A pixel defining layer formed between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thereon,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position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and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and covering an edge of the first electrode An organic compoun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pixel definition layer,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compound layer and the pixel definition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ubpixel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retardation film formed of a multi passivation layer formed on two electrodes and a quarter wave plate formed on the multi passivation layer;
It includes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retardation film,
The polarizing plate is a half wave plate (half wave plate), a linear polarizer on the top of the half-wave plate, a first wave plate located below the half-wave plate attached to the quarter wave plat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sitioned between the half-wave plate and the linear polarizer, a first support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linear polarizer, and a second support on the linear polarizer;
The second electrode has a step and the multi prot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The retardation film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multi protective layer,
On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made of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and the other is flexib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crylic having a lowe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han the TAC fil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상기 위상차 필름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단차를 갖고 상기 멀티 보호층은 상기 표시패널 전면에 형성되며 평탄한 상부면을 갖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상기 멀티 보호층과 직접 접촉하며 형성되며,
상기 편광판은 선형 편광자와, 상기 선형 편광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2분의 1파장판에 부차되는 제 2 점착제와, 상기 제 2 점착제와 상기 선형 편광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지지체, 상기 선형 편광자 상의 제 2 지지체의 적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제 2 지지체 중 하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TAC 필름보다 수분팽창계수와 열팽창계수가 낮은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 pixel defining layer formed between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thereon,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position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and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and covering an edge of the first electrode An organic compound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pixel definition layer,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compound layer and the pixel definition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ubpixels; A multi-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two electrodes, and formed on the multi-protective layer and formed between a quarter-wave plate and a half-wave plate and between the quarter-wave plate and the half-wave plate 1 a display panel including a retardation film made of a laminate of an adhesive;
It includes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retardation film,
The second electrode has a step and the multi prot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The retardation film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multi protective layer,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linear polarizer, a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sitioned below the linear polarizer and attached to the half wavelength plate, a first support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first polarizer on the linear polarizer. 2 consists of a stack of supports,
On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made of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and the other is flexib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crylic having a lowe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han the TAC fil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628A KR102028053B1 (en) | 2012-12-12 | 2012-12-12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US13/972,076 US9224973B2 (en) | 2012-12-12 | 2013-08-21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N201310451467.3A CN103871327B (en) | 2012-12-12 | 2013-09-27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DE102013111107.6A DE102013111107B4 (en) | 2012-12-12 | 2013-10-08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628A KR102028053B1 (en) | 2012-12-12 | 2012-12-12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269A KR20140076269A (en) | 2014-06-20 |
KR102028053B1 true KR102028053B1 (en) | 2019-10-02 |
Family
ID=5077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4628A KR102028053B1 (en) | 2012-12-12 | 2012-12-12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224973B2 (en) |
KR (1) | KR102028053B1 (en) |
CN (1) | CN103871327B (en) |
DE (1) | DE102013111107B4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99231B2 (en) | 2020-04-02 | 2024-0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8053B1 (en) * | 2012-12-12 | 2019-10-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2174761B1 (en) * | 2013-08-14 | 2020-11-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KR20150053530A (en) * | 2013-11-08 | 2015-05-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222400B1 (en) * | 2014-09-02 | 2021-03-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WO2017135227A1 (en) * | 2016-02-01 | 2017-08-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Organic el display device |
US20180337354A1 (en) * | 2016-02-08 | 2018-11-22 | Sharp Kabushiki Kaisha | Organic el display device |
KR102661474B1 (en) * | 2016-04-11 | 2024-04-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528299B1 (en) * | 2016-05-25 | 2023-05-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Retardation film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KR102608416B1 (en) | 2016-09-06 | 2023-12-0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N107910354A (en) * | 2017-11-24 | 2018-04-13 |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flexibility touch-control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isplay uni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4486A (en) * | 2008-03-31 | 2009-10-22 | Toagosei Co Ltd | Phase difference integrated typ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51289A (en) * | 1993-02-12 | 2000-04-18 |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 Liquid crystalline polymer film, laminate sheet for optical element using same, and optical element using the laminate |
TWI247771B (en) * | 2000-05-01 | 2006-01-21 | Kuraray Co | Process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nd polarizing film |
DE60108550T2 (en) * | 2000-05-02 | 2006-01-12 | KURARAY CO., LTD, Kurashiki | Polymer film of polyvinyl alcohol,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olarizing film |
KR20020001594A (en) * | 2000-06-26 | 2002-01-09 | 가마이 고로 | Light pipe, plane light source unit and reflection typ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
US7071613B2 (en) | 2001-10-10 | 2006-07-04 | Lg.Philips Lcd Co., Ltd.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US6995816B2 (en) * | 2002-04-12 | 2006-02-07 | Eastman Kodak Company | Optical devices comprising high performance polarizer package |
EP1498751A4 (en) * | 2002-04-23 | 2007-08-01 | Nitto Denko Corp | Polarizer, polarization light source and image displayunit using them |
KR100484092B1 (en) | 2002-12-26 | 2005-04-18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Dual Panel Type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US7508474B2 (en) * | 2003-04-07 | 2009-03-24 | Dai Nippon Printing Co., Ltd. | Laminated retardation layer, its fabrication process,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orporating the same |
JP3912320B2 (en) * | 2003-05-02 | 2007-05-0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US7079320B2 (en) * | 2003-07-15 | 2006-07-18 | Kewitsch Anthony S | Bandwidth properties of LC-SLMs for telecommunication applications with particular third compensator |
TWI240119B (en) * | 2003-08-06 | 2005-09-21 | Optimax Tech Corp | Polarizer for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
TWI268372B (en) * | 2004-03-26 | 2006-12-11 | Nitto Denko Corp |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to realize a high contrast ratio over a wide range by laminating a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film to form an optical film |
US7920233B2 (en) * | 2004-11-12 | 2011-04-05 | Merck Patent Gmbh | Transflective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cell patterned quarter-wave retarder |
KR100762837B1 (en) * | 2004-11-15 | 2007-10-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iaxial-optical polynorbornene-base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polarizer having th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ntaining the film and/or polarizer |
US7391569B2 (en) * | 2004-12-29 | 2008-06-2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ojection system including intrinsic polarizer |
US20060209239A1 (en) * | 2005-03-18 | 2006-09-21 | Toppoly Optoelectronics Corporation | Anti-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uses thereof |
EP1760776B1 (en) | 2005-08-31 | 2019-12-25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with flexible substrate |
WO2007046241A1 (en) * | 2005-09-28 | 2007-04-26 | Epson Toyocom Corporation | Layered waveplate and optical pickup using the same |
JP4740184B2 (en) | 2006-05-16 | 2011-08-03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US7697095B2 (en) * | 2006-11-01 | 2010-04-13 | Fujifilm Corporatio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100958287B1 (en) * | 2007-02-09 | 2010-05-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Durable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7589808B2 (en) * | 2007-06-15 | 2009-09-15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Wide viewing angl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s |
KR20090101620A (en) * | 2008-03-24 | 2009-09-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larizer intergally containing view angle compensating film and in 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
KR101106294B1 (en) * | 2008-05-22 | 2012-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rightness Enhancing Polarizer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JP2009289592A (en) * | 2008-05-29 | 2009-12-10 | Canon Inc | Display |
KR20100009473A (en) * | 2008-07-18 | 2010-01-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
KR101114361B1 (en) * | 2008-08-20 | 2012-03-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ssure-sensitive adhesive |
KR100965258B1 (en) * | 2008-08-27 | 2010-06-22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JP5378054B2 (en) * | 2009-04-28 | 2013-12-25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Liquid crystal display |
KR101359657B1 (en) | 2009-12-30 | 2014-02-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rotection Multilayer Structure |
KR101117734B1 (en) | 2010-01-21 | 2012-02-24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KR20110108697A (en) * | 2010-03-29 | 2011-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polarizing structure device employed therein |
KR101676313B1 (en) * | 2010-05-31 | 2016-11-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JP2014502370A (en) * | 2010-11-10 | 2014-01-30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Optical element |
KR101722936B1 (en) | 2010-12-08 | 2017-04-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120096353A (en) | 2011-02-22 | 2012-08-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ha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KR20120119768A (en) * | 2011-04-22 | 2012-10-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KR101943378B1 (en) * | 2011-06-29 | 2019-01-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US8946985B2 (en) * | 2012-05-07 | 2015-02-03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
KR102028053B1 (en) * | 2012-12-12 | 2019-10-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2012
- 2012-12-12 KR KR1020120144628A patent/KR10202805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8-21 US US13/972,076 patent/US9224973B2/en active Active
- 2013-09-27 CN CN201310451467.3A patent/CN103871327B/en active Active
- 2013-10-08 DE DE102013111107.6A patent/DE102013111107B4/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4486A (en) * | 2008-03-31 | 2009-10-22 | Toagosei Co Ltd | Phase difference integrated type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99231B2 (en) | 2020-04-02 | 2024-0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159001A1 (en) | 2014-06-12 |
CN103871327A (en) | 2014-06-18 |
US9224973B2 (en) | 2015-12-29 |
DE102013111107A1 (en) | 2014-06-12 |
KR20140076269A (en) | 2014-06-20 |
CN103871327B (en) | 2017-05-03 |
DE102013111107B4 (en) | 2022-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8053B1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9704930B2 (en) | OLED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
KR102015126B1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10333098B2 (en) | Transparent 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11283042B2 (en) | Display apparatus with heat sink layers | |
US8975812B2 (en) | Polariza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ation structur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olarization structure | |
TWI570455B (en) | Display device | |
JP2012018900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TW201240050A (en) | Reflective type complex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62754B1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30128913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KR101950813B1 (en) | Coatable phase retardation film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
KR101936157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US9172062B2 (en) | Composite phase retard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9224979B2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97114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ambient contrast ratio and suppressing emission loss | |
KR20090005770A (en) |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
US8810114B2 (en) | Optical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the same | |
KR20150078396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20230180519A1 (en) | Display device | |
JP5136844B2 (en) |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59892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panel | |
KR102640018B1 (en) |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mirror function | |
US9274259B2 (en) | Display device | |
US10451917B2 (en) | Polarizer,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