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8050B1 -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 Google Patents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050B1
KR102028050B1 KR1020180070022A KR20180070022A KR102028050B1 KR 102028050 B1 KR102028050 B1 KR 102028050B1 KR 1020180070022 A KR1020180070022 A KR 1020180070022A KR 20180070022 A KR20180070022 A KR 20180070022A KR 102028050 B1 KR102028050 B1 KR 10202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sk
opening
hole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필립
Original Assignee
김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립 filed Critical 김필립
Priority to KR102018007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0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0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에 장착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는 호흡용 조립체를 구비하여 들숨시에 공기의 이동거리 즉 필터링 거리를 대폭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 걸름 효율이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사용자의 호흡시 방향제에 의해 감기 바이러스 등의 각종 세균이 호흡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마스크 본체의 교체는 물론 에어 필터링수단과 방향제 역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날숨시 타액이 전방으로 튀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breathing assembly, and equipped with a breathing assembly that allows the user to breathe smoothly when mounted on the mask bod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moving distance, that is, the filtering distance of the air during inhalation, fine dust in the air Not only can the efficiency be maximized, but it also prevents various bacteria such as cold virus from penetrating into the respiratory tract by the fragrance when the mask user breathes. It is hygienic and can provide a mask respiratory assembly that prevents saliva from jumping forward and causing discomfort to others.

Description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들숨시에는 공기의 필터링 거리를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 걸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날숨시에는 신속한 공기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respiratory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is mounted on the mask to increase the filtering distance of the air when the user inhal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ust removal in the air and to expel the air quickly during exhalation An inducible mask respiratory assembly.

최근 산업화 등으로 인해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마스크의 사용 빈도 역시 급속히 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a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s due to industrialization, the use frequency of masks is also rapidly increasing.

마스크는 공기 중의 먼지나 바이러스의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부로 유입되거나 감기 바이러스 등의 공기중 유출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Mask is used to prevent dust or virus fine dust from entering the human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or damage to others due to airborne spills such as cold virus, but there is a limit to effectively removing fine dust. .

이러한 마스크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730083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형상의 몸체, 몸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에 형성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되, 배기밸브는 개구부를 따라 상기 몸체 형성 시 동시에 형성되는 외부틀 및 개구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먼지를 차단함과 동시에 마스크 몸체 내측의 입김을 방지하도록 외부틀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흡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이동하고, 배기시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흡입막을 포함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구조가 제안된다.As an example of such a mask has been proposed Patent No. 10-173008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having an exhaust valve, and includes a mask-shaped body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body, the opening being formed to penetr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of the user, and the exhaust valve formed in the opening. Accordingly, when the body is formed, 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rame so as to block external dust flowing into the outer frame and the opening formed at the same time and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mask body, and moves to close the intake opening, and when opening the exhaust opening A mask structure with an exhaust valve including a suction membrane moving to open the door is propos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마스크 사용자의 날숨시 공기배출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들숨시에는 통상적으로 마스크 몸체 표면을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여서 공기의 필터링 길이가 매우 짧아 공기중의 미세먼지 걸름 효율이 낮다.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mask can be quickly discharged air during the exhalation of the mask user, but during inhalation, air is generally introduced only through the surface of the mask body, so the filtering length of the air is very short, so that the efficiency of fine dust in the air is reduced. Is low.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중의 바이러스 등 각종 세균이 호흡기 내로 침투시 사멸시키기도 어렵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kill various bacteria such as viruses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when penetrat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따라서, 마스크 등에 적용되어 호흡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필터링 및 제거함은 물론 각종 세균의 유입을 차단하고 청량감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필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filter which is applied to a mask and the like to effectively filter and remove fine dust during respiration, as well as to block inflow of various bacteria and to feel a refreshing feeling.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에 장착되어 마스크 사용자가 들숨시외부 공기의 필터링 거리를 대폭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 걸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sk body to greatly increase the filtering distance of the outside air when the mask user inhal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ust removal in the ai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embly for mask respiration.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날숨시 신속한 공기배출을 유도할 수 있고 날숨시 사용자의 타액이 전방으로 튀게 되어 타인에게 불괘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respiratory assembly that can induce rapid air discharge when the user exhales and prevent the user's saliva from splashing forward to give anxiety to other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호흡시 감기 바이러스 등의 각종 세균이 호흡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균기능은 물론 청량감도 느낄 수 있고, 재채기나 대화 등으로 인한 공기의 배출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교체용 필터가 구비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elt as well as antibacterial function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various bacteria such as cold virus into the respiratory tract when the user breathing, can perform filtering during the discharge of air due to sneezing or dialogue,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embly for mask respiration provided with a replaceable filter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ly.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날숨시에는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들숨시에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호흡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호흡용 조립체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전방에 몸체의 후측 가장자리가 마스크 본체 관통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지지되되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틀과, 상기 개구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중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에어 필터링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 필터링수단은 장방형의 제1수용홈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의 일단부에 공기유입용 통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장방형의 제1수용홈에 대응되어 장방형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수용홈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의 타단부에 공기배출용 통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장방형 수용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상기 공기유입용 통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기둥형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를 제공한다.A breathing assembly mounted on a mask body surrounding a nose and a mouth of a face of a user to quickly discharge air when the user exhales and to filter fine dust in the air during inhalation; The respiratory assembly includes a base frame in which the rear edge of the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dge of the mask body penetrating portion in front of the mask body, and has an opening, and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opening to filter fine dust during inflow of external air. It consists of air filtering means to; The air filter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housing in which a rectangular first accommodating groov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ir inlet 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and corresponds to the rectangular first accommodating groove.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to form a rectangular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rectangular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in the air outlet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It provides a mask breath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lumnar filter for filtering the fine dust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through.

이때,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는 공기유입용 통공 및 공기배출용 통공을 갖는 복수의 장방형의 제1 및 제2수용홈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치하여 복수의 장방형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장방형 수용공간에 독립적으로 기둥형 필터를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가장자리 전면에는 상기 베이스틀의 개구부 후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점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 plurality of rectangular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grooves having air intake holes and air discharge through ho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lurality of rectangular accommodation spaces, respectively. The column filter is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rectangular receiving space of the; An adhesive layer attached to the rear edge of the opening of the base frame is formed on the front edge of the first housing.

아울러, 상기 기둥형 필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umn filt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은 몸체에 전방으로 제1벽부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 후면에 형성되는 방향공과 연통되는 약제실과, 상기 제1벽부와 이격되는 제2벽부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 후면에 형성되는 제1통기공과 연통되는 제1안착실과, 상기 제1안착실의 양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의 관통부의 후면 가장자리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베이스틀을 상기 마스크 본체에 고정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약제실에 장착되는 방향제와, 상기 제1안착실에 안착되어 상기 제1통기공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제1개폐패드와, 상기 베이스틀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약제실 및 제1안착실을 마감하며 표면에는 상기 제1안착실의 공기 유출이 가능한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1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is divided by the first wall portion forward to the body and the drug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direction hole formed in the rear of the body, and the first wall portion is separated by the second wall portion spaced from the first wall portion Openings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vent hole,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A coupling member which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penetrating part of the mask body to fix the base frame to the mask body, an air freshener that is mounted in the medicine chamber, and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vent hole. It includes a plate-shaped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and the first closing cap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base frame to close the medicine chamber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and the air outlet hol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It is characterized by.

이때, 상기 베이스틀의 몸체 상측에는 전방으로 제2벽부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에 형성되는 제2통기공과 연통되는 제2안착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실에는 상기 제2통기공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제2개폐패드가 안착되며 상기 제2안착실은 제2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second seating chamb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base frame and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vent hole formed in the body forwardly, and the second seating chamber opens and closes the second vent hole. The plate-shape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is seated and the second seating ro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 by the second closing cap.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의 후면 중앙에는 상기 약제실의 중앙으로 관통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에는 약제실 내 방향제의 향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향공을 개폐하는 방향조절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haft hole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medicine chamb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the shaft hole is fitted with a rotating shaft protruding forward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to open and close the direction hole to control the fragrance discharge of the fragrance in the medicine chamber. It is characterized by.

아울러, 상기 제1안착실은 상기 약제실 외측으로 동심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폐패드는 상기 제1안착실에 삽입 가능하도록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폐패드는 개방부에 제1벽부가 위치하도록 제1안착실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chamber is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to the outside of the drug chambe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is made of a disc shap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chambe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itted in the first seating chamber so that the first wall portion is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는 마스크 본체에 장착시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는 호흡용 조립체를 구비하여 들숨시에 공기의 이동거리 즉 필터링 거리를 대폭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 걸름 효율이 극대화된다.The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piratory assembly that allows the user to breathe smoothly when mounted on the mask body to greatly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air during inhalation, that is, the filtering distance,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fine dust removal in the air. do.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걸러주고 날숨시에는 신속한 공기배출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사용자의 호흡시 방향제에 의해 감기 바이러스 등의 각종 세균이 호흡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균기능을 물론 청량감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lter out fine dust in the air and induce rapid air discharge during exhalation, and also allow various bacteria such as cold virus to penetrate into the respiratory tract by the air freshener when breathing the mask user. Antibacterial function to prevent, of course,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refreshing fee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는 마스크본체에서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마스크 본체의 교체는 물론 에어 필터링수단과 방향제 역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날숨시 타액이 전방으로 튀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achable from the mask body, as well as replace the mask body of the air filtering means and fragrance can be selectively replac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s hygienic, when saliva is forward You can also prevent it from popping up and offending oth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호흡용 조립체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링수단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링수단의 공기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sk having a breath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spiratory assembly separated from the mask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the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espiratory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ir movement direction of the air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sk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1)는 사용자가 들숨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호흡용 조립체를 통해 미세먼지를 걸러냄은 물론 날숨시 신속한 공기배출이 이루어도록 한다.According to Figures 1 to 8, the mask (1) provided with the respirato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inhaled when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respiratory assembly to filter fine dust as well as rapid air discharge during exhalation This should be done.

이러한 마스크(1)는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00)로 이루어진다.The mask 1 includes a mask body 100 surrounding a nose and a mouth of a face of a user, and a fixing part 200 that is fastened to a user's ear or wrapped around a head rea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0.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30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들숨시에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고, 날숨시에는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한다.Such a mask body 100 is equipped with a respiratory assembl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ilter the fine dust in the air when the user inhales, and quickly discharges the air when exhaled.

이하, 마스크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a mask is demonstrated concretely.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코와 입을 포함하는 호흡기 전면을 감싸는 전면커버(110)와, 상기 전면커버(11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로 이루어진다. The mask body 100 includes a front cover 110 covering the front of the respirator including a nose and a mouth, and one e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front cover 110,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It consist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이때 상기 전면커버(110)는 유연하게 중앙부를 접을 수 있도록 PP 또는 PE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재질로서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의 휘어져 호흡기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서, 표면이 매끄럽도록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거나 필름을 열압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성형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cover 110 is preferably made of a non-woven fabric of PP or PE material to be able to fold the central part flexibly, but if necessary, the center of the center as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harmless to the human body As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on both sides of the respirator, it may be injection 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smooth the surface, or the surface may be smoothly form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film.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는 유연하며 전면커버(11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에 열융착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역시 PP 또는 PE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are flexible and can be combined integrally by heat fusion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ront cover 110, which is also made of a nonwoven fabric of PP or PE material.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는 부직포로 제작하는 경우 전면커버(110)와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직포를 재단, 접힘, 융착 등의 공정을 적절하게 수행하여 일체로 제작함도 가능하다. When the mask body 10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the front cover 11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are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manufactured by appropriately performing a process such as cutting, folding, or fusion of the nonwoven fabric. It is also possible.

특히 겨울철과 같이 마스크 본체(100)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마스크 본체(100)의 후면은 날숨공기로 인한 온도차로 인해 마스크 사용자가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고 호흡하는 경우 전면커버(110)의 후면에 습기가 맺히면서 응결되어 하부로 흘러내리는 응결수를 흡수하기 위한 수분흡수부재(130)가 지지턱(131)에 의해 지지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winter, the rear of the mask body 100 is the rear of the front cover 110 when the mask user wears the mask for a long time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he exhaled air 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130 for absorbing the condensation water is condensed and condensed while the moisture condenses on the support jaw 131 is supported.

이러한 수분흡수부재(130)는 수분의 빠른 흡수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한 면(cotton)재질로 이루어지며, 원기둥 또는 다각(多角)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턱(131)에 끼워져 전면커버(110)의 후면에 밀착지지된다.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130 is made of a cotton material that is capable of quick absorption of moisture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formed in a cylinder or a polygonal column to be fitted to the support jaw 131 to cover the front cover 110. Is closely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이때 상기 전면커버(110)의 하부에는 배출공(132)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32)에 근접하게 지지턱(131)이 형성되어, 상기 수분흡수부재(130)를 지지턱(131)에 지지하여 사용하는 중에 응결수가 과도하게 흡수된 상태가 되면 수분흡수부재(130)를 전면커버(110)의 후면방향으로 가압하여 응결수를 배출공(132)을 통해 배출시켜 준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흡수부재(130)는 응결수가 과도하게 흡수된 상태여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 새로운 수분흡수부재(130)로 교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13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10, the support jaw 131 is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discharge hole 132, supporting the water absorbing member 130, the support jaw 131 When the condensed water is excessively absorbed while being used to support it, the water absorbing member 130 may be pressurized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cover 110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2. . The water absorbing member 130 may be replaced with a new water absorbing member 130 when the condensed water is excessively absorbed and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한편, 상기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는 전면커버(11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에 각각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된다. 이 경우 콧등과 볼 사이의 밀착부위의 들뜸 방지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의 코받침구를 콧등이 밀착되는 상기 상측 지지부재의 안쪽면에 일체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측 지지부재의 안쪽면과 코받침구 사이에는 철사와 같이 외력을 가하면 변형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조절용 금속재가 구비되어 마스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콧등 형상에 따라 형상조절용 금속재를 적절하게 누르거나 굽혀 코받침구의 형상 변형을 유지시켜 콧등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front cover 110,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tegrally fix the nose supporter made of silicone material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to which the nose is in close contact to prevent lifting of the adhesion between the nose and the ball and to prevent slipping. In addi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and the nose support hole is provided with a shape adjusting metal material to maintain the deformation state by applying external force, such as wire, if you want to use a mask, press the shape adjusting metal materia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nose or It is preferable to bend and maintain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nose suppo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and the like.

이러한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는 PP 또는 PE재질의 부직포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면커버(110)의 상하단에 연결되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접힘이 가능하다. 따라서 마스크(1)의 사용 전에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의 타단부를 전면커버(110)의 후면 방향으로 접고, 마스크(1)를 사용시에는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의 타단부가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120)의 타단부를 전면커버(110)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젖혀 펼치게 된다.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can be folded up and down about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cover 110 as the non-woven fabric is made of PP or PE. Therefore, before using the mask 1, the oth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are fold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d when the mask 1 is used, the oth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are used. The oth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120 are flipped and extend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cover 1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사용자의 귀에 걸거나 머리 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와이어 형상의 귀걸이(210)를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마스크 본체(100)의 양단에 머리 뒤쪽을 감싸는 좌우측 밴드부를 구비하고, 그 좌우측 밴드부에 각각 암수 밸크로테이프를 결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고정부(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은 자명하다. And the fixing portion 200 to be fixed to the user's ear or the rear end of the head on both ends of the mask body 100 can be used as a wire-shaped earrings 210 of the general as shown, but if necessary, the mask body (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a left and right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back of the head at both ends of the 100, by combining the male and female velcro tapes on the left and right band portions, respectively. Such fixing part 200 can be made in a variety of shapes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viou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호흡용 조립체(300)는 마스크 본체(1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날숨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면서도 들숨시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102)에 조립된다. 물론 상기 호흡용 조립체(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됨도 가능하며, 이러한 호흡용 조립체(30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중앙 또는 양측 등에 대양하게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sk body 100 to perform the function of filtering the fine dust in the air during inhalation while quickly exhausting air when the user exhales, which is the mask body ( It is assembled to the through part 102 formed in the center of 100. Of course,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0,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may be applied to change in the center or both sides as necessary, such as in the ocean. .

이러한 호흡용 조립체(30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전방에 몸체(311)의 후측 가장자리가 마스크 본체(100) 관통부(102)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지지되며, 몸체(311)에 전방으로 제1벽부(312a)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311) 후면에 형성되는 방향공(312b)과 연통되는 약제실(312)과, 상기 제1벽부(312a)와 이격되는 제2벽부(314a)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311) 후면에 형성되는 제1통기공(314b)과 연통되는 제1안착실(314)과, 상기 제1안착실(314)의 양측에 개구부(316)가 형성되는 베이스틀(310)과;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2)의 후면 가장자리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베이스틀(310)을 상기 마스크 본체(100)에 고정하는 결합부재(320)와; 상기 약제실(312)에 장착되는 방향제(330)와; 상기 제1안착실(314)에 안착되어 상기 제1통기공(314b)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제1개폐패드(340)와; 상기 개구부(316)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중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에어 필터링수단(350)과; 상기 베이스틀(3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약제실(312) 및 제1안착실(314)을 마감하며 표면에는 상기 제1안착실(314)의 공기 유출이 가능한 공기 배출공(362)이 형성되는 제1마감캡(360);으로 구성된다.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has the rear edge of the body 311 in front of the mask body 100 is closely adhered to the front edg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02 of the mask body 100, and forward to the body 311 The medicine chamber 312 is divided by the first wall portion 312a and communicated with the direction hole 312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311 and the second wall portion 314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ll portion 312a.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is divided a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vent hole 314b formed on the back of the body 311, and the base frame formed with openings 316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 310; A coupling member 320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edge of the through part 102 of the mask body 100 to fix the base frame 310 to the mask body 100; A fragrance 330 mounted to the medicine chamber 312; A plate-shaped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seated in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o open and close the first vent hole 314b; An air filtering unit 350 detachably provided at the opening 316 to filter fine dust during inflow of external air; It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base frame 310 to close the drug chamber 312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he surface is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hole (362) that allows the air outlet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Being configured as a first closing cap 360.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10)의 몸체(311) 상측에는 전방으로 제2벽부(318a)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311) 후면에 형성되는 제2통기공(318b)과 연통되는 제2안착실(318)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실(318)에는 상기 제2통기공(318b)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제2개폐패드(370)가 안착되며 상기 제2안착실(318)은 제2마감캡(380)에 의해 마감된다.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which is divided by the second wall part 318a in front of the body 311 of the base frame 31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vent hole 318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311. ) Is formed, a plate-shape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3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vent hole (318b)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is a second closing cap Closed by 380.

이때, 상기 베이스틀(310)의 양측은 몸체 중앙부에서 소정의 각도범위(예를 들어 0 ~ 60°)로 접힐 수 있도록 베이스틀의 재질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31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of the base frame so that it can be folded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or example, 0 ~ 60 °) in the center of the body.

이하, 본 발명의 호흡용 조립체(300)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에는 좌우 양측으로 길게 타원형상의 관통부(102)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1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4)는 상기 호흡용 조립체(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104)에는 호흡용 조립체(300)의 베이스틀(310)과 결합부재(320)의 결합시 관통부(102)의 흐트러짐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공(104a)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First, an elliptical through portion 102 is formed at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body 100 in the center, and a support portion 104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portion 102. The support part 104 is for stably fixing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The support part 104 has a through part when the base member 310 of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and the coupling member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104a are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the disorder or separation of the 102.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2)의 전방에서 베이스틀(310)이 밀착되며, 후방에서 결합부재(320)가 밀착되어 베이스틀(310)의 후면 가장자리에 결합부재(320)가 체결된다. The base frame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through part 102 of the mask body 100, and the coupling member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frame 310. Is fastened.

이때 상기 베이스틀(310)은 실리콘 고무 또는 PP,PE, ABS 등 다양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몸체(311)의 전방 중앙에서 원통 형상의 제1 및 제2벽부(312a,314a)가 동심원을 그리면서 형성되어 중앙으로 부터 약제실(312)과 제1안착실(314)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base frame 310 is manufactured by molding a variety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silicone rubber or PP, PE, ABS, the cylindrical first and second wall portion (312a, 314a) in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311 is It is formed while drawing a concentric circle, and the medicine chamber 312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center.

이러한 베이스틀(310)의 약제실(312)과 제1안착실(314)은 전방은 개방되고 후면에는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게 방향공(312b)과 제1통기공(314b)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약제실(312)과 제1안착실(314)에 각각 연통된다. The medicine chamber 312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of the base frame 310 is open in the front and the rear direction hole (312b) and the first vent hole (314b) is formed separately to enable the air to enter It communicates with the chemical | medical agent room 312 and the 1st seating room 314,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10)의 몸체(311) 후면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17a)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돌부(317a)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틀(310)의 지지돌부(317)는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2)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4)의 지지공(104a)을 관통하며, 결합부재(3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322)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10)와 결합부재(320)는 결합 및 분리 즉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서 추후 마스크 사용자가 마스크 본체(100)를 일회용으로 사용한 후 새로운 마스크 본체(100)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317a having a locking step 317a are formed at the rear edge of the body 311 of the base frame 310 to protrude rearward. The support protrusion 317 of the base frame 310 penetrates the support hole 104a of the support part 104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part 102 of the mask body 100, and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320. It is fitted into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22 to be coupled. In addition, the base frame 310 and the coupling member 320 may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that is, a removable structure, and the mask user may replace the mask body 100 with a new mask body 100 after using the mask body 100 for single use.

또한 상기 결합부재(320)의 표면에는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04)에 밀착시 틈새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제 또는 실리콘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dhesive or silicon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320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when the support member 104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part 102 of the mask body 100.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10)의 후면 중앙에는 상기 약제실(312)의 중앙으로 관통되는 축공(312c)이 형성되고, 이러한 축공(312c)에는 약제실(312) 내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향공(312b)을 개폐하는 방향조절판(3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313a)이 끼워지며, 상기 방향조절판(313)의 후면에는 조정홈(313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haft hole 312c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medicine chamber 3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frame 310, and the shaft hole 312c adjusts the emission amount of the fragrance 330 in the medicine chamber 312. In order to insert the rotary shaft 313a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rection hole 312b, an adjustment groove 313b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방향조절판(313)의 조정홈(313b)에 손톱을 끼우거나 방향조절판(313)을 손가락으로 잡고 축공(312c)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방향조절판(313)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향조절공(313c)이 방향공(312b)을 개폐하면서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by inserting a nail into the adjustment groove 313b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or holding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with a finger and rotating about the axis hole 312c, the direc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The adjusting hole 313c may adjust the amount of aroma emitted from the fragrance 330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direction hole 312b.

이때 상기 약제실(312)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원기둥형상의 방향제(330)가 전방측에서 삽입되지만, 필요에 따라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의 방향제(330)가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ug chamber 312 is made of a circular cylindrical fragrance 330 is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if necessary,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330 may be inserted.

이러한 방향제(330)는 상기 약제실(312)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마스크를 사용시 새로운 방향제(330)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방향제(330)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연섬유 부직포, 합성섬유 부직포, 스폰지등의 흡습재에 피톤치드 등의 방향성 원액 또는 희석액을 투입하여 마스크 사용중 항균기능은 물론 청량감도 느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피톤치드 희석액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피톤치드 원액과 물을 1 : 100 ~ 10 : 10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330)는 마스크 사용자가 교체하는 새로운 방향제(330)의 위생적인 관리 및 피톤치드 향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지에 밀봉된 상태로 제공하여 교체시 포장지를 뜯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se fragrances 330 can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drug room 312,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new fragrance 330 when using a mask. At this time, the fragrance 330 is a natural fiber non-woven fabric made of natural fibers or synthetic fibers, synthetic fiber non-woven fabrics, such as sponges into the absorbent material such as phytoncide, such as a directional solution or diluent so that you can feel the antibacterial function and refreshing feeling while using the mask There is an advantage. At this time, the phytoncide diluent can be used by diluting to various concentrations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phytoncide stock solution and water can be used by mixing in a weight ratio of 1: 100 ~ 10: 100. The fragrance 33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ealed state in the wrapper to prevent hygiene management of the new fragrance 330 replaced by the mask user and volatilization of the phytoncide fragrance, and to use the wrapper when the wrapper is replaced.

한편, 상기 베이스틀(310)의 약제실(312) 외측으로 동심원상에 형성되는 제1안착실(314)은 마스크 사용자가 날숨시 제1통기공(314b)을 통과한 공기가 제1안착실(314)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하며 들숨시에는 제1통기공(314b)을 폐쇄하는 제1개폐패드(340)가 안착된다. 이러한 제1개폐패드(340)는 탄성을 갖는 라텍스고무, 실리콘고무 또는 합성수지 필름재질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is formed concentrically to the outer side of the drug chamber 312 of the base frame 31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vent hole 314b when the mask user exhales the first seating chamber ( A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passage through the front 314 and inhaling the first air hole 314b is seate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340 is made of a latex rubber, silicone rubber or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제1개폐패드(340)는 동심원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안착실(314)에 삽입 가능하도록 중앙에 개방부(341)가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폐패드(340)는 개방부(341)에 제1벽부(312a)가 위치하도록 제1안착실(314)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1개폐패드(340)는 개방부(341)의 중심을 향해 복수의 중심방형으로 개방부(3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개부(342)로 구획되는 복수의 탄성날개(344)가 형성된 구조로서, 제1개폐패드(340)의 가장자리는 제1마감캡(36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밀착돌부(363)의 단부에 의해 제1안착실(314)에 가압 밀착되어 지지된다.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n opening portion 34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having a concentric shape,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is opened. The first wall portion 312a is fitted into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so that the first wall portion 312a is positioned in the portion 341.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wings 344 are partitioned into cutouts 342 along edges of the opening portion 341 in a plurality of central rectangles toward the center of the opening portion 341. As an edge, the edg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is pressed against and supported by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by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363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losing cap 360.

따라서 날숨시에는 제1통기공(314b)에서 제1안착실(314)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상기 제1개폐패드(340)의 탄성날개(344)가 전방으로 젖혀지며 제1통기공(314b)이 개방되고, 들숨시에는 제1안착실(314)에서 제1통기공(314b)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시 탄성날개(344)가 후방으로 당겨지거나 복원력에 의해 제1통기공(314b)을 폐쇄시켜 외부공기가 유입을 차단한다. Therefore, during exhalation, when air moves from the first vent hole 314b to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he elastic wing 344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is flipped forward and the first vent hole 314b. ) Is opened, and when the air moves from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o the first vent hole 314b, the elastic wing 344 is pulled backward or the first vent hole 314b is closed by a restoring force.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그리고,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벽부(314a) 외측면에는 제1마감캡(360)을 결합하기 위한 걸림턱(314d)이 형성되고, 제1마감캡(360)의 테두리 후측에는 상기 제2벽부(314a)을 감싸는 벽부 내부면에 걸림홈(361)이 형성되어 제1마감캡(360)의 체결 및 분리 즉 착탈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제1마감캡(360)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틀(310)의 전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약제실(312)과 제1안착실(314)을 마감하며 표면에는 상기 제1안착실(314)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1공기배출공(36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마감캡(360)의 전면 중앙에는 각종 문양이나 마크 등이 새겨진 스티커(364)가 부착된다. 물론 스티커 부착위치 표시용 돌기(365)가 스티커 부착위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스티커(364)의 부착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ocking jaw 314d for coupling the first closing cap 360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all portion 314a of the base frame 310, and the edge of the first closing cap 360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310. A locking groove 361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wall portion 314a, so that the first closing cap 360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that is, detachable. In this case, the first closing cap 36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half of the base frame 310 to close the medicine chamber 312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he first air discharge hole 362 that can discharge the air of the outside to the outside is formed. A sticker 364 engraved with various patterns or marks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losing cap 360. Of course, the sticker attachment position indicating projection 365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ticker attachment position can easily check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ticker 364.

아울러 상기 제1마감캡(360)의 후면에는 제1밀착돌부(363)가 제1안착실(314)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후방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1개폐패드(340)의 가장자리를 제1안착실(314) 가장자리 전면에 밀착되게 가압하여 제1개폐패드(34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마감캡(360)은 실리콘, 고무 또는 PP, PE, ABS 등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In addition, the first closing cap 36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losing cap 360 so as to protrude entirely or partially in a cylindrical shape to the rear to face the edge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edge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o support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The first closing cap 360 is molded of silicone,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PP, PE, ABS.

한편 상기 제1개폐패드(340)는 주로 말을 하거나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 신속하게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에 코로 숨쉬는 경우 더욱 신속하게 동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1안착실(314) 상측에는 제2벽부(314a)에 의해 구분되는 제2안착실(3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안착실(318)의 후면에는 제2통기공(318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실(318)에는 제2개폐패드(370)가 지지가능한 거치돌기(318c)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quickly discharges air to the outside when mainly talking or breathing through the mouth. Accordingly, when breathing through the nose, a second seating chamber 318 which is divided by a second wall part 314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of the base frame 310 so that the motive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A second vent hole 318b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and a mounting protrusion 318c capable of supporting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d 370 is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이러한 제2안착실(318)에 안착되는 제2개폐패드(370)는 상기 제1개폐패드(3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거치돌기(318c)가 끼워지는 거치공(37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틀(310)의 제2안착실(318)에 제2개폐패드(370)를 삽입 안착시 거치공(372)이 거치돌기(318c)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아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개폐패드(370)의 거치공(372) 주변은 제2마감캡(38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밀착돌부(382)의 단부에 의해 제2안착실(318)에 가압하며 밀착 지지된다. Sinc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370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340, the mounting hole 372 into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318c is fitted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d 3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of the base frame 310, the mounting hole 372 may be fitt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318c to stably set the seat. Of course, the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372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370 is pressed to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by the end of the second contact protrusion 382 formed on the back of the second closing cap 380 It is closely supported.

이러한 제2마감캡(380)은 제2밀착돌부(382)가 제2개폐패드(370)의 거치공(372)에 끼워진 거치돌기(318c)를 감싸는 안착홈(382a)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개폐패드(370)의 거치공(372) 가장자리를 제2안착실(318) 전면에 밀착되게 가압하여 제2개폐패드(370)를 지지한다. 물론 상기 제2마감캡(380) 표면에는 상기 제2안착실(318)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한 제2공기배출공(38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마감캡(380)은 실리콘, 고무 또는 PP, PE, ABS 등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The second closing cap 380 has a seating groove 382a surrounding the mounting protrusion 318c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372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d 370 and protruding rearward. It is provided so as to press the edge of the mounting hole 372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37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to suppor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370. Of course, a second air discharge hole 384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losing cap 380. The second closing cap 380 is mold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ilicon, rubber or PP, PE, ABS.

따라서 날숨시에는 제2통기공(318b)을 통해 제2안착실(318)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제2개폐패드(370)의 하부가 전방으로 젖혀지며 제2통기공(318b)이 개방되어 제2마감캡(380)의 제2공기배출공(384)을 통해 신속한 공기 배출을 유도하고, 들숨시에는 제2안착실(318)에서 제2통기공(318b) 방향으로 제2개폐패드(370)의 하부가 공기가 이동시 후방으로 당겨지거나 복원력에 의해 제2통기공(318b)을 폐쇄시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refore, during exhalation, when ai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through the second vent hole 318b,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d 370 is flipped forward and the second vent hole 318b is opened. Induce rapid air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air discharge hole (384) of the second closing cap 380,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2)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318b) in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The lower part of the 370 is pulled to the rear when the air moves or closes the second vent hole (318b) by the restoring force to block the outside air flow.

한편, 코로 날숨을 쉬는 경우 원활하게 상기 제2통기공(318b)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날숨안내부재(390)가 상기 베이스틀(310)의 후측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날숨안내부재(390)는 상기 베이스틀(310) 후측의 제2통기공(318b) 가장자리를 감싸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318d)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홈(318e)에 끼워지는 지지링부(392)와, 상기 지지링부(392)의 후측에 돌출되어 코로 날숨시 공기를 제2통기공(318b)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기안내부(394)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exhaling through the nose exhalation guide member 390 is provided o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310 to smoothly guide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ent hole (318b). The exhalation guide member 390 is wrapped around the edge of the second vent hole (318b) in the rear of the base frame 310, the support ring portion fitted to the support groove 318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318d protruding backward ( 392 and an air guide portion 394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ring portion 392 and having a fan shape to guid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ent hole 318b when exhaling through the nose.

이러한 날숨안내부재(390)는 전체적으로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마스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지지링부(392)를 지지돌부(318d)의 지지홈(318e)에 끼워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지지링부(392)를 지지돌부(318d)의 지지홈(318e)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 exhalation guide member 390 is made of a soft silicone material as a whole, the mask user can be used to support the support ring 39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318e of the support protrusion 318d, if necessary, the support when not in use The ring portion 392 can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318e of the support protrusion 318d.

그리고 상기 에어 필터링수단(350)은 베이스틀(3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개구부(316)에 탈부착식으로 구비되어 마스크 사용자의 들숨시 유입되는 외부 공기중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기흐름이 원활하면서도 공기의 필터링 거리를 증가시켜 공기중의 미세먼지 걸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ir filtering unit 350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openings 316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310 to filter out fine dust in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halation of the mask user. It should be possible to maximize the dust removal efficiency in the air by increasing the filtering distance of the air while smoothly flowing.

이러한 에어 필터링수단(350)은 장방형의 제1수용홈(351a)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351a)의 일단부에 공기유입용 통공(352a)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352)과, 상기 장방형의 제1수용홈(351a)에 대응되어 장방형 수용공간(351)을 형성하도록 제2수용홈(351b)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351b)의 타단부에 공기배출용 통공(354a)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354)과, 상기 장방형 수용공간(351)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상기 공기유입용 통공(352a)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기둥형 필터(356)로 이루어진다.The air filtering means 350 has a first housing in which a rectangular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is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ir inlet through hole 35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352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351b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tangular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to form a rectangular accommodating space 35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351b. The second housing 354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hole 354a and the rectangular housing space 351 is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352a It consists of a columnar filter 356 for filtering fine dust.

이때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352,354)에는 공기유입용 통공(352a) 및 공기배출용 통공(354a)을 갖는 복수의 장방형의 제1 및 제2수용홈(351a,351b)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치하여 복수의 장방형 수용공간(351)을 형성하고 각각의 장방형 수용공간(351)에 독립적으로 기둥형 필터(356)를 길이방향 즉 누운 상태로 안착시킨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52 and 354 have a plurality of rectangular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grooves 351a and 351b having air intake holes 352a and air discharge holes 354a. And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plurality of rectangular receiving spaces 351 and each of the rectangular receiving spaces 351 to be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lying down independently of each rectangular receiving space 351.

이러한 제1 및 제2하우징(352,354)은 PE, PET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을 갖는 필름을 열성형하여 제1 및 제2수용홈(351a,351b)을 형성하고, 그 제1수용홈(351a)의 일단부에 공기유입용 통공(352a)을 형성하고 제2수용홈(351b)의 타단부에 공기배출용 통공(354a)을 형성하지만, PE, PET, ABS 등의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함도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52 and 354 thermoform an elastic film made of a material such as PE or PET to form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grooves 351a and 351b, and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351a. Air inlet hole 35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e) and air outlet hole 354a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351b, but synthetic resin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E, PET, and ABS are injecte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by molding.

이때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352,354)의 제1 및 제2수용홈(351a,351b)은 제1 및 제2하우징(352,354)에 상기 베이스틀(310)의 중앙으로 하향 경사(예를 들어 수평상태에서 20 ~40°)지게 형성하고 공기배출용 통공(354a)이 상기 베이스틀(310)의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신속한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grooves 351a and 351b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52 and 354 are inclined downward to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310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52 and 354 (eg, 20 to 40 ° in a horizontal state and allows the air discharge through hole 354a to be concentrated to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310 to enable rapid air intake.

한편, 상기 장방형 수용공간(351)에는 기둥형 필터(356)가 삽입되는데 기둥형 필터(356)는 장방형 수용공간(351)에 길이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안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하우징(352)의 제1수용홈(351a)에 기둥형 필터(356)를 안착시킨 후 제2하우징(354)을 밀착시켜 기둥형 필터(356)의 나머지 노출면을 감싸게 되며, 이후 초음파, 열, 접착제 등에 의해 밀착부위를 일체로 결합(P)하여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서 에어 필터링수단(350)을 완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ctangular receiving space 351 is inserted into the columnar filter 356, the columnar filter 356 is seated in a state l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rectangular receiving space 351. In this case, the columnar filter 356 is se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of the first housing 352, and then the second housing 354 is closely attached to surround the remaining exposed surface of the columnar filter 356. Afterwards, the air filtering means 350 is completed by forming a coupling part by integrally coupling (P) the contact part by ultrasonic waves, heat, adhesive, or the like.

이때 상기 기둥형 필터(356)는 원기둥형 아세테이트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세테이트필터는 미세먼지는 물론 타르, 니코틴 흡착효율이 우수해 마스크를 사용하고 흡연자 옆을 이동하거나 화재발생 지역에서 사용시 유용하다. 이러한 기둥형 필터(356)는 일 예로 직경 6 ~ 9mm, 길이 20 ~ 50mm의 원기둥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의 기둥형 필터(356)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넓이(200 ~ 300㎟)를 갖는 하나의 장방향의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기둥형 필터(356)는 아세테이트필터 한가지로만 제작함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활성탄(또는 활성탄 필터)나 카본(또는 카본필터)의 양단에 아세테이트필터가 구비되는 3중필터를 사용하거나, 전후측 부직포 사이에 활성탄 필터가 구비된 3중필터로 이루어지거나, 전후측 부직포 사이에 활성탄 필터와 헤파필터가 구비된 4중필터로 이루어거나 이외에도 미세먼지 필터링 효과가 우수한 헤파필터 또는 부직포 필터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olumn filter 356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acetate filter. The acetate filter is excellent in adsorption efficiency of tar and nicotine as well as fine dust, and is useful when using a mask, moving next to a smoker, or in a fire generating area. The column filter 356 may b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6 to 9 mm and a length of 20 to 50 mm, for example, but if necessary, a predetermined width (200 to 300 mm 2)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column filters 356.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e long filter with). In addition, the column filter 356 may be made of only one acetate filter, but if necessary, a triple filter having an acetate filter provided at both ends of activated carbon (or activated carbon filter) or carbon (or carbon filter), It consists of a triple filter with activated carbon filters between the front and back nonwoven fabrics, or a quadruple filter with activated carbon filters and hepa filters between the front and back nonwoven fabrics, or hepa filter or nonwoven filter with excellent fine dust filtering effect. It may be.

이러한 에어 필터링수단(350)의 제1하우징(352)의 가장자리(352b) 전면에는 점착층(358)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틀(310)의 개구부(316) 후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며, 마스크 사용자는 미세먼지가 과도하게 포집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 필터링수단(350)을 교체할 수 있으며 베이스틀에서 에어 필터링수단(35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하우징(352)의 테두리(예를 들어 테두리 상단)에 돌출된 손잡이(359)를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An adhesive layer 358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dge 352b of the first housing 352 of the air filtering unit 350 and attached to the rear edge of the opening 316 of the base frame 3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is excessively collected, the air filtering means 350 may be replaced, and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the air filtering means 350 from the base frame, the edge of the first housing 352 (for example, the top of the edge Pull out the handle (359) protruding in the) can be easily removed.

아울러 상기 기둥형 필터(356)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둥형 필터(356)의 양단부는 경사면(356a,356b)이 형성되어 공기 유입 및 유출 면적을 넓혀주어 공기의 입출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the column filter 356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both ends of the column filter 356 is form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356a, 356b) to expand the air inlet and outlet area to smoothly enter and exit the air do.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마스크를 사용시 베이스틀(310)의 약제실(312)에 방향제(330)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When the mask is used, the fragrance 330 is provided in the medicine chamber 312 of the base frame 310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fragrance emission of the fragrance 330.

이 경우 방향제(330)는 소재에 따라 피톤치드향과 솔잎 등 다양한 향을 발산할 수 있으며 방향제(330)의 기능이 소진된 경우 제1마감캡(360)을 분리한 후 교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agrance 330 may emit various fragrances such as phytoncide and pine needles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when the function of the fragrance 330 is exhausted, the fragrance 330 may be replaced after being separated.

이러한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은 방향공(312b)을 개폐하는 방향조절판(313)의 조절을 통해 가능하다. 이는 방향조절판(313)의 회전축(313a)을 축공(312c)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방향조절판(313)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향조절공(313c)이 방향공(312b)을 개폐하면서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을 조절한다.The fragrance discharge of the fragrance 330 is possible through the control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to open and close the direction hole (312b). This rotates the rotation axis 313a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about the shaft hole 312c, and the direction control hole 313c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opens and closes the direction hole 312b and the air freshener 330. To control emissions.

상기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 조절이 마무리된 후, 마스크 사용자는 마스크(1)를 착용하고 사용하면 들숨 또는 날숨시에 방향제(330)의 향에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After the fragrance emission control of the fragrance 330 is finished, the mask user may feel a refreshing feeling in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330 upon inhalation or exhalation when wearing the mask 1.

이후 마스크(1)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을 할 수 있다. 일단 마스크 사용자가 날숨시 제1 및 제2개폐패드(340,370)가 전방으로 젖혀지면서 제1 및 제2통기공(314b,318b)이 개방되어 제1 및 제2안착실(314,318)을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후 숨을 멈추거나 들숨시에는 제1 및 제2개폐패드(340,370)가 복귀되어 제1 및 제2통기공(314b,318b)을 폐쇄한다. After that, the user wearing the mask 1 may breathe. Once the mask user exhale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s 340 and 370 are flipped forward to open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314b and 318b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rooms 314 and 318. Discharged to the front. Thereafter, when stopping or inhal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s 340 and 370 return to close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314b and 318b.

이 경우 코로 날숨을 쉬는 경우 날숨안내부재(390)에 의해 공기가 제2통기공(318b)으로 안내되어 빠르고도 원활하게 제2통기공(318b) 방향으로 공기가 안내된다.In this case, when breathing through the nose, the air is guided by the exhalation guide member 390 to the second vent hole 318b to guide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vent hole 318b quickly and smoothly.

그리고, 들숨시에는 상기 에어 필터링수단(350)을 거쳐 각종 먼지 등이 걸러진다. In the inhalation, various dusts are filtered through the air filtering means 35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spirits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e user.

1: 마스크 100: 마스크 본체
200: 고정부 300: 호흡용 조립체
310: 베이스틀 320: 결합부재
330: 방향제 340: 제1개폐패드
350: 에어 필터링수단 352: 제1하우징
354: 제2하우징 356: 기둥형 필터
360: 제1마감캡 370: 제2개폐패드
380: 제2마감캡 390: 날숨안내부재
1: mask 100: mask body
200: fixing part 300: breathing assembly
310: base frame 320: coupling member
330: fragrance 340: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350: air filtering means 352: first housing
354: second housing 356: columnar filter
360: first closing cap 370: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d
380: second closing cap 390: exhalation guide member

Claims (7)

사용자의 얼굴 안면부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1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날숨시에는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들숨시에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호흡용 조립체(300)에 있어서,
상기 호흡용 조립체(30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전방에 몸체(311)의 후측 가장자리가 마스크 본체(100) 관통부(102)의 전면 가장자리에 밀착지지되되 개구부(316)가 형성되는 베이스틀(310)과, 상기 개구부(316)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중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에어 필터링수단(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 필터링수단(350)은 장방형의 제1수용홈(351a)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351a)의 일단부에 공기유입용 통공(352a)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352)과, 상기 장방형의 제1수용홈(351a)에 대응되어 장방형 수용공간(351)을 형성하도록 제2수용홈(351b)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351b)의 타단부에 공기배출용 통공(354a)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354)과, 상기 장방형 수용공간(351)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어 상기 공기유입용 통공(352a)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기둥형 필터(356)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틀(310)은 몸체(311)에 전방으로 제1벽부(312a)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311) 후면에 형성되는 방향공(312b)과 연통되는 약제실(312)과, 상기 제1벽부(312a)와 이격되는 제2벽부(314a)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311) 후면에 형성되는 제1통기공(314b)과 연통되는 제1안착실(314)과, 상기 제1안착실(314)의 양측에 개구부(316)가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관통부(102)의 후면 가장자리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베이스틀(310)을 상기 마스크 본체(100)에 고정하는 결합부재(320)와, 상기 약제실(312)에 장착되는 방향제(330)와, 상기 제1안착실(314)에 안착되어 상기 제1통기공(314b)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제1개폐패드(340)와, 상기 베이스틀(3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약제실(312) 및 제1안착실(314)을 마감하며 표면에는 상기 제1안착실(314)의 공기 유출이 가능한 공기 배출공(362)이 형성되는 제1마감캡(360)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틀(310)의 후면 중앙에는 상기 약제실(312)의 중앙으로 관통되는 축공(312c)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312c)에는 약제실(312) 내 방향제(330)의 향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향공(312b)을 개폐하는 방향조절판(3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313a)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In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mask body 100 surround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face of the user face to quickly discharge the air when the user exhales, and to filter out the fine dust in the air during inhalation,
The respiratory assembly 300 has a rear edge of the body 311 in front of the mask body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dge of the through portion 102 of the mask body 100, but the opening 316 is formed A frame 310 and an air filtering means 350 which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opening 316 to filter fine dust during inflow of external air;
The air filtering unit 350 has a first housing in which a rectangular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is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ir inlet through hole 352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352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351b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tangular first accommodating groove 351a to form a rectangular accommodating space 35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351b. The second housing 354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hole 354a and the rectangular housing space 351 is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352a A columnar filter 356 for filtering fine dust;
The base frame 310 is separated by the first wall portion 312a forward to the body 311, the medicine chamber 312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direction hole (312b) formed on the back of the body 311, the first wall portion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and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are separated by the second wall portion 314a spaced apart from the (312a) a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vent hole (314b) formed on the back of the body (311) Openings 3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s coupled to the rear edg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02 of the mask body 100 is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320 for fixing the base frame 310 to the mask body 100 and the drug chamber 312 It is mounted to the air freshener 330,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and the plate-shaped first opening and closing pad 3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ent hole 314b, and the front of the base frame 310 Finishing the drug chamber 312 and the first seating room 314 and the surface includes a first closing cap 360 is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hole 362 that allows the air outlet of the first seating room 314 ;
A shaft hole 312c penetrates to the center of the medicine chamber 312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frame 310, and the shaft hole 312c is configured to adjust the emission amount of the fragrance 330 in the medicine chamber 312. Mask breath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shaft (313a) protruding in front of the direction control plate (3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rection hole (312b) is f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352,354)에는 공기유입용 통공(352a) 및 공기배출용 통공(354a)을 갖는 복수의 장방형의 제1 및 제2수용홈(351a,351b)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치하여 복수의 장방형 수용공간(351)을 형성하고 각각의 장방형 수용공간(351)에 독립적으로 기둥형 필터(356)를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1하우징(352)의 가장자리(352b) 전면에는 상기 베이스틀(310)의 개구부(316) 후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점착층(35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52 and 354 have a plurality of rectangular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grooves 351a and 351b each having an air inflow hole 352a and an air discharge hole 354a. It is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plurality of rectangular receiving spaces 351 and the column filter 356 is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each rectangular receiving space 351,
The mask breath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layer (358) attached to the rear edge of the opening 316 of the base frame 3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dge (352b) of the first housing (35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필터(356)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는 경사면(356a,35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umn filter (356)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mask breath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formed inclined surfaces (356a, 356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틀(310)의 몸체(311) 상측에는 전방으로 제2벽부(318a)에 의해 구분되되 몸체(311)에 형성되는 제2통기공(318b)과 연통되는 제2안착실(318)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실(318)에는 상기 제2통기공(318b)을 개폐하는 판형상의 제2개폐패드(370)가 안착되며 상기 제2안착실(318)은 제2마감캡(380)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which is divided by the second wall portion 318a in front of the body 311 of the base frame 31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vent hole 318b formed in the body 311 is And a plate-shaped second opening / closing pad 370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vent hole 318b in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and the second seating chamber 318 has a second closing cap 380. Mask breath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 b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실(314)은 상기 약제실(312) 외측으로 동심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폐패드(340)는 상기 제1안착실(314)에 삽입 가능하도록 중앙에 개방부(341)가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폐패드(340)는 개방부(341)에 제1벽부(312a)가 위치하도록 제1안착실(314)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ating room 314 is formed concentrically out of the drug room 312,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n opening portion 34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d 340 has an opening portion 341. Mask respirato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itted to the first seating chamber (314) so that the first wall portion (312a) is located i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70022A 2018-06-19 2018-06-19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Active KR102028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22A KR102028050B1 (en) 2018-06-19 2018-06-19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22A KR102028050B1 (en) 2018-06-19 2018-06-19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050B1 true KR102028050B1 (en) 2019-10-02

Family

ID=6842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022A Active KR102028050B1 (en) 2018-06-19 2018-06-19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05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5069A (en) * 2020-11-30 2021-02-05 李雪清 Removable formula gauze mask that possesses multiple filtration aerosol ability
KR102265308B1 (en) * 2020-11-10 2021-06-15 지한준 Mask having functional nose support
KR102278379B1 (en) * 2020-12-01 2021-07-15 이인복 Breath Guiding Apparatus And Mask System Having The Same
KR102352405B1 (en) 2020-12-28 2022-01-19 주식회사 플랜인피닛 Eco multifunctional electronic mask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591A (en) * 1994-09-21 1996-04-09 Sanemu Package Kk Mask and method for adjusting aroma of mask
WO1996034658A1 (en) * 1995-05-03 1996-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ye shield for a respiratory mask
KR200379799Y1 (en) * 2004-12-31 2005-03-28 주식회사 효성 A portable gas mask
KR20110006427A (en) * 2009-07-14 2011-01-20 김경진 Personal Portable Mask
KR20110027934A (en) * 2009-09-11 2011-03-17 최동욱 Mask that can do aroma fragrance therapy
JP5539580B1 (en) * 2013-12-26 2014-07-02 ミツエ 福永 Mask and functional reinforcement for mask
KR101619487B1 (en) * 2016-02-17 2016-05-10 (주)대성엠텍 Functional mask
KR20170003970U (en) * 2016-05-16 2017-11-24 장경희 filter replacem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591A (en) * 1994-09-21 1996-04-09 Sanemu Package Kk Mask and method for adjusting aroma of mask
WO1996034658A1 (en) * 1995-05-03 1996-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ye shield for a respiratory mask
KR200379799Y1 (en) * 2004-12-31 2005-03-28 주식회사 효성 A portable gas mask
KR20110006427A (en) * 2009-07-14 2011-01-20 김경진 Personal Portable Mask
KR20110027934A (en) * 2009-09-11 2011-03-17 최동욱 Mask that can do aroma fragrance therapy
JP5539580B1 (en) * 2013-12-26 2014-07-02 ミツエ 福永 Mask and functional reinforcement for mask
KR101619487B1 (en) * 2016-02-17 2016-05-10 (주)대성엠텍 Functional mask
KR20170003970U (en) * 2016-05-16 2017-11-24 장경희 filter replac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08B1 (en) * 2020-11-10 2021-06-15 지한준 Mask having functional nose support
CN112315069A (en) * 2020-11-30 2021-02-05 李雪清 Removable formula gauze mask that possesses multiple filtration aerosol ability
KR102278379B1 (en) * 2020-12-01 2021-07-15 이인복 Breath Guiding Apparatus And Mask System Having The Same
KR102352405B1 (en) 2020-12-28 2022-01-19 주식회사 플랜인피닛 Eco multifunctional electronic ma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050B1 (en) A Breathing Assembly for A Mask
KR102177108B1 (en) Smart mask
KR101619487B1 (en) Functional mask
KR101826466B1 (en) Mask capable of intake and exhalation air filtering
KR101447903B1 (en) Layered nasal devices
KR101959664B1 (en) Mask capable of intake and exhalation air filtering
KR102080405B1 (en) A Mask With Aromatic Injectin Function
US20180133524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KR102079518B1 (en) A Mask with filter assembly for exhaling
JP2009511146A (en) Respiratory protection
KR102227692B1 (en) filter of Mask
KR102028044B1 (en) A Mask with breathing assembly
KR102096354B1 (en) A Mask with breathing assembly
KR20190110188A (en) A Mask with filter assembly for exhalation having replacement function
KR102113556B1 (en) A Mask with side discharging apparatus of exhaling
KR102086137B1 (en) Mask
KR2020009791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ir filter unit for A Mask
KR102227690B1 (en) Air filter of Mask
KR101915542B1 (en) Mask
KR102065578B1 (en) Mask having e-film filter
KR102096353B1 (en) A Mask with breathing assembly
KR102096355B1 (en) A Mask with breathing assembly
KR102129349B1 (en) Roll typed filter for Mas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125408A (en) Mask
KR102142801B1 (en) Mask with outbreathing guid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