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009B1 - Unit Chair - Google Patents
Unit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8009B1 KR102028009B1 KR1020170108061A KR20170108061A KR102028009B1 KR 102028009 B1 KR102028009 B1 KR 102028009B1 KR 1020170108061 A KR1020170108061 A KR 1020170108061A KR 20170108061 A KR20170108061 A KR 20170108061A KR 102028009 B1 KR102028009 B1 KR 102028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view
- headrest
- unit
- lever
- rotat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조정부는 회전체, 면접부, 및 면접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부는 상기 회전체에 면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에 면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게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접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n opera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opera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an interviewing unit, and an interview adjusting unit. The rotating body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headrest so that it rotates forward or revers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interview portion may be provided to interview the rotor or to be separated from the rotor. The interview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to interview the interview unit with the rotating body or to detach the interview unit from the rotating body, and in particular, the interview unit may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body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eadrest. It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interview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하는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chai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chair having an operation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치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시술 공구, 시술 공구를 거치할 수 있는 닥터 테이블, 급수대 등을 구비하고 있는 치과 관련 치료 및 시술을 위한 전문 기구이다.Unit chairs used in dentistry include seats for seating patients, headrests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and doctor tables for mounting surgical tools such as skeletons, handpieces, etc. It is a specialized apparatus for dental related treatment and procedures equipped with water fountain.
시트는 등받이와 다리받침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헤드레스트는 등받이의 상부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seat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backrest and a legrest, and the headrest has a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헤드레스트는 정방향으로는 회전이 자유롭지만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래치 기어(ratchet gear)를 사용하여 동작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은 래치 기어에 면접하고 있는 부재를 래치 기어로부터 이탈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drest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that operates by using a latch gear that is free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does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reverse direction can be made by detaching the member interviewing the latch gear from the latch gear.
그러나 래치 기어에 힘이 가해진 상태, 즉 헤드레스트에 머리가 받혀진 상태에서는 래치 기어에 면접하고 있는 부재를 래치 기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also difficult to operate the headrest in the reverse dire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ach the member interviewing the latch gear from the latch gear in a state wher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gear, that is, the head rests on the headrest.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하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chair having an operation adjustment unit that can easily operate the headrest in the reverse direction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eadrest.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조정부는 회전체, 면접부, 및 면접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부는 상기 회전체에 면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에 면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게 구비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면접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adjusting unit that can adjust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opera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an interviewing unit, and an interview adjusting unit. The rotating body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headrest so that it rotates forward or revers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interview portion may be provided to interview the rotor or to be separated from the rotor. The interview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to interview the interview unit with the rotating body or to detach the interview unit from the rotating body, and in particular, the interview unit may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body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eadrest. It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interview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샤프트, 레버, 및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면접부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레버는 상기 면접부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면접하면서 상기 샤프트가 움직이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interview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shaft, a lever, and a body part. The shaft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terview portion, the lever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terview portion, the body portion while the both ends of the shaft in the interview It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moving path.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를 상기 몸체부의 양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haft may be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portion capable of closely contac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shaft to both side walls of the body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는 상기 레버가 상, 하로 움직일 때 상기 레버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a center portion of the lever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ever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lever when the lever moves up and dow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 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경로가 형성되는 활주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활주 경로에 상기 레버의 단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lide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lide block in which a slide path is formed so that the lever can slide up and down, and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lever may be positioned in the slide path.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operate the headrest in a reverse direction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eadrest.
이에,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머리를 헤드레스트로부터 들어 올려야 하는 종래와는 달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눕힌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Thus,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head of the patient must be lifted from the headrest in order to operate the headrest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easily move the headrest in the reverse direction even when the patient is lying on the headrest. It can be operated.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expect the effect that the patient can be treated in a more comfortable stat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in a rang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에 면접부가 면접하고 있어 회전체가 정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를 이탈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가 이탈하여 회전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unit chair in accordance with example embodiments.
2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a state in which the interview unit is interviewed with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rotating body can rotate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6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iew unit is separated from the rotating body.
10 to 13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a state in which the interview unit is separated from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rotating body in the reverse direc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unit chair in accordance with example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레스트(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는 다리받침(11)과 등받이(13)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니트 체어(100)에는 스켈러, 핸드피스 등과 같은 시술 공구, 시술 공구를 거치할 수 있는 닥터 테이블, 환자에게 물을 급수할 수 있는 급수대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그리고 헤드레스트(15)는 등받이(13)의 상부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헤드레스트(15)와 등받이(13)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헤드레스트(1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조정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여기서, 헤드레스트(15)의 정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눕혀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고, 헤드레스트(15)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세워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of the
이와 달리, 헤드레스트(15)의 정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세워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고, 헤드레스트(15)의 역방향으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눕혀지는 상태로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operation of the
따라서 헤드레스트(1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로의 동작은 헤드레스트(15)의 일방향으로의 동작이 정방향일 경우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을 역방향으로 보면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io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the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조정부(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2 내지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에 면접부가 면접하고 있어 회전체가 정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 내지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를 이탈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 구비되는 동작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회전체로부터 면접부가 이탈하여 회전체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2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a state in which an interview portion is interviewed with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rotating body can rotate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adjusting unit provided in a unit chair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rview unit is separated from a rotating body, and FIGS. 10 to 13 illustrate a unit chair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 | movement adjustment part provided with this, shows the state which a rotation part can rotate in a reverse direction by leaving an interview part from a rotation body.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조정부(200)는 회전체(21), 면접부(23), 면접 조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2 to 13, the
회전체(21)는 헤드레스트(15)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체(21)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21)가 정회전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15)는 정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고, 회전체(21)가 역회전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15)는 역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rotating
면접부(23)는 회전체(21)에 면접하거나 또는 회전체(21)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면접부(23)가 회전체(21)에 면접되어 있을 경우 회전체(21)는 오직 정회전만 할 수 있고,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되어 있을 경우 회전체(21)는 역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The
이에, 회전체(21)는 레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면접부(23)는 레치 기어의 기어홈에 끼워지는 걸쇠로 이루어질 수 있다.Thus, the rotating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의 헤드레스트(15)는 정방향으로는 동작이 자유롭지만 역방향으로는 동작이 자유롭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면접 조정부(25)는 면접부(23)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면접 조정부(25)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에 면접되게 면접부(23)의 동작을 조정하거나 또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되게 면접부(23)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면접 조정부(25)는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에, 언급한 면접 조정부(25)가 구비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15)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헤드레스트(15)에 환자의 머리가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15)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애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는 면접 조정부(25)는 샤프트(27), 레버(29), 몸체부(31), 밀착부(35), 지지부(37), 활주 블록(41), 경사 돌기(45), 탄성부(47)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샤프트(27)는 면접부(23)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27)는 면접부(23)의 상부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레버(29)는 면접부(23)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서, 면접부(23)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29)가 면접부(23)의 주변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경우 면접부(23)를 동작시키기 위한 힘이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면접부(23)를 원활하게 동작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9)는 면접부(23)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 즉 면접부(23)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버(29)는 면접부(23)의 하부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따라서 면접부(23)의 상부 쪽에는 면접부(23)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샤프트(27)가 구비될 수 있고, 면접부(23)의 하부 쪽에는 면접부(23)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레버(29)가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side of the
몸체부(31)는 면접부(2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몸체부(31)는 면접부(23)를 수용할 때 샤프트(27)의 양측 단부가 면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는 샤프트(27)의 양측 단부가 면접할 수 있는 벽체 및 벽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가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31)는 면접부(23)의 동작시 샤프트(27)가 움직이는 이동 경로(33)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는 양측 단부가 벽체에 면접되어 있는 샤프트(27)가 벽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동 경로(33)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언급한 샤프트(27), 레버(29), 몸체부(31)를 포함하는 면접 조정부(25)를 구비함으로서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을 것이다.Thus, the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면접 조정부(25)의 레버(29)를 사용하여 면접부(23)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면접 조정부(25)의 샤프트(27) 및 몸체부(31)에 의해 면접부(23)가 이동 경로(33)를 따라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15)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면접부(23)를 회전체(21)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샤프트(27)가 몸체부(31)에 충분하게 면접되지 않는 상태에서 면접부(23)가 몸체부(31)의 이동 경로(33)를 따라 움직일 경우 이동 경로(33)에서 이탈함에 의해 면접부(23)의 움직임에 방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7)는 몸체부(31)에 충분하게 면접된 상태, 즉 몸체부(31)에 충분하게 밀착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nd when the
이에, 샤프트(27)에는 샤프트(27)의 양측 단부를 몸체부(31)의 양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밀착부(35)는 몸체부(31)의 양측벽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35)는 샤프트(27)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us, the
레버(29)의 상, 하 움직임을 통하여 회전체(21)로부터 면접부(23)를 이탈시키거나 또는 회전체(21)로 면접부(23)를 면접시킬 수 있다. 특히, 레버(29)가 면접부(23)의 하부 쪽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레버(29)가 상부 쪽으로 위치하도록 움직일 경우에는 회전체(21)로부터 면접부(23)가 이탈될 수 있을 것이고, 레버(29)가 하부 쪽으로 위치하도록 움직일 경우에는 회전체(21)로 면접부(23)가 면접될 수 있을 것이다.The
따라서 레버(29)에는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일 때 레버(29)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37)는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일 때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레버(29)에 힌지 결합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그리고 지지부(37)가 레버(29)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이 아닌 한쪽 방향으로 치우친 부분에 위치하게 구비될 경우에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레버(29)의 상, 하 움직임에 지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지지부(37)는 레버(29)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 위치하게 구비될 수 있다.And when the
또한, 면접 조정부(25)는 레버(29)의 상, 하 움직임시 레버(29)가 상, 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경로(43)가 형성되는 활주 블록(41)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활주 경로(43)의 경우에도 상, 하로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활주 경로(43)에 레버(29)의 단부(39)가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활주 블록(41)을 좌, 우로 이동시킴에 의해 활주 경로(43)에 위치하는 레버(29)의 단부(39)가 활주 경로(43)를 따라 상, 하로 움직임으로써 레버(29)가 상, 하로 움직일 수 있고, 그 결과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회전체(21)에 면접할 수 있는 것이다.Thus, by moving the
이외에, 면접 조정부(25)는 몸체부(31)의 벽체에 형성되는 경사 돌기(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면접 조정부(25)는 면접부(23)와 레버(29)가 연결되는 부분에 면접부(23)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에서의 헤드레스트를 동작시키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operating the headrest in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별도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체(21)는 면접부(23)에 면접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체(21)는 정회전만 할 수 있다. 이에, 헤드레스트(15) 또한 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활주 블록(41)의 활주 경로(43) 하부 쪽에 레버(29)의 단부(39)가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헤드레스트(15)에는 환자가 머리를 눕히고 있을 수 있는 상황일 수 있다.When there is no separate operation, as shown in FIGS. 2 to 5, since the rotating
그리고 이 상황에서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활주 경로(43) 하부 쪽에 위치하는 레버(29)의 단부(39)가 활주 경로(43) 상부 쪽으로 위치하게 경사 블록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면접부(23) 쪽의 레버(29)가 하부 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레버(29)와 연결되어 있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의 하부 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또한, 샤프트(27)는 탄성부(47)의 밀어주는 힘에 의해 이동 경로(33)의 따라 내려가면서 경사 돌기(45) 상부 쪽으로 올라가게 된다.In this situation, as shown in FIGS. 6 to 9, the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레버(29)의 단부(39)가 활주 경로(43) 상부에 위치하게 경사 블록을 이동시키면 면접부(23) 쪽의 레버(29)가 하부 쪽으로 완전히 내려가게 되고, 레버(29)와 연결되어 있는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0 to 13, when the inclined block is moved so that the
이에, 면접부(23)가 회전체(21)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됨으로서 회전체(21)를 자유롭게 역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Thus, the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100)는 환자가 헤드레스트(15)에 머리를 눕힌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15)를 역방향으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이와 반대로, 활주 경로(43) 상부에 위치한 레버(29)의 단부(39)를 활주 경로(43) 하부에 위치하도록 활주 블록(41)을 이동시키면 면접부(23)가 회전체(21)에 다시 면접함으로서 회전체(21)는 정회전만 하게 되고, 그 결과 헤드레스트(15) 또한 정방향으로만 동작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조정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헤드레스트의 동작을 조정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and particularly, may be applied to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of the dental unit chai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1 : 다리받침 13 : 등받이
15 : 헤드레스트 21 : 회전체
23 : 면접부 25 : 면접 조정부
27 : 샤프트 29 :레버
31 : 몸체부 33 : 이동 경로
35 : 밀착부 37 : 지지부
39 : 레버의 단부 41 : 활주 블록
43 : 활주 경로 45 : 경사 돌기
47 : 탄성부 100 : 유니트 체어
200 : 동작 조정부11: legrest 13: backrest
15: headrest 21: rotating body
23: interview part 25: interview adjustment part
27: shaft 29: lever
31: body 33: moving path
35: close contact portion 37: support portion
39: end of the lever 41: sliding block
43: slide path 45: inclined protrusion
47: elastic portion 100: unit chair
200: motion adjustment unit
Claims (5)
상기 동작 조정부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와 연결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면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하도록 구비되는 면접부; 및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에 면접시키거나 또는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게 구비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에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면접부를 상기 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상기 면접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면접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접 조정부는,
상기 면접부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면접부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레버; 및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면접하면서 상기 샤프트가 움직이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In the unit chair having a motion adjustment unit that can adjust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operation adjustment unit,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headrest such that the headrest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the headrest;
An interview portion provided to interview the rotor or to be separated from the rotor; And
The interview portion may be interviewed with the rotating body or the interview portion may be detached from the rotating body, and the operation of the interview portion may be adjusted to detach the interview portion from the rotating body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headrest. Including interview adjustment part,
The interview adjustment unit,
A shaft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terview portion;
A lever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interview portion; And
And a body portion provided to provide a movement path in which the shaft moves while both ends of the shaft are interviewed.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의 양측 단부를 상기 몸체부의 양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unit is a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 walls of the body portion of the shaft.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분에는 상기 레버가 상, 하로 움직일 때 상기 레버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when the lever moves up and down.
상기 레버가 상, 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경로가 형성되는 활주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주 경로에 상기 레버의 단부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하는 유니트 체어.The method of claim 1,
And a slide block in which a slide path is formed so that the lever can slide up and down, and the end of the lever is positioned in the slide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061A KR102028009B1 (en) | 2017-08-25 | 2017-08-25 | Unit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061A KR102028009B1 (en) | 2017-08-25 | 2017-08-25 | Unit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2142A KR20190022142A (en) | 2019-03-06 |
KR102028009B1 true KR102028009B1 (en) | 2019-10-04 |
Family
ID=6576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061A Active KR102028009B1 (en) | 2017-08-25 | 2017-08-25 | Unit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800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7734A (en) | 2023-01-26 | 2024-08-02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Dental unit chai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58415B (en) * | 2020-07-07 | 2022-01-18 |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 Mechanical control's dentistry comprehensive treatment chai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2165B1 (en) | 1994-07-06 | 1999-10-01 | 정몽규 | Seat back adjustment device of seat belt |
KR101629400B1 (en) | 2014-07-18 | 2016-06-10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dical unit chair |
KR101880095B1 (en) | 2017-05-17 | 2018-07-19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Unit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7989A (en) * | 1993-04-14 | 1994-10-25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Chair for driver's cab |
KR19980077703A (en) * | 1997-04-22 | 1998-11-16 | 김영귀 | Armrest rotation angle adjusting device of separate seat |
KR20140115715A (en) * | 2013-03-22 | 2014-10-0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Headrest for detal unit chair |
-
2017
- 2017-08-25 KR KR1020170108061A patent/KR1020280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2165B1 (en) | 1994-07-06 | 1999-10-01 | 정몽규 | Seat back adjustment device of seat belt |
KR101629400B1 (en) | 2014-07-18 | 2016-06-10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dical unit chair |
KR101880095B1 (en) | 2017-05-17 | 2018-07-19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Unit Chai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7734A (en) | 2023-01-26 | 2024-08-02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Dental unit 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2142A (en) | 2019-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9201565B2 (en) | Furniture Member With Powered Mechanism Providing Lift And Zero Gravity Positions | |
WO2006127131A3 (en) |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 |
JP4435215B2 (en) | Chair type massage machine | |
AU2003294094A1 (en) | Convertible chair for accommodating an aircraft passenger | |
KR102028009B1 (en) | Unit Chair | |
EP1555005A3 (en) | Reclinable chair | |
JP5694853B2 (en) | Chair with headrest | |
KR20170010194A (en) | Apparatus for reclining seat | |
CN201523854U (en) | Seat for horizontal movable small healthcare backrest | |
US20120157898A1 (en) | Massager | |
US20100109410A1 (en) | Patient Chair With Locking Assembly | |
KR101990314B1 (en) | Chair assembly for dentist and Unit chair system having the same | |
JP2007068983A (en) | Combination bed and reclining chair | |
JP2009056268A (en) | Electric reclining device | |
AU2006275207B2 (en) | A chair or a bed having a seat, a backrest and an armrest as well as use thereof | |
KR20170024441A (en) | Chair having height/position-adjustable seat and arm rests | |
DE102020124190B4 (en) | Multi-part fitting for a seating and/or reclining piece of furniture, seat and/or reclining piece of furniture, method for using and using the multi-part fitting | |
CN212088876U (en) | Office chair | |
KR101880095B1 (en) | Unit Chair | |
JP2005027969A (en) | Chair type massage machine | |
JP2005334284A (en) | Massage chair | |
JP2008036246A (en) | Headrest and chair for ophthalmologic treatment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06204881A (en) | Synchronizing mechanism | |
CN105581541B (en) | With the electrically propelled chair for facing upward function of lying | |
JP2010104449A (en) | Vehicle seat with massage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