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13B1 - Built-Up Beam - Google Patents
Built-Up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7813B1 KR102027813B1 KR1020170096260A KR20170096260A KR102027813B1 KR 102027813 B1 KR102027813 B1 KR 102027813B1 KR 1020170096260 A KR1020170096260 A KR 1020170096260A KR 20170096260 A KR20170096260 A KR 20170096260A KR 102027813 B1 KR102027813 B1 KR 102027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orizontal
- flange
- upper flange
- composite be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U형 상부플랜지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U형 하부플랜지 및 이를 연결하는 래티스재로 이루어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 정모멘트에 대한 상부 요소의 압축력에 대한 좌굴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며,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보의 형식을 RC시스템화 할 수 있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u형 또는 n형 단면을 갖는 상부플랜지와;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과, 측면판의 상단부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판으로 형성되어, 상부플랜지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전단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more specifically, a U-shaped upper flang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U-shaped lower flang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and a lattice material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for the central moment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tage. It is related to the top U type lattice composite beam that can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elements and to cast concrete at the same time when the slab is installed.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flange having a u-type or n-type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horizontal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up or dow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A lower plate formed of a horizontal plate, a side plate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and a mounting plate extending inward or outwar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flanges; And a connecting shear member coupled to connect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U형 상부플랜지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U형 하부플랜지 및 이를 연결하는 래티스재로 이루어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 정모멘트에 대한 상부 요소의 압축력에 대한 좌굴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며,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보의 형식을 RC시스템화 할 수 있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more specifically, a U-shaped upper flang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U-shaped lower flang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and a lattice material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for the central moment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tage. It is related to the top U type lattice composite beam that can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elements and to cast concrete at the same time when the slab is installed.
보는 휨과 전단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로서 주로 휨모멘트가 구조적 거동을 지배하기 때문에 휨재라고도 한다. 보는 휨과 전단에 의한 응력과 변형이 주로 발생하나 작용하중이 단면의 전단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면 비틀림이 수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보는 충분한 휨강도와 전단강도(또는 비틀림강도)를 보유하여야 하고, 수평부재로 이용되므로 처짐에 대한 사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Beams are structural members that support loads due to bending and shear, and are often called flexural materials because the bending moment dominates structural behavior. The stresses and deformations caused by bending and shear are mainly caused, but they may be tortured if the working load does not coincide with the shear center of the cross section. Therefore, the beam must have sufficient flexural strength and shear strength (or torsional strength), and because it is used as a horizontal member, usability against deflection should be ensured.
보 부재 특히, 강재 보 부재의 단면형으로는 H형 단면이 주로 쓰이며, 박스형, I형, ㄷ형 단면이 쓰이기도 하며, 접합하여 제작된 슬림 조립보(built-up beam)가 사용되기도 하고, 비틀림을 받거나 좌굴길이가 대단히 길면 상자형 단면(box section)을 사용하기도 하고, 특히 강재보 부재는 상부요소의 단면 위에 바닥판을 지지하는 형식이 일반적이므로 바닥판 높이(두께)와 강재보 부재 높이가 확보되어야만 하는 노출형 구조로 되어 있어 층고절감이 곤란하기도 하다.H-shaped cross-section is mainly used as the cross section of beam member, especially steel beam member, and box-shaped, I-type and c-shaped cross-section are also used, and a built-up beam made by joining is used, and twisting If the buckling length is very long or the buckling length is used, a box section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steel beam member generally supports the bottom plate on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element, so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plate (thickness) and the steel beam member is high. Due to the exposed structure that must be secure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floor height.
그리고 기존의 보 부재는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의 정모멘트에 대응하여 상부 요소의 압축력에 대한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단면이 커지거나 강재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스팬의 경우에는 시공중 연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력이나 비대칭하중에 대해 상부요소의 압축단면이 작기 때문에 비틀림저항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beam member has a problem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large or the amount of steel used incre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upper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tatic moment of the central portion generated at the construction stag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orsion resistance performance was lowered because the compression section of the upper element was small for horizontal force or asymmetrical load as well as vertical load during construc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26542호 "강판성형보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보 구조"(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a) 보의 하부면을 형성하도록 박판형의 스틸 판재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된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수직판과; 상기 측면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날개부와; 상기 저면판의 중앙 상부에서 연직방향으로 입설되며 상기 측면수직판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수직판과; 상기 중앙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수직판과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상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판성형보; (b) 상기 강판성형보 받침날개부의 상부에 단부가 지지되게 설치되어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는 바닥판유니트; 및, (c) 상기 강판성형보의 내부와 상기 바닥판유니트의 상부에 일체로 타설된 보-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강판성형보는, 하나의 강판 부재를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면판의 일측단을 상향 절곡하여 측면수직판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수직판의 상단을 수평 절곡하여 받침날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저면판의 다른 쪽을 상향 절곡하여 중앙수직판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수직판의 상단을 수평 절곡하여 상부플랜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하프강판성형보를 마련하고, 상기 하프강판성형보 한 쌍을 그 중앙수직판끼리 면접되게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성형보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보 구조'를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26542 "Steel beam forming beam and composite beam structure using concrete"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a) a bottom plate formed by horizontally installing a thin steel plate to form a bottom surface of a beam; A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and forming both sides of the beam; A support w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vertical plate; A central vertical plat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ide vertical plate; A steel sheet forming beam including; an upper flang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central vertical plate to form a 'T' shape with the central vertical plate; (b) a bottom plate unit having an end portion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forming beam receiving blade to form a slab structure; And, (c) a beam-slab concrete integrally placed on the inside of the steel plate forming beam and the top of the bottom plate unit, wherein the steel plate forming beam is formed by continuously bending one steel plate member. One side end of the bottom plate is bent upward to form a side vertical plate, and the top of the side vertical plate is horizontally bent to form a support wing,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is bent upward to form a central vertical plate and the center Using a steel sheet forming beam and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half of the vertical plate to form a horizontal half-beam forming beam formed by forming an upper flange, and the pair of half-steel forming beams ar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plate to be interviewed Composite beam structure '.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의 정모멘트에 대응하여 상부 요소의 압축력에 대한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단면이 커지거나 강재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increased or the amount of steel used incre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upper element in response to the static moment of the central portion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ste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u형의 상부플랜지를 구성하도록 하여 보 부재로 사용할 때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의 정모멘트에 대응하여 상부 요소의 압축저항에 대한 단면특정치을 향상시켜 압축력이나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고, 시공중 연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력이나 비대칭하중에 대해 단면의 비틀림저항이 우수하여 단면의 휨강도를 좌굴에 의한 저감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보 단면의 일부를 슬래브로 매입 시공하여 층고절감이 가능한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configure the upper flange of the U-type on the top cross section for the compression resistance of the upper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tatic moment of the central portion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step when used as a beam member It improves the stationary force to increase the compressive force and buckling strength, and it has excellent torsional resistance against not only vertical load but also horizontal force or asymmetrical load during construction, so that the bending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can be used without reducing by buckl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that can be layered and saved by embedding a part of the beam section into a slab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u형 또는 n형 단면을 갖는 상부플랜지와; 수평판과, 수평판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과, 측면판의 상단부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판으로 형성되어, 상부플랜지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전단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p plate having a u-type or n-type cross-section consisting of a horizontal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up or dow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A lower plate formed of a horizontal plate, a side plate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and a mounting plate extending inward or outwar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flange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onsisting of; connecting shear member coupled to connect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또한, 수평판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단연결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late i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connection hole is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부플랜지는 측면판의 단부에서 각각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lange i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plate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side plate.
또한, 연결전단부재는 래티스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shear member i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attice muscle.
또한, 연결전단부재는 선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와 수평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측면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선재n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측면부의 하부가 하부플랜지에 접합되며, 상부플랜지가 연결전단부재 수평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거나, 수평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shear member is formed by bending the wire rod and consists of a pair of horizontal portion formed in parallel, the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wire portion n shape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ide portion horizontally, the length of the lower flange The lower side of the side portion is bonded to the lower flang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and the upper flang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shear member horizontal coupling, or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또한, 상부플랜지는 n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측면판의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결합구에 연결전단부재가 안착되도록 끼워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lange is made of n-type cross-section,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at regular intervals,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fitted so that the connecting shear member is seated on the coupling sphere To provide.
또한,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수평판의 폭방향 중앙부가 각각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어 절개가 형성되고, 상부판, 하부판 및 상부판과 하부판의 폭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는 단부 접합부재가 웨브가 절개부에 끼워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is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form an incision, and connects the upper middle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widthwis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 end joining memb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web i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web is fitted to the incision.
또한, 수평 상부판과, 수평 상부판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측면판으로 이루어져 n형 단면을 갖는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가 하부플랜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에 각각 수평 상부판이 상부플랜지의 상부판과 겹쳐져 2겹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 측면판이 하부플랜지과 측면판과 일치되도록 접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 cover-type end joining member having an n-type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horizontal top plate and a vertical side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top plate is horizontally upper in each sectio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lange. It is to provide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formed to overlap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flange and formed in two layers and the vertical side plate is bonded to match the lower flange and the side plate.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는 상부에 u형의 상부플랜지를 구성하도록 하여 보 부재로 사용할 때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의 정모멘트에 대응하여 상부 요소의 압축저항에 대한 단면특정치을 향상시켜 압축력이나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고, 시공중 연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력이나 비대칭하중에 대해 단면의 비틀림저항이 우수하여 단면의 휨강도를 좌굴에 의한 저감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보 단면의 일부를 슬래브로 매입 시공하여 층고절감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orm a u-type upper flange on the top to improve the cross-sectional specific value for the compression resistance of the upper element in response to the static moment of the central portion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stage when used as a beam member Or buckling strength, and the torsional resistance of the cross section is excellent against horizontal force or asymmetrical load as well as vertical load during construction, so that the bending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can be used without buckling, and concrete can be poured simultaneously when installing slab slabs. As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is embedded into the slab,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 및 다양한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단면도 및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전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전단부재와 상부플랜지의 다양한 접합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H형 단부 접합부재가 결합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가 결합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압축보강부재가 구성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oss-sectional view and the modification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shea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bonding methods of the connecting shear member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6 (a).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H-shaped end joi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d-shaped end joi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mpression reinforcing member is configured in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presented are exemplary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 detail.
본 발명은 상부에 U형 상부플랜지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U형 하부플랜지 및 이를 연결하는 래티스재로 이루어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 정모멘트에 대한 상부 요소의 압축력에 대한 좌굴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며,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보의 형식을 RC시스템화 할 수 있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U-type upper flange on the upper portion and a U-type lower flange and a lattice material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to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of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upper element against the central moment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ste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U type lattice composite beam that can be RC-typed in the form of a beam by placing concrete at the same time when installing slab slabs.
도 1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1)는 상부에 u형 또는 n형 단면을 갖는 상부플랜지(1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u형 단면의 하부플랜지(20)와, 상부플랜지(10) 및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는 연결전단부재(30)로 이루어져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 정모멘트에 대하여 압축력이나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고, 시공중 연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력이나 비대칭하중에 대해 단면의 비틀림저항이 우수하여 단면의 휨강도를 좌굴에 의한 저감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1 and 2, the top U-shaped lattice
본 발명의 상부플랜지(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탑u형 래티스 합성보(1)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도록 하여,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의 정모멘트에 대한 상부 요소의 압축력에 대한 좌굴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1 and 2, the
상부플랜지(10)는 도 1 및 도 2a(a)에서와 같이, 강재로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 판 형상의 수평판(11)과, 수평판(1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판(12)으로 이루어져 n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1 and 2a (a), the
또한 상부플랜지(10)는 도 2a(b)에서와 같이, 수평판(1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측면판(12)이 상부로 연장되도록 하여 u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부플랜지(10)를 u형 또는 n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상부플랜지(10)의 단면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슬래브 바닥판에 매입되도록 하여 바닥판 슬래브와의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특히, 수평판(11)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단연결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단연결공(111)은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는 연결전단부재(30)는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부플랜지(10)의 수평판(11)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사선방향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따라서, 상부플랜지(10)의 측면판(12)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여 상부플랜지(10)에 접합되는 연결전단부재(30)와의 접합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플랜지(10)는 도 2b에서와 같이, 측면판(12)의 단부에서 각각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판(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플랜지(10)의 시공중 연직하중 및 비틀림 등에 대한 강성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하부플랜지(2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수평판(21)과, 수평판(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22)과, 측면판(22)의 상단부에서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거치판(23)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때, 수평판(21)의 폭은 상부플랜지(10) 수평판(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전단부재(30)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단면도 및 변형예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oss-sectional view and the modification of FIG. 3.
거치판(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판(21)의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이와 같은 거치판(23)은 직접적으로 바닥판을 구성하기 위한 데크 플레이트나 PC바닥판이나 중공 바닥판과 같은 공지의 기성 바닥판을 거치시켜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거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판이 탑U형 래티스 합성보(1)의 춤의 일정 높이에 시공이 되도록 하여 층고절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uch a mounting
연결전단부재(30)는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하도록 접합되며, 상부플랜지(10)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도록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된다.The connecting
연결전단부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봉이나 사각근 등을 일정 길이로 형성한 단일 경사재가 상부플랜지(1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구성하여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도록 접합되거나, 환봉이나 사각근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절곡되는 모양은 일정한 각도(통상적으로 60도)가 반복되게 경사지게 반복 구성하거나 톱니 형상처럼 수직하고 경사지는 형상이 반복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일정 길이의 단위 절곡근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단위 절곡근을 길이방향으로 1개 이상 연속하게 구성하여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연결전단부재(3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가 상부플랜지(10)의 측면판(12)에 접합되고 하부의 측면이 하부플랜지(20)의 거치판(23)의 단부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상부가 상부플랜지(10)의 측면판(12)에 접합되고 하부가 하부플랜지(20) 측면판(22)의 내측면에 접합되로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ng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전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전단부재와 상부플랜지의 다양한 접합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shea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bonding methods of the connection shear member and the upper fl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연결전단부재(30)는 도 5에서와 같이, n형으로 형성되는 부재를 하부프랜지(2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배치하도록 하여 상부플랜지(10)와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즉, 연결전단부재(30)는 선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31)와 수평부(3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32) 및 측면부(3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3)로 이루어지는 선재n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이때, 측면부(32)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거나 한 쌍의 수평부(31)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를 갖도록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n형으로 형성되는 연결전단부재(30)는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측면부(32)의 하부가 하부플랜지(20)의 소정 위치에 접합되도록 하고, 도 6a와 같이, 상부플랜지(10)가 연결전단부재(30) 수평부(31)의 상부에 안착되어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거나, 도 6b에서와 같이, 상부플랜지(10)가 연결전단부재(30) 수평부(31)의 하부에 안착되어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the n-type
도 7은 상기 도 6(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6 (a).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부플랜지(10)는 n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측면판(12)의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의 결합구(19)가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구(19)에 n형의 연결전단부재(30)가 안착되도록 끼워져 접합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연결전단부재(30)의 접합위치를 지정할 수 이F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접합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H형 단부 접합부재가 결합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H-shaped end joi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1)는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H형 단면을 갖는 H형 단부 접합부재(50)를 구성하도록 하여, 기둥과의 접합시에 접합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탑U형 래티스 합성보(1)의 춤을 키우지 않고서도 단부에서 다양한 높이의 H형 단부 접합부재(50)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top U-shaped lattice
H형 단부 접합부재(50)는 상부판(51), 하부판(52) 및 상부판(51)과 하부판(52)의 폭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는 웨브(53)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기성 H형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H-type
이때, H형 단부 접합부재(5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상부플랜지(10) 및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수평판(11)(21)의 폭방향 중앙부가 각각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어 절개부(115)(215)가 형성되도록 하고, H형 단부 접합부재(50)의 웨브(53)가 절개부(115)(215)에 끼워지도록 하여 용접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가 결합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d-shaped end joi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1)는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H형 단면을 갖는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60)를 구성하도록 하여, 기둥과의 접합시에 접합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탑U형 래티스 합성보(1)의 단부에서 상부플랜지(10)와 두겹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전단변형이나 커다란 압축력에 대하여 좌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U-shaped lattice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60)는 수평 상부판(61)과, 수평 상부판(61)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측면판(62)으로 이루어져 n형 단면을 갖는 덮개형으로 이루어져,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에 각각 수평 상부판(61)이 상부플랜지(10)의 상부판(11)과 겹쳐져 2겹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 측면판(61)이 하부플랜지(20)과 측면판(22)과 일치되도록 접합하여 구성된다.The lid
도 10은 상기 도 9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60)는 상부플랜지(10)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소정의 위치에 1개 가 구성되거나,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1개 이상이 구성되도록 하여 길이방향 중앙부를 보강하도록 하는 밴드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10, the lid
도 11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에 압축보강부재가 구성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mpression reinforcing member is configured in 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상부플랜지(10)의 측면판(12)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측면 압축보강부재(40)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부플랜지(10)의 단면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상부플랜지(10)의 양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전단부재(30)가 상부플랜지(10)의 측면에 결합된 경우에는 연결전단부재(30)의 외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1, the inner side or out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탑U형 래티스 합성보는 상부에 u형의 상부플랜지를 구성하도록 하여 보 부재로 사용할 때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중앙부의 정모멘트에 대응하여 상부 요소의 압축저항에 대한 단면특정치을 향상시켜 압축력이나 좌굴강도를 증대시키고, 시공중 연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력이나 비대칭하중에 대해 단면의 비틀림저항이 우수하여 단면의 휨강도를 좌굴에 의한 저감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여 보 단면의 일부를 슬래브로 매입 시공하여 층고절감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 u-type upper flange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cross-sectional specific value for the compressive resistance of the upper element corresponds to the static moment of the central portion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stage when used as a beam member. Increases compressive force and buckling strength by improving the torsional resistance of the cross section not only for vertical load but also for horizontal force or asymmetrical load during construction, so that the bending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can be used without reducing by buckling. At the same time, by placing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into the slab to be poured,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invention as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탑U형 래티스 합성보
10 : 상부플랜지
11 : 수평판
12 : 측면판
13 : 보강판
19 : 결합구
20 : 하부플랜지
21 : 수평판
22 : 측면판
23 : 거치판
30 : 연결전단부재
31 : 수평부
32 : 측면부
33 : 연결부
50 : H형 단부 접합부재
60 :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1: Top U type Lattice Composite Beam
10: upper flange
11: horizontal plate
12: side plate
13: reinforcement plate
19: coupler
20: lower flange
21: horizontal plate
22: side plate
23: mounting plate
30: connecting shear member
31: horizontal section
32: side part
33: connection
50: H type end joining member
60: cover type end joining member
Claims (10)
수평판(21)과, 수평판(2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판(22)과, 측면판(22)의 상단부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판(23)으로 형성되어, 상부플랜지(10)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하부플랜지(20)와;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전단부재(30);로 이루어지고,
수평 상부판(61)과, 수평 상부판(61)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측면판(62)으로 이루어져 n형 단면을 갖는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60)가,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에 각각 수평 상부판(61)이 상부플랜지(10)와 겹쳐져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 측면판(61)이 하부플랜지(20)의 측면판(22)과 일치되도록 접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An upper flange 10 having a u- or n-type cross section, comprising a horizontal plate 11 and a side plate 12 extending upwardly or downwardly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11;
A horizontal plate 21, side plates 22 extending upwar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21, and mounting plates 23 extending inward o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s 22; A lower flange 2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nsists of a connecting shear member 30 coupled to connect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flange 20,
A lid-type end joining member 60 having an n-type cross section, comprising a horizontal top plate 61 and a vertical side plate 62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top plate 61,
The horizontal upper plate 61 overlaps with the upper flange 10 in a predetermined section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lange 20, and the vertical side plate 61 is the side plate 22 of the lower flange 20. Top U type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is configured to match.
수평판(11)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단연결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plate 11 is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ar connection hole 111 is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val.
상부플랜지(10)는 측면판(12)의 단부에서 각각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판(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p flange 10 is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late 13 is formed to exten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side plate (12).
연결전단부재(30)는 단일 경사재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도록 접합되거나, 선재를 일정한 각도가 반복되게 경사지게 반복 구성한 단위 절곡근을 길이방향으로 1개 이상을 연속하게 구성하여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nection shearing member 30 is a single inclined material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e joined to connect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flange 20, or the unit bending muscles repeatedly configured to be repeatedly inclined so that a predetermined angle is rep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nect more than two to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flange 20 in succession.
연결전단부재(30)는 선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31)와 수평부(3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부(32) 및 측면부(3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3)로 이루어지는 선재n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측면부(32)의 하부가 하부플랜지(20)에 접합되며,
상부플랜지(10)가 연결전단부재(30) 수평부(31)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거나, 수평부(3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shear member 30 is formed by bending a wire rod and horizontally connects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31 and side portions 32 and side portions 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1 formed in parallel. Consists of a wire rod n shape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33,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32 is bonded to the lower flange 2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lange 20,
Top flange 10 is a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horizontal portion 31, o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1).
상부플랜지(10)는 n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측면판(12)의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크기의 결합구(19)가 형성되어,
결합구(19)에 연결전단부재(30)가 안착되도록 끼워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flange 10 is made of an n-type cross-section,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2 is formed with a coupler 19 of a predetermined size at regular intervals,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coupled to the 19 so that the connecting shear member 30 is seated.
상부플랜지(10) 및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수평판(11)(21)의 폭방향 중앙부가 각각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어 절개부(115)(215)가 형성되고,
상부판(51), 하부판(52) 및 상부판(51)과 하부판(52)의 폭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는 웨브(53)로 이루어져 H형 단면을 갖는 H형 단부 접합부재(50)가 웨브(53)가 절개부(115)(215)에 끼워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10 and the lower flang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entral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lates 11 and 21 are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form cutouts 115 and 215. ,
The H-shaped end joining member 50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of a top plate 51, a bottom plate 52, and a web 53 connecting the top plate 51 and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52.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53 is fitted to the incision (115) (215).
수평 상부판(61)과, 수평 상부판(61)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측면판(62)으로 이루어져 n형 단면을 갖는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60)가
하부플랜지(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 구간에 각각 수평 상부판(61)이 상부플랜지(10)의 상부판(11)과 겹쳐져 2겹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 측면판(61)이 하부플랜지(20)과 측면판(22)과 일치되도록 접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type end joining member 60 having an n-type cross section is formed of a horizontal top plate 61 and a vertical side plate 62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top plate 61.
The horizontal upper plate 61 overlaps the upper plate 11 of the upper flange 10 in a predetermined section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lange 20 so as to be formed in two layers, and the vertical side plate 61 is lowered.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is configured to match the flange 20 and the side plate (22).
덮개형 단부 접합부재(60)가 상부플랜지(10)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소정의 위치 또는 일정 간격으로 1개 이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ver-type end joining member 60 is config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r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0).
상부플랜지(10)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측면 압축보강부재(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U형 래티스 합성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op U-shaped lattic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eral compression reinforcing member 40 is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6260A KR102027813B1 (en) | 2017-07-28 | 2017-07-28 | Built-Up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6260A KR102027813B1 (en) | 2017-07-28 | 2017-07-28 | Built-Up Bea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2766A KR20190012766A (en) | 2019-02-11 |
KR102027813B1 true KR102027813B1 (en) | 2019-10-07 |
Family
ID=6536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6260A Active KR102027813B1 (en) | 2017-07-28 | 2017-07-28 | Built-Up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781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80295A (en) * | 2020-08-26 | 2020-11-24 | 长安大学 | A truss structure using open rectangular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hords |
KR102560550B1 (en) * | 2021-03-31 | 2023-07-28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Steel Assembly Pile |
KR102587240B1 (en) * | 2021-07-15 | 2023-10-06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Steel Assembly Pile |
KR20240019982A (en) | 2022-08-05 | 2024-02-14 | 주식회사 포스코 | Composite bea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7668B1 (en) * | 2015-05-11 | 2016-11-29 | (주)엔아이스틸 |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542B1 (en) | 2004-11-10 | 2006-09-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mposite beam structure using sheet steel beam and concrete |
KR20140071199A (en) * | 2012-12-03 | 2014-06-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at shaped beam having stirrup |
KR101464866B1 (en) * | 2013-03-18 | 2014-11-24 | 김영호 | Composite beam having tie anchor embedded in a concrete |
-
2017
- 2017-07-28 KR KR1020170096260A patent/KR1020278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7668B1 (en) * | 2015-05-11 | 2016-11-29 | (주)엔아이스틸 |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2766A (en) | 2019-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6406B1 (en) | Half pc slab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 |
KR102027813B1 (en) | Built-Up Beam | |
KR101783035B1 (en) | Corrugated Deck Having Inverted Triangle Truss Girder | |
JP5406563B2 (en) |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 |
KR20200045061A (en) | Corrugated Deck Having Integrated Shear Connector | |
KR101036088B1 (en) | Horizontal member | |
KR102174773B1 (en) | Composite Deck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677668B1 (en) |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
KR101814754B1 (en) | Built-Up Beam | |
KR101127362B1 (en) | Composite structural member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 |
KR101731244B1 (en) | Connecting plate-attach type bended reinforcement truss deck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48812B1 (en) | Hybrid Beam Consisted Of Compressive U-Shaped Flange And U And H-Shaped End Blocks | |
KR101547540B1 (en) | Hybrid beam having different type flange | |
KR102270860B1 (en) |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Hybrid Beam | |
KR102270444B1 (en) | Steel Form Beam | |
KR101184762B1 (en) | Prestressed H-section steel beam | |
JP2007262859A (en) | Deck plate | |
KR102056313B1 (en) | Hybrid Beam Consisted Using Compressive Member and Lattice | |
JP5268470B2 (en) | How to lift a rebar basket | |
KR20130126057A (en) | Truss-type bridge structure | |
KR102001988B1 (en) | Corrugated Deck Having Inverted Triangle Truss Girder | |
KR102278450B1 (en) | Truss hybrid beam with wide Precast concrete lower flange | |
KR101795725B1 (en) | Integral deck for continuous support type slab | |
KR101833949B1 (en) |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 |
KR101797960B1 (en) | Formed steel beam having neutral axis lifting element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