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665B1 - 최적화된 유동 관리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유동 관리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7665B1 KR102027665B1 KR1020177024719A KR20177024719A KR102027665B1 KR 102027665 B1 KR102027665 B1 KR 102027665B1 KR 1020177024719 A KR1020177024719 A KR 1020177024719A KR 20177024719 A KR20177024719 A KR 20177024719A KR 102027665 B1 KR102027665 B1 KR 1020276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ion
- liquid
- granulation
- granulation liquid
- lact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15—Solid material in other stationary receptacles
- B01D11/0253—Fluidised bed of solid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Flow sheets
- B01D11/0284—Multistage extr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6—Solidifying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6—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2011/002—Counter-current extr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amid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원에 따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Claims (19)
- 최적화된 유동 안내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락탐을 폴리아미드-함유 폴리머 용융물에 중합하는 단계,
b) 과립화 액체를 사용하여 상기 폴리머 용융물을 PA 과립으로 과립화하는 단계,
c) 추출 칼럼에서 상기 PA 과립으로부터 모노머 및 올리고머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PA 과립은 추출 액체 스트림에 역류로 안내되는, 상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립화 액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의 온도 및 락탐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추출 칼럼의 복수의 도입 지점에서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며,
상기 추출 칼럼의 2 ~ 10 개의 도입 지점들에서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의 온도 및 락탐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과립화 액체는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고, 상기 도입 지점들은 상기 추출 칼럼의 상이한 높이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의 온도는 상기 과립화 액체가 공급되기 전의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의 온도보다 낮고, 또는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의 온도는 상기 과립화 액체가 공급되기 전의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의 온도보다 낮고,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의 온도는 10℃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에서 락탐 및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은 상기 과립화 액체가 공급되기 전의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서 락탐 및/또는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보다 낮고,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에서 락탐 및/또는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은 0.1 중량% ~ 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칼럼의 2 ~ 4 개의 도입 지점들에서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의 온도 및 락탐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과립화 액체는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고, 상기 도입 지점들은 상기 추출 칼럼의 상이한 높이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된 상기 과립화 액체의 양은 적합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측정되고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는 락탐 및/또는 올리고머 성분을 함유하고 과립화 액체 회로에 의해 제공되며,
탈염수가 과립화 액체 회로에 연속적으로 또는 배치식으로 공급되고,
상기 과립화 액체에서 락탐 및/또는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은 적합한 측정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공급된 탈염수의 양은 조절되어, 상기 과립화 액체에서 락탐 및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을 특정 범위내로 유지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예비 추출 칼럼에서 예비 추출 단계는 상기 과립화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하는 단계 사이에서 실시되고,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은, 추출이 실시된 후, 추출 칼럼으로부터 배출된 후 예비 추출 용기에 공급되고 거기에서 상기 PA 과립에 역류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이 실시된 후에 또는 예비 추출이 실시되면 예비 추출이 실시된 후에,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은 상기 추출 칼럼으로부터 배출되거나, 예비 추출이 실시되면 예비 추출 칼럼으로부터 배출되고 증발을 위한 집속 탱크에 공급되며, 증발을 위한 상기 집속 탱크에는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추가의 과립화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최적화된 유동 안내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중합 시스템,
과립화 시스템,
PA 과립에 적합한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상기 PA 과립에 적합한 저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추출 액체에 적합한 저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상기 추출 액체에 적합한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및 과립화 액체에 적합한 복수의 도입 지점을 가진 추출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과립화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도입 지점은, 상기 과립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과립화 액체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도입 지점으로 전달될 수 있는 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추출 칼럼은 상기 과립화 액체에 적합한 2 ~ 10 개의 도입 지점들을 가지며, 상기 도입 지점들은 상기 추출 칼럼의 상이한 높이들에 위치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증발을 위한 집속 탱크를 포함하고,
증발을 위한 상기 집속 탱크는, 추출 용기 또는 예비 추출 용기로부터 배출된 추출 액체 스트림이 증발을 위한 상기 집속 탱크에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추출 용기 또는 존재한다면 예비 추출 용기에 연결되고,
증발을 위한 상기 집속 탱크는, 상기 과립화 액체가 증발을 위한 집속 탱크에 직접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과립화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시스템은 과립화 액체 탱크를 포함하는 과립화 액체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칼럼은 상기 과립화 액체를 위한 2 ~ 4 개의 도입 지점들을 가지고, 상기 도입 지점들은 상기 추출 칼럼의 상이한 높이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예비 추출 용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의 온도는 15℃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의 온도는 20℃ ~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에서 락탐 및/또는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은 0.5 중량% ~ 4.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가 상기 추출 액체 스트림에 공급되기 전의 상기 과립화 액체에서 락탐 및/또는 올리고머 성분의 함량은 1.0 중량% ~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 액체 탱크는 오버플로우 밸브를 가진 과립화 액체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 제 9 항 내지 제 13 항 및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201969.1 | 2015-02-04 | ||
DE102015201969.1A DE102015201969A1 (de) | 2015-02-04 | 2015-02-04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amiden mit optimierter Strömungsführung |
PCT/EP2016/052121 WO2016124562A1 (de) | 2015-02-04 | 2016-02-02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amiden mit optimierter strömungsführ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7048A KR20170137048A (ko) | 2017-12-12 |
KR102027665B1 true KR102027665B1 (ko) | 2019-10-01 |
Family
ID=5530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471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7665B1 (ko) | 2015-02-04 | 2016-02-02 | 최적화된 유동 관리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584204B2 (ko) |
EP (1) | EP3253816B1 (ko) |
JP (1) | JP6500117B2 (ko) |
KR (1) | KR102027665B1 (ko) |
CN (1) | CN107206630B (ko) |
DE (1) | DE102015201969A1 (ko) |
TW (1) | TWI680148B (ko) |
WO (1) | WO2016124562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04946A (ja) | 2007-11-28 | 2011-02-17 | オートマティック プラスティックス マシーナリー ゲーエムベーハー | ポリアミド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US8541540B2 (en) | 2008-08-19 | 2013-09-24 | Lurgi Zimmer Gmbh | Continuous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polyamide-6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2233B1 (ko) * | 1968-10-08 | 1973-01-23 | ||
JPS497359B1 (ko) * | 1970-01-30 | 1974-02-20 | ||
DE2242641C3 (de) * | 1972-08-30 | 1980-06-19 | Basf Ag, 6700 Ludwigshafen |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Extrahieren von Polylactamen |
-
2015
- 2015-02-04 DE DE102015201969.1A patent/DE102015201969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01-19 TW TW105101591A patent/TWI68014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02-02 CN CN201680008736.0A patent/CN107206630B/zh active Active
- 2016-02-02 KR KR1020177024719A patent/KR10202766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2-02 US US15/547,950 patent/US1058420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2-02 WO PCT/EP2016/052121 patent/WO201612456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2-02 EP EP16702913.1A patent/EP3253816B1/de active Active
- 2016-02-02 JP JP2017540844A patent/JP650011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04946A (ja) | 2007-11-28 | 2011-02-17 | オートマティック プラスティックス マシーナリー ゲーエムベーハー | ポリアミド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US8541540B2 (en) | 2008-08-19 | 2013-09-24 | Lurgi Zimmer Gmbh | Continuous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polyamide-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7048A (ko) | 2017-12-12 |
CN107206630B (zh) | 2021-10-12 |
JP2018504500A (ja) | 2018-02-15 |
US20180022870A1 (en) | 2018-01-25 |
EP3253816A1 (de) | 2017-12-13 |
TW201630975A (zh) | 2016-09-01 |
TWI680148B (zh) | 2019-12-21 |
EP3253816B1 (de) | 2022-04-06 |
US10584204B2 (en) | 2020-03-10 |
DE102015201969A1 (de) | 2016-08-04 |
WO2016124562A1 (de) | 2016-08-11 |
JP6500117B2 (ja) | 2019-04-10 |
CN107206630A (zh) | 2017-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842208B (zh) | 自高粘聚酯熔体制备低水解聚酯颗粒的方法及制备聚酯颗粒的设备 | |
US751452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rystallizing polymer particles | |
RU2451036C2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амида | |
CN101885842B (zh) | 锦纶6连续聚合生产工艺 | |
RU2466155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олиамида | |
CN102002160A (zh) | 一种利用已内酰胺制备新兴膜用尼龙切片的生产工艺 | |
JP7383649B2 (ja) | 一次材料及び二次材料から重縮合溶融物を製造する方法 | |
KR102027665B1 (ko) | 최적화된 유동 관리로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
JP2016514741A5 (ko) | ||
JP2016514741A (ja) | ポリアミド製造プロセスにおける抽出水の連続的再循環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CN108463320B (zh) | 一种塑料颗粒的制备方法 | |
WO20081405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rystallizing polymer particles | |
US3373145A (en) | Washing of polymer particulates by regular periodic ebb and flow of aqueous solvent | |
JP6295262B2 (ja) | ポリアミド6の連続的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 |
TWI882209B (zh) | 用於製造聚醯胺6顆粒的方法及裝置 | |
CN212269951U (zh) | 一种高粘度高强度尼龙-666共聚聚合连续聚合装置 | |
JP2002523075A (ja) | 横流ろ過によって混合物を固体成分と液体成分に分離する方法 | |
KR102838699B1 (ko) | 폴리아미드 6 펠릿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TW202243847A (zh) | 用於製造聚醯胺6顆粒的方法及裝置 | |
RU2288896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охлаждающего воздуха машин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клотары | |
EA045494B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ранул из полиамида 6 | |
CN103159950B (zh) | 在连续制备聚酰胺6 过程中用于处理高度含水的循环己内酰胺的方法和装置 | |
JPH0224322A (ja) | ポリカプラミドの精製方法 | |
CN203782063U (zh) | 锦纶6切片生产用的萃取水己内酰胺回收系统 | |
CN111763314A (zh) | 一种高粘度高强度尼龙-666共聚聚合连续聚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9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