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10B1 - Wafer chuck including heater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fer chuck including heater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7110B1 KR102027110B1 KR1020170140250A KR20170140250A KR102027110B1 KR 102027110 B1 KR102027110 B1 KR 102027110B1 KR 1020170140250 A KR1020170140250 A KR 1020170140250A KR 20170140250 A KR20170140250 A KR 20170140250A KR 102027110 B1 KR102027110 B1 KR 102027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delete delete
- wafer chuck
- heater pattern
- wa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3—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du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베이스 바디(base body)로부터 돌출된 메사(mesa)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메사부의 상측 표면에 결합되고 히터 패턴(heater pattern)을 내장한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 및 금속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직류 전원이 인가될 내부 전극을 내장한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를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A base plate having a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body, a metal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sa portion and having a heater pattern embedded therein, and a metal plate. A wafer chuck structure including a ceramic plate having a combined internal electrode to be coupled and applied with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scription
본 출원은 반도체 공정에서 웨이퍼(wafer)를 지지하고 히터 패턴(heater pattern)을 내장한 웨이퍼 척(wafer chuck)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wafer chu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supporting a wafer in a semiconductor process and having a heater pattern embedded therein.
반도체 공정이 미세화 되고 고도화 되면서 공정 결과의 균일성(Uniformity)을 확보하는 것이 큰 이슈(issue)로 대두되고 있다. 반도체 공정의 어느 한 공정 단계(step)의 균일한 결과뿐만 아니라, 전체 공정 단계들의 전체적인 균일한 결과가 중요하지만, 모든 공정 단계들에서 만족할만한 수준의 공정 결과의 균일성을 확보하기는 어렵다. As semiconductor processes become finer and more advanced, securing uniformity of process results is a big issue. The overall uniform result of the entire process steps, as well as the uniform result of any one process step of the semiconductor process, is important, but it is difficult to ensure a satisfactory level of uniformity of the process result in all the process steps.
반도체 전체 공정들 중 주요 공정일 수 있는 식각(etch) 공정에서 이전 공정 단계의 결과를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균일성을 확보하거나 조절(control)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여러 공정 변수(parameter)들 중 공정 결과일 수 있는 식각율의 균일성(Etch Rate Uniformity) 또는 임계선폭의 균일성(CD Uniformity)에 큰 영향을 주는 웨이퍼의 온도 분포를 조절하고자 하는 시도되고 있다. In the etching process, which may be a major process among the entire semiconductor processes, a method of compensating or controlling the uniformity of the previous process step is required. Among various process parameters, there are attempts to adjus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wafer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tching rate uniformity or the CD uniformity which may be a process result.
반도체 공정에서 웨이퍼는 정전척(ESC: Electro Static Chuck)과 같은 웨이퍼 척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정전척 구조는 웨이퍼 척킹(wafer chucking) 기능, 히팅(heating) 기능, 냉각(cooling) 기능, 알에프(RF) 방사 기능, 웨이퍼 바닥면(wafer bottom side)에 헬륨(He)을 제공하는 기능 또는/ 및 웨이퍼 리프트 업 다운(wafer lift up down)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전척 구조는 정전척 하부와 상부에 각각 대기압 상태 및 진공 상태가 유지되도록 분리시키는 진공 실링 (vacuum sealing) 기능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 semiconductor process, the wafer may be supported by a wafer chuck such as an electro static chuck (ESC). The electrostatic chuck structure may include wafer chucking, heating, cooling, RF radiation, helium (He) at the wafer bottom side, or / And a wafer lift up down function. The electrostatic chuck structure may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vacuum sealing function to separate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electrostatic chuck so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vacuum state are maintained, respectively.
정전척은 웨이퍼 지지 수단(wafer supporting assembly)으로 반도체 공정 챔버(chamber) 장비에 구비되고 있다. 웨이퍼의 온도 또는 웨이퍼 온도 균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히터 패턴(heater pattern)을 정전척에 내장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The electrostatic chuck is provided in semiconductor process chamber equipment as a wafer supporting assembly. In order to control wafer temperature or wafer temperature uniformity, a technique for embedding a heater pattern in an electrostatic chuck has been proposed.
본 출원은 정전척 구조에 히터 패턴을 내장한 웨이퍼 척 구조 및 이러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s a wafer chuck structure in which a heater pattern is embedded in an electrostatic chuck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ructure.
본 출원의 일 관점은, 베이스 바디(base body)로부터 돌출된 메사(mesa)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메사부의 상측 표면에 결합되고 히터 패턴(heater pattern)을 내장한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직류 전원이 인가될 내부 전극을 내장한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를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을 제시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base plate having a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a base body; A metal plat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esa portion and including a heater pattern; And a ceramic plate coupled to the metal plate and having an internal electrode to which a direct current power is to be applied.
본 출원의 일 관점은, 히터 패턴(heater pattern)을 내장한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를 제작하는 단계; 직류 전원이 인가될 내부 전극을 내장한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를 제작하는 단계; 베이스 바디(base body)로부터 돌출된 메사(mesa)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의 상기 메사부의 상측 표면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produce a metal plate (metal plate) containing a heater pattern (heater pattern); Manufacturing a ceramic plate having an internal electrode to which DC power is to be applied; Coupling the metal plate to an upper surface of the mesa portion of a base plate having a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a base body; And it provides a wafer chuck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bonding the ceramic plate to the metal plate.
본 출원의 일 관점은, 베이스 바디(base body)로부터 돌출된 제1메사(mesa)부 및 상기 제1메사부로부터 돌출된 제2메사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제2메사부의 상측 표면에 결합된 히터 패턴(heater pattern); 상기 히터 패턴을 덮도록 상기 제2메사부에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직류 전원이 인가될 내부 전극을 내장한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를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base plate having a first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a base body and a second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esa portion; A heater patter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esa portion;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second mesa portion to cover the heater pattern; And a ceramic plate coupled to the cover plate and having an internal electrode to which DC power is applied.
본 출원의 일 관점은, 베이스 바디(base body)로부터 돌출된 제1메사(mesa)부 및 상기 제1메사부로부터 돌출된 제2메사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의 상기 제1메사부의 상측 표면에 히터 패턴(heater pattern)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히터 패턴을 덮도록 상기 제2메사부에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직류 전원이 인가될 내부 전극을 내장한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upper side of the first mesa portion of a base plate having a first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a base body and a second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esa portion. Coupling a heater pattern to the surface; Coupling a cover plate to the second mesa portion to cover the heater pattern; And a ceramic plate having a built-in internal electrode to be supplied with a DC power to the cover plate,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fer chuck.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전척 구조에 히터 패턴을 내장한 웨이퍼 척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wafer chuck structure having a heater pattern embedded in an electrostatic chuck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예에 따른 웨이퍼 공정 챔버(process chamber) 장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wafer chuck)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는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의 히터 패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은 일 에에 따른 웨이퍼 척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1 illustrates a wafer process chamb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xamp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xampl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heater pattern of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xample.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xample.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xample.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fer chu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출원의 예의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제시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기술 분야에서의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 정의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예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 "상부(top)"및 "하부(bottom or lower)"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in the technical field. Meaning of the terms used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defined when specifically defined herein, and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bsence of a specific defin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ptions such as "first" and "second", "top" and "bottom or lower"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members, and define the members themselves or in a specific order. It is not meant to be used.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they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Also, 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1은 일 예에 따른 웨이퍼 공정 챔버(chamber) 장비(1)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wafer
도 1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공정 챔버 장비(1)는 웨이퍼(10)에 반도체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정 챔버 장비(10)는 예컨대 식각 공정을 웨이퍼(10)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정 챔버 장비(1)는 챔버 하우징(chamber housing: 20) 내에 웨이퍼 척(30)과 같은 지지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웨이퍼 척(30)은 정전척(ESC)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퍼 척(30)은 그 상에 장착되는 웨이퍼(10)를 지지하고, 공정 중에 웨이퍼(10)를 핸들링(handling)하는 서셉터(susceptor)일 수 있다. 웨이퍼 척(30)은 웨이퍼(1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plate: 31)를 구비하고,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33)를 구비할 수 있다. 웨이퍼 척(30)은 챔버 하우징(20)의 바닥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챔버 하우징(20)을 닫아 밀폐하는 하우징 리드(lid: 40)가 챔버 하우징(20)의 입구를 차단하여 가리게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리드(40)에는 챔버 하우징(20) 내부 공간에 플라즈마(plasma: 21)와 같은 공정 매개물을 제공하기 위한 플라스마 소스 코일(plasma source coil: 50)이 구비될 수 있다. 플라즈마 소스 코일(50)에 알에프파워(Radio Frequency Power)가 인가되고, 플라즈마 소스 코일(50)에 의해 여기되는 전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플라즈마(21)가 챔버 하우징(20) 내에 여기될 수 있다. 챔버 하우징(20)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 리드(40) 사이에는 유전 물질의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윈도(window: 60)가 구비되어, 전자기장의 변화가 챔버 하우징(20) 내부 공간으로 전파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윈도(60)는 챔버 하우징(20) 내부 공간을 진공 실링(vacuum sealing)하고, 또한, 내부 공간으로 알에프 파워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
플라즈마(21)는 웨이퍼(10)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매개물로 사용될 수 있다. 플라즈마 소스 코일(50)은 플라즈마 여기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플라즈마 소스 코일(50)은 본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 등록특허 10-1308687 호(2013년 9월 9일자 등록/ 균일한 플라즈마 밀도를 위한 플라즈마 소스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챔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3)에는 바이어스(bias)를 인가할 바이어스 알에프 소스(bias RF source: 70)가 결합되어, 식각 공정 중에 플라즈마(21)에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다. The
웨이퍼(10)에 균일한 온도 분포를 인가하거나 또는 웨이퍼(10)의 국부적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온도의 존(zone)들을 유도하기 위해서, 웨이퍼 척(30)은 다수의 히팅 존(muti heating zone)을 제공할 수 있는 히터 패턴 (heater pattern)을 구비할 수 있다. 이후에 다시 설명하지만, 히터 패턴은 적어도 2 이상의 히팅 존들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2 이상의 히팅 세그먼트(heating segment)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패턴은 웨이퍼 척(30)의 지지 플레이트(31)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히팅 세그먼트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히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어, 웨이퍼(10)의 국부적 영역들에 각각 서로 다른 온도 존들을 유도할 수 있다. In order to apply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to the
웨이퍼(10)의 서로 다른 국부 영역들 각각에 서로 다른 온도들이 각각 인가되도록 유도할 경우, 각각의 국부 영역들에 서로 다른 공정 환경이 인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10)의 국부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공정 결과, 예컨대, 임계선폭(CD)들이 분포되도록 유도할 있다. 또한, 웨이퍼(10)의 국부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공정 결과를 유도하여, 이전 공정 단계에서 국부 영역별로 차이가 나는 공정 결과들을 보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10)의 국부 영역들이 히팅되는 정도를 상호 독립적으로 달리하여, 웨이퍼(10)의 전체 영역에 인가되는 온도 분포가 보다 균일하게 유도할 수도 있다. 웨이퍼(10)의 각각의 국부 영역들에 인가되는 온도 분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10)의 국부 영역들마다 서로 다른 공정 환경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different temperatures are applied to each of the different local regions of the
도 2는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3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도 2를 참조하면, 공정 챔버 장비(도 1의 1)에 설치되는 웨이퍼 척(30)은 기본적으로 정전척(ESC)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웨이퍼 척(30)은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33) 상에 ESC 척킹을 수행하는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가 적층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3)는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바디(base body: 331) 및 돌출된 메사부(mesa portion: 3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베이스 바디(331)로부터 메사부(335)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며 돌출된 구조로 베이스 플레이트(3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31)와 메사부(335) 측면에는 계단 형상(336)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메사부(335)는 실질적으로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를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는 메사부(335)의 상측 표면(335T)에 결합(bonding)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3)의 메사부(335)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평판 형상으로 상측 표면(335T)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베이스 바디(331) 내에 웨이퍼 척(30)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로(coolant path: 33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31)는 냉각 유로(333)를 내장한 냉각 블록(cooling block) 부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331)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메사부(335)에는 냉각 유로(333)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A
베이스 플레이트(33)에는 바이어스 알에프 소스(도 1의 70)가 결합되어 바이어스 RF가 인가될 수 있다. 바이어스 알에프 소스(70)는 RF 발생기 및 임피던스 매칭 시스템(RF generator & impedance matching system)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의 주위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석영(quartz) 또는 세라믹, 실리콘카바이드(SiC) 물질로 이루어진 에지 링(edge ring)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3)는 캐소드(cathode)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3)과 챔버 하우징(도 1의 20) 내부와의 절연을 위해서, 캐소드(cathode)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33) 주위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소드 절연부(cathode insulator)가 구비될 수 있다. A bias RF source (70 in FIG. 1) may be coupled to the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는 히터 패턴(520)을 내장한 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 320)와 금속 플레이트(320) 상에 위치하는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 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와 세라믹 플레이트(310) 또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는 세라믹 플레이트(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320)의 측면(320S)는 세라믹 플레이트(310)의 측면(310S)에 정렬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3)의 메사부(335)의 상측 표면(335T)에 블레이징(blazing)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에 세라믹 플레이트(310)가 블레이징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The
세라믹 플레이트(310)는 ESC 척킹을 위한 내부 전극(410)을 내장할 수 있다. 내부 전극(410)에 직류 전원(DC)이 인가되어, 세라믹 플레이트(310)의 상측 표면(310T)에 웨이퍼(10)를 척킹(chucking)하는 정전기력이 세라믹 플레이트(310) 상측 표면(310T) 상에 유도될 수 있다. 세라믹 플레이트(310)는 다양한 세라믹 재질 또는 유전 물질의 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에 히터 패턴(520)이 내장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는 다양한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Al) 재질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를 이루는 금속 재질은 세라믹 재질에 비해 열전도도가 높아, 히터 패턴(520)에서 발열된 열을 보다 신속하게 세라믹 플레이트(310) 및 웨이퍼(10)로 전달하는 데 유효하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10)의 온도 또는 온도 분포를 조절하는 데 유효할 수 있다. 웨이퍼(10)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여주는 요소로 히터 패턴(520)이 금속 플레이트(32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히터 패턴(520)은 다양한 패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히터 패턴(520)을 내장한 금속 플레이트(320)를 제작하고, 이에 별도로 세라믹 플레이트(310)를 제작한 후, 금속 플레이트(320)에 세라믹 플레이트(310)를 블레이징 용접함으로써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를 형성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와 세라믹 플레이트(310)를 서로 분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31)를 구성하는 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는 웨이퍼(10)의 온도 및 웨이퍼(10)의 온도 균일성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서, 또한, 제작 상의 효율을 위해서 많아야 1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유효하다. 금속 플레이트(320)는 대략 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320)의 두께가 이 보다 더 두꺼울 경우, 열 전달에 상대적으로 불리하여 온도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세라믹 플레이트(310)는 웨이퍼(10)의 온도 및 웨이퍼(10)의 온도 균일성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서, 0.3㎜ 내지 1㎜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유효하다. After fabricating the
도 3는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30-1)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afer chuck 30-1 according to an example. In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FIG. 2 may mean the same member.
도 3을 참조하면, 웨이퍼 척(30-1)의 온도를 센싱(sensing)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sensor: 611)가 웨이퍼 척(30-1)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611)는 열전대(thermocouple)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611)는 히터 패턴(520)에 결합되도록 도입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611)가 삽입될 제1삽입홀(619)이 베이스 플레이트(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삽입홀(619)은 히터 패턴(52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히터 패턴(520)에 히팅 전원(heating power)를 인가하는 히팅 전원 연결선(621)이 웨이퍼 척(30-1)에 삽입될 수 있다. 히팅 전원 연결선(621)이 히터 패턴(520)에 연결되도록, 히팅 전원 연결선(621)이 삽입될 제2삽입홀(629)이 베이스 플레이트(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삽입홀(629)은 히터 패턴(52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전극(410)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는 직류 전원 연결선(631)이 웨이퍼 척(30-1)에 삽입될 수 있다. 직류 전원 연결선(631)이 내부 전극(410)에 연결되도록, 직류 전원 연결선(631)이 삽입될 제3삽입홀(639)이 베이스 플레이트(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삽입홀(639)은 내부 전극(41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온도 감지 센서(610)에서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 데이터(data)를 수집하고,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히터 패턴(520)에 인가되는 히팅 파워를 제어하는 히팅 제어부(610)가 구비될 수 있다. 히티 제어부(610)는 히팅 전원 연결선(621)에 연결된 히터 전원부(620)를 제어하여 히터 패턴(5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내부 전극(410)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ESC 전원부(630)가 직류 전원으로 직류 전원 연결선(631)에 연결될 수 있다. A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웨이퍼 척(30, 30-1)의 히터 패턴(52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도 4를 참조하면, 금속 플레이트(도 3의 520)에 내장되는 히터 패턴(520)은 웨이퍼 척(도 2의 30 또는 도 3의 30-1)에 둘 이상의 멀티 존(multi zone)으로 온도 존을 형성하기 위해서 멀티 존 히터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히터 패턴(520)은 다수의 상호 독립적인 히팅 세그먼트(heating segment: 521, 523, 525)들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52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히팅 세그먼트(521)와 가장 자리 부분들에 각각 위치하는 제2 및 제3히팅 세그먼트(523, 525)들은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히팅 동작을 하도록 분리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 세그먼트들(521, 523, 525)에는 각각 서로 다른 히팅 파워가 인가되어, 서로 다른 온도 존들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웨이퍼 척(30)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5 through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플레이트(320)를 별도로 제조하기 위해서, 베이스 금속 플레이트(base metal plate: 321)에 히터 패턴(520)를 결합(bonding)한다. 이때, 히터 패턴(520)과 베이스 금속 플레이트(321) 사이에 열전도 물질(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이 도입될 수도 있다. 베이스 금속 플레이트(321)에 커버 금속 플레이트(cover metal plate: 323)를 결합시켜, 커버 금속 플레이트(323)과 베이스 금속 플레이트(321) 상에 히터 패턴(520)이 결합된 금속 플레이트(320)를 형성한다. 커버 금속 플레이트(321)는 베이스 금속 플레이트(321)에 블레이징 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320)가 도 6에 제시된 것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 금속 플레이트(321)은 세라믹 플레이트(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도입될 수 있다. 커버 금속 플레이트(323)는 세라믹 플레이트(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도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3)의 상측 표면(335T)에 금속 플레이트(320)를 결합시킨다. 금속 플레이트(320)와 베이스 플레이트(33)는 블레이징 용접으로 체결될 수 있다. 내부 전극(410)이 내장된 세라믹 플레이트(310)를 별도로 제작한 후, 세라믹 플레이트(310)를 금속 플레이트(320)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웨이퍼 척(30)이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도 8은 일 예에 따른 웨이퍼 척(103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도 8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공정 챔버 장비(도 1의 1)에 설치되는 웨이퍼 척(1030)은 기본적으로 정전척(ESC)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웨이퍼 척(10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33) 상에 ESC 척킹을 수행하는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1031)가 적층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33)는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바디(1331) 및 돌출된 제1메사부(1335), 제2메사부(133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제2메사부(1337)는 제1메사부(1335)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가장자리 부분에 계단 형상의 단차(1337G)을 이루도록 제1메사부(133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메사부(1337)의 측면(1337S)은 제1메사부(1335)의 측면(1335S) 보다 중심쪽으로 리세스(recession)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331)로부터 제1메사부(335)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베이스 플레이트(103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331)와 제1메사부(1335) 측면에는 또 다른 계단 형상(1336)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메사부(1337)는 실질적으로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1031)를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1031)는 제2메사부(1337)의 상측 표면(1337T)에 결합(bonding)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33)의 제2메사부(1337)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평판 형상으로 상측 표면(1337T)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베이스 바디(1331) 내에 웨이퍼 척(1030)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로(133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33)에는 바이어스 알에프 소스(도 1의 70)가 결합되어 바이어스 RF가 인가될 수 있다.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1031)는 히터 패턴(1520)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1320)와 커버 플레이트(1320) 상에 위치하는 세라믹 플레이트(1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웨이퍼 지지 플레이트(1031)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와 세라믹 플레이트(1310) 또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 패턴(152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멀티 존 히터 패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
커버 플레이트(1320)는 세라믹 플레이트(1310)와 보다 더 큰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는 세라믹 플레이트(1310) 보다 대략 0.5㎜ 내지 5.0㎜ 큰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퍼(10)가 300㎜ 직경을 가질 때, 세라믹 플레이트(1310)는 웨이퍼(10) 직경보다 작은 대략 298㎜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은 대략 300㎜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세라믹 플레이트(1310)는 커버 플레이트(1320)의 가장 자리 일부 부분(D1)을 노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와 제2메사부(1337)의 상측 표면(1337T) 사이에 히터 패턴(152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히터 패턴(1520)이 중첩(covering)되는 영역의 직경 또는 폭은 실질적으로 세라믹 플레이트(1310)의 폭 또는 직경 보다 작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터 패턴(1520)이 중첩(covering)되는 영역의 직경 또는 폭은 실질적으로 세라믹 플레이트(1310)의 폭 또는 직경과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히터 패턴(1520)은 이에 따라, 히터 패턴(1520)의 성능의 실질적인 극대화와 진공 실링(vacuum sealing) 기능의 안정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The
커버 플레이트(1320)는 히터 패턴(1520) 및 제2메사부(1337)를 상측에서 덮는 플레이트 형상의 평판 부분(1320P)과 가장자리의 단차 부분(1320R)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차 부분(1320R)은 제2메사부(1337)의 측면(1337S)를 덮도록 제1메사부(1335)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의 단차 부분(1320R)의 끝단은 제2메사부(1337) 바깥으로 노출된 제1메사부(1335)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1320)의 측면(1320S)에 제1메사부(1335)의 측면(1335S)은 평탄한 측면으로 이어지도록 정렬될 수 있다. The
단차 부분(1320R)의 두께는 웨이퍼(도 1의 10)의 온도 및 온도 균일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제작 상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단차 부분(1320R)의 두께 D3는 평판 부분(1320P)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차 부분(1320R)의 두께는 두꺼워야 15㎜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uniformity of the wafer (10 in FIG. 1) an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the thickness D3 of the stepped
커버 플레이트(1320)의 단차 부분(1320R)이 제2메사부(1337)의 측면(1337S)을 덮도록, 커버 플레이트(13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33)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의 평판 부분(1320P)에는 단차 부분(1320R)에 의해서 음각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음각된 형상 부분에 히터 패턴(1520)이 삽입되도록 커버 플레이트(1320)가 제2메사부(1337)에 블레이징 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320)가 제2메사부(1337)에 결합되면서, 히터 패턴(1520)에 중첩되는 평판 부분(1320)의 두께 D2를 보다 얇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히터 패턴(1520)으로부터 웨이퍼(10)로의 열전달 효율을 개선하면서, 커버 플레이트(1320)와 제2메사부(1337)의 체결 구조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와 제2메사부(1337)의 체결 구조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진공 실링 기능 또한 충실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e
세라믹 플레이트(1310)는 ESC 척킹을 위한 내부 전극(1410)을 내장할 수 있다. 내부 전극(1410)에 직류 전원(DC)이 인가되어, 세라믹 플레이트(1310)의 상측 표면(1310T)에 웨이퍼(10)를 척킹하는 정전기력이 세라믹 플레이트(1310) 상측 표면(1310T) 상에 유도될 수 있다. The
도 10을 참조하면, 세라믹 플레이트(1310)에 의해서 노출된 커버 플레이트(1320)의 노출 부분(1320E), 커버 플레이트(1320)의 노출된 측면(1320S)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33)의 노출된 측면, 즉, 제1메사부(1335)의 노출된 측면(1335S) 및 베이스 바디(1331)의 노출된 측면(1331S)를 덮는 세라믹 코팅층(ceramic coating layer: 1380)을 웨이퍼 척(1030)은 구비할 수 있다. 세라믹 코팅층(1380)을 노출된 부분이 플라즈마(plasma)에 의해 손상(damage)되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층으로 도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exposed
세라믹 플레이트(1310)의 폭을 웨이퍼(10)의 폭보다 대략 2㎜ 정도 작게 하여, 웨이퍼(10)와 에지 링(1600)에 의해서, 세라믹 플레이트(1310)에 의해서 노출된 커버 플레이트(1320)의 노출 부분(1320E)이 플라즈마로부터 가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퍼(10)가 300㎜ 직경을 가질 때, 세라믹 플레이트(1310)는 웨이퍼(10) 직경보다 작은 대략 298㎜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0)은 대략 300㎜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10)의 가장 자리 부분이 커버 플레이트(1320)를 가려, 커버 플레이트(1320)에 대한 ESC 손상을 유효하게 최소화할 수 있다. 에지 링(1600)은 제1 및 제2메사부(1335, 1336), 세라믹 플레이트(1310), 커버 플레이트(13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도입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웨이퍼 척(1030)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1611)가 웨이퍼 척(1030)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1611)가 삽입될 제1삽입홀(1619)이 베이스 플레이트(10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삽입홀(1619)은 히터 패턴(152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히터 패턴(1520)에 히팅 전원(heating power)를 인가하는 히팅 전원 연결선(1621)이 웨이퍼 척(1030)에 삽입될 수 있다. 히팅 전원 연결선(1621)이 히터 패턴(1520)에 연결되도록, 히팅 전원 연결선(1621)이 삽입될 제2삽입홀(1629)이 베이스 플레이트(10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삽입홀(1629)은 히터 패턴(152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전극(1410)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는 직류 전원 연결선(1631)이 웨이퍼 척(1030)에 삽입될 수 있다. 직류 전원 연결선(1631)이 내부 전극(1410)에 연결되도록, 직류 전원 연결선(1631)이 삽입될 제3삽입홀(1639)이 베이스 플레이트(10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삽입홀(1639)은 내부 전극(1410)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a temperature sensor 161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온도 감지 센서(1610)에서 연결되어 감지된 온도 데이터(data)를 수집하고,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히터 패턴(1520)에 인가되는 히팅 파워를 제어하는 히팅 제어부(1610)가 구비될 수 있다. 히티 제어부(1610)는 히팅 전원 연결선(1621)에 연결된 히터 전원부(1620)를 제어하여 히터 패턴(15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내부 전극(1410)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ESC 전원부(1630)가 직류 전원으로 직류 전원 연결선(1631)에 연결될 수 있다. A
도 11 및 도 12은 도 8의 웨이퍼 척(1030)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33)의 제2메사부(1337) 상에 히터 패턴(1520)을 결합한다. 이때, 히터 패턴(1520)은 제2메사부(1337)에 블레이징 용접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블레이지 용접되지 않을 수도 있다. 히터 패턴(1520)과 제2메사부(1337) 사에 열전도 물질(TIM)이 도입될 수도 있다. 히터 패턴(1520)을 덮도록 제2메사부(1337)에 결합될 커버 플레이트(1320)을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재질로 별도로 제작한다. 커버 플레이트(1320)는 히터 패턴(1520)이 결합된 제2메사부(1377)가 삽입될 삽입홈(1320G)이 평판 부분(1320)에 음각되고, 단차 부분(1320R)이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1320)의 단차 부분(1320R)이 제2메사부(1337)의 측면(1337S)을 가리고, 제2메사부(1337)의 계단 형상의 단차(1337G)에 삽입되도록, 커버 플레이트(1320)를 베이스 플레이트(1033)의 제2메사부(1337)에 결합시킨다. 이때, 블레이징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stepped
내부 전극(1410)이 내장된 세라믹 플레이트(1310)를 별도로 제작한 후, 세라믹 플레이트(1310)를 커버 플레이트(1320)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웨이퍼 척(1030)이 구성될 수 있다. After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는 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illustrated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ut this is for explaining wha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wha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a detailed form. Various other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so long as the technical spirit sugges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reflected.
310: 내부 전극이 내장된 세라믹 플레이트,
320; 히터 패턴이 내장된 금속 플레이트,
33; 베이스 플레이트. 310: ceramic plate with internal electrodes,
320; Metal plate with heater pattern,
33; Base plate.
Claims (37)
상기 제2메사부의 상측 표면에 결합된 히터 패턴(heater pattern);
상기 히터 패턴을 덮도록 상기 제2메사부에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직류 전원이 인가될 내부 전극을 내장한 세라믹 플레이트(ceramic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히터 패턴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중첩되는 영역의 직경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의 직경과 작거나 동일한 웨이퍼 척(wafer chuck). A base plate having a first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a base body and a second mes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esa portion;
A heater patter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esa portion;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second mesa portion to cover the heater pattern; And
And a ceramic plate coupled to the cover plate and having an internal electrode to which DC power is to be applied.
The cover plate has a circular plate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eramic plate,
A wafer chuck having a diameter of a region where the heater pattern overlaps the cover plat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eramic plate.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웨이퍼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cover plate is
A wafer chuck having a circular plate shape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wafer mounted on the ceramic plate.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cover plate is
Wafer chuck comprising aluminum (Al) material.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2메사부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된 단차 부분을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cover plate is
A wafer chuck comprising a stepped portion extending to cover the side of the second mesa portion.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단차 부분의 끝단은
상기 제2메사부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제1메사부 부분에 결합되는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22,
The end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cover plate
A wafer chuck coupled to the portion of the first mesa portion exposed out of the second mesa portion.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제1메사부의 측면에 평탄한 측면을 이루며 이어지도록 정렬된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side of the cover plate
A wafer chuck aligned to form a flat side surface on the side of the first mesa portion.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 바깥으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부분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을 덮고, 상기 제1메사부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세라믹 코팅층(ceramic coating layer)을 더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A wafer chuck further comprising a ceramic coating layer covering the cover plat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ramic plat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extending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esa portion.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메사부들을 관통하여 상기 히터 패턴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된 제1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 패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sensor)가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된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base plate is
A first insertion hole extending through the bas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mesas to expose a portion of the heater pattern;
A wafer chuck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patter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메사부들을 관통하여 상기 히터 패턴의 다른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된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 패턴에 히팅 전원을 연결하는 히팅 전원 연결선이 상기 제2삽입홀에 삽입된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26,
The base plate is
A second insertion hole extending through the bas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mesa parts to expose another partial region of the heater pattern;
A wafer chuck in which a heating power connection line for connecting heating power to the heater patter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메사부들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전극의 일부 영역을 노출하도록 연장된 제3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극에 상기 직류 전원을 연결하는 직류 전원 연결선이 상기 제3삽입홀에 삽입된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26,
The base plate is
A third insertion hole extending through the bas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mesas to expose a portion of the internal electrode;
A wafer chuck in which a DC power supply line connecting the DC power source to the internal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hole.
상기 히터 패턴은
멀티 온도 존(temperature multi zone)을 유도하기 위해서,
다수의 상호 독립적으로 나뉘어진 히팅 세그먼트(heating segment)들을 포함하는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heater pattern is
In order to induce a temperature multi zone,
Wafer chuck comprising a plurality of mutually independent heating segments.
상기 베이스 바디는
냉각 유로(coolant path)를 내장한 웨이퍼 척(wafer chuck).The method of claim 18,
The base body is
Wafer chuck with coolant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0250A KR102027110B1 (en) | 2017-10-26 | 2017-10-26 | Wafer chuck including heater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0250A KR102027110B1 (en) | 2017-10-26 | 2017-10-26 | Wafer chuck including heater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6439A KR20190046439A (en) | 2019-05-07 |
KR102027110B1 true KR102027110B1 (en) | 2019-10-01 |
Family
ID=6665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0250A Active KR102027110B1 (en) | 2017-10-26 | 2017-10-26 | Wafer chuck including heater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711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5733B1 (en) | 2023-12-29 | 2024-12-02 | 주식회사 한백정밀 | Wafer chuck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
WO2025053868A1 (en) * | 2023-09-08 | 2025-03-13 | Applied Materials, Inc. | Heat transfer management in substrate support system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7974B1 (en) * | 2019-08-29 | 2020-02-14 | 주식회사 기가레인 | Plasma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focus ring with improved plasma treatment vertical angle |
KR102077975B1 (en) * | 2019-10-15 | 2020-02-14 | 주식회사 기가레인 | Plasma treatment device with improved plasma treatment verticalit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0019A (en) * | 2001-08-13 | 2003-02-28 | Hitachi Ltd | Wafer stage |
JP2013009001A (en) * | 2012-09-12 | 2013-01-10 |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 Electrostatic chuck device |
KR101585082B1 (en) * | 2014-09-24 | 2016-01-1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The heating un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the ESC of controllable temperature using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4738A (en) * | 2012-03-15 | 2013-09-25 | 코리아세미텍 주식회사 | Electrostatic chuck |
KR20170001990A (en) * | 2015-06-29 | 2017-01-06 | (주)나노테크 | Heater assembly adopted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2017
- 2017-10-26 KR KR1020170140250A patent/KR1020271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0019A (en) * | 2001-08-13 | 2003-02-28 | Hitachi Ltd | Wafer stage |
JP2013009001A (en) * | 2012-09-12 | 2013-01-10 |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 Electrostatic chuck device |
KR101585082B1 (en) * | 2014-09-24 | 2016-01-1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The heating un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the ESC of controllable temperature using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53868A1 (en) * | 2023-09-08 | 2025-03-13 | Applied Materials, Inc. | Heat transfer management in substrate support systems |
KR102735733B1 (en) | 2023-12-29 | 2024-12-02 | 주식회사 한백정밀 | Wafer chuck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6439A (en) | 201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9546B1 (en) | Edge ring dimensioned to extend lifetime of elastomer seal in a plasma processing chamber | |
CN110556316B (en) | Substrate support base | |
KR102383357B1 (en) | Mounting tabl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KR102039969B1 (en) | Supporting unit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364319B1 (en) | Electrostatic chuck with radial temperature control | |
KR102027110B1 (en) | Wafer chuck including heater patter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092623B1 (en) | Plasma processing apparatus | |
CN100424849C (en) | Electrostatically clamped edge rings for plasma machining | |
US6094334A (en) | Polymer chuck with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 |
KR102809732B1 (en) | High power electrostatic chuck design with radio frequency coupling | |
KR102304432B1 (en) | Methods for bonding substrates | |
CN101978475A (en) | Shielded lid heater assembly | |
CN110690096B (en) | Electrostatic chuck, plasma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2089949B1 (en) |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component of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 |
JP5595549B2 (en) | Tray f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 |
JP2022511063A (en) | Electrostatic chuck with improved thermal coupling for temperature sensitive processes | |
KR101927937B1 (en) | Support unit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comprising the same | |
JP2020126770A (en) | Ceramic heater | |
JP2010232250A (en) | Plasma processing equipment | |
JP5539436B2 (en) |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 |
KR101569886B1 (en) | Substrate supporting unit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4311828B2 (en) | Plasma processing equipment | |
KR102585290B1 (en) | Focus Ring and plasma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543695B1 (en) | Supporting unit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974421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edge ring and recycling method of edge 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