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6987B1 -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987B1
KR102026987B1 KR1020190009879A KR20190009879A KR102026987B1 KR 102026987 B1 KR102026987 B1 KR 102026987B1 KR 1020190009879 A KR1020190009879 A KR 1020190009879A KR 20190009879 A KR20190009879 A KR 20190009879A KR 102026987 B1 KR102026987 B1 KR 10202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acid ester
benzoic acid
modi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채
Original Assignee
김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채 filed Critical 김갑채
Priority to KR102019000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9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크릴 단량체,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 충진제, 분산제, 경화제,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CF2CF2-로 표시되는 불화탄소의 반복단위가 10 내지 20개인 불화탄소 모노머 및 벤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FOR WATERPROOF CONSTRUCTION OF ROOF}
본 발명은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옥상 방수 시공 시 상도 작업에 적합하며 수명 및 차열성이 우수한 상도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옥상에 방수 시공을 할 때 일반적으로 옥상 바닥면에 하도, 중도, 상도의 순으로 도막을 시공을 하게 되며, 각각의 도막에 적합한 조성물을 적용하여 시공을 하고 있다. 이 중 상도는 대기 및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되는 도막으로서, 시공 후 4~5년이 지나면 열화에 의해 손상되기 때문에 덧칠을 하거나 다시 방수 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도 도막은 차열 효과를 부여하여 건축물의 냉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25115호에는 상도 단열차열방수제로 상온경화형 실리콘 고무원액 50-70중량%, 폴리우레탄 수지 10-15중량%,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0.1-5중량%, 및 나머지로 용제인 톨루엔이 배합된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열 및 방수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69183호에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20 ~ 40 wt%, 폴리올 1 ~ 10 wt%, 가소제 1 ~ 15 wt%, 탄산칼슘 10 ~ 20 wt%, 차열안료 10 ~ 20 wt%, 방열을 위한 금속성 무기안료 1 ~ 5 wt%, 중공안료 10 ~ 20 wt%, 분산제 0.2 ~ 2 wt%, 색분리 방지제 0.2 ~ 2 wt%, 소포제 0.2 ~ 2 wt%, 레벨링제 0.2 ~ 2 wt%로 조성되어 차열성을 제공하는 제 1조성물과 폴리올 70 ~ 85 wt%, 1,3-부틸렌 글리콜 0.1 ~ 1 wt%, 이소시아네이트 14 ~ 24 wt%, 자일렌 0.5~ 6wt%로 조성되어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제 2 조성물; 및 경화제인 과산화벤조일을 포함하는 차열 상도 조성물을 이용하여 차열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에 개시된 조성물을 상도로 적용할 경우, 시공 당시의 차열성 및 방수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열성, 방수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며, 어느 시점이 경과하면 물성의 저하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251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691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옥상 방수 시공 시 상도 도막 형성에 사용되며 접착력, 차열 및 방수성능이 향상된 상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도 도막의 물성 저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상도의 재시공시까지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은 아크릴 단량체,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 충진제, 분산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로서, 상기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CF2CF2-로 표시되는 불화탄소의 반복단위가 2 내지 5개인 불화탄소 모노머 및 벤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상기 아크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 및 이산화티탄 입자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을 적용하면 옥상 방수 시공 시 상도 도막 형성에 사용되며 접착력, 차열 및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도 도막의 물성 저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상도의 재시공시까지 물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방수 도막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은 아크릴 단량체,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 충진제, 안료, 분산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옥상 방수 시공을 통해 도 1에서와 같은 도막이 적층되게 되는데, 옥상 바닥의 상부에 하도를 시공하고 그 위에 중도, 상도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하도는 실제로 방수 역할을 하는 중도와 옥상 바닥인 콘크리트와의 접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우레탄 계통의 조성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중도는 실질적으로 방수 역할을 하는 도막으로서 우레탄 계통의 중도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며 도막의 두께도 가장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상도는 상기 중도의 도막을 보호해주고 방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포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상도용 조성물인 아크릴계 조성물이나 우레탄계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4 내지 5년 후 상도만 재시공하여 옥상 방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 시공된 상도는 장기간 그 물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옥상의 경우 우천, 기온 변화, 충격 등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될 수 있으며 이는 방수 성능의 약화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상도 시공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도록 그 구성을 최적화하고 있다.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상도를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바인더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1 이상의 아크릴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로는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단량체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아크릴 단량체는 2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아크릴 단량체의 배합비율은 방수 시공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조성물에 함유됨으로써 아크릴 바인더로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 단량체와 더불어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불화탄소로 변성된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산벤조산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벤조산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부톡시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페닐기를 포함하여 조성물 내에 함유될 때 상용성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CF2CF2-로 표시되는 불화탄소의 반복단위가 2 내지 5개인 불화탄소 모노머로 변성시키는데, 상기 불화탄소의 반복단위를 가진 모노머는 중합에 의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은 내열성, 내약품성, 발수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것인데, 상기와 같은 불화탄소기가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에 결합됨으로써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반응을 통해 상기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응식 1의 n은 2 내지 5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19062643094-pat00005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불화탄소기를 포함하여 발수성이 우수하고, 특히, 아크릴 단량체와 배합하여 상도용 조성물을 형성할 때 상도 도막의 물성 저하 속도를 현저히 낮추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불화탄소 모노머의 반복단위가 2 내지 5개일 때 이러한 상도 도막의 특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불화탄소 모노머의 길이가 너무 길면 분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서 조성물 내에서 분산 및 상용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하여 상도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충진제는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와 이산화티탄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백색안료로 사용되며 열전도도가 높아 차열 재료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충진제로서 사용되는데, 상기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와 병용함으로써 상도 도막의 물성 저하를 억제하고 도막의 내구성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0.5 내지 2㎛의 입도를 가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자 크기가 너무 작으면 가공성이 떨어지고 너무 크면 도막 시공 시 균일한 도막의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 입자 대신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상기 실리카 입자에 접착성능을 부여하여 상도 도막 형성 후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개질은 하기 반응식 2에서와 같이 알릴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와 디클로로메탄을 오존 하에서 반응시켜 알데하이드기를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형성하는 반응(1)과 상기 알데하이드기에 우레아를 반응시켜 표면이 우레아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얻게 된다.
[반응식 2]
Figure 112019009235878-pat00002
(1)
Figure 112019009235878-pat00003
(2)
상기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와 이산화티탄 입자는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실리카 입자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접착성능을 얻을 수 없어 도막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너무 많으면 이산화티탄 입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방수효과나 색상 구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은 분산제, 경화제, 용제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안료, 소포제, 레벨링제, 점도 조절제, 가소제, 왁스 등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의 저장기간 동안에 충진제와 안료 등과 같은 비중이 큰 성분이 침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양이온,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나 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온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성 계면활성제로는 친수성기 및 소수성기를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중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성 아크릴 분자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분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아크릴 바인더의 내수성 및 부착력의 향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부분의 함량이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충분한 길이의 친수성기를 가짐으로써 아크릴 분자와의 결합에 의한 도막의 물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로는 PEG계 계면활성제(친수성기로 폴리옥시에틸렌 함유), BRIJ계 계면활성제(친수성기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함유), IGEPAL계 계면활성제(친수성기로 폴리옥시에틸렌 함유), Pluronic계 계면활성제(친수성기로 폴리옥시에틸렌 함유), TWEEN계 계면활성제(친수성기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 함유)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PEG 60, BRIJ O 20, BRIJ 58, BRIJ S 100, BRIJ S 20, IGEPAL CO-720, IGEPAL CO-890, Pluronic L-35, Pluronic L-64, Pluronic 10R5, TWEEN 40, TWEEN 6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라디칼 개시제로 사용되는 터셔리부틸사이클로헥실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쿠밀 퍼옥사이드,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쿠밀하이드로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 말레인산, t-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첨가에 의해 상도 시공 후 라디칼 개시반응에 의한 단량체의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경화 속도 및 밀도가 높아져 도막의 방수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기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도용 조성물은 아크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충진제 50 내지 100 중량부, 분산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용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상기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차열성 향상 등을 위하여 추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와 함께 추가될 수 있는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주석, 안티몬 주석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 산화몰리브덴, 산화탄탈륨, 오산화바나듐, 산화니오븀,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등의 세라믹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 에너지의 전도를 차단할 수 있는 중공 구조의 글라스 버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을 시공했을 때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료를 제조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크릴 단량체로는 에틸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를 혼합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불화탄소의 반복단위가 5개인 불화탄소 모노머 5 중량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산벤조산에스테르 1 중량부, 개시제 0.5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중량부, 헥산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충진제는 평균 입자 크기 1㎛의 이산화티탄 입자 8 중량부 및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실리카 입자는 알릴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실리사이클 사)와 디클로로메탄을 1:5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0℃에서 혼합하고 오존 가스를 버블링하면서 반응시킴으로써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얻었다. 상기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와 우레아를 1:0.1의 몰비로 배합하여 반응시키고 미반응 우레아를 제거하여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였다.
또한, 분산제로는 플루로닉 P-123를 20 중량%를 잔부의 에탄올에 용해한 계면활성제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로는 과산화벤조일을 사용하였고, 용제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 100 중량부,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 30 중량부, 충진제 80 중량부, 분산제 2 중량부, 경화제 3 중량부, 용제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되, 반복단위가 2개인 불화탄소 모노머를 사용하여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사용하였다(실시예 2).
또한,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되, 반복단위가 10개인 불화탄소 모노머를 사용하여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사용하였다(비교예 1).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되,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분자량 1,600의 2관능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20 중량부 함유하는 상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2).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되, 충진제로 이산화티탄 20 중량부 및 탄산칼슘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비교예 3).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용제성, 부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막을 평가하였다.
유리판(60×140×5㎜)에 Film Applicator로 건조도막두께가 약 50㎛가 되도록 조성물을 도장한 다음, 실온에서 7일 동안 자연건조시키고, 증류수에 16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도막의 이상유무를 육안 검사하여 내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리판(60×140×5㎜)에 Film Applicator로 건조도막두께가 약 50㎛가 되도록 조성물을 도장한 다음, 실온에서 7일 동안 자연건조시키고, 수산화나트륨 5% 수용액에 16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도막의 이상유무를 육안 검사하여 내알칼리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리판(60×140×5㎜)에 Film Applicator로 건조도막두께가 약 50㎛가 되도록 조성물을 도장한 다음, 실온에서 7일 동안 자연건조시키고, 자일렌에 16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도막의 이상유무를 육안 검사하여 내용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3359의 Test Method B의 테스트 방법에 따라 건조된 도막을 2㎝ 간격으로 6개씩 서로 교차되게 칼로 긁고 25개의 칸을 만든 후, 3M 투명 테이프로 그 부위에 접착을 시킨 후 그 떨어진 정도에 따라 6단계로 부착성을 평가하였으며, 도막 박리가 전혀 없음(5), 도막 박리 5% 미만(4), 도막 박리 5 내지 15%(3), 도막 박리 16 내지 35%(2), 도막 박리 36 내지 65%(1), 도막 박리 66% 이상(0)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시편은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용제성이 양호하며, 부착성은 5점으로 우수한 도막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께 1㎝, 넓이 0.4㎡의 콘크리트 패널을 5장을 준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하도 및 중도용 방수재로 시판 제품인 KCC의 스포탄을 사용하였다. 하도 도막은 0.15ℓ/㎡, 중도 도막은 4.2ℓ/㎡의 양으로 도포하여 하도 및 중도를 형성하였다. 상기 중도 도막의 표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상도용 조성물을 각각 0.1ℓ/㎡의 양으로 도포하고 이를 실온에서 7일 동안 자연건조하여 방수 시공에 준하는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5장의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 30㎝ 높이에 적외선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패널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고 상부 및 하부의 온도 차이(ΔT)를 구하였다. 또한, 측정이 끝나면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80±2℃의 오븐에 100, 500,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이를 꺼내어 동일한 방법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차열 효과가 저하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하도, 중도 및 상도 도막이 설치된 5장의 콘크리트 패널을 KS F 4929에 준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고, 50±2℃의 온도와 70±2%RH의 습도조건에서 500시간, 1,000시간 동안 노출한 후 상도 도막의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시험은 가속시험으로서 고온 및 고온고습 조건에 장시간 노출될 때의 물성 저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도와 중도로 시판되는 방수재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시판품과의 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에서 부착강도는 모체 파괴시 강도이다.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이(ΔT) 부착강도(㎏f/㎠)
0시간 100시간 500시간 1000시간 0시간 500시간 1000시간
실시예1 6.5 6.6 6.8 7.2 38.7 37.8 34.5
실시예2 6.4 6.6 6.9 7.4 36.8 35.2 33.7
비교예1 6.2 6.6 7.3 13.7 37.2 33.5 26.2
비교예2 7.4 9.6 15.5 20.8 38.2 28.6 12.5
비교예3 6.5 10.5 18.2 28.0 37.5 30.3 18.9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2의 경우 1,000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패널 상부 및 하부의 온도차이가 크게 변하지 않아 장기간 열에 노출되더라도 차열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착강도도 1,000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크게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간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500시간 경과 후와 1,000시간 경과 후의 패널 상부 및 하부의 온도차이가 크게 변하며, 부착강도 역시 1,000시간 경과 시 급격히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차열 효과가 급격히 나빠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옥상 방수 시공을 할 경우 상도 도막이 다음 교체 시까지 안정적으로 물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방수 및 차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교체 전 문제를 발생하던 종래의 방수재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3)

  1. 아크릴 단량체 100 중량부,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 30 중량부, 충진제 80 중량부, 분산제 2 중량부, 경화제 3 중량부, 용제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로서,
    상기 변성 벤조산에스테르 화합물은 -CF2CF2-로 표시되는 불화탄소의 반복단위가 5개인 불화탄소 모노머 5 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산벤조산에스테르 1 중량부, 개시제 0.5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중량부, 헥산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충진제는 평균 입자 크기 1㎛의 이산화티탄 입자 8 중량부 및 우레아 및 알데하이드기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 1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9879A 2019-01-25 2019-01-25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Active KR102026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79A KR102026987B1 (ko) 2019-01-25 2019-01-25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79A KR102026987B1 (ko) 2019-01-25 2019-01-25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987B1 true KR102026987B1 (ko) 2019-09-30

Family

ID=6809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879A Active KR102026987B1 (ko) 2019-01-25 2019-01-25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357B1 (ko) * 2022-05-12 2022-12-27 조남석 차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8745B2 (ja) * 1996-11-28 2005-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性分散体及び防水剤
KR20110079649A (ko) * 2008-10-16 2011-07-0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함불소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9183B1 (ko) 2011-10-17 2012-07-30 (주)노루페인트 차열 상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차열 상도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방수시공방법
KR101625115B1 (ko) 2015-02-17 2016-05-27 (주) 에스아이이엔지 노출형 옥상지붕의 단열차열방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단열차열방수 도료조성물
KR101940282B1 (ko) * 2018-10-30 2019-01-18 방승용 필름 권취용 지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8745B2 (ja) * 1996-11-28 2005-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性分散体及び防水剤
KR20110079649A (ko) * 2008-10-16 2011-07-0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함불소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9183B1 (ko) 2011-10-17 2012-07-30 (주)노루페인트 차열 상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차열 상도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방수시공방법
KR101625115B1 (ko) 2015-02-17 2016-05-27 (주) 에스아이이엔지 노출형 옥상지붕의 단열차열방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단열차열방수 도료조성물
KR101940282B1 (ko) * 2018-10-30 2019-01-18 방승용 필름 권취용 지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357B1 (ko) * 2022-05-12 2022-12-27 조남석 차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0554C2 (ru) Однокомпонентная безво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й,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плоских крыш
EP2449043B1 (en) Polyurethane-acrylic polymer dispersions and uses thereof
EP0457616B1 (en) Flam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ed articles
EP0347049A2 (en) Improved primer compositions
KR102026987B1 (ko) 옥상 방수 시공용 상도용 조성물.
JP2005082750A (ja) 接着性に優れた硬化性組成物
KR20170094028A (ko) 건축 마감재 부착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3023B1 (ko) 반응형 바닥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429666B2 (ja) 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5180938B2 (ja) 外壁の無目地構造用弾性パテ組成物
JP6763160B2 (ja) 目地構造を有する壁、目地施工方法、及び一液常温湿気硬化型シーリング材組成物
KR101578636B1 (ko) 수성 세라믹 방수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999463B1 (ja) 目地構造を有する壁、目地施工方法、及び一液常温湿気硬化型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2003097022A (ja) 外壁構造体
JP3078226B2 (ja) シーリング材を使用した被塗面の汚染防止仕上げ方法
KR102290324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JP5999464B1 (ja) 目地構造を有する壁、及び目地施工方法
JP2804777B2 (ja) コンクリート材及びその保護膜形成方法
JP2016069385A (ja) 水性被覆材及び塗装物
JP2903296B2 (ja) 非汚染塗料組成物
KR102259894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퍼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H0931401A (ja) 非汚染塗料用組成物
JP3925976B2 (ja) 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ル張り製品
JPH11148044A (ja) 非汚染塗料用組成物
JP2019189713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