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6535B1 -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535B1
KR102026535B1 KR1020170147241A KR20170147241A KR102026535B1 KR 102026535 B1 KR102026535 B1 KR 102026535B1 KR 1020170147241 A KR1020170147241 A KR 1020170147241A KR 20170147241 A KR20170147241 A KR 20170147241A KR 102026535 B1 KR102026535 B1 KR 10202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hite
cosmetic composition
yel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437A (ko
Inventor
푸롱 류
Original Assignee
스틱위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틱위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틱위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7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3Gleditsia (loc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4Valerianaceae (Valerian family), e.g. valeri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6Fritillaria, e.g. checker lily or mission b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5Skin or skin outgrowth, e.g. hai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을 합리적으로 선용하여 중의학 이론에 근거하여 조제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개선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는 데 있다.

Description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NATURAL HERBS EXTRACTS}
본 발명은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식생활 및 주거생활의 변화, 사회적 스트레스, 그리고 환경오염에 의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유해물질의 노출로 인해,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람들의 피부 상태가 악화되고 있으며, 피부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해 기능성 화장품에 주목하고 있지만, 화장품 속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으로 인해 부작용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여드름 개선, 피부 질환 개선 등의 기능성 화장품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065126호는 천연의 영지버섯, 유근피, 감초, 백봉령, 백지마, 또는 백년초 등으로부터 얻은 한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와 예방에 효과를 갖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기존에 알려져 있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에 어느 정도 효력을 가지고 있으나, 한 가지 배합에 여러 효력이 없다는 점, 배합의 일부는 호르몬 등의 물질을 첨가하여 단시간 내 피부에 일정한 개선작용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피부에 부작용이 생긴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보고된 바 있다.
KR 10-2004-0065126 A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자극이 없어 안전하고 피부에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여러 한방 생약재를 특정 중량부로 배합하여 제조한 생약 추출 혼합물이 피부 상태를 개선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으로 이루어지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의 건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으로 이루어지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을 합리적으로 선용하여 중의학 이론에 근거하여 조제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개선,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는 데 있다.
도 1은 얼굴 피부 건조 증상이 있는 피험자들(그룹 I), 얼굴 피부 주름이 있는 피험자들(그룹 II), 얼굴에 암반이 있고 피부가 하얀 피험자들(그룹 III), 및 얼굴에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이 있는 피험자들(그룹 IV)이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각 제제를 외용한 후, 피부 건조, 주름, 암반 및 여드름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으로 이루어지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6 중량부의 백렴,3 내지 6 중량부의 창출,3 내지 6 중량부의 백부자,3 내지 6 중량부의 백지,3 내지 6 중량부의 백강잠,2 내지 5 중량부의 감송,3 내지 7 중량부의 과루,6 내지 9 중량부의 조각,3 내지 5 중량부의 백봉령,2 내지 6 중량부의 도인,5 내지 8 중량부의 서과취의,3 내지 5 중량부의 단삼,5 내지 10 중량부의 귤핵,3 내지 6 중량부의 부평,2 내지 4 중량부의 녹각모,3 내지 7 중량부의 자감초,5 내지 12 중량부의 익모초,3 내지 6 중량부의 선퇴,2 내지 5 중량부의 방풍,3 내지 6 중량부의 황백,5 내지 10 중량부의 매괴화,3 내지 5 중량부의 자초,3 내지 5 중량부의 절패모,2 내지 6 중량부의 황금,2 내지 4 중량부의 진주가루,1 내지 2 중량부의 죽엽,1 내지 2 중량부의 녹차,1 내지 2 중량부의 두충,2 내지 3 중량부의 당귀,1 내지 2 중량부의 시호,및 1 내지 2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3 중량부의 백렴,3 중량부의 창출,3 중량부의 백부자,3 중량부의 백지,3 중량부의 백강잠,2 중량부의 감송,3 중량부의 과루,6 중량부의 조각,3 중량부의 백복령,2 중량부의 도인,5 중량부의 서과취의,3 중량부의 단삼,5 중량부의 귤핵,3 중량부의 부평,2 중량부의 녹각모,3 중량부의 자감초,5 중량부의 익모초,3 중량부의 선퇴,2 중량부의 방풍,3 중량부의 황백,5 중량부의 매괴화,3 중량부의 자초,3 중량부의 절패모,2 중량부의 황금,2 중량부의 진주가루,1 중량부의 죽엽, 1 중량부의 녹차,1 중량부의 두충,2 중량부의 당귀,1 중량부의 시호 및 1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녹차 1 중량부를 기준으로, 백렴 3 중량부,창출 3 중량부,백부자 3 중량부, 백지 3 중량부,백강잠 3 중량부,감송 2 중량부,과루 3 중량부,조각 6 중량부,백복령 3 중량부,도인 2 중량부,서과취의 5 중량부,단삼 3 중량부,귤핵 5 중량부,부평 3 중량부,녹각모 2 중량부,자감초 3 중량부, 익모초 5 중량부,선퇴 3 중량부,방풍 2 중량부,황백 3 중량부,매괴화 5 중량부, 자초 3 중량부,절패모 3 중량부,황금 2 중량부,진주가루 2 중량부,죽엽 1 중량부, 두충 1 중량부, 당귀 2 중량부,시호 1 중량부 및 황련 1 중량부를 혼합한 후 추출한 생약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백렴(
Figure 112017110265940-pat00001
)"은 포도과 식물인 가위톱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백초(白草), 토핵(토核), 곤륜(崑崙), 또는 백근(白根)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백렴의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약간 차다. 이는 심경(心經) 및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백렴은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아픔을 진정시킨다. 이는 소염 작용, 지통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또는 항균 작용 등의 기능을 하며, 옹종(癰腫), 창양(瘡瘍), 화상, 장출혈, 또는 치루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창출(蒼朮)"은 국화과 식물인 삽주 및 같은 속 식물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산계, 산강(山薑), 또는 산련(山連) 이라고도 한다. 상기 창출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비경(脾經), 위경(胃經), 폐경(肺經) 및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창출은 습사(濕邪)를 없애고 비(脾)를 튼튼하게 하며 땀이 나게 하고 풍사(風邪)를 없애며 눈을 밝게 한다. 이는 이뇨 작용, 조혈 자극 작용, 건위(健胃) 작용 등의 기능을 하며, 위병, 소화 장애, 설사, 감기, 관절통, 부종, 야맹증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백부자(白附子)"는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로서, 노랑돌쩌귀라고도한다. 상기 백부자의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풍과 담을 제거하여 중풍으로 인한 안면신경마비, 경련, 발작, 중풍, 파상풍, 편두통, 두통 및 풍습성 사지마비, 관절통, 음낭습지, 피부가려움증, 또는 경부림프절염 등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백부자는 피부를 매끄럽고 희게 하며, 반(瘢)을 없애고 검은 것을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백지(白芷)"는 산형과의 구릿대 또는 그 변종의 뿌리를 말려 만든 약재로서, 다른 이름으로 방향, 백채, 부리, 약, 완, 택분, 력마, 효, 또는 향백지라고도 한다. 상기 백지는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위장장애, 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 또는 피부궤양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백지는 유행성 감기로 인한 두통, 코막힘, 또는 콧물을 다스리는 진통약으로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백강잠(
Figure 112017110265940-pat00002
)"은 누에나비과 곤충인 누에나비의 새끼벌레가 흰가루병에 걸려 죽은 것을 말린 것이다. 상기 백강잠의 맛은 맵고 짜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이는 간경(肝經), 폐경(肺經) 및 비경(脾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백강잠은 경련을 진정시키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고, 후두염, 두통, 치통, 목통(目痛), 피부 소양증, 연주창, 또는 자궁 출혈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감송(甘松)"은 마타리과 식물인 감송향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향송(香松) 이라고도 한다. 상기 감송의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감송은 위통(胃痛), 두통, 또는 각기(脚氣)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과루(瓜蔞)"는 덩굴식물로서 과라, 괄루, 지루(地樓), 천과(天瓜), 택거(澤巨), 택고(澤姑), 또는 황과(黃瓜)라고도 한다. 상기 과루의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이는 폐경(肺經) 및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과루는 가래삭힘, 폐농양, 유방농양통증, 또는 변비 등에 효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조각(
Figure 112017110265940-pat00003
)"은 화담제습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생기는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에 효과가 있다. 이는 세균 및 진균에 대해 억제 및 살균 작용을 하여 외용 및 내용의 살균 약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소종탁독(消腫托毒), 배농(排膿), 살충(殺蟲)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조각은 옹저초기(癰疽初起) 또는 농화불궤(膿化不潰) 등에 사용되고, 개선마풍(疥癬麻風), 분자(粉刺), 또는 맥립종(麥粒腫)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백복령(
Figure 112017110265940-pat00004
)"은 복령의 균핵을 말린 것으로,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상기 백복령의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은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이는 폐경(肺經), 비경(脾經), 심경(心經), 신경(腎經) 및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또한, 상기 백복령은 위, 간, 이자, 또는 신장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도인(桃仁)"은 복숭아나무의 익은 열매의 씨를 말린 것으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이는 심경(心經), 간경(肝經) 및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어혈을 없앤다. 또한, 상기 도인은 무월경, 축혈증(蓄血證), 산후 복통, 변비, 타박상, 옹종(癰腫), 급성 충수염, 또는 적취(積聚)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서과취의(西瓜翠衣)"는 수박껍질로서, 납질, 포도당, 회분, 아미노산, 사과산 및 토마틴, 또는 비타민C 등을 함유한다. 상기 서과취의의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비경(脾經) 및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또한, 이는 갈증을 멎게 하고 소변을 잘 보도록 하는 효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단삼(丹蔘)"은 단삼의 뿌리로 만든 약재로서, 극선초, 목양유(木羊乳), 분마초(奔馬草), 산삼(山參), 적삼(赤參), 축마(逐馬), 또는 홍근(紅根)이라고도 한다. 상기 단삼은 약간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약간 차다. 이는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제거하며 사지관절 동통을 완화시킨다. 또한, 상기 단삼은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복통, 어혈성심복부통, 또는 타박상 등을 치료하며, 불면증, 피부발진, 심계항진 등을 치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귤핵(橘核)"은 귤의 씨로서, 귤자인(橘子仁) 또는 귤인(橘仁)이라고도 한다. 상기 귤핵의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간경(肝經) 및 신경(腎經)에 작용한다. 이는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산증(疝症)으로 음낭이 붓고 아픈 데, 유종(乳腫), 또는 요통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부평(浮萍)"은 개구리밥과 식물인 개구리밥풀의 전초를 말린 것으로서, 수화(水花), 수백(水白), 수소(水蘇) 및 수평(水萍)이라고도 한다. 상기 부평의 맛은 맵고 성질은 차며, 폐경(肺經)에 작용한다. 이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땀이 나게 하여 부기를 가라앉힌다. 또한, 상기 부평은 풍열표증(風熱表證), 부종,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 두드러기, 단독(丹毒), 또는 화상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녹각모(鹿角帽)"는 녹용을 채취한 후에 숫사슴에 남아 있는 골격화된 각반으로서, 이의 맛은 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독이 없다. 이는 간경(肝經) 및 신경(腎經)에 작용하며, 행혈화종(行血化腫), 또는 근육 및 뼈의 강화 등에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녹각모는 창통종독(瘡痛腫毒), 어혈작통(瘀血作痛), 또는 허로내상(虛勞內傷)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녹각모는 매괴화와 배합한 후 활혈작용이 강해지고 기혈활동이 정상화되어, 수분이 증가하고 주름이 감소되며 피부의 암반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자감초(炙甘草)"는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이는 심경(心經), 폐경(肺經), 비경(脾經) 및 위경(胃經)에 작용하며, 보비익기(補脾益氣), 청열해독(淸熱解毒), 거담지해(祛痰止咳), 완급지통(緩急止痛), 또는 조화제약(調和諸藥) 등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감초는 여러가지 약물을 조화시켜 약물들이 각자 효능을 발휘하면서 합리적인 효과를 가져오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익모초(益母草)"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익모(益母), 정위(貞蔚), 또는 익명(益明) 등이라고도 한다. 상기 익모초는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차다. 이는 무월경, 생리통, 및 산후 자궁 수축 불량에 따른 출혈 및 복통이 있을 때 어혈을 제거하고 자궁 수축을 돕는다. 또한, 상기 익모초는 가벼운 이뇨 작용이 있어서 소변 양이 적어지고 잘 나오지 않을 때, 몸이 부었을 때 사용하며, 습진, 가려움증, 또는 종기 등에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선퇴(蟬退)"는 말매미가 성충이 될 때 벗어놓은 허물로서, 고선(枯蟬) 또는 선각(蟬殼) 등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선퇴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폐경(肺經) 및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이는 풍사(風邪)와 열사(熱邪)를 없애고 발진이 잘 돋게 하며 경련을 진정시키고 예막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선퇴는 풍열표증(風熱表證), 감기, 홍역, 두드러기, 소아 경련, 파상풍, 또는 목이 쉰 데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방풍(防風)"은 산형과의 방풍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사용해 만든 약재로서, 회초(茴草), 병풍(屛風), 동예(銅藝), 동운(銅芸), 또는 백비(百蜚) 등이라고도 한다. 상기 방풍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또는 인후통 등 모든 풍증에 효과가 있으며, 풍한습의 사지관절동통, 파상풍,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피부가려움증, 또는 버짐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황백(黃栢)"은 산초과 식물인 황경피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자벽(子蘗), 소벽(小蘗) 및 단환(檀桓)이라고도 한다. 상기 황백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이는 신경(腎經), 방광경(膀胱經), 대장경(大腸經) 및 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황백은 습열설사(濕熱泄瀉), 이질, 황달, 오로(惡露), 임증(淋證), 폐결핵, 또는 습진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매괴화(
Figure 112017110265940-pat00005
)"는 해당화의 꽃봉오리로서, 홍매괴라고도 한다. 상기 매괴화는 짙은 향기가 진하게 있고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간장과 비장에 작용하여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흉복부가 그득하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기혈을 통하게 하여 생리, 생리 전 유방통 및 타박상의 어혈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자초(紫草)"는 지치의 건조 뿌리로서, 대자초(大紫草), 산자초(山紫草), 아함초(鴉銜草), 자근(紫根), 또는 자단(紫丹) 등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자초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이는 거풍지양(祛風止痒)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의 건조와 여드름에 의한 피부 가려움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또한, 상기 자초는 심포락(心包絡) 및 간경(肝經)에 작용하며, 양혈(血), 또는 해독투진(解毒透疹)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온열반진(溫熱斑疹), 습열황달(濕熱黃疸), 요혈(尿血), 임탁(淋濁), 열결변비(熱結便秘), 화상(燒傷), 습진(濕疹), 단독(丹毒), 또는 옹탕(癰瘍)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절패모(浙貝母)"는 백합과인 절패모의 비늘줄기로서, 절패(浙貝), 상패(象貝), 대패(大貝), 근모(勤母), 고채(苦菜), 또는 고화(苦花) 등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절패모는 약간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며 성질은 차다. 이는 해수 및 천식에 쓰이며 화농성 염증인 창양, 종독, 폐농양, 또는 유방염 등을 치료한다. 또한, 상기 절패모는 갑상선종, 위산과다 및 위궤양에도 진통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황금(黃芩)"은 속썩은풀의 뿌리로서,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약간 쓰며 성질은 차다. 이는 폐화(肺火)를 제거하여 폐주피모 (肺主皮毛)할 수 있으며, 피부의 여드름으로 인한 홍종열통 및 피부건조 증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금은 감기로 인한 고열에서부터 일반적인 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고열에 해열효과가 높고, 황달, 이질, 설사, 담열(痰熱), 또는 위열(胃熱) 등을 낫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진주(眞珠)가루"는 진주조개과 동물인 진주조개 안에 병적으로 생긴 알갱이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다. 상기 진주가루의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차다. 이는 심경(心經) 및 간경(肝經)에 작용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경련을 진정시킨다. 또한, 상기 진주가루는 가래를 삭이고 간열(肝熱)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한다. 또한, 진주가루는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헌데를 잘 아물게 하며, 소아 경풍(驚風), 심계 항진, 수면 장애, 소갈병(消渴病), 이롱(耳聾), 간열(肝熱) 등으로 눈이 충혈되면서 시큰거리는 데, 또는 헌데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는 데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죽엽(竹葉)"은 참대의 잎을 말린 것으로, 맛이 쓰고 성질은 차다. 이는 심경(心經), 폐경(肺經), 위경(胃經) 및 간경(肝經)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하며 가래를 삭이고 경련을 진정시킨다. 또한, 상기 죽엽은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이 나는 데,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이 나며 숨이 찬 데, 후두염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녹차(綠茶)"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 또는 이를 이용해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상기 녹차는 각성작용, 이뇨작용, 해독작용, 소염작용, 또는 살균작용 등에 효능이 있으며, 현대질병인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또는 암 등에 대하여 일정한 약리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두충(杜仲)"은 두충나무과의 두충나무의 나무껍질을 말린 약재로서, 두중(杜仲), 사중(思仲), 사선(思仙), 목면(木棉), 또는 석사선(石思仙) 등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두충의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이는 간신(肝腎)기능 부족으로 인한 요통, 무릎통, 몸이 차서 생기는 양위(陽萎), 하복냉감, 소변 자주 보는 증, 태동불안, 또는 자궁출혈 등을 치료하며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두충은 혈압강하, 항노화, 콜레스테롤강하, 항염, 진정, 진통, 면역 조절, 혈액응고, 자궁수축, 항알레르기, 또는 항균작용 등이 약리작용으로 보고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당귀(當歸)"는 산형과인 당귀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서, 토당귀(土當歸), 문귀(文歸), 또는 일당귀(日當歸) 등으로도 불리운다. 상기 당귀의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당귀의 일종인 중국당귀 또는 왜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주는 보혈 작용이 뛰어나고, 또 다른 일종인 참당귀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 작용과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뛰어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호(柴胡)"는 미나리과 식물인 시호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지훈(地熏), 산채(山菜), 또는 여초(茹草)라고도 한다. 상기 시호의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이는 간경(肝經), 담경(膽經), 삼초경(三焦經) 및 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시호는 소염 작용, 항궤양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 진정 작용, 또는 진통 작용을 나타내며, 감기, 두통, 월경 장애, 또는 내장이 처진 데 등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황련(黃連)"은 바구지과 식물인 황련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이는 심경(心經), 간경(肝經), 위경(胃經) 및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화(火)를 말끔히 제거하고 해독한다. 또한, 상기 황련은 전염성 열성 질병, 티푸스,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한 데, 속이 메스꺼운 데, 이질, 폐결핵, 토혈, 비출혈(epistaxis), 소갈병(消渴病), 회충증, 백일해, 인후염, 결막염, 부스럼, 습진, 또는 화상 등에 사용된다.
상기 생약 추출 혼합물의 제조 방법은, 1) 상기 분말 형태의 한약재를 비율에 맞게 혼합하고, 여기에 용매를 첨가한 후 가열을 통해 수득하는 방법, 또는 2) 상기 각각의 한약재를 용매에 첨가하여 가열을 통해 추출물을 제조한 후 비율에 맞게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수득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40% 내지 90%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생약 추출 혼합물을 구성하는 한약재 중,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절패모,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보조약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보조약의 기능을 하는 한약재들은 자초를 보조하여 거풍지양의 효과와 여러 원인으로 인한 피부 간지러움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약재들은 매괴화 및 녹각모를 보조하여 피부의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미백효과를 증가시켜 피부의 어두움을 개선하며, 피부의 혈색을 돌게 하여 광택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한약재들 중, 감송, 과루, 백복령, 귤핵 및 절패모는 행기화담(行氣化痰)의 효능이 있으며, 조각을 배합하는 경우, 피부에 생기는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과 피부 주름 생김에 좋은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한약재들 중, 도인, 단삼, 익모초 및 당귀는 활혈 및 양혈의 효능을 갖고 있으며, 매괴화 및 녹각모를 보조함으로써 온몸의 혈액순환을 가속하여 혈운불창을 개선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약재들 중, 황백, 황련, 서과취의, 죽엽 및 녹차는 청열제습(淸熱除濕)의 효능이 있으며, 황금을 보조함으로써 폐화(肺火)를 제거하여 봄, 가을 및 겨울의 건조로 인한 피부의 불편함과 여름에 심화항성으로 인한 피부의 홍종열통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능이 있다.
상기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꿀, 녹각교 및 사슴젖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꿀은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상제제 또는 액체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각교는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말제제 또는 고상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슴젖은 15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상제제 또는 액체제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액체 제제, 고상제제 및 분말 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노화 억제,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상처 또는 창상 회복(wound healing), 피부자극완화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 세포의 기능 저하 또는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 또는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한약재의 종류, 배합비 및 배합 과정을 달리하여 각기 다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얼굴 피부 건조 증상이 있는 피험자 그룹, 얼굴 피부 주름이 있는 피험자 그룹, 얼굴에 암반이 있고 피부가 하얀 피험자 그룹 및 얼굴에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이 있는 피험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각 제제를 외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에서 각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이때, 상기 "얼굴 피부 건조 증상"은 피부가 당기고, 일부 부위가 건조하여 피부가 벗겨지며, 세수한 후 얼굴이 간지러운 증상을 의미한다. 상기 "얼굴 피부 주름이 있는 증상"은 피부가 느슨하고, 눈가, 입가, 또는 이마 등에 주름이 많은 증상을 의미한다. 상기 "얼굴에 암반이 있는 증상"은 양측 볼에 반점이 생기고, 피부가 간지럽고 붉어지며, 국부에는 열감이 생기는 증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얼굴에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이 있는 증상"은 얼굴에 붉은 여드름이 생기고, 고름집, 여드름 자국 및 여드름 구멍이 함께 나타나며, 국부가 색반으로 변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피부 습진, 여드름, 건선, 가려움증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은 피부의 건조 개선, 미백, 주름 제거 및 여드름 제거에 어느 정도 효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1) 기존의 배합작용은 단일하고, 한 가지 배합에 여러 효력이 없다는 점, 2) 기존의 배합의 일부는 호르몬 등 물질을 첨가하여 단시간 내 피부에 일정한 개선작용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피부에 부작용이 생긴다는 점, 3) 기존 배합의 일부는 피부에 보습작용을 하는 글리세린 등의 물질을 첨가하지만 이는 피부 기능 대사에 불리하며 근본적으로 피부의 병적 상태를 개선할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한약 배합의 배오(配伍)는 매우 신중하고, 군신좌사(君臣佐使) 약물의 방향 및 타겟이 명확하며, 표본겸치(標本兼治)하여 피부의 건조, 주름, 여드름 및 피부 암반 등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피부 미백에 효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한약성분은 한약재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어 제조 과정도 매우 간단하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 상기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은 포유동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일 수 있다.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그 형태에 따라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량 및 하루 사용 횟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적당량을 하루 1 내지 6회의 빈도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으로,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의 건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6 중량부의 백렴,3 내지 6 중량부의 창출,3 내지 6 중량부의 백부자,3 내지 6 중량부의 백지,3 내지 6 중량부의 백강잠,2 내지 5 중량부의 감송,3 내지 7 중량부의 과루,6 내지 9 중량부의 조각,3 내지 5 중량부의 백봉령,2 내지 6 중량부의 도인,5 내지 8 중량부의 서과취의,3 내지 5 중량부의 단삼,5 내지 10 중량부의 귤핵,3 내지 6 중량부의 부평,2 내지 4 중량부의 녹각모,3 내지 7 중량부의 자감초,5 내지 12 중량부의 익모초,3 내지 6 중량부의 선퇴,2 내지 5 중량부의 방풍,3 내지 6 중량부의 황백,5 내지 10 중량부의 매괴화,3 내지 5 중량부의 자초,3 내지 5 중량부의 절패모,2 내지 6 중량부의 황금,2 내지 4 중량부의 진주가루,1 내지 2 중량부의 죽엽,1 내지 2 중량부의 녹차,1 내지 2 중량부의 두충,2 내지 3 중량부의 당귀,1 내지 2 중량부의 시호 및 1 내지 2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3 중량부의 백렴,3 중량부의 창출,3 중량부의 백부자,3 중량부의 백지,3 중량부의 백강잠,2 중량부의 감송,3 중량부의 과루,6 중량부의 조각,3 중량부의 백복령,2 중량부의 도인,5 중량부의 서과취의,3 중량부의 단삼,5 중량부의 귤핵,3 중량부의 부평,2 중량부의 녹각모,3 중량부의 자감초,5 중량부의 익모초,3 중량부의 선퇴,2 중량부의 방풍,3 중량부의 황백,5 중량부의 매괴화,3 중량부의 자초,3 중량부의 절패모,2 중량부의 황금,2 중량부의 진주가루,1 중량부의 죽엽, 1 중량부의 녹차,1 중량부의 두충,2 중량부의 당귀,1 중량부의 시호 및 1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녹차 1 중량부를 기준으로, 백렴 3 중량부,창출 3 중량부,백부자 3 중량부, 백지 3 중량부,백강잠 3 중량부,감송 2 중량부,과루 3 중량부,조각 6 중량부,백복령 3 중량부,도인 2 중량부,서과취의 5 중량부,단삼 3 중량부,귤핵 5 중량부,부평 3 중량부,녹각모 2 중량부,자감초 3 중량부, 익모초 5 중량부,선퇴 3 중량부,방풍 2 중량부,황백 3 중량부,매괴화 5 중량부, 자초 3 중량부,절패모 3 중량부,황금 2 중량부,진주가루 2 중량부,죽엽 1 중량부, 두충 1 중량부, 당귀 2 중량부,시호 1 중량부 및 황련 1 중량부를 혼합한 건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꿀, 녹각교 및 사슴젖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꿀은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상제제 또는 액체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각교는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말제제 또는 고상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슴젖은 15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상제제 또는 액체제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액체 제제, 고상제제 및 분말 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는 앞서 전술한 상기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으로,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으로 이루어지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피부 습진, 여드름, 건선, 가려움증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6 중량부의 백렴,3 내지 6 중량부의 창출,3 내지 6 중량부의 백부자,3 내지 6 중량부의 백지,3 내지 6 중량부의 백강잠,2 내지 5 중량부의 감송,3 내지 7 중량부의 과루,6 내지 9 중량부의 조각,3 내지 5 중량부의 백봉령,2 내지 6 중량부의 도인,5 내지 8 중량부의 서과취의,3 내지 5 중량부의 단삼,5 내지 10 중량부의 귤핵,3 내지 6 중량부의 부평,2 내지 4 중량부의 녹각모,3 내지 7 중량부의 자감초,5 내지 12 중량부의 익모초,3 내지 6 중량부의 선퇴,2 내지 5 중량부의 방풍,3 내지 6 중량부의 황백,5 내지 10 중량부의 매괴화,3 내지 5 중량부의 자초,3 내지 5 중량부의 절패모,2 내지 6 중량부의 황금,2 내지 4 중량부의 진주가루,1 내지 2 중량부의 죽엽,1 내지 2 중량부의 녹차,1 내지 2 중량부의 두충,2 내지 3 중량부의 당귀,1 내지 2 중량부의 시호 및 1 내지 2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3 중량부의 백렴,3 중량부의 창출,3 중량부의 백부자,3 중량부의 백지,3 중량부의 백강잠,2 중량부의 감송,3 중량부의 과루,6 중량부의 조각,3 중량부의 백복령,2 중량부의 도인,5 중량부의 서과취의,3 중량부의 단삼,5 중량부의 귤핵,3 중량부의 부평,2 중량부의 녹각모,3 중량부의 자감초,5 중량부의 익모초,3 중량부의 선퇴,2 중량부의 방풍,3 중량부의 황백,5 중량부의 매괴화,3 중량부의 자초,3 중량부의 절패모,2 중량부의 황금,2 중량부의 진주가루,1 중량부의 죽엽, 1 중량부의 녹차,1 중량부의 두충,2 중량부의 당귀,1 중량부의 시호 및 1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한약재의 준비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황련, 꿀, 녹각교 및 사슴젖은 중국 랴오닝성 심양시 화평구 남오로의 한약재 도매시장에서 구매하였다.
실시예 1. 한약재의 배합 및 생약 추출 혼합물의 제조
한약재의 종류, 배합비 및 배합 과정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하기 실시예 1.1 내지 1.8의 방법으로 생약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백렴 3g, 창출 3g, 백부자 3g, 백지 3g, 백강잠 3g, 감송 2g, 과루 3g, 조각 6g, 복령 3g, 도인 2g, 서과취의 5g, 단삼 3g, 귤핵 5g, 부평 3g, 녹각모 2g, 자감초 3g, 익모초 5g, 선퇴 3g, 방풍 2g, 황백 3g, 매괴화 5g, 자초 3g, 절패모 3g, 황금 2g, 진주가루 2g, 죽엽 1g, 녹차 1g, 두충 1g, 당귀 2g, 시호 1g 및 황련 2g을 배합하였다.
실시예 1.2
백렴 5g, 창출 3g, 백부자 5g, 백지 6g, 백강잠 4g, 감송 2g, 과루 3g, 조각 8g, 백복령 5g, 도인 6g, 서과취의 5g, 단삼 5g, 귤핵 7g, 부평 3g, 녹각모 3g, 자감초 4g, 익모초 10g, 선퇴 6g, 방풍 4g, 황백 4g, 매괴화 6g, 자초 5g, 절패모 4g, 황금 5g, 진주가루 3g, 죽엽 2g, 녹차 1g, 두충 1g, 당귀 2g, 시호 1g, 황련 2g 및 꿀 20g을 배합하였다.
실시예 1.3
백렴 6g, 창출 4g, 백부자 4g, 백지 4g, 백강잠 5g, 감송 5g, 과루 4g, 조각 6g, 백복령 4g, 도인 4g, 서과취의 6g, 단삼 4g, 귤핵 8g, 부평 4g, 녹각모 2g, 자감초 5g, 익모초 6g, 선퇴 5g, 방풍 2g, 황백 3g, 매괴화 10g, 자초 4g, 절패모 5g, 황금 6g, 진주가루 2g, 죽엽 1g, 녹차 2g, 두충 1g, 당귀 2g, 시호 2g, 황련 1g 및 녹각교 20g을 배합하였다.
실시예 1.4
백렴 6g, 창출 4g, 백부자 4g, 백지 4g, 백강잠 5g, 감송 5g, 과루 4g, 조각 6g, 백복령 4g, 도인 4g, 서과취의 6g, 단삼 4g, 귤핵 8g, 부평 4g, 녹각모 2g, 자감초 5g, 익모초 6g, 선퇴 5g, 방풍 2g, 황백 3g, 매괴화 10g, 자초 4g, 절패모 5g, 황금 6g, 진주가루 4g, 죽엽 1g, 녹차 1g, 두충 1g, 당귀 2g, 시호 1g, 황련 2g 및 사슴젖 15g을 배합하였다.
실시예 1.5
백렴 3g, 창출 3g, 백부자 3g, 백지 3g, 백강잠 3g, 감송 2g, 과루 3g, 조각 6g, 백복령 3g, 도인 2g, 서과취의 5g, 단삼 3g, 귤핵 5g, 부평 3g, 녹각모 2g, 자감초 3g, 익모초 5g, 선퇴 3g, 방풍 2g, 황백 3g, 매괴화 5g, 자초 3g, 절패모 3g, 황금 2g, 진주가루 2g, 죽엽 1g, 녹차 1g, 두충 1g, 당귀 2g, 시호 1g 및 황련 2g을 배합하였다. 이후, 상기 배합물을 부피율이 80%인 주정수 용액에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가열 및 제련하였다. 상기 제련액이 마를 때까지 진공 농축하여 냉동 건조하였다. 이후, 상기 건조된 제련액을 분쇄하여 분말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백렴 5g, 창출 3g, 백부자 5g, 백지 6g, 백강잠 4g, 감송 2g, 과루 3g, 조각 8g, 백복령 5g, 도인 6g, 서과취의 5g, 단삼 5g, 귤핵 7g, 부평 3g, 녹각모 3g, 자감초 4g, 익모초 10g, 선퇴 6g, 방풍 4g, 황백 4g, 매괴화 6g, 자초 5g, 절패모 4g, 황금 5g, 진주가루 4g, 죽엽 2g, 녹차 2g, 두충 1g, 당귀 2g, 시호 1g 및 황련 2g을 배합하였다. 이후, 상기 배합물을 정화수에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가열 및 제련하였다. 상기 제련액의 찌꺼기를 여과한 후, 여과액이 점조 상태로 될 때까지 진공 농축하여 냉각하였다. 이후, 상기 냉각된 여과액에 꿀 20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4℃ 내지 8℃에서 냉장하여 고상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백렴 6g, 창출 4g, 백부자 4g, 백지 4g, 백강잠 5g, 감송 5g, 과루 4g, 조각 6g, 백복령 4g, 도인 4g, 서과취의 6g, 단삼 4g, 귤핵 8g, 부평 4g, 녹각모 2g, 자감초 5g, 익모초 6g, 선퇴 5g, 방풍 2g, 황백 3g, 매괴화 10g, 자초 4g, 절패모 5g, 황금 6g, 진주가루 2g, 죽엽 1g, 녹차 1g, 두충 1g, 당귀 3g, 시호 2g 및 황련 2g을 배합하였다. 이후, 상기 배합물을 정화수에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가열 및 제련하였다. 상기 제련액의 찌꺼기를 여과한 후, 여과액이 점조 상태로 될 때까지 진공 농축하여 냉각하였다. 이후, 상기 냉각된 여과액에 녹각교 20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4℃ 내지 8℃에서 냉장하여 고상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8
백렴 6g, 창출 4g, 백부자 4g, 백지 4g, 백강잠 5g, 감송 5g, 과루 4g, 조각 6g, 백복령 4g, 도인 4g, 서과취의 6g, 단삼 4g, 귤핵 8g, 부평 4g, 녹각모 2g, 자감초 5g, 익모초 6g, 선퇴 5g, 방풍 2g, 황백 3g, 매괴화 10g, 자초 4g, 절패모 5g, 황금 6g, 진주가루 3g, 죽엽 1g, 녹차 1g, 두충 1g, 당귀 3g, 시호 1g 및 황련 2g을 배합하였다. 이후, 상기 배합물을 정화수에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가열 및 제련하였다. 상기 제련액의 찌꺼기를 여과한 후, 여과액이 점조 상태로 될 때까지 진공 농축하여 냉각하였다. 이후, 상기 냉각된 여과액에 사슴젖 15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상제제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임상 검증
얼굴 피부 건조 증상이 있는 46명의 피험자, 얼굴 피부 주름이 있는 54명의 피험자, 얼굴에 암반이 있고 피부가 하얀 45명의 피험자, 얼굴에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이 있는 5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모든 피험자는 랴오닝성 중의약대학부속병원에 있는 환자이다.
상기 얼굴 피부 건조 증상이 있는 피험자들을 그룹 I, 얼굴 피부 주름이 있는 피험자들을 그룹 II, 얼굴에 암반이 있고 피부가 하얀 피험자들을 그룹 III, 얼굴에 여드름 및 여드름 자국이 있는 피험자들을 그룹 IV로 분류하였다.
상기 그룹 I 피험자들은 실시예 1.5의 분말제제를 정화수로 조제한 후 외용하였고, 그룹 II 피험자들은 실시예 1.8의 고상제제를 외용하였다. 또한, 그룹 III 피험자들은 실시예 1.6의 고상제제를 외용하였고, 그룹 IV 피험자들은 실시예 1.7의 고상제제를 외용하였다. 이때, 모든 그룹의 피험자들은 각 제제를 외용하기 전에 클렌징 폼으로 클렌징한 후, 매일 아침 및 저녁에 한 번씩 4일 연속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및 도 1에서, "치유"는 증상이 완전히 사라짐을 의미하고, "뚜렷한 효과"는 증상이 적어도 80% 감퇴함을 의미한다. 또한, "유효"는 증상이 40% 내지 60% 감퇴함을 의미하고, "무효" 증상이 40% 이하 감퇴함을 의미한다.
그룹별
인원수
치유
인원수
뚜렷한 효과
인원수
유효
인원수
무효
인원수

유효율%
그룹 I
(건조)
46 25 15 4 2 95.65
그룹 II
(주름)
54 31 11 8 4 92.59
그룹 III
(암반)
45 22 15 5 3 93.33
그룹 IV
(여드름)
50 36 10 2 2 96.00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그룹에서 각 증상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화, 수정, 교체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으로 이루어지는 생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3 내지 6 중량부의 백렴,3 내지 6 중량부의 창출,3 내지 6 중량부의 백부자,3 내지 6 중량부의 백지,3 내지 6 중량부의 백강잠,2 내지 5 중량부의 감송,3 내지 7 중량부의 과루,6 내지 9 중량부의 조각,3 내지 5 중량부의 백봉령,2 내지 6 중량부의 도인,5 내지 8 중량부의 서과취의,3 내지 5 중량부의 단삼,5 내지 10 중량부의 귤핵,3 내지 6 중량부의 부평,2 내지 4 중량부의 녹각모,3 내지 7 중량부의 자감초,5 내지 12 중량부의 익모초,3 내지 6 중량부의 선퇴,2 내지 5 중량부의 방풍,3 내지 6 중량부의 황백,5 내지 10 중량부의 매괴화,3 내지 5 중량부의 자초,3 내지 5 중량부의 절패모,2 내지 6 중량부의 황금,2 내지 4 중량부의 진주가루,1 내지 2 중량부의 죽엽,1 내지 2 중량부의 녹차,1 내지 2 중량부의 두충,2 내지 3 중량부의 당귀,1 내지 2 중량부의 시호,및 1 내지 2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3 중량부의 백렴,3 중량부의 창출,3 중량부의 백부자,3 중량부의 백지,3 중량부의 백강잠,2 중량부의 감송,3 중량부의 과루,6 중량부의 조각,3 중량부의 백복령,2 중량부의 도인,5 중량부의 서과취의,3 중량부의 단삼,5 중량부의 귤핵,3 중량부의 부평,2 중량부의 녹각모,3 중량부의 자감초,5 중량부의 익모초,3 중량부의 선퇴,2 중량부의 방풍,3 중량부의 황백,5 중량부의 매괴화,3 중량부의 자초,3 중량부의 절패모,2 중량부의 황금,2 중량부의 진주가루,1 중량부의 죽엽, 1 중량부의 녹차,1 중량부의 두충,2 중량부의 당귀,1 중량부의 시호,및 1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꿀, 녹각교 및 사슴젖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20 내지 50 중량부의 꿀, 20 내지 50 중량부의 녹각교, 또는 15 내지 30 중량부의 사슴젖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액체 제제, 고상제제 및 분말 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백렴, 창출, 백부자, 백지, 백강잠, 감송, 과루, 조각, 백복령, 도인, 서과취의, 단삼, 귤핵, 부평, 녹각모, 자감초, 익모초, 선퇴, 방풍, 황백, 매괴화, 자초, 절패모, 황금, 진주가루, 죽엽, 녹차, 두충, 당귀, 시호 및 황련의 건조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3 내지 6 중량부의 백렴,3 내지 6 중량부의 창출,3 내지 6 중량부의 백부자,3 내지 6 중량부의 백지,3 내지 6 중량부의 백강잠,2 내지 5 중량부의 감송,3 내지 7 중량부의 과루,6 내지 9 중량부의 조각,3 내지 5 중량부의 백봉령,2 내지 6 중량부의 도인,5 내지 8 중량부의 서과취의,3 내지 5 중량부의 단삼,5 내지 10 중량부의 귤핵,3 내지 6 중량부의 부평,2 내지 4 중량부의 녹각모,3 내지 7 중량부의 자감초,5 내지 12 중량부의 익모초,3 내지 6 중량부의 선퇴,2 내지 5 중량부의 방풍,3 내지 6 중량부의 황백,5 내지 10 중량부의 매괴화,3 내지 5 중량부의 자초,3 내지 5 중량부의 절패모,2 내지 6 중량부의 황금,2 내지 4 중량부의 진주가루,1 내지 2 중량부의 죽엽,1 내지 2 중량부의 녹차,1 내지 2 중량부의 두충,2 내지 3 중량부의 당귀,1 내지 2 중량부의 시호,및 1 내지 2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3 중량부의 백렴,3 중량부의 창출,3 중량부의 백부자,3 중량부의 백지,3 중량부의 백강잠,2 중량부의 감송,3 중량부의 과루,6 중량부의 조각,3 중량부의 백복령,2 중량부의 도인,5 중량부의 서과취의,3 중량부의 단삼,5 중량부의 귤핵,3 중량부의 부평,2 중량부의 녹각모,3 중량부의 자감초,5 중량부의 익모초,3 중량부의 선퇴,2 중량부의 방풍,3 중량부의 황백,5 중량부의 매괴화,3 중량부의 자초,3 중량부의 절패모,2 중량부의 황금,2 중량부의 진주가루,1 중량부의 죽엽, 1 중량부의 녹차,1 중량부의 두충,2 중량부의 당귀,1 중량부의 시호,및 1 중량부의 황련으로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47241A 2016-12-22 2017-11-07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026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196267.8A CN106728787A (zh) 2016-12-22 2016-12-22 一种改善皮肤干燥的配方及方法
CN201611196267.8 2016-12-22
CN201710559361.3 2017-07-11
CN201710559361.3A CN107308097A (zh) 2016-12-22 2017-07-11 一种化妆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37A KR20180073437A (ko) 2018-07-02
KR102026535B1 true KR102026535B1 (ko) 2019-09-27

Family

ID=5890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241A Active KR102026535B1 (ko) 2016-12-22 2017-11-07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6535B1 (ko)
CN (2) CN106728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855B1 (ko) 2019-11-18 2021-02-0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장 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8787A (zh) * 2016-12-22 2017-05-31 思可味有限责任公司 一种改善皮肤干燥的配方及方法
CN111686177A (zh) * 2019-03-12 2020-09-22 习登波 一种治疗青春痘的美颜祛痘中药及其制备方法
KR102209969B1 (ko) * 2019-05-09 2021-02-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5827B1 (ko) * 2019-10-24 2021-02-15 박성민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731A (ko) * 2002-11-25 2003-02-11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0517465B1 (ko) 2003-01-15 2005-09-28 오세군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6177277A (zh) * 2016-07-21 2016-12-07 魏晓兵 一种用于外敷的美白中药
CN106138723A (zh) * 2016-07-26 2016-11-23 合肥宝花堂健康咨询有限公司 一种外用中药膏
CN106728787A (zh) * 2016-12-22 2017-05-31 思可味有限责任公司 一种改善皮肤干燥的配方及方法
CN106822740A (zh) * 2017-01-19 2017-06-13 郭花良 美容中药外敷制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855B1 (ko) 2019-11-18 2021-02-0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장 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37A (ko) 2018-07-02
CN106728787A (zh) 2017-05-31
CN107308097A (zh)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535B1 (ko)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3520578B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737041A (zh) 一种新型皮肤抗敏修护组合物、皮肤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3041173B (zh) 一种治疗皮炎、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068279B (zh) 一种含有中药添加剂的鳗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030621A (zh) 一种保湿祛痘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CN104524170B (zh) 一种治疗风火牙痛的中药及其制备方法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CN109303724A (zh) 一种新型含艾叶的舒缓修护原液组合物
CN104873446A (zh) 一种含肉桂油的牙膏
CN104857290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消毒膏及其制备方法
KR101764131B1 (ko)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16146B1 (ko) 복합 기능성 한방비누
CN103751568B (zh) 一种治疗瘙痒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9443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2670479B (zh) 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CN104352389A (zh) 一种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474148A (zh) 用于治疗真菌性皮肤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688853A (zh) 一种治疗各种皮肤瘙痒症的中西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456708B (zh) 一种用于治疗口唇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