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6378B1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378B1
KR102026378B1 KR1020130107416A KR20130107416A KR102026378B1 KR 102026378 B1 KR102026378 B1 KR 102026378B1 KR 1020130107416 A KR1020130107416 A KR 1020130107416A KR 20130107416 A KR20130107416 A KR 20130107416A KR 102026378 B1 KR102026378 B1 KR 10202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ridges
tire
different
cr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8882A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케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8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37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이드월부에 나타나는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에 의한 함몰의 가림 효과를 높여, 외관 악화를 방지한다.
사이드월부(3)에 복수 개의 릿지(7)를 0.5∼5.0mm의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고리형의 장식 무늬(8)를 형성한 공기 타이어(1)이다. 장식 무늬(8)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7)로 구성되고, 상기 장식 무늬(8)는 동일한 단면 형상의 릿지가 2개 이상 17개 이하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릿지군(10, 11)을 무늬 단위로 하고, 종류가 상이한 릿지군(10, 11)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각 릿지(7)의 단면 형상은 타이어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부와, 이 외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타이어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측면부를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의 릿지는 외면부의 길이 및/또는 서로 이웃하는 릿지 사이를 연결하며 타이어 안쪽에 위치하는 바닥면부의 길이가 상이하다.
The cover effect of depression by the splice part of the carcass ply appearing in a side wall part is raised, and appearance deterioration is prevented.
It is the pneumatic tire 1 which formed the annular decorative pattern 8 by arranging the some ridge 7 in the side wall part 3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pitch of 0.5-5.0 mm. The decorative pattern 8 is composed of two or more kinds of ridges 7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and the decorative pattern 8 includes a group of ridges 10 having two or more ridges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rranged side by side in succession. And 11) as a pattern unit, and the ridge groups 10 and 11 of different typ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ridge 7 form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having an outer surfac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tire and a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into the tire interior. The two kinds of ridg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 or bottom length portions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located inside the tire.

Figure R1020130107416
Figure R1020130107416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s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사이드월부에 나타나는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에 기인한 오목부의 가림 효과를 높여 외관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capable of increasing the screening effect of the concave portion caused by the splice portion of the carcass ply appearing on the sidewall portion and preventing deterioration in appearance.

공기 타이어는 카커스 코드의 층을 포함하는 카커스 플라이로 보강되어 있다. 이 카커스 플라이는 시트형의 것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감겨지고, 그 양단부가 소폭으로 스플라이스(겹쳐 이음)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스플라이스부는 카커스 플라이가 국소적으로 2층으로 포개지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해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공기 타이어에 공기를 충전했을 때,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는 잘 연장되지 않고, 특히 피복 고무가 얇은 사이드월부에서 오목부가 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오목부는 사이드월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균일성을 도중에서 끊기게 하는 등 외관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다.The pneumatic tire is reinforced with a carcass ply containing a layer of carcass cord. The carcass ply is wound in a sheet-like shap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spliced slightly to form an annular shape. However, this splice portion is rigid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ortions because the carcass plies are locally stacked in two layers. Therefore, when the pneumatic tire is filled with air, the splice portion of the carcass ply does not extend well, and in particular, the coated rubber appears as a recess in the thin sidewall portion. Such a recess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such that the uniformit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wall portion is cut off halfway.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이드월부에 복수 개의 릿지를 정해진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 세레이션이라고 불리는 고리형의 장식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1에서는, 릿지의 피치를 바꾸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장식 무늬는 스플라이스부에 의해 생기는 오목부를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는 소위 가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has been variously proposed to form an annular decorative pattern called a ser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idg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t a predetermined pitch. Moreover, in following patent document 1, changing the pitch of a ridge is described. Such a decorative pattern can expect the so-called occlusion effect which makes a concave part produced by a splice part hardly visibl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7-16483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7-164831

그러나, 종래의 방법과 같이, 릿지의 피치를 바꾸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오목부의 가림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However,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the present situation that a sufficient blocking effect of the concave portion cannot be obtained only by changing the pitch of the ridg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릿지의 단면 형상을, 타이어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부와, 이 외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타이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측면부를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상기 외면부의 길이 및/또는 서로 이웃하는 릿지 사이를 연결하며 타이어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면부의 길이가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를 포함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스플라이스부 등에 기인한 오목부의 가림 효과를 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ridge having an outer surfac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tire and a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into the tire interior. And covering two or more kinds of ridges having different length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 or neighboring ridges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located inside the tire, thereby covering the recessed portion caused by the splice portion or the lik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ect even more effectively.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사이드월부에, 복수 개의 릿지를 0.5∼5.0mm의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고리형의 장식 무늬를 형성한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장식 무늬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로 구성되고, 상기 장식 무늬는 동일한 단면 형상의 릿지가 2개 이상 17개 이하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릿지군을 무늬 단위로 하고, 종류가 상이한 릿지군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각 릿지의 단면 형상은 모두 타이어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부와, 이 외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타이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측면부를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의 릿지는 상기 외면부의 길이 및/또는 서로 이웃하는 릿지 사이를 연결하며 타이어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면부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idewall portion, a plurality of ridg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itch of 0.5 to 5.0 mm, whereby a ring-shaped decorative pattern is formed. Consists of two or more kinds of ridges different in shape, and the decorative pattern is a ridge group in which two or more ridges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re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in a pattern unit, and different types of ridge groups are us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ridges has an approximately trapezoidal shape having an outer surfac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tire and a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tire. These two different kinds of ridges connect between the length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 or neighboring ridges That said different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located inside the tire, characterized.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릿지군은 제1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릿지군과, 상기 제1 릿지와 단면 형상이 상이한 제2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릿지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릿지와 제2 릿지는 상기 외면부의 길이와 상기 바닥면부의 길이의 합이 상이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of claim 2, the ridge group includes a first ridge group in which a first ridge is arranged side by side, and a second ridge group in which a second ridg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different from the first ridge is arranged side by side. The first ridge and the second ridge are pneumatic tir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different.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릿지는 상기 한 쌍의 경사 측면부의 경사의 각도가 좌우에서 상이함으로써 단면 비대칭 형상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each of the ridges is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is different from right to left.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릿지군은 제1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릿지군과, 상기 제1 릿지와 단면 형상이 상이한 제2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릿지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릿지와 제2 릿지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해, 동일한 측에 설치된 경사 측면부의 각도가 상이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하나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ridge group includes a first ridge group in which a first ridge is arranged side by side, and a second ridge group in which a second ridg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different from the first ridge is arranged side by side. The first ridge and the second ridge are pneumatic tir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gles of inclined side portions provid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different.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카커스 플라이를 스플라이스함으로써 형성된 카커스를 구비하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와, 상기 릿지군의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Moreover, in invention of Claim 5, the carcass formed by splicing a carcass ply is provided, Comprising: The length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lice part of the said carcass ply, and the at least on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ridge group It is a pneumatic tire in any one of Claims 1-4 with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따르면, 사이드월부에 복수 개의 릿지가 0.5∼5.0mm의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고리형의 장식 무늬가 형성된다. 이 장식 무늬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로 구성되어 있다.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는 각각 2개 이상 17개 이하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릿지군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 무늬는 이 릿지군을 무늬 단위로 하며, 종류가 상이한 릿지군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면 형상이 상이한 릿지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릿지군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일정한 폭을 가진 오목부의 윤곽을 애매하게 하는 등 가림 효과가 보다 훨씬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idg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itch of 0.5 to 5.0 mm to form an annular decorative pattern. This decorative pattern is comprised by two or more types of ridges from which a cross-sectional shape differs. Two or more types of ridges differing in cross-sectional shape constitute a group of ridges each of which is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in two or more and seventeen or less. The decorative pattern is formed by arranging this ridge group as a pattern unit and arranging different ridge group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arranging plural kinds of ridge groups including ridg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cclusion effect is further improved, such as obscuring the contour of the concave portion having a constant width.

특히, 본 발명에서, 각 릿지의 단면 형상은, 모두 타이어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부와, 이 외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타이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측면부를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의 릿지는 상기 외면부의 길이 및/또는 서로 이웃하는 릿지 사이를 연결하며 타이어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면부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면부 및 바닥면부는 보다 많은 빛을 반사하여 하얗게 보이기 쉬우므로, 이러한 부분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전술한 가림 효과가 보다 훨씬 높아진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ridge forms an approximately trapezoidal shape having all of the outer surface portions located outside the tire and a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tir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wo types of ridg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s and / or the length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s located inside the ti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djacent to the ridge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tire is viewed from the side, the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easily reflect white light and appear to be white, so that the above-described screening effect is much higher by varying the length of these portions.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그 장식 무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A 단면도, (b)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릿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릿지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c)는 실시예의 릿지의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decorative patter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dg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dg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sectional views of the ridge of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 타이어(1)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부(2)와, 상기 트레드부(2)의 양측으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월부(3)와, 상기 사이드월부(3)의 안쪽 끝에 연속해 있는 비드부(4)를 갖는다.1, the side view of the pneumatic tire of this embodiment is shown. The pneumatic tire 1 includes a tread portion 2 grounded on a road surface,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 extending in radial directions inward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2, and the side wall portions 3. It has the bead part 4 which continues in the inner end of the ().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1)는, 승용차용 것이 도시된다. 상기 공기 타이어(1)의 내부에는, 예컨대 레이디얼 구조의 카커스(5)가 배치된다. 상기 카커스(5)는 시트형의 카커스 플라이(5a)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는 서로 포개짐으로써, 스플라이스부(6)가 형성되어 있다.The pneumatic tire 1 of this embodiment is shown for passenger cars. Inside the pneumatic tire 1, a carcass 5 of a radial structure is disposed, for example. The carcass 5 has a sheet-shaped carcass ply 5a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superimposed on one another, whereby a splice portion 6 is formed.

상기 사이드월부(3)에는, 고리형의 장식 무늬(8)가 형성된다. 도 2에는, 이 장식 무늬(8)의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 무늬(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장식 무늬(8)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도중에 끊겨도 되며, 장식 무늬(8) 위에, 타이어의 로고 마크나 브랜드명 등을 나타내는 문자(9) 등이 돋을새김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장식 무늬(8)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길이(H)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타이어 단면 높이의 5∼30%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sidewall part 3 is formed with an annular decorative pattern 8. In Fig. 2, a part of this decorative pattern 8 is shown enlarged.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decorative pattern 8 extends continuous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If necessary, the decorative pattern 8 may be cut off halfwa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letter 9 or the like representing the tire's logo mark, brand name,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decorative pattern 8 in an embossed shape. The length 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8 of the decorative pattern 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bout 5 to 30% of the tire cross-sectional height.

상기 장식 무늬(8)는 복수 개의 릿지(7)를 정해진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릿지(7)는, 도 3의 (a), (b)에 그 길이 방향과 직각인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월부(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선형으로 연장되는 가느다란 이랑 형태의 돌기이다.The decorative pattern 8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idges 7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itch. The ridge 7 has a shape of a thin ridge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3 and extends linearly,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ross section being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t is a projectio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식 무늬(8)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의 릿지, 즉, 도 2의 A-A 단면인 도 3의 (a)에 도시되는 제1 릿지(7A)와, 도 2의 B-B 단면인 도 3의 (b)에 도시되는 제2 릿지(7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릿지(7A, 7B)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총칭할 때 「릿지(7)」라고 표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corative pattern 8 includes two types of ridg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that is, the first ridge 7A shown in FIG. 3A which is the AA cross section of FIG. 2 and the BB of FIG. 2. It is comprised from the 2nd ridge 7B shown by FIG.3 (b) which is a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se ridges 7A and 7B can be referred to as "ridge 7" when they are collectively named without particular distinction.

또한, 릿지(7)는, 도 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5∼5.0mm의 피치(P)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필요가 있다. 릿지(7)를 형성하는 목적은, 카커스 플라이(5a)의 스플라이스부(6) 등에 기인한 오목부를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는 가림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있다. 그러나, 릿지(7)의 피치(P)가 너무 크면, 가림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피치(P)의 상한은 5.0mm 이하가 된다. 다른 한편, 릿지(7)는 타이어의 가황 금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금형의 가공성이나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피치(P)의 하한은 0.5mm 이상이 된다.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상기 피치(P)는, 바람직하게는 1.0∼3.0mm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idges 7 need to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itch P of 0.5 to 5.0 mm,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purpose of forming the ridge 7 is to exert an obscuring effect of making the concave portion caused by the splice portion 6 or the like of the carcass ply 5a less prominent. However, if the pitch P of the ridge 7 is too large, the screening effect is not sufficiently exhibited and the above object cannot be achieved, so the upper limit of the pitch P is 5.0 mm or les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idge 7 is formed by the vulcanized mold of the tire, the lower limit of the pitch P is 0.5 mm or more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productivity, and the like of the mold.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said pitch P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about 1.0-3.0 mm is especially preferable.

제1 릿지(7A) 및 제2 릿지(7B)의 단면 형상은 모두 타이어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부(13)와, 이 외면부(13)의 양단으로부터 타이어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측면부(14)를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릿지(7, 7) 사이에는, 타이어 안쪽에 위치하는 바닥면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릿지(7)의 단면 형상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것은, 릿지(7)의 크기와 고무의 성형 기술을 고려하면 엄밀한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것, 사다리꼴의 코너부 등에는 작은 모따기 등이 포함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함이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ridge 7A and the second ridge 7B is both an outer surface portion 13 located outside the tire and a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to the inside of the tire ( 14) and have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Moreover, the bottom surface part 15 located inside a tire is formed between the ridges 7 and 7 which adjoin each other.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dge 7 is made into a trapezoidal shape, which is difficult to form a rigid trapezoid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ridge 7 and the molding technique of rubber. To allow chamfers to be included.

공기 타이어(1)의 측면(즉, 사이드월부(3))에 정면으로 마주 대하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릿지(7)는 외면부(13) 및 바닥면부(15)에서 빛을 보다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이들 부분이 하얗게 보인다. 한편, 경사 측면부(14)는 외면부(13) 및 바닥면부(15)보다 상대적으로 반사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타이어 원래의 흑색이 강하게 나타나 까맣게 보인다. 따라서, 릿지(7)는 이러한 명도의 변화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목부가 형성하는 명도 변화를 모호하게 하여 눈에 잘 띄지 않게 한다.When facing the side of the pneumatic tire 1 (ie, the side wall portion 3) in front, the substantially trapezoidal ridge 7 may reflect more light from the outer surface 13 and the bottom surface 15. Because of this, these parts appear whit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clined side portion 14 has a relatively lower reflectance than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the original black color of the tire appears strongly and looks black. Therefore, the ridge 7 forms such a change in brightnes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bscuring the change in brightness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making it less noticeable.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장식 무늬(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단면 형상의 릿지가 2개 이상 17개 이하의 개수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릿지군을 무늬 단위로 하며, 종류가 상이한 릿지군(무늬 단위)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릿지(7A)가 상기 개수의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릿지군(10)과, 제2 릿지(7B)가 상기 개수의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릿지군(11)을 포함하며, 이들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decorative pattern 8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roup of ridges in which the ridge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re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in a number of two or more and seventeen or less, as a pattern unit. Is formed by arranging different ridge groups (pattern units)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idge group 10 in which the first ridges 7A are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range of the number, and the second ridge 7B are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range of the number. It includes the 2nd ridge group 11, These are alternately provided.

장식 무늬(8)의 무늬 단위를 이루는 릿지군(10 및 11)은 카커스 플라이(5a)의 스플라이스부(6)에 기인하여 생기는 오목부를 모호하게 하여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는 가림 효과를 얻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릿지군(10 및 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CL)를 상기 스플라이스부(6)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PL)에 근사시키는 것은 가림 효과를 높이는 데 특히 유효하다. 일반적으로, 스플라이스부(6)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PL)는 장식 무늬(8)의 안쪽 가장자리(8e) 상에 있어서 약 4∼25mm 정도이다.The ridge groups 10 and 11 forming the pattern unit of the decorative pattern 8 obscure recesses caused by the splice portion 6 of the carcass ply 5a to obtain an obscuring effect that is less noticeable. To form. Therefore, approximating the length CL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dge groups 10 and 11 to the length PL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lice portion 6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enhancing the screening effect. In general, the length PL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lice portion 6 is about 4 to 25 mm on the inner edge 8e of the decorative pattern 8.

발명자들은 승용차용 레이디얼 타이어에 대해 다양한 실험을 행한 결과, 릿지(7)가 1개, 즉 2종류의 릿지(7)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나란히 배열해도, 상기 가림 효과가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릿지군에 포함되는 릿지(7)의 개수가 늘어나도, 스플라이스부(6)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PL)와의 괴리가 생겨 가림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릿지군은 2∼17개의 동일한 릿지(7)를 나란히 배열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개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on a radial tire for a passenger car, and as a result, even if one ridge 7, that is, two kinds of ridges 7 are alternately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cclusion effect is not sufficient. Could know.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ridges 7 included in the ridge group increases, a deviation from the length PL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lice portion 6 occurs, and the occlusion effect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For this reason, the ridge group needs to be formed by arranging two to seventeen identical ridges 7 side by side, particularly preferably three or more, more preferably four or more, and preferably 15 Or less, more preferably 13 or less.

나아가, 가림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의 릿지(7A, 7B)는 외면부(13)의 길이 및/또는 바닥면부(15)의 길이가 상이한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1 릿지(7A)의 외면부(13)의 길이(Loa)와, 제2 릿지(7B)의 외면부(13)의 길이(Lob)가 상이하며, Loa<Lob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릿지(7A)의 바닥면부(15)의 길이(Lia)와, 제2 릿지(7B)의 바닥면부(15)의 길이(Lib)가 상이하며, Lia<Li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히 제1 릿지(7A)와 제2 릿지(7B)를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이들의 외면부의 길이는 「Lo」, 또한 바닥면부의 길이는 「Li」로 각각 간략화하여 표기된다.Furthermore, in order to enhance the screening effect, it is important that the two kinds of ridges 7A and 7B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differ in the length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and / or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oa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of the first ridge 7A and the length Lo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of the second ridge 7B are different, and Loa <Lob. Consists of. Similarly, the length Lia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of the first ridge 7A and the length Lib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of the second ridge 7B are different, and are composed of Lia <Lib. In particular, when not distinguishing between the first ridge 7A and the second ridge 7B, the length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thereof is indicated by "Lo", and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simplified by "Li".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장식 무늬(8)는 릿지군(10, 11)의 각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CL)가 카커스 플라이(5a)의 스플라이스부(6)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PL)(나아가서는, 여기에 기인하여 생기는 오목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에 근사하거나 일치한다. 따라서, 스플라이스부(6)가 릿지군과 중복되는 경우는 물론, 양자가 위치 어긋나게 형성된 경우에도 릿지군(10, 11) 사이의 무늬의 바뀜이 오목부를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사이드월부(3)의 외관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장식 무늬(8)의 타이어 반경 방향의 안쪽 가장자리(8e) 상에서의 카커스 플라이(5a)의 스플라이스부(6)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PL)와, 상기 릿지군(10, 11)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안쪽 가장자리(8e)에서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CL)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이란 타이어의 성형 정밀도를 고려하여 두 길이(CL 및 PL)를 완전히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서, 적어도 길이의 차가 10mm인 양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스플라이스부의 길이(PL)는 제1 릿지군(10)의 길이(CL1)보다 크고 제2 릿지군(11)의 길이(CL2)보다 작게 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오목부의 바림 효과가 발휘된다.As for the decorative pattern 8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length CL of each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dge group 10, 11 is the length PL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lice part 6 of the carcass ply 5a. It is approximated or coincides with (the length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cessed portion resulting from the excitation). Therefore, even when the splice portion 6 overlaps with the ridge group, and even when both of them are formed to be out of position, the fringe of the pattern between the ridge groups 10 and 11 is less noticeable so that the side wall portion 3 Improves the appearance. Therefore, the tire circumferential length PL of the splice portion 6 of the carcass ply 5a on the inner radial edge 8e of the decorative pattern 8 and the ridge groups 10 and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CL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inner edges 8e of is substantially the same. Here, the term "substantial"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match the two lengths CL and PL in consideration of the molding precision of the tire, and includes an aspect in which the difference in length is at least 10 mm. In particular, the length PL of the splice portion is larger than the length CL1 of the first ridge group 10 and smaller than the length CL2 of the second ridge group 11, whereby the effect of applying concave portions is more effectively exhibited.

또한, 각 릿지군(10, 11)의 릿지(7)는 외면부(13)의 길이(Lo) 및/또는 바닥면부(15)의 길이(Li)가 상기하기 때문에 상기 가림 효과를 보다 훨씬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릿지(7A)와 제2 릿지(7B)는 외면부(13)의 길이(Lo)와 바닥면부(15)의 길이(Li)와의 합(Lo+Li)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월부(3)에 정면으로 마주 대했을 때, 외면부(13) 및 바닥면부(15)는 빛을 보다 많이 반사하여 하얗게 보이기 때문에, 이들의 폭의 합(Lo+Li)을 릿지군(10, 11) 사이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가림 효과가 더욱 유효하게 발휘된다.In addition, since the ridge 7 of each of the ridge groups 10 and 11 has the length Lo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and / or the length Li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the occlusion effect is further enhanced. Can b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ridge 7A and the second ridge 7B have different sums Lo + Li of the length Lo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and the length Li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from each other. desirable. When the front face 13 and the bottom face 15 face more light and appear white when they face the side wall part 3, the sum of their widths Lo + Li is increased. 11) By changing between the screening effect is more effectively exhibited.

예컨대, 외면부(13)의 길이(Lo) 및 바닥면부(15)의 길이(Li)의 쌍방을 서로 다르게 한 경우라도, 상기 합(Lo+Li)이 릿지군 사이에서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릿지군 사이에서 충분한 명도의 차를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외면부의 길이(Lo)만, 또는 바닥면부의 길이(Li)만을 다르게 한 경우, 상기 합(Lo+Li)도 변화하는데, 외면부(13)의 길이(Lo) 및 바닥면부(15)의 길이(Li)의 쌍방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상기 합(Lo+Li)에 대해서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명도의 차가 훨씬 커져 가림 효과가 더 향상된다.For example, even when both the length Lo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and the length Li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sum Lo + Li does not change between the ridge groups, the ridge There is a tendency for them not to be able to achieve sufficient brightness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when only the length Lo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or only the length Li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changed, the sum Lo + Li also changes, but the length Lo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change. By varying both lengths of Li and differently with respect to the sum Lo + Li,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comes much larger, and the screening effect is further improv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릿지(7)의 외면부(13)의 길이(Lo) 및 바닥면부(15)의 길이(Li)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측면부(14)의 끝퍼짐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게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8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릿지(7)의 높이(h)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3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length Lo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13 and the length Li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of the ridge 7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re preferably 0.1 mm or more,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is 0.2 mm or more, Furthermore, Preferably it is 3.5 mm or less, More preferably, 2.0 mm or less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tip angle θ of the inclined side portion 14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 preferably 85 ° or less, and more preferably 75 ° or less. The height h of the ridge 7 is preferably 0.3 mm or more,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mm or less.

나아가,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각 릿지(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경사 측면부(14)의 경사의 각도(θL, θR)가 상이함으로써 단면이 좌우 비대칭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릿지(7)는 좌우의 경사 측면부(14)에 있어서 명도차가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명도 변화를 가져오며, 나아가 상기 가림 효과가 향상된다. 특히, 좌우의 경사 측면부(14)의 각도의 차(|θL-θR|)는, 바람직하게는 2°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바람직하다.Further, as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ridges 7 is asymmetrical in cross section because the angles of inclination θL and θR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14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 4. desirable. Since the ridge 7 tends to produce a difference in brightness in the left and right inclined side portions 14, the ridge 7 brings about a more complicated brightness change, and the above-mentioned shielding effect is improve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angle (| θL-θR |) between the left and right inclined side portions 14 is preferably 2 ° or more, more preferably 3 ° or more, and preferably 10 ° or less. D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릿지(7A)와 제2 릿지(7B)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관해, 동일한 측(본 도면에서는 우측)에 설치된 경사 측면부(14)의 끝퍼짐 각도가 각각 θ1, θ2(>θ1)에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방측(S1)으로부터 경사 측면부(14)를 그 법선 방향에서 본 경우, 상기 경사 측면부(14)도 반사에 의해 밝게 보인다. 이 때, 릿지(7)의 타방측(S2)의 경사 측면부(14)는 원래 보이지 않으므로 명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경사 측면부(14)의 경사의 각도를, 제1 릿지(7A)와 제2 릿지(7B)에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명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first ridge 7A and the second ridge 7B, the end angle of the inclined side portion 14 provided on the same side (right side in this drawing) with respect to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t is preferable that they differ in θ1 and θ2 (> θ1),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inclined side part 14 is seen from the normal direction from one side S1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clined side part 14 also looks bright by refl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ide part 14 of the other side S2 of the ridge 7 is not seen originally, it does not affect brightness. Therefore,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ide parts 14 located on the same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ridge 7A and the second ridge 7B, the brightness can be changed more effectively.

상기에 의해, 공기 타이어(1)의 사이드월부(3)를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에도, 제1 릿지군(10)과 제2 릿지군(11)에 있어서, 경사 측면부(14)의 각도가 변화함으로써 밝게 보이는 방향이 릿지 사이에서 변화되기 때문에, 명도의 변화가 복잡해져 가림 효과를 더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각도의 차(|θ1-θ2|)는, 바람직하게는 2°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바람직하다.As a result, even when the side wall portion 3 of the pneumatic tire 1 is viewed obliquely, in the first ridge group 10 and the second ridge group 11, the angle of the inclined side portion 14 changes brightly. Since the viewing direction changes between the ridges, the change in brightness is complicated, which helps to increase the occlusion effect. Moreover, as for the difference (| (theta) 1- (theta) 2 |) of the said angle, Preferably it is 2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10 degrees or less are preferable.

또한, 도 5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의 타방측의 경사 측면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각도로 표시했으나, 이쪽의 경사 측면부에 대해서도, 제1 릿지(7A)와 제2 릿지(7B)에 있어서 상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clination side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was shown by the same angle in FIG. 5, also in this inclination side part, you may make it different in the 1st ridge 7A and the 2nd ridge 7B. Can be.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태양으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릿지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3종류 이상이 사용되어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릿지(7)의 종류 수가 증가해도 생산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5종류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Of course, it can change and implement in various aspects. For example, even if three or more kinds of ridg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are used,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are expected. Moreover, since productivity may worsen even if the number of types of the ridges 7 increase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five or less types.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1의 사양에 기초하여, 사이즈 175/60R14의 공기 타이어가 복수 종류 시작(試作)되고, 사이드월부의 외관 평가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이 공기 타이어는 카커스 플라이 수가 1장이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의 장식 무늬의 안쪽 가장자리에서의 길이(PL)가 12mm였다. 장식 무늬는 제1 릿지군과 제2 릿지군을 각각 2개씩 교대로 설치했다. 이에 따라, 사이드월부에는 장식 무늬가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의도적으로 설치되었다. 또한, 릿지군의 릿지에 대해서는 상세한 내용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종류의 릿지가 사용되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based on the specification of Table 1, several types of pneumatic tires of the size 175 / 60R14 were started, and the appearance evaluation test of the sidewall part was performed. This pneumatic tire had one carcass ply number, and the length PL at the inner edge of the decorative pattern of the splice part of said carcass ply was 12 mm. The decorative pattern was alternately provid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idge groups. Accordingly, the sidewall portion was intentionally provided with the region where the decorative pattern was formed and the region without the pattern. Further, the details of the ridge in the ridge group are shown in FIG. 6, and three types of ridges were used in this embodiment.

또한, 외관 평가 테스트는 사이드월부의 장식 무늬가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비교하고,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에 기인하는 오목부의 눈에 띄는 정도가 장식 무늬 상에서 얼마만큼 모호해져 있는지가 5명의 테스터의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결과는 테스터의 관능에 의해 전혀 알 수 없음을 100, 비교예 1 및 2를 60점으로 하는 상대 평가로 했으며, 5명의 테스터의 평균치가 표시되었다. 수치가 클수록, 오목부가 눈에 띄지 않아 외관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appearance evaluation test compares the region where the decorative pattern is formed on the sidewall portion with the region that is not formed, and how obscure the conspicuous portion resulting from the splice portion of the carcass ply is on the decorative pattern. Observed by the naked eye of two testers. The result was made into the relative evaluation which makes 100,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60 points which are unknown at all by the sensory of the tester, and the average value of five testers was shown. The larger the value, the less concave portions are indicative of better appearance.

Figure 112013081849862-pat00001
Figure 112013081849862-pat00001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타이어는 비교예에 비해 유의(有意)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re of the example exhibited significant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1…공기 타이어 2…트레드부
3…사이드월부 4…비드부
5…카커스 5a…카커스 플라이
7…릿지 7A…제1 릿지
7B…제2 릿지 8…장식 무늬
10…제1 릿지군 11…제2 릿지군
One… Pneumatic tire 2... Tread section
3... Sidewall part 4.. Bead part
5... Carcass 5a... Carcass fly
7... Ridge 7A... First ridge
7B. Second ridge 8... Decorative pattern
10... First ridge group 11... Second Ridge Group

Claims (5)

사이드월부에, 복수 개의 릿지를 0.5∼5.0mm의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고리형의 장식 무늬를 형성하고, 카커스 플라이를 스플라이스함으로써 형성된 카커스를 구비하는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장식 무늬는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로 구성되고,
상기 장식 무늬는 동일한 단면 형상의 릿지가 동일한 피치로 2개 이상 17개 이하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릿지군을 무늬 단위로 하고, 종류가 상이한 릿지군만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각 릿지의 단면 형상은 모두 타이어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부와, 이 외면부의 양단으로부터 타이어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측면부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면 형상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릿지는, 상기 외면부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스플라이스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와, 상기 릿지군의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A pneumatic tire having a carcass formed by forming a ring-shaped decorative patter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idges side by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itch of 0.5 to 5.0 mm, and splicing a carcass ply,
The decorative pattern is composed of two or more kinds of ridges different in cross-sectional shape,
The decorative pattern is formed by arranging ridge groups in which the ridges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re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at two or more and 17 or less at the same pitch, and are arranged by arranging only different ridge group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of the ridges form a trapezoidal shape having an outer surfac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tire and a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into the tire,
Two or more types of ridge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s different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splice portion of the carcass ply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at least on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dge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군은 제1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릿지군과, 상기 제1 릿지와 단면 형상이 상이한 제2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릿지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릿지와 제2 릿지는, 상기 외면부의 길이와 서로 이웃하는 릿지 사이를 연결하며 타이어 안쪽에 위치하는 바닥면부의 길이의 합이 서로 다른 것인 공기 타이어.
The ridge group of claim 1, wherein the ridge group includes a first ridge group in which first ridg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 second ridge group in which second ridges different in cross-sectional shape from the first ridge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first and second ridges, pneumatic tires that connect the length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the ridg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bottom portion located inside the tire is differ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릿지는 상기 한 쌍의 경사 측면부의 경사의 각도가 좌우에서 상이함으로써 단면 비대칭 형상인 것인 공기 타이어.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each of the ridges has a cross-sectional asymmetric shape because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pair of inclined side portions is different from right and lef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군은 제1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릿지군과, 상기 제1 릿지와 단면 형상이 상이한 제2 릿지가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릿지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릿지와 제2 릿지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해, 동일한 측에 설치된 경사 측면부의 각도가 상이한 것인 공기 타이어.
The ridge group of claim 1 or 2, wherein the ridge group includes a first ridge group in which a first ridge is arranged side by side, and a second ridge group in which a second ridg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different from the first ridge is arranged side by side. ,
The said 1st ridge and the 2nd ridge are angles of the inclination side part provided i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ire.
삭제delete
KR1020130107416A 2012-09-21 2013-09-06 Pneumatic tire Expired - Fee Related KR1020263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8764 2012-09-21
JP2012208764A JP5785530B2 (en) 2012-09-21 2012-09-21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82A KR20140038882A (en) 2014-03-31
KR102026378B1 true KR102026378B1 (en) 2019-09-30

Family

ID=5030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41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6378B1 (en) 2012-09-21 2013-09-06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5530B2 (en)
KR (1) KR102026378B1 (en)
CN (1) CN10366080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5680B2 (en) * 2016-09-26 2020-12-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6880788B2 (en) * 2017-02-01 2021-06-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6940389B2 (en) 2017-12-12 2021-09-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Ornament
JP6930908B2 (en) * 2017-12-14 2021-09-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tire
CN111511587B (en) * 2017-12-20 2022-09-06 横滨橡胶株式会社 Pneumatic tire
DE102018204245A1 (en) 2018-03-20 2019-09-2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hicle tires
JP7151226B2 (en) * 2018-07-10 2022-10-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JP7129380B2 (en) * 2019-06-03 2022-09-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tire
JP7207224B2 (en) * 2019-08-05 2023-01-18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7088155B2 (en) * 2019-10-08 2022-06-21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7443764B2 (en) * 2019-12-25 2024-03-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s
US12358327B2 (en) 2020-07-13 2025-07-15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JP2023069260A (en) * 2021-11-05 2023-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CN115257242A (en) * 2022-07-28 2022-11-01 山东玲珑轮胎股份有限公司 Tire with side wall provided with texture decorative patter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818A (en) * 2002-05-08 2003-11-11 Sumitomo Rubber Ind Ltd Ti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6401B2 (en) * 1993-12-10 2003-08-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Pneumatic tire with band design
US5645660A (en) * 1995-06-28 1997-07-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Design patterns for a tire sidewall
US20020174928A1 (en) * 2001-05-25 2002-11-28 Ratliff Billy Joe Tire sidewall
JP4687811B2 (en) * 2009-04-10 2011-05-25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5621611B2 (en) * 2011-01-18 2014-11-1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5494518B2 (en) * 2011-02-07 2014-05-14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818A (en) * 2002-05-08 2003-11-11 Sumitomo Rubber Ind Ltd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82A (en) 2014-03-31
JP2014061820A (en) 2014-04-10
CN103660806A (en) 2014-03-26
JP5785530B2 (en) 2015-09-30
CN103660806B (en)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378B1 (en) Pneumatic tire
US8720512B2 (en) Pneumatic tire
AU2011249396B2 (en) Pneumatic tire
JP5886914B2 (en) Pneumatic tire
JP5588482B2 (en) Pneumatic tire
US10150337B2 (en) Pneumatic tire
US11648805B2 (en) Pneumatic tire
US10029518B2 (en) Pneumatic tire
CN108602400B (en) Tyre for vehicle wheels
JP2013129233A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2829522A (en) Tyre for vehicle wheels
WO2022014474A1 (en) Tire
US20170267033A1 (en) Pneumatic tire
JP2016132386A (en) Pneumatic tire
WO2019244376A1 (en) Tire
EP3835089B1 (en) Pneumatic tire
US20190176537A1 (en) Pneumatic tire
JP6805680B2 (en) Pneumatic tires
CN108422814B (en) Pneumatic tires
WO2019244377A1 (en) Tire
JP7419810B2 (en) pneumatic tires
JP2005053248A (en) Tire
JP2017030558A (en) Pneumatic tire
US20210016609A1 (en) Heavy duty tire
JP6850165B2 (en) Pneumatic t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