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768B1 - Speaker - Google Patents
Sp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5768B1 KR102025768B1 KR1020180081416A KR20180081416A KR102025768B1 KR 102025768 B1 KR102025768 B1 KR 102025768B1 KR 1020180081416 A KR1020180081416 A KR 1020180081416A KR 20180081416 A KR20180081416 A KR 20180081416A KR 102025768 B1 KR102025768 B1 KR 102025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late
- coupling member
- magnet
- yok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의 플레이트와 마그네트 및 요크가 결합부재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되므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A speaker is disclosed.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since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are physical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Therefore, there may be an effect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회로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with improved coupling force of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스피커란 음 신호를 포함한 전기적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A speaker is an acoustic device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 sound signal into vibration of a diaphragm to generate a small wave in the air to radiate sound waves.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프레임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of a conventional speaker, which will b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는 대략 케이스 형상의 프레임(10),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20) 및 전기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conventional speaker includes a
자기회로부(20)는 프레임(10)의 하면에 설치된 플레이트(21), 플레이트(21)의 하면에 결합된 마그네트(23) 및 마그네트(23)의 하면에 결합된 요크(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음향발생부(30)는 프레임(10)의 상면 테두리부측에 외주면측이 설치된 진동판(31) 및 진동판(31)의 중앙부측에 설치된 보이스코일(33)을 포함한다.The
그리하여, 보이스코일(33)에 음향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자기회로부(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과 음향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하여 음향발생부(30)의 진동판(33)이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Thus, when the sound generating signal is applied to the
프레임(10)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사출성형시, 금형속에 플레이트(21)를 위치시킨 다음, 프레임(10)을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프레임(10)과 플레이트(2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후, 플레이트(21)와 마그네트(23) 및 마그네트(23)와 요크(25)를 접착제로 접착 결합한다.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플레이트(21)와 마그네트(23) 및 마그네트(23)와 요크(25)가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러면, 접착제의 연화(軟化) 또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플레이트(21)와 마그네트(23)가 상호 분리되고, 마그네트(23)와 요크(25)가 상호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speaker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provide a speaker that can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회로부의 부품들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o provide a speaker that can prevent the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에 결합된 요크를 가지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상기 프레임의 상단면(上端面)에 테두리부측이 지지되고, 중앙부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측에 위치된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의 사출성형 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한 수직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surface is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through-hole frame, the plat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e magnet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And having a yok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the edge portion side is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top) of the frame, the central portion side includes a sound generating portion located on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side,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the frame and the coupling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nd when the frame and the coupling member are injection molded,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The yok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and the coupling member, and the red of the plate FI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is inserted in the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회로부의 플레이트와 마그네트 및 요크가 결합부재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되므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of the magnetic circuit part are physical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and thus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re may be an effect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peak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speakers according to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herei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scope of the rights shall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which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nd / o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eans two items of first item, second item or third item as well as first item, second item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the abov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and the like,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formed, coupled, and install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are separately provided, formed, combined, or installed, as well as with a component. It is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ny other component in one bod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ak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110), 자기회로부(130) 및 음향발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이하, 프레임(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 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수직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을 "상하방향", 프레임(110)의 수평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을 "좌우방향" 이라 한다.Hereinafter, in referring to the plane and the direction of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프레임(110)은 대략 원통형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 중앙부측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회로부(130)는 관통공(111)측 프레임(110)의 하면 부위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할 수 있고, 음향발생부(150)는 프레임(110)의 상단면(上端面)측에 테두리부측이 지지되어 전기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음향발생부(150)의 중앙부측은 자기회로부(13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부(150)는 자기회로부(130)와 작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The
자기회로부(130)는 플레이트(131), 마그네트(133) 및 요크(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플레이트(13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11)이 형성된 프레임(110)의 하면 부위에 상면이 설치되어 프레임(110)과 대략 동심을 이룰 수 있다. 마그네트(133)는 플레이트(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플레이트(131)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31)와 동심을 이룰 수 있다.The
요크(135)는 받침판(135a)과 폴(Pole)(135b)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135a)은 마그네트(13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마그네트(133)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고, 폴(135b)은 받침판(135a)의 중앙부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그네트(133) 및 플레이트(13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폴(135b)은 대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마그네트(133) 및 플레이트(131)를 관통할 수 있으며, 폴(135b)의 외주면과 마그네트(133)의 내주면 사이 및 폴(135b)의 외주면과 플레이트(131)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The
음향발생부(150)는 에지(151), 진동판(153), 보이스코일(155) 및 댐퍼(1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에지(15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인 테두리부측은 프레임(110)의 상단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진동판(153)은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측은 에지(151)의 내주면측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자기회로부(13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Edge 15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portion side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보이스코일(155)은 보빈(155a)과 코일(155b)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55a)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부위 외주면은 진동판(153)의 중앙부측에 결합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자기회로부(130)의 갭(G)에 위치될 수 있다. 코일(155b)은 보빈(155a)의 하측 부위 외주면에 권선되어 자기회로부(130)의 갭(G)에 위치될 수 있다.The
그리하여, 음 신호를 포함한 전기적 신호(이하, "음향발생 신호"라 함)가 코일(155b)에 인가되면, 코일(155b)과 자기회로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코일(155b)을 포함한 보이스코일(155)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고, 보이스코일(155)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판(153)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Thus, when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 soun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und gen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댐퍼(157)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측은 프레임(110)의 내면 중앙부측에 지지되고, 내주면에는 보빈(155a)의 중앙부측 외주면이 결합된다. 댐퍼(157)는 보빈(155a)이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153)이 좌우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빈(155a)이 설치된 진동판(153)의 부위에는 보빈(155a)을 덮는 형태로 캡(170)이 설치될 수 있다. 캡(170)은 보빈(155a)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프레임(110)은 합성수지재이며,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사출성형시, 금형속에 플레이트(131)를 위치시킨 다음, 프레임(110)을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그러면, 프레임(110)과 플레이트(131)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프레임(110)과 플레이트(131)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회로부(130)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자기회로부(130)를 접착제 대신 물리적으로 결합시킨다.Th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ly couples the
상세히 설명하면, 플레이트(131)와 마그네트(133) 및 요크(135)의 받침판(135a)에는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연통하는 결합공(131a)(133a)(135aa)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공(131a)(133a)(135aa)에는 리벳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160)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러면, 자기회로부(130)의 플레이트(131)와 마그네트(133) 및 요크(135)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In detail, the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3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결합부재(260)가 프레임(210)에서 연장되어, 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210)과 결합부재(260)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프레임(210)과 결합부재(260)의 사출성형시, 결합부재(260)가 자기회로부(230)의 플레이트(231)와 마그네트(233) 및 요크(235)의 받침판(235a)에 형성된 결합공(231a)(233a)(235aa)을 관통하여, 플레이트(231)와 마그네트(233)와 요크(235)를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결합부재(360)가 프레임(310)에서 연장되어, 프레임(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310)과 결합부재(360)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i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프레임(310)과 결합부재(360)의 사출성형시, 결합부재(360)가 자기회로부(330)의 플레이트(331)의 측면과 마그네트(333)의 측면 및 요크(335)의 받침판(335a)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331)와 마그네트(333) 및 요크(335)를 결합시킬 수 있다.And,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결합부재(460)가 프레임(410)에서 연장되어, 프레임(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재(461)와 제2결합부재(46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410)과 제1결합부재(461)와 제2결합부재(465)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프레임(410)과 결합부재(460)의 사출성형시, 제1결합부재(461)가 자기회로부(430)의 플레이트(431)와 마그네트(433) 및 요크(435)의 받침판(435a)에 형성된 결합공(431a)(433a)(435aa)을 관통하여, 플레이트(431)와 마그네트(433)와 요크(43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410)과 결합부재(460)의 사출성형시, 제2결합부재(465)가 플레이트(441)의 측면과 마그네트(444)의 측면 및 요크(445)의 받침판(445a)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441)와 마그네트(444) 및 요크(445)를 결합시킬 수 있다.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이때, 제1결합부재(461)와 제2결합부재(465)는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는 자기회로부(130, 230, 330, 430)의 플레이트(131, 231, 331, 431)와 마그네트(133, 233, 333, 433) 및 요크(135, 235, 335, 445)가 결합부재(160, 260, 360, 460)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되므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sp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프레임
130: 자기회로부
150: 음향발생부
160: 결합부재110: frame
130: magnetic circuit
150: sound generating unit
160: coupling member
Claims (7)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에 결합된 요크를 가지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상기 프레임의 상단면(上端面)에 테두리부측이 지지되고, 중앙부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측에 위치된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의 사출성형 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한 수직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스피커.An upper surface of which is opened and a lower surface of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 magnetic circuit unit having a plat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o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 magnet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late, and a yok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The edge portion sid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e central portion side includes a sound generating portion located on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side,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The frame and the coupling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frame and the coupling member,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frame and the coupling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fram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upling member extends from the frame to penetrate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마그네트의 외면과 상기 요크의 외면 및 하면 테두리부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mber extends from the fram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yoke and the lower edge portion.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를 관통하는 제1결합부재;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마그네트의 외면과 상기 요크의 외면 및 하면 테두리부측을 감싸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mber,
A first coupl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rame and penetrating the plate, the magnet and the yoke;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rame and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plate, an outer surface of the magnet, an outer surface of the yoke, and a lower edge portion of the yoke.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are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416A KR102025768B1 (en) | 2018-07-13 | 2018-07-13 | Sp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416A KR102025768B1 (en) | 2018-07-13 | 2018-07-13 | Spe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5768B1 true KR102025768B1 (en) | 2019-09-26 |
Family
ID=6806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416A Active KR102025768B1 (en) | 2018-07-13 | 2018-07-13 | Sp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57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82941A1 (en) * | 2023-10-20 | 2025-04-24 | Pss Belgium Nv | Loudspeakers and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4956A (en) * | 1995-06-30 | 1997-01-29 | 김광호 | Speaker unit |
-
2018
- 2018-07-13 KR KR1020180081416A patent/KR1020257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4956A (en) * | 1995-06-30 | 1997-01-29 | 김광호 | Speaker un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82941A1 (en) * | 2023-10-20 | 2025-04-24 | Pss Belgium Nv | Loudspeakers and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30022B2 (en) | Multi-functional pronunciation body | |
KR102032166B1 (en) | Panel excitation type speaker | |
CN209526876U (en) | A kind of loudspeaker | |
KR102014768B1 (en) | Two-way speaker | |
US10129654B2 (en) | Miniature loudspeaker | |
KR102025768B1 (en) | Speaker | |
CN207475864U (en) | A kind of sound-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987464B1 (en) | Directional speakers | |
KR102115387B1 (en) | The compositive speaker with moving magnetic circuit type | |
KR101046087B1 (en) | speaker | |
KR20080085467A (en) | speaker | |
CN208158862U (en) | A kind of sounding device | |
CN207475865U (en) | A kind of sound-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7560608A (en) | Speaker and speaker box | |
CN207652677U (en) | A kind of sound-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086932B1 (en) | speaker | |
KR100962597B1 (en) | speaker | |
KR102048000B1 (en) | Panal excitation type speaker having sound generating part for generating middle and low sound | |
KR101086950B1 (en) | Speaker system | |
KR102085845B1 (en) | High power microspeaker having a structure for rocking of a voicecoil | |
KR101564216B1 (en) | Voice coil and speaker using the same | |
CN106658312A (en) | Loudspeaker | |
KR101902378B1 (en) | Speaker system | |
KR102038000B1 (en) | Speaker | |
KR20110085102A (en) | 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