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3928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28B1
KR102023928B1 KR1020120135601A KR20120135601A KR102023928B1 KR 102023928 B1 KR102023928 B1 KR 102023928B1 KR 1020120135601 A KR1020120135601 A KR 1020120135601A KR 20120135601 A KR20120135601 A KR 20120135601A KR 102023928 B1 KR102023928 B1 KR 10202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red
emitting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833A (ko
Inventor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28B1/ko
Priority to CN201310526047.7A priority patent/CN103839968B/zh
Priority to US14/079,769 priority patent/US9059431B2/en
Publication of KR2014006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6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heteroatoms per 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저계조에서의 롤 오프 특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발광층의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 상기 적색 발광층과 접촉하는 전자 수송층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의 차이는 ±25nm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저계조에서의 롤 오프 특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구비하며,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셀의 비표시기간동안 누설되는 전류가 발광셀에 흐르게 되어 명암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적색 발광셀의 적색 발광층이 인광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적색 발광층은 내부 양자 효율이 매우 높아 블랙을 구현하는 0계조의 낮은 누설 전류에도 쉽게 발광될 수 있다. 이 때, 적색 발광셀만 발광함에도 불구하고, 적색 발광셀의 미세 발광 영향으로 적색 발광셀의 양측에 위치하는 녹색 및 청색 발광셀도 0계조에서 발광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다. 이에 따라, 적색 발광셀 뿐만 아니라 녹색 및 청색 발광셀까지도 명암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색 발광층이 인광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적색 발광층은 다른 녹색 및 청색 발광층에 비해 효율이 가장 높아 롤 오프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류에서 고전류로 갈수록 적색 발광층에서 발현되는 효율이 점차 감소하는 롤 오프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저계조에서 높은 효율을 발현하다 급격히 효율이 낮아지므로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저계조에서 적색 발광층의 효율 변화에 따라 계조별 감마 곡선 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저계조에서의 롤 오프 특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발광층의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 상기 적색 발광층과 접촉하는 전자 수송층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의 차이는 ±25nm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발광층은 함량이 50%를 초과하는 상기 적색 호스트와, 함량이 50% 미만인 적색 도펀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수송층은 두가지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발광층의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 상기 전자 수송층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물질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의 차이는 ±25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색 호스트는 455nm~470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지며, BeBq2와 같은 Be complex계열, CBP계열, CDBP계열, Balq3계열, Alq3계열, mCP계열, BCP계열, TAZ계열 또는 UGH계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수송층은 435nm ~495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고, R1 및 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 환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며, R3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치환된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이며, X는 NR4,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며, R4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5
이외에도 상기 전자 수송층은 435nm ~495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6 및 7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7
상기 제2 전극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극은 100~400Å의 두께를 가지며, 면저항이 15Ω이하이며, 상기 제 2 전극은 일함수가 3~5.3eV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극 상에 유기층과 무기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발광층의 적색 호스트와 전자 수송층의 에너지를 동등하게 만들어 발광층 내로 주입되는 전자의 양의 변화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저계조시 롤 오프 특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블랙 계조에서의 효율을 종래보다 낮출 수 있어 명암비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류 밀도 대비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수송층으로부터 발광층으로의 전자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류 밀도 대비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계조 대비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 2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계조 대비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셀을 구비한다.
적색, 녹색 발광셀 및 청색 발광셀 각각은 기판(1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102), 정공 주입층(112), 제1 정공 수송층(114), 발광층(110), 전자 수송층(116), 제2 전극(104) 및 전면실링층(120)을 구비한다. 또한, 적색 및 녹색 발광셀은 제1 정공 수송층(114)과 발광층(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정공 수송층(118)을 더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극(102,1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102)이 투명 전극이고, 제2 전극(104)이 불투명 전극인 경우, 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배면 발광 구조이다. 제2 전극(104)이 투명 전극이고, 제1 전극(102)이 불투명 전극인 경우, 상부로 광을 출사하는 전면 발광 구조이다. 제1 및 제2 전극(102,104) 모두 투명 전극인 경우, 상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양면 발광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102)이 애노드로서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04)이 캐소드로서, 불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극(102)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이하,ITO), IZO(Indum Zinc Oxide; 이하,IZO)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제2 전극(104)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제2 전극(104)을 이루는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104)을 이루는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2O,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며, 전자 이동을 도와 발광층(110)으로 전자들이 많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전극(104)은 100~400Å의 두께를 가지며, 면저항이 15Ω이하이며, 일함수가 3~5.3eV보다 작게 형성된다.
정공 주입층(112)은 제1 전극(102)으로부터의 정공을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18)에 공급한다.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18)은 정공 주입층(112)으로부터의 정공을 각 발광셀의 발광층(110)에 공급한다. 제2 정공 수송층(118)은 청색 발광셀에 형성되지 않고, 녹색 발광셀보다 적색 발광셀에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각 발광셀마다 제2 정공 수송층(118)의 두께를 조절하여 출사광을 보강간섭함으로써 각 발광셀에서의 수직 방향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116)은 제2 전극(104)으로부터의 전자를 각 발광셀의 발광층(110)에 공급한다.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발광층(110) 각각에서는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18)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전자 수송층(116)을 통해 공급된 전자들이 재결합되므로 광이 생성된다. 이 때, 적색(R) 발광층(110)의 두께는 가장 두껍고, 청색(B) 발광층(110)의 두께는 가장 얇고, 녹색(G) 발광층(110)의 두께는 적색(R) 발광층(110)과 청색(B) 발광층(110) 두께의 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각 발광셀마다 발광층(110)의 두께를 조절하여 출사광을 보강간섭함으로써 각 발광셀에서의 수직 방향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면 실링층(12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면 실링층(120)은 유기층과 무기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무기층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1차적으로 차단하도록 알루미늄 옥사이드(AlxOx), 산화실리콘(SiOx), SiNx, SiON 및 Li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유기층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2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유기층은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평탄화 성능을 강화한다. 이러한 유기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자 수송층에서부터 적색 발광층까지의 전자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R) 발광층(110)의 적색 호스트(RH)의 여기 상태 에너지는 전자 수송층(116; ETL)의 여기 상태 에너지보다 낮다. 이 경우, 적색 호스트(RH)의 여기 상태 에너지와 적색 도펀트(RD)의 여기 상태 에너지 간의 갭이 좁아져 전자 수송층(116)으로부터의 전자들이 적색 호스트(RH)를 거치지 않고 적색 도펀트(RD)로 바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초기 낮은 전류에서의 적은 양의 전자 주입시 전자 수송층(116)으로부터의 전자들이 적색 도펀트로 바로 주입되므로 높은 효율을 발생하지만, 전류가 높아지면서 전자의 양의 증가로 전자가 축적되면서 초기 저전류 대비 발광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발광층(110)의 적색 호스트(RH)의 여기 상태 에너지는 전자 수송층(116; ETL)의 여기 상태 에너지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색 호스트(RH)의 여기 상태 에너지는 전자 수송층(116; ETL)의 여기 상태 에너지와 동등하게 형성한다. 이 경우, 적색 호스트(RH)의 여기 상태 에너지와 적색 도펀트(RD)의 여기 상태 에너지 간의 갭이 종래보다 넓어져 전자 수송층(116)으로부터의 전자들이 적색 도펀트(RD)로 바로 이동하지 못하고 적색 호스트(RH)를 통해 적색 도펀트(RD)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전류에서 적은 양의 전자 주입시 전자 이동 경로와 고전류에서 많은 양의 전자 주입시 전자 이동 경로가 동일해진다. 즉, 저전류 및 고전류에서 전자 수송층(116)의 전자들이 일정한 속도로 적색 호스트(RH)를 통해 적색 도펀트(RD)로 이동하므로 발광층(110) 내로 주입되는 전자의 양의 변화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류 증가에 따른 엑시톤 형성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저전류 및 고전류에서 일정한 발광효율이 나타나며, 저계조에서 롤 오프 특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적색 발광층(110)의 적색 호스트의 여기 상태의 에너지와 전자 수송층(116)의 여기 상태의 에너지를 동등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1과 같이 전자 수송층(116)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 (PL(Photo Luminescence) λmax; ETLPLmax)와, 적색 발광층(110)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PL λmax; RHPLmax)는 서로 25nm이내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 때, 적색 발광층(110)은 함량이 50%를 초과하는 적색 호스트와, 함량이 50% 미만인 적색 도펀트로 이루어지며, 전자 수송층(116)은 두가지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적색 발광층(110)의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RHPLmax)와, 전자 수송층(116)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물질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ETLPLmax)와의 차이는 수학식 1과 같이 ±25nm 이내이다.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8
예를 들어, 전자 수송층(116)은 435nm ~495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 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460nm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진다. 이러한 전자 수송층(116)은 화학식 1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Figure 112012098324474-pat00009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고, R1 및 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 환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며, R3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치환된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이며, X는 NR4,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며, R4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다.
이러한 화학식 1을 이용하여 화학식 2 내지 5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의 유도체를 만들어 전자 수송층(116)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0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1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2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3
이외에도, 전자 수송층(116)은 화학식 6 또는 7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4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5
그리고, 적색 호스트는 455nm~470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지며, 화학식 8의 BeBq2와 같은 Be complex계열, 화학식 9와 같은 CBP계열, CDBP계열, 화학식 10과 같은 Balq3계열, Alq3계열, mCP계열, BCP계열, 화학식 11과 같은 TAZ계열 또는 UGH계열로 형성된다.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6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7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8
Figure 112012098324474-pat0001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비교예들의 전류밀도 대비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비교예1은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PL_max)는 525nm이고, 비교예2는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PL_max)는 500nm이고, 비교예3은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PL_max)는 470nm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PL_max)는 455nm인 경우이며, 비교예1 내지 3과 실시 예는 전자 수송층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PL_max)는 460nm인 물질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저전류에서 높은 효율이 나타나지만 급격히 효율이 낮아지는 롤 오프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저전류 및 고전류에서 일정한 발광 효율이 나타나므로 롤 오프 특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비교예 2의 계조 대비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계조 대비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경우, 저계조(예를 들어, 1 계조)에서 적색 발광셀, 녹색 발광셀 및 청색 발광셀이 상대적으로 높은 20cd/A이상의 효율로 발광하게 된다. 반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 저계조(예를 들어, 1계조)에서 적색 발광셀, 녹색 발광셀 및 청색 발광셀이 비교예2보다 낮은 15cd/A 미만의 효율로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교예보다 명암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계조 이하의 저계조에서, 비교예 2는 계조별 효율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계조별 감마 곡선 형성이 어려워 휘도에 따른 색 표현 능력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실시 예는 계조별 효율 차이가 크므로 계조별 감마 곡선 형성이 용이해져 휘도에 따른 색 표현 능력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2 : 제1 전극 104 : 제2 전극
110 : 발광층 116 : 전자 수송층

Claims (10)

  1.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발광층의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 상기 적색 발광층과 접촉하는 전자 수송층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의 차이는 ±25nm이내이며,
    상기 전자 수송층은 435nm ~495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화학식 1>
    Figure 112019059994808-pat00036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고, R1 및 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 환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며, R3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치환된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이며, X는 NR4, 유황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며, R4는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안트라세닐, 또는 방향족 복소환 또는 방향족환 집합으로부터 유도된 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59994808-pat00037

    <화학식 3>
    Figure 112019059994808-pat00038

    <화학식 4>
    Figure 112019059994808-pat00039

    <화학식 5>
    Figure 112019059994808-pat00040

    <화학식 6>
    Figure 112019059994808-pat00041

    <화학식 7>
    Figure 112019059994808-pat0004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은 함량이 50%를 초과하는 상기 적색 호스트와, 함량이 50% 미만인 적색 도펀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 수송층은 두가지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발광층의 적색 호스트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 상기 전자 수송층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물질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와의 차이는 ±25nm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호스트는 455nm~470nm 미만의 광 발광 피크의 최대치를 가지며, BeBq2와 같은 Be complex계열, CBP계열, CDBP계열, Balq3계열, Alq3계열, mCP계열, BCP계열, TAZ계열 또는 UGH계열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100~400Å의 두께를 가지며, 면저항이 15Ω이하이며,
    상기 제 2 전극은 일함수가 3~5.3eV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상에 유기층과 무기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20135601A 2012-11-27 2012-11-2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tive KR10202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601A KR102023928B1 (ko) 2012-11-27 2012-11-2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201310526047.7A CN103839968B (zh) 2012-11-27 2013-10-30 有机发光显示器
US14/079,769 US9059431B2 (en) 2012-11-27 2013-11-1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601A KR102023928B1 (ko) 2012-11-27 2012-11-2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833A KR20140067833A (ko) 2014-06-05
KR102023928B1 true KR102023928B1 (ko) 2019-09-23

Family

ID=5077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601A Active KR102023928B1 (ko) 2012-11-27 2012-11-2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59431B2 (ko)
KR (1) KR102023928B1 (ko)
CN (1) CN103839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9196B2 (ja) 2013-03-15 2017-05-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4091895B (zh) * 2014-06-30 2016-10-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160069044A (ko) * 2014-12-05 2016-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CN106129265B (zh) * 2016-09-09 2018-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
CN107845731A (zh) * 2016-09-19 2018-03-2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CN108717941B (zh) 2018-05-28 2020-11-0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有机发光显示装置
CN108598134A (zh) * 2018-05-30 2018-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8077313A (zh) * 2021-10-14 2024-05-2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860A (ja) 2006-09-06 2008-04-17 Fujifil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20130140535A1 (en) 2011-12-05 2013-06-06 Au Optronics Corp. Pixel structure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07B1 (ko) * 2007-12-31 2013-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82937B1 (ko) * 2008-12-02 2016-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334545B2 (en) * 2010-03-24 2012-12-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860A (ja) 2006-09-06 2008-04-17 Fujifil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20130140535A1 (en) 2011-12-05 2013-06-06 Au Optronics Corp. Pixel structure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39968B (zh) 2016-09-28
KR20140067833A (ko) 2014-06-05
US9059431B2 (en) 2015-06-16
CN103839968A (zh) 2014-06-04
US20140145163A1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9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60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8499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811531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12654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N103915570B (zh) 有机发光显示器件
KR1019807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97739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03794629B (zh) 有机发光显示设备
CN106848084B (zh) 一种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含有其的电子设备
CN103165817A (zh) 串联型白色有机发光器件
KR10146948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9786863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85948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0811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15498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198077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023022A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电子设备
CN106409877A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0893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285953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16006696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5002761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11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449721A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6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