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3915B1 -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15B1
KR102023915B1 KR1020180006428A KR20180006428A KR102023915B1 KR 102023915 B1 KR102023915 B1 KR 102023915B1 KR 1020180006428 A KR1020180006428 A KR 1020180006428A KR 20180006428 A KR20180006428 A KR 20180006428A KR 102023915 B1 KR102023915 B1 KR 10202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alcohol
calamine
water cosm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204A (ko
Inventor
고은아
전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적정 비율로 혼합한 유화제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칼라민을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키면서도 이에 의해 우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또는 안색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O/W TYPE COSMETIC COMPOSITION OF SHAPE-MEMORY PHENOMENON CONTAINING STABILIZED CALAMINE}
본 발명은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칼라민(Calamine)는 산화아연과 산화철을 혼합하여 얻은 담홍색 분말로서, 주로 피부가 약한 사람이나 여드름성 피부의 개선 또는 가려움증, 습진 진정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식약처 고시 제2010-99호 화장품 원료 지정에 관한 규정에 의해 화장품에도 가능해져 스킨 또는 로션의 기제(Base)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칼라민 로션의 산화아연 성분은 소염, 진정, 가려움증 완화 및 보호 작용을 하여, 민감하거나 약한 피부, 여드름 피부 및 자외선에 의해 민감해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를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중유형 제형에서 칼라민을 구성하는 산화아연은 부분적으로 해리되면서 전하를 띄는 이온 형태로 형성되고, 이의 이온반발력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 자체가 적정한 점도와 경도를 갖는 제형으로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칼라민이 적용된 수중유형 제형의 경우 크림상, 겔상 등의 형태로 형성되기 어려웠으며, 대부분 흐름성이 있는 로션상으로의 제조만 가능함에 따라 제형이 다양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0803호에서는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액상 제품, 로션, 에센스, 크림, 비비크림, 스틱상 제품 또는 밤타임 제품 등의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158호에서는 살리실산 없이 산화아연 또는 이의 수화물, 및 산화철 또는 이의 수화물 즉, 칼라민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수분함유 저하 또는 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칼라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대부분 유중수형 제형으로 형성되며, 다량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계열의 유화제 또는 담체를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감이 무겁고, 번들거림이 심하여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종래기술에서는 칼라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스킨, 로션, 흐름성이 있는 크림 등의 제형으로 형성하고 있을 뿐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크림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08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1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민을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켜 우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또는 안색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칼라민(Calamine), 유화제 조성물, pH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및 트리데세스-6(Trideceth-6)를 포함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화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및 상기 트리데세스-6(Trideceth-6)를 1 : 0.01 ~ 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칼라민 0.01 ~ 20 중량%, 상기 유화제 조성물 0.01 ~ 20 중량%, 상기 pH 조절제 0.1 ~ 4 중량%, 상기 오일 0.1 ~ 30 중량%, 상기 고급 알코올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20 ~ 50 dyne/cm2 일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또는 피부 안색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h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및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향료, 안료, 방부제, 살균제, 증점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매화제, 금속이온 봉쇄제, 청량화제, 방취제, 가용화제, 유화 안정제, 킬레이트제, 케이킹방지제, 보습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 혈관 확장제, 혈행 촉진제 및 피부기능 항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적정 비율로 혼합한 유화제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칼라민을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칼라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또는 안색 개선 효과는 우수할 수 있으며,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크림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고, 수중유형으로 형성되어 산뜻하면서도 청량한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pH 변화 또는 염 농도 변화에도 일정한 점도 및 경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4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3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4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외부 자극으로 그 형상이 변화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칼라민(Calamine), 유화제 조성물, pH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화제 조성물로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및 트리데세스-6(Trideceth-6)를 포함함에 따라, 칼라민을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칼라민 0.01 ~ 20 중량%, 상기 유화제 조성물 0.01 ~ 20 중량%, 상기 pH 조절제 0.1 ~ 4 중량%, 상기 오일 0.1 ~ 30 중량%, 상기 고급 알코올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칼라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또는 안색 개선 효과는 우수할 수 있으며,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크림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고, 수중유형으로 형성되어 산뜻하면서도 청량한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pH 변화 또는 염 농도 변화에도 일정한 점도 및 경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의 수상부는 칼라민, 유화제 조성물, pH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한다.
칼라민(Calamine)은 산화아연(Zinc oxide, ZnO 99.5 %)과 산화철(Ferric oxide, Fe2O3 0.5 %)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담홍색 분말로, 보통 스킨 로션이나 연고 등에 사용된다. 칼라민은 주로 소염, 진정, 가려움증 완화 및 보호 작용을 하여 민감하거나 약한 피부, 여드름 피부 및 자외선에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시켜주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과 산화철의 비율은 상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산화철은 바람직하게는 산화제이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칼라민을 0.0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칼라민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칼라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또는 안색 개선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칼라민을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칼라민이 제형 내에 안정화되지 못하여 피부 가려움증 개선 또는 안색 개선 효과가 저하되며,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꾸덕해져 형상 기억 현상을 갖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유화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및 트리데세스-6(Trideceth-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조성물로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함에 따라,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형성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칼라민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켜, 염 농도 및 pH 변화에도 안정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친유성을 갖도록 변형된 비이온성 폴리우레탄(Nonionic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urethane, HEUR)으로서, 수상에서 초분자(Supermolecular) 구조를 형성하는 회합성(Associative) 고분자의 일종이며, 양친매성으로 강력한 유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즉, 폴리우레탄-62는 유화제로서 우수한 유화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형의 안정성, 적정 점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트리데세스-6(Trideceth-6)은 팜오일 등 식물성 오일에서 유래한 비이온성 유화제로,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06037908-pat00001
특히, 본 실시예의 유화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칼라민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칼라민이 안정화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적정한 점도와 경도를 갖도록 하여 형상 기억 현상을 갖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화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03 ~ 1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05 ~ 0.5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0.07 ~ 0.3 중량비의 혼합 비율(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화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62에 대해 트리데세스-6이 0.01 미만의 중량비로 혼합될 경우에는 칼라민의 안정화가 어렵고,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제형의 구현이 어려우며 흐름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폴리우레탄-62에 대해 트리데세스-6이 2를 초과하는 중량비로 혼합될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증가하여 형상 기억 현상의 구현이 어렵고, 칼라민의 안정화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유화제 조성물을 0.0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유화제 조성물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칼라민의 안정화가 어렵고, 수상부 및 유상부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며, 형상 기억 현상을 갖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유화제 조성물을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흐름성이 커져 로션과 같은 제형을 가지며, 이에 의해 형상 기억 현상을 갖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pH 조절제는 칼라민에 의해 높아진 pH를 낮춰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pH 조절제는 구연산 나트륨, 염화 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pH 조절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pH 조절제를 0.1 ~ 4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pH 조절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높아 피부에 자극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pH 조절제를 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상부는 물을 포함하며, 상기 물 이외에 각 성분의 혼합을 위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유상부는 오일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한다.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 유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일은 유연화제, 보습제, 증점제, 분산제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종류의 오일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오일은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 Cyclopentasiloxane), 옥타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Octamethyl Cyclopentasiloxane) 등의 고리형 실리콘 오일; 탄소원자수 8-20개의 탄화수소의 휘발성 오일; 식물성스쿠알란(Phytosqualane), 에칠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Malate),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y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등의 실리콘 오일;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세레신(Ceresin),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파라핀왁스(Paraffin Wax),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레시틴(Lecithin),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Polyhydroxystearic Acid),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스테아릭애씨드(Isostearic Acid), 스테아로일이눌린(Stearoyl Inulin),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silylate) 등의 증점제; 및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고급 알코올(Fatty Alcohol), 지방산(Fatty Acid)이나 고급 알코올(Higher Alcohol) 등의 분산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0.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보습감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수중유형의 제형 형성이 어려워 형상 기억 현상을 갖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사용 시 사용감이 무겁고, 텁텁하며, 번들거림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어 층분리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고급 알코올은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 시 발림성 및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고급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h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및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된 모든 고급 알코올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고급 알코올을 0.1 ~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5 ~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고급 알코올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사용감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고급 알코올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흐름성이 커져 형상 기억 현상을 갖기 어려우며, 피부 도포 시 밀착성이 저하되고, 쫀득한 사용감 등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약 20 ~ 50 dyne/cm2 으로 형성되어, 형상 기억 현상의 구현이 가능하면서 발림성, 사용감, 도포 시 밀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칼라민, 유화제 조성물, 물, 오일, 고급 알코올 이외에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향료, 안료, 보존제, 살균제, 증점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매화제, 금속이온 봉쇄제, 청량화제, 방취제, 가용화제, 유화 안정제, 킬레이트제, 케이킹방지제, 보습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 콜라겐 합성제,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 혈관 확장제, 혈행 촉진제, 컨디셔닝제 및 피부기능 항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 보조제, 담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안정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테아릴 알코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증점제로는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스쿠알란, 잔탄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백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콜라겐 합성제로는 아데노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보습제 또는 컨디셔닝제로는 메칠프로판디올, 스쿠알란,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아이크림,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 및 2에 따라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2는 표 1에 개시된 유화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의 혼합 중량비를 기재한 것이다.
실시예 ( 중량% ) 1 2 3 4 5 6
수상부 to.100
메칠프로판디올 6.0 6.0 6.0 6.0 6.0 6.0
칼라민 3.0 3.0 3.0 3.0 3.0 3.0
유화제 조성물 1.3 1.3 1.3 1.3 1.3 1.3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5 0.5 0.5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 60 0.1 0.1 0.1 0.1 0.1 0.1
잔탄검 0.1 0.1 0.1 0.1 0.1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4 0.04 0.04 0.04 0.04 0.04
1,2-헥산디올 2.0 2.0 2.0 2.0 2.0 2.0
구연산 나트륨 1.0 1.0 1.0 1.0 1.0 1.0
유상부 스쿠알란 0.4 0.4 0.4 0.4 0.4 0.4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5.0 5.0 5.0 5.0 5.0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세테아릴알코올 1.2 1.2 1.2 1.2 1.2 1.2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0.05 0.05
실시예 1 2 3 4 5 6
유화제 조성물(혼합 중량비) 폴리우레탄-62 1 1 1 1 1 1
트리데세스-6 0.1 0.3 0.5 1 0.007 2.5
비교예
비교예 1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폴리우레탄-62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트리데세스-6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내지 12
하기 표 3 및 4의 조성비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 중량% ) 5 6 7 8
수상부 to.100
메칠프로판디올 6.0 6.0 6.0 6.0
칼라민 0.005 25 3.0 3.0
유화제 조성물 1.3 1.3 0.005 25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5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 60 0.1 0.1 0.1 0.1
잔탄검 0.1 0.1 0.1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4 0.04 0.04 0.04
1,2-헥산디올 2.0 2.0 2.0 2.0
구연산 나트륨 1.0 1.0 1.0 1.0
유상부 스쿠알란 0.4 0.4 0.4 0.4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5.0 5.0 5.0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세테아릴알코올 1.2 1.2 1.2 1.2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비교예 ( 중량% ) 9 10 11 12
수상부 to.100
메칠프로판디올 6.0 6.0 6.0 6.0
칼라민 3.0 3.0 3.0 3.0
유화제 조성물 1.3 1.3 1.3 1.3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0.5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 60 0.1 0.1 0.1 0.1
잔탄검 0.1 0.1 0.1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4 0.04 0.04 0.04
1,2-헥산디올 2.0 2.0 2.0 2.0
구연산 나트륨 1.0 1.0 1.0 1.0
유상부 스쿠알란 0.05 10.0 0.4 0.4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0.05 10.0 5.0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05 15.0 5.0 5.0
세테아릴알코올 1.2 1.2 0.01 15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실험예
실험예 1 : 칼라민 안정화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칼라민 안정화 확인을 위해, 이의 전자현미경 확대 사진을 도 1 내지 6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관찰한 것으로, 평균입경이 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대부분 1 ~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유화 입자가 고르고, 밀도 있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4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관찰한 것으로, 평균입경이 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대부분 1 ~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유화 입자가 고르고, 밀도 있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실시예 1에 비해 불균일한 입자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상기 도 1 내지 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입자가 5 마이크로미터 이내의 약 1 ~ 2 마이크로미터의 입경을 가지며, 균일하면서도 밀도 높게 입자가 분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민이 제형 내에 안정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 4에 비해 실시예 1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더욱 균일하며 밀도 높은 입자가 분포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유화제 조성물로서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의 혼합비율이 1 : 0.07 ~ 0.3일 때, 칼라민의 안정화 정도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폴리우레탄-62만을 사용한 비교예 1로서, 입자들의 분포 또는 밀도가 불균일하며, 전반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들이 형성되었다. 도 4는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트리데세스-6만을 사용한 비교예 2로서, 입자들의 분포 또는 밀도가 불균일하며, 전반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들이 형성되었다. 이는 칼라민이 제형 내에 충분히 안정화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도 5는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을 사용한 비교예 3을 도시한 도면으로, 입자들의 분포 또는 밀도가 불균일하며, 전반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들이 다수 형성되었다. 도 6은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을 사용한 비교예 4를 도시한 도면으로, 입자들의 분포 또는 밀도가 불균일하며, 전반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들이 다수 형성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화제 조성물이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칼라민이 제형 내에 충분히 안정화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형상 기억 현상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담은 뒤, 레오미터(Rheo meter, 모델명 : NRM-2002J)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더 상세히, 2 cmΦ의 반경을 갖는 핀을 준비하고, 상기 핀의 끝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서부터 약 15 mm 깊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핀을 제거하였다. 이 후, 화장료 조성물에 생긴 홈(파인 자국)이 메워지면서 표면이 완전히 평평해지는 데 걸린 시간(초, s)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형상 기억 현상 평가를 위해, 시중에 판매되는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화장품(예 : 더샘 그린 피그 콜라겐 젤라 팩)을 상기에 따라 시험한 결과, 약 30 ~ 50 초의 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시간(s) 시간(s)
실시예 1 34 비교예 4 60
실시예 2 38 비교예 5 45
실시예 3 44 비교예 6 314
실시예 4 48 비교예 7 -
실시예 5 64 비교예 8 -
실시예 6 59 비교예 9 457
비교예 1 74 비교예 10 -
비교예 2 - 비교예 11 403
비교예 3 208 비교예 12 -
상기 표 5를 보면, 본 실시예와 유화제 조성물이 상이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실시예에 비해 최대 7 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유화제 조성물이 상이할 경우에는 형상 기억 현상을 거의 구현해내지 못함을 의미한다.
더 상세히, 실시예 1 내지 4 및 실시예 5 내지 6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화제 조성물로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모두 포함하여도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형상 기억 현상의 구현 능력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화제 조성물을 대신하여 트리데세스-6만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흐름성이 높아, 형상 기억 현상의 평가 자체가 어려웠다.
칼라민이 과량 사용된 비교예 6의 경우에는 제형이 꾸덕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데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비교예 6의 경우 형상 기억 현상을 거의 구현해내지 못함을 의미한다.
유화제 조성물이 소량 사용된 비교예 7의 경우 유화제 조성물에 의한 유화가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점성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흐름성이 매우 커 형상 기억 현상의 평가가 어려웠다.
오일이 소량 사용된 비교예 9 및 고급 알코올이 소량 사용된 비교예 11의 경우 제형이 꾸덕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데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비교예 9 및 11의 경우 형상 기억 현상을 거의 구현해내지 못함을 의미한다.
한편, 유화제 조성물이 과량 사용된 비교예 8 및 고급 알코올이 과량 사용된 비교예 12의 경우에는 경도가 높게 형성되고, 탄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부스러지기 쉬운 제형으로 형성되어, 형상 기억 현상의 평가 자체가 어려웠다. 또한, 오일이 과량 사용된 비교예 10의 경우에는 유상부와 수상부의 층분리 현상이 심하여, 현상 기억 현상의 평가 자체가 어려웠다.
실험예 3 : 염 농도 변화에 따른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를 약 1 중량% ~ 약 3 중량% 로 조절하면서(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경도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경도는 Rheo meter[모델명 : NRM-2002J]로 측정하였으며, 경도는 2cmφ 반경 핀으로 제형 표면에서부터 15mm까지 하강(속도 : 30 cm/min)하는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경도 구연산나트륨
1 중량%
구연산나트륨
2 중량%
구연산나트륨
3 중량%
실시예 1 30 31 29
실시예 2 37 34 31
실시예 3 41 43 30
실시예 4 80 85 95
실시예 5 20 31 47
실시예 6 86 96 108
비교예 1 26 39 69
비교예 2 12 56 55
비교예 3 124 109 144
비교예 4 47 65 80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구연산 나트륨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경도의 편차가 크지 않은 바, 본 실시예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염(구연산 나트륨)의 농도가 변화하여도 안정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실시예 1 내지 6에서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5 및 6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4 보다 경도 변화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하는 유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되,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더욱 안정한 제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구연산 나트륨의 농도가 변함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의 pH 또한 변화되는바,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은 pH 변화에도 안정한 제형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 가려움증 및 안색 개선 정도 평가
(1) 가려움증 개선 정도 평가
하기와 같은 선정조건에 부합하는 시험대상자를 선별하여, 약 10 명씩 약 18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후, 각각의 그룹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12에 따라 제조된 크림을 매일 2회씩(아침/저녁), 30일 동안 가려움증을 느끼는 부위에 도포하도록 한 다음, 개선 여부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7에 이를 나타내었다.
- 피부 수분함유량 평균값이 29 이하인 만 25 ~ 55세 여성 : 피부 수분함유량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eny)으로 측정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가려움증 개선도 평가는 VAS(Visual Analog Scale Assessment)로 평가하였으며, 시험대상자가 느끼는 가려움의 정도를 시험 전 및 30 일 후에 각각 기재하도록 한 후 이의 평균값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 0 점 : 가려움 없음
- 1 ~ 3 점 : 무의식중에 긁음(생활이나 수면방해 없음)
- 4 ~ 6 : 대부분의 시간 동안 생활, 수면을 방해하는 소양감
- 10 점 : 가려움으로 생활과 수면 장애가 심함
초기
가려움증 정도
30일 후
가려움증 정도
초기
가려움증 정도
30일 후
가려움증 정도
실시예 1 6.4 0.8 비교예 4 6.3 4.2
실시예 2 6.4 1.3 비교예 5 6.5 6.2
실시예 3 6.4 1.7 비교예 6 6.4 4.8
실시예 4 6.3 1.8 비교예 7 6.3 5.3
실시예 5 6.8 4.0 비교예 8 6.2 4.2
실시예 6 6.6 3.2 비교예 9 6.5 4.4
비교예 1 6.7 4.7 비교예 10 6.7 4.8
비교예 2 6.8 4.7 비교예 11 6.6 3.6
비교예 3 6.6 4.3 비교예 12 6.4 3.9
상기 표 7을 보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가려움증 개선 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5 및 6의 경우 가려움증 개선 정도는 비교예 비해서는 높으나,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5 및 6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칼라민이 충분히 안정화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비교를 통해, 유화제 조성물로서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함에 따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칼라민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충분히 안정화되어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와 및 비교예 1 내지 4를 비교하면,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하는 유화제 조성물이 아닌 다른 유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가려움증 개선 정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칼라민이 충분히 안정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2) 안색 개선 정도 평가
하기와 같은 선정조건에 부합하는 시험대상자(육안으로 확인 시 피부톤 및 잡티 정도가 유사한 자)를 선별하여, 약 10 명씩 약 18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후, 각각의 그룹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12에 따라 제조된 크림을 매일 2회씩(아침/저녁), 30일 동안 얼굴 전체에 도포하도록 한 다음, 개선 여부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8에 이를 나타내었다.
상기 안색 개선 정도는 시험 전과 약 30일 후에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ΔL)를 측정함으로써,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하기에는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이때, 밝기변화(ΔL)가 클수록 안색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 피부 수분함유량 평균값이 29 이하인 만 25 ~ 55세 여성 : 피부 수분함유량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eny)으로 측정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ΔL ΔL
실시예 1 6.5 비교예 4 2.1
실시예 2 5.9 비교예 5 0.6
실시예 3 5.0 비교예 6 3.1
실시예 4 4.9 비교예 7 2.1
실시예 5 3.1 비교예 8 2.1
실시예 6 3.8 비교예 9 2.1
비교예 1 1.9 비교예 10 2.5
비교예 2 2.0 비교예 11 3.2
비교예 3 2.2 비교예 12 3.1
상기 표 8을 보면,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안색 개선 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5 및 6의 경우 안색 개선 효과가 비교예에 비해서는 높으나,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5 및 6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칼라민이 충분히 안정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비교를 통해, 유화제 조성물로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함에 따라 안색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1 : 0.0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칼라민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충분히 안정화되어 안색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와 및 비교예 1 내지 4를 비교하면, 폴리우레탄-62 및 트리데세스-6을 포함하는 유화제 조성물이 아닌 다른 유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안색 개선 정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칼라민이 충분히 안정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색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 결과를 종합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칼라민이 안정화됨에 따라 피부 가려움증과 안색이 개선될 수 있으며, 제형이 안정하면서도 형상 기억 현상의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칼라민(Calamine), 유화제 조성물, pH 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오일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 조성물은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및 트리데세스-6(Trideceth-6)를 포함하되,
    상기 유화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우레탄-62(Polyurethane-62) 및 상기 트리데세스-6(Trideceth-6)를 1 : 0.01 ~ 2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칼라민 0.01 ~ 20 중량%, 상기 유화제 조성물 0.01 ~ 20 중량%, 상기 pH 조절제 0.1 ~ 4 중량%, 상기 오일 0.1 ~ 30 중량%, 상기 고급 알코올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20 ~ 50 dyne/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또는 피부 안색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h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및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향료, 안료, 방부제, 살균제, 증점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매화제, 금속이온 봉쇄제, 청량화제, 방취제, 가용화제, 유화 안정제, 킬레이트제, 케이킹방지제, 보습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 혈관 확장제, 혈행 촉진제 및 피부기능 항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6428A 2018-01-18 2018-01-18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02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28A KR102023915B1 (ko) 2018-01-18 2018-01-18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28A KR102023915B1 (ko) 2018-01-18 2018-01-18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04A KR20190088204A (ko) 2019-07-26
KR102023915B1 true KR102023915B1 (ko) 2019-09-23

Family

ID=6746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428A Active KR102023915B1 (ko) 2018-01-18 2018-01-18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778A1 (en) * 2021-12-14 2023-06-22 Guanche Anna D Long chain fatty acid compound colloidal sulfur formulatons comprising functional ingredients for acne treatment and other appl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92B1 (ko) * 2020-04-10 2020-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82936B1 (ko) * 2022-11-02 2023-09-27 한국콜마주식회사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8448A (ja) 2011-10-03 2014-10-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ヘアケア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590803B1 (ko) * 2015-03-30 2016-02-02 (주)셀트리온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079B1 (ko) * 2011-11-18 2018-08-28 (주)아모레퍼시픽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키트
KR20140119452A (ko) * 2013-04-01 2014-10-10 (주)아모레퍼시픽 멘톨 및 그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503158B1 (ko) 2013-10-14 2015-03-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8448A (ja) 2011-10-03 2014-10-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ヘアケア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590803B1 (ko) * 2015-03-30 2016-02-02 (주)셀트리온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778A1 (en) * 2021-12-14 2023-06-22 Guanche Anna D Long chain fatty acid compound colloidal sulfur formulatons comprising functional ingredients for acne treatment and other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04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472B1 (ko) 화장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2963A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2291A (ko)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915B1 (ko)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EP2042159B1 (en) Agent for improving fine wrinkles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590803B1 (ko)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4379B1 (ko)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E212019000314U1 (de) Stabilisierte Emulsionen mit säurehaltigen Mitteln
KR20130042918A (ko) 피부 유수분 밸런스 유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446098A2 (de) Mittel zum schutz der haut
KR10130116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트리베헤닌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3982B1 (ko)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유중폴리올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EP2550955A1 (en) Emulsion composition
KR20090085246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759744B1 (ko) 즉각적인 수분감과 보송한 마무리감을 제공하는 고내상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2A (ko)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15699A (ja) 皮膚化粧料
KR102321531B1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