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3172B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172B1
KR102023172B1 KR1020180015251A KR20180015251A KR102023172B1 KR 102023172 B1 KR102023172 B1 KR 102023172B1 KR 1020180015251 A KR1020180015251 A KR 1020180015251A KR 20180015251 A KR20180015251 A KR 20180015251A KR 102023172 B1 KR102023172 B1 KR 10202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tensive
steam
cover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747A (ko
Inventor
중량 티엔
신 리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시앙티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469844.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6404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777532.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76203U/zh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시앙티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시앙티엔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기밥솥은 기기 베이스, 물저장 어셈블리, 가열 어셈블리, 스팀배출 어셈블리 및 압력조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물저장 어셈블리는 하우징 바디, 물저장 탱크 및 에너지 집약 커버를 포함하고, 하우징 바디는 기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물저장 탱크는 하우징 바디 내에 설치되고,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 내에 설치되고,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를 에너지 집약 커버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캐비티와 에너지 집약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캐비티로 분할되고,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 사이에는 수류 채널이 있다. 가열 어셈블리는 하우징 바디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위치한다. 스팀배출 어셈블리는 스팀 탱크와 스팀 프레임을 포함하고, 스팀 탱크는 물저장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스팀 탱크와 에너지 집약 커버 사이는 도통 채널을 형성하고, 도통 채널은 각각 스팀 탱크 내부 및 에너지 집약 커버의 내부와 연통하고, 스팀 프레임과 스팀 탱크 사이는 스팀배출 캐비티를 형성한다. 압력조정 어셈블리는 기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물저장 탱크와 연통하고, 압력조정 어셈블리는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물저장 탱크 내의 물이 수류 채널과 도통 채널을 통하여 스팀 탱크로 진입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스팀 탱크 내의 물이 물저장 탱크 내로 돌아와 흡수되도록 만든다.

Description

전기밥솥 {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가정용 전기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전기밥솥은 밥을 지을 때 대부분이 물과 쌀을 전기밥솥 라이너에 넣고 솥뚜껑을 덮은 후 전기로 가열하는 방식을 이용해 밥 짓기를 자동으로 완성한다. 종래의 전기밥솥으로 밥을 지을 경우, 쌀 내의 전분이 먼저 대량으로 물에 용해되며, 전분이 고온으로 인해 호화(gelatinization), 겔화(gelation)된 후 수분이 마르면서 호화, 겔화된 전분이 다시 쌀 표층에 흡착되기 때문에, 쌀밥이 끈적끈적해지면서 식감이 다소 떨어지게 된다.
중국식 찐 밥은 쌀 내의 전분이 대량으로 밥물에 남기 때문에 찐 밥의 당분함량이 적고 쌀알이 보송보송해 포만감을 주며 식감도 비교적 우수하여 사람들의 음식 건강에 대한 요구 기준에 더욱 부합한다. 종래에 있어서 중국식 찐 밥용 전기밥솥은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의 내부에 라이너 승강 기구를 설치하며, 담금 절차가 완료되면 승강 기구가 라이너를 상승시켜 물을 걸러낸 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쌀을 찐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증기를 이용해 밥을 찌는 전기밥솥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며, 물의 진입과 걸러짐이 순조롭지 않고 가열 시 종종 모든 물이 가열되기 때문에 증기의 생성 속도가 느려 밥을 짓는 시간이 비교적 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국식 찐 밥을 짓는 설비 중 물의 진입과 걸러짐이 순조롭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의 걸러짐이 순조롭고 중국식 찐 밥을 지을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기밥솥은 기기 베이스, 물저장 어셈블리, 가열 어셈블리, 스팀배출 어셈블리 및 압력조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물저장 어셈블리는 하우징 바디, 물저장 탱크 및 에너지 집약 커버를 포함하고, 하우징 바디는 기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물저장 탱크는 하우징 바디 내에 설치되고,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 내에 설치되고,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를 에너지 집약 커버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캐비티와 에너지 집약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캐비티로 분할되고,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 사이에는 수류 채널이 있다.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하우징 바디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위치한다. 스팀배출 어셈블리는 스팀 탱크와 스팀 프레임을 포함하고, 스팀 탱크는 물저장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스팀 탱크와 에너지 집약 커버 사이는 도통 채널을 형성하고, 도통 채널은 각각 스팀 탱크 내부 및 에너지 집약 커버의 내부와 연통하고, 스팀 프레임과 스팀 탱크 사이는 스팀배출 캐비티를 형성한다. 압력조정 어셈블리는 기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물저장 탱크와 연통하고,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물저장 탱크 내의 물이 수류 채널과 도통 채널을 통하여 스팀 탱크로 진입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스팀 탱크 내의 물이 물저장 탱크 내로 돌아와 흡수되도록 만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와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는 원추형 구조이고, 원추형의 상단은 스팀 탱크 바닥부에서 돌출되고, 밀봉 부재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와 스팀 탱크가 맞물려 이어지는 지점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의 꼭대기부에 제1 투기공과 제1 투수공이 있고, 제1 투기공은 제1 투수공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1 투기공은 도통 채널과 연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팀 탱크의 바닥부에 피트가 있고, 피트에 제2 투기공과 제2 투수공이 있고, 제2 투기공은 제1 투기공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제2 투수공은 제1 투수공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는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측벽에 투기공이 있고, 투기공은 도통 채널과 연통한다.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는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되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의 꼭대기부는 열린 개구부 형상을 나타내고, 투기공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의 꼭대기부보다 높다. 밀봉 부재는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와 스팀 탱크의 맞물려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바닥부를 따라 꼭대기부까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직경과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의 직경이 모두 점점 감소하고,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측벽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내부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원호 곡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물저장 탱크 바닥부에 에너지 집약 커버와 클램핑되어 연결되는 클램핑 테이블이 있고, 클램핑 테이블 외벽과 에너지 집약 커버 내벽 사이의 간극은 수류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팀 프레임은 차단판과 증기투과판을 포함하고, 증기투과판에는 관통공이 있고, 증기투과판은 차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차단판은 스팀 탱크의 꼭대기부를 향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차단판은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의 상방에 설치하고 차단판의 수직 투영면은 에너지 집약 커버 꼭대기부의 면적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압력조정 어셈블리는 제1 캐비티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에어 펌프와 제1 캐비티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포함하고, 에어 펌프에 공기 진입공이 설치되고, 하우징 바디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제1 캐비티와 공기 진입공을 연통시키는 파이프가 설치되고, 물저장 탱크에 외부 공기를 연통시키는 연통 채널이 설치되고, 압력 릴리프 밸브는 연통 채널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 바닥부에 파이프와 연통하는 돌출대가 설치되고, 기기 베이스에 커플링 지지대가 설치되고, 기기 베이스 내에 커플링 지지대와 연통하는 연통 채널이 설치되고, 연통 채널은 외부 공기와 연통하고, 물저장 어셈블리가 기기 베이스에 설치될 때, 커플링 지지대는 돌출대를 씌우며 연결되고, 돌출대와 커플링 지지대 사이에 연통 채널이 형성되고, 연통 채널은 압력조정 어셈블리와 연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기 베이스는 밀봉 고리를 포함하고, 밀봉 고리는 커플링 지지대를 씌우며 설치되고, 돌출대가 커플링 지지대를 씌우며 연결될 때, 돌출대와 밀봉 고리 사이의 공간은 연통 채널을 형성하고, 밀봉 고리에 연통 채널과 압력조정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중공 기둥머리가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기밥솥은 물저장 탱크 내에 에너지 집약 커버를 설치하며,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를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로 분리하고,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 사이에 수류 채널이 있다. 에너지 집약 커버와 스팀 탱크 사이에 도통 채널이 있고, 압력조정 어셈블리가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변화시킬 때 물저장 탱크 내의 물이 수류 채널과 도통 채널을 통하여 스팀 탱크로 압력을 받아 진입하거나, 또는 반대의 경로를 따라 스팀 탱크 내의 물이 물저장 탱크 내로 되돌아 흡수된다. 스팀배출 캐비티 내에 물을 넣고 거르는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며,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만 하면 물을 넣고 거르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밥을 찌는 단계에서 도통 채널은 증기의 이송 채널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물 채널과 증기 채널을 하나로 복합시켰기 때문에 전기밥솥의 구조를 크게 간소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중국식 찐 밥 설비에서 물을 넣고 거르는 어셈블리가 증기 이송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증기의 가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찐 후의 쌀밥에 아주 우수한 식감을 가져다준다.
그 외,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에 제1 투기공과 제1 투수공을 개설하고, 제1 투기공은 제1 투수공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 내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생성하고 증기 내에 대량의 물방울이 뒤섞이게 만들며, 물방울은 제1 투기공을 통해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 내부로 떨어지고 증기는 제1 투기공과 도통 채널을 통해 스팀배출 캐비티 내로 진입한다. 또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에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가 포함되도록 설치하고,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에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보다 높은 투기공을 개설하고,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 내의 물이 가열될 때 증기에 물방울이 뒤섞여 투기공에서 배출되고, 상기 배출되는 과정에서 중력 작용으로 물방울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 사이의 수용 공간 내로 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증기 중에 뒤섞인 물방울을 제거하는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스팀 프레임 바닥부 쌀밥의 식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스팀 프레임에 차단판과 증기투과판이 포함되도록 설치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 내에서 끓어 튀어 오르는 물방울이 스팀배출 캐비티 내 차단판에 도달하면 이를 스팀배출 캐비티 내로 차단시켜 스팀 프레임에 진입하는 것을 막고, 차단판의 수평 단면적이 에너지 집약 커버의 꼭대기부 표면적보다 크도록 만든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에너지 집약 커버에서 나오는 끓어 튀어 오르는 물방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차단의 품질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장점 등을 더욱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수직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다른 각도에서 수직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바닥 하우징과 기기 베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닥 하우징과 기기 베이스 분해 시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를 물저장 탱크에 연결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서 A지점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의 입체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의 입체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는 에너지 집약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물을 걸러내는 어셈블리의 분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스팀 탱크와 스팀 프레임의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 B 지점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 스팀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바닥 하우징과 커플링 지지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커플링 지지대, 밀봉 고리 및 돌출대 사이의 조립 설명도이고;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의 구조도이다.
도 1과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기기 베이스(1), 물저장 어셈블리(2), 가열 어셈블리(3), 스팀배출 어셈블리(4) 및 압력조정 어셈블리(5)를 포함한다. 물저장 어셈블리(2)는 하우징 바디(21), 물저장 탱크(22) 및 에너지 집약 커버(23)를 포함하고, 하우징 바디(21)는 기기 베이스(1)에 설치되고, 물저장 탱크(22)는 하우징 바디(21) 내에 설치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는 물저장 탱크(22) 내에 설치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는 물저장 탱크를 에너지 집약 커버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캐비티(24)와 에너지 집약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캐비티(25)로 분할되고, 제1 캐비티(24)와 제2 캐비티(25) 사이에는 수류 채널(26)이 있다. 가열 어셈블리(3)는 하우징 바디(21)와 물저장 탱크(22) 사이에 위치한다. 스팀배출 어셈블리(4)는 스팀 탱크(41)와 스팀 프레임(42)을 포함하고, 스팀 탱크(41)는 물저장 어셈블리(2)에 설치되고, 스팀 탱크(41)와 에너지 집약 커버(23) 사이는 도통 채널(43)을 형성하고, 도통 채널(43)은 각각 스팀 탱크(41) 내부 및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내부와 연통하고, 스팀 프레임(42)과 스팀 탱크(41) 사이는 스팀배출 캐비티(44)를 형성한다. 압력조정 어셈블리(5)는 기기 베이스(1)에 설치되어 물저장 탱크(22)와 연통하고, 압력조정 어셈블리(5)는 제1 캐비티(24)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물저장 탱크(22) 내의 물이 수류 채널(26)과 도통 채널(43)을 통하여 스팀 탱크(41)로 진입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스팀 탱크(41) 내의 물이 물저장 탱크(22) 내로 돌아와 흡수되도록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물저장 탱크(22) 내에 에너지 집약 커버(23)를 설치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는 물저장 탱크(22)를 제1 캐비티(24)와 제2 캐비티(25)로 분리하고, 제1 캐비티(24)와 제2 캐비티(25) 사이에 수류 채널(26)을 설치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와 스팀 탱크(41) 사이에 도통 채널(43)을 설치한다. 담금 단계에서 제1 캐비티(24) 내의 물이 압력조정 어셈블리(5)의 작용 하에서 수류 채널(26)을 통해 제2 캐비티(25)로 진입하고, 도통 채널(43)을 통해 스팀 탱크(41)로 진입하고, 스팀 프레임(42)에 위치하는 식재료를 담근다. 식재료가 요구되는 기준까지 물을 흡수하면 압력조정 어셈블리(5)가 제1 캐비티(24)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스팀 탱크(41) 내의 물이 도통 채널(42)과 수류 채널(26)을 따라 제1 캐비티(24) 내로 흘러 돌아온다. 찌는 단계에서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의 물이 가열되어 대량의 증기가 생성되고, 증기는 도통 채널(43)을 통해 스팀 탱크(41) 내로 진입하고, 스팀 프레임(42) 상의 식재료를 찐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도통 채널(43)은 다른 단계에서 다른 매개체를 이송함으로써 물 채널과 증기 채널을 하나로 복합시켜 주기 때문에, 물을 넣고 걸러내는 것이 상당히 순조로울 뿐만 아니라 전체 전기밥솥의 구조를 상당히 긴밀하게 만들어 전기밥솥의 부피를 크게 줄여 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와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저장 탱크(22) 바닥부에 에너지 집약 커버와 클램핑되어 연결되는 클램핑 테이블(224)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내측에 클램핑 테이블(224)과 클램핑되어 연결되는 버클(2313)이 있고, 클램핑 테이블(224)의 외벽과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내벽 사이 간극은 수류 채널(26)을 형성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와 물저장 탱크(22) 사이의 연결 구조가 간단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23)를 물저장 탱크(22)에 연결시키기 편리하고, 수류 채널(26)의 형상 및 구조가 간단하여 아주 우수한 작업 요구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바닥단 또는 바닥면에 물 진입공(2314)이 설치된다. 에너지 집약 커버(23)가 물저장 탱크(22) 내에 설치될 때, 물 진입공(2314)은 에너지 집약 커버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유효한 수중 밀봉이 형성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물저장 탱크 내의 공기가 에너지 집약 커버를 통해 스팀 탱크 내로 진입하여 증기가 식재료를 찌는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는, 도 5와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집약 커버(23)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와 밀봉 부재(232)를 포함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는 원추형 구조이고, 원추형의 상단은 스팀 탱크(41) 바닥부에서 돌출되고, 밀봉 부재(232)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와 스팀 탱크(41)가 맞물려 이어지는 지점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의 꼭대기부에 제1 투기공(2311)과 제1 투수공(2312)이 있고, 제1 투기공(2311)은 제1 투수공(2312)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1 투기공(2311)은 도통 채널(43)과 연통한다.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팀 탱크(41)의 바닥부에 피트(411)가 있고, 피트(411)에 제2 투기공(412)과 제2 투수공(413)이 있고, 제2 투기공(412)은 제1 투기공(2311)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제2 투수공(413)은 제1 투수공(2312)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제1 투기공(2311)과 제2 투기공(412)은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부, 도통 채널(43) 및 스팀 탱크(41)의 내부 3자간의 증기 이송을 구현하고, 제1 투수공(2312)과 제2 투수공(413)은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부, 도통 채널(43) 및 스팀 탱크(41)의 내부 3자간의 물 이송을 구현하였다.
제1 투기공(2311)을 제1 투수공(231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양자는 수직 방향에서 일정한 낙차(H)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분출되는 물방울이 제1 투수공(2312)을 통해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부로 유입되게 만듦으로써, 물방울을 수집하고 분출된 물방울이 증기를 따라 스팀 탱크 내로 진입하여 스팀 프레임 바닥부의 식재료를 호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스팀 프레임 바닥부 식재료의 식감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설치는 제1 투기공(2311)에서 공기가 순조롭게 분출하도록 보장해 주기 때문에 열공기의 공급 효율과 품질을 향상시켜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투기공(2311)과 제1 투수공(2312)는 수직 방향 상의 낙차(H)가 50mm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낙차(H)는 100mm 내의 기타 값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5mm, 10mm, 15mm, 20mm, 25mm, 30mm, 40mm, 50mm, 60mm, 65mm, 70mm, 75mm, 80mm, 90mm, 95mm 또는 100mm일 수 있다.
밀봉 부재(232)는 탄성이 있는 밀봉 고리를 채택해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와 스팀 탱크(41)가 맞물려 연결되는 지점을 밀봉하는 데 사용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 내부와 스팀 탱크(41) 내부를 연통시키고, 밀봉 부재(232)는 제1 투수공(2312)보다 낮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의 원추형 상단은 스팀 탱크(41) 바닥부의 피트(411) 내로 깊이 진입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원추형 상단과 스팀 탱크(41)의 최저 바닥단의 높이차는 P이고, P는 120mm보다 작거나 같다.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의 원추형 구조는 가열한 기체를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 상단에 집약시키기 편리하고, 집약된 기체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 내부에서 압력을 형성하여 증기가 스팀 탱크 내로 진입하는 것을 촉진시켜 증기 이송의 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의 원추형 상단은 피트(411) 내로 깊이 진입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 꼭대기부의 제1 투기공(2311)과 제1 투수공(2312)가 스팀 탱크(41)의 외벽 내에 완전히 위치하도록 만듦으로써 증기 이송의 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원추형 상단과 스팀 탱크(41)의 최저 바닥단의 높이차(P)는 60mm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의 원추형 상단과 스팀 탱크(41)의 최저 바닥단의 높이차(P)는 120mm 내의 기타 값보다 작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5mm, 10mm, 15mm, 20mm, 25mm, 30mm, 35mm, 40mm, 45mm, 50mm, 45mm, 60mm, 65mm, 70mm, 75mm, 80mm, 85mm, 90mm, 95mm, 100mm, 105mm, 110mm, 115mm, 120mm 등 합리적인 수치일 수 있다.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더욱 단축시키기 위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는 이중층 진공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에너지 집약 커버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집약 커버 내부와 물저장 탱크 내부 사이의 열전도율을 개선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 내부의 열손실을 감소시켜 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과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집약 커버(23')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와 밀봉 부재(232')를 포함한다.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는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를 포함한다.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측벽에 투기공(231a1')이 있고, 투기공(231a1')은 도통 채널(43')과 연통한다.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는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되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와 수용 공간(231c')을 형성하고,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의 꼭대기부는 열린 개구부 형상을 나타내고, 투기공(231a1')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의 꼭대기부보다 높다. 밀봉 부재(232')는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와 스팀 탱크의 맞물려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측벽에 투기공(231a1')을 설치함으로써, 식재료를 찌는 과정에서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 내의 물이 가열되어 대량의 증기를 생성하고, 대량의 증기는 물방울이 섞여 투기공(231a1')에서 배출된다. 배출되는 초기 과정에서 물방울이 중력 작용으로 수용 공간(231c') 내로 떨어져 에너지 집약 커버 상방의 스팀 프레임 바닥부의 식재료가 호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식재료의 식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투기공(231a1')이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의 꼭대기부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설치는 에너지 집약 커버(23')와 스팀 탱크를 조립할 때 투기공(231a1')이 더욱 스팀 탱크에 근접하도록 만들어 열에너지의 이송을 크게 개선시켜 준다. 더 나아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가 증기 이송을 차단하는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주기도 한다.
도 8과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바닥부를 따라 꼭대기부까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직경과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의 직경이 모두 점점 감소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 내의 증기가 점차 꼭대기부에 집결하도록 만들어 꼭대기부 내부가 아주 큰 압력을 가지게 되므로 증기의 배출 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더 나아가 증기의 배출 압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배출되는 초기 단계에서 증기와 물방울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방사상을 따라 일정 구간 거리로 배출되도록 만들어 대량의 물방울이 상기 구간 거리 내에서 떨어지도록 보장해 준다. 더 나아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측벽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내부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원호 곡면으로 설치하고,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231b')는 중공의 둥근 계단형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투기공(231a1') 위치한 지점의 수용 공간의 방사상 폭을 넓혀주며 나아가 물방울이 떨어지는 경로를 연장시켜 준다.
도 8과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측벽에 물 진입공(231a2')이 있고, 물 진입공(231a2')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231a')의 측벽에서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 바닥부의 일단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물 진입공(231a2')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 내부와 수용 공간 사이를 연통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 집약 커버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유효한 수중 밀봉을 형성시킴으로써, 물저장 탱크 내의 공기가 에너지 집약 커버를 통해 스팀 탱크 내로 진입하여 증기가 식재료를 찌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내지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팀 프레임(42)은 차단판(421)과 증기투과판(422)을 포함하고, 증기투과판(422)에는 관통공(4221)이 있고, 증기투과판(422)은 차단판(421)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차단판(421)은 스팀 탱크(41)의 꼭대기부를 향해 돌출된다. 증기 이송 과정에서 증기가 스팀배출 캐비티(44)에 진입할 때 끓는 물에서 튕겨 나온 물방울이 스팀배출 캐비티(44)까지 진입한 후 차단판(421)에 의하여 차단된 튕겨 나온 물방울이 스팀배출 캐비티(44) 내로 떨어지고 제2 투수공(413)과 도통 채널(43)을 통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로 환류하기 때문에, 끓어 튕겨진 물방울을 수집하는 동시에 상기 물방울이 스팀 프레임에 진입하여 쌀밥과 접촉하는 것을 막아 쌀밥이 증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쌀밤의 식감을 최적화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투과판(422)은 차단판(421)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증기가 스팀 프레임에 도달한 후, 증기에 끓어 튕겨진 물방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차단판(421)을 통해 끓어 튕겨진 물방울을 차단한 후 원주 방향의 증기투과판(422)까지 분산시키고, 증기투과판(422) 상의 관통공(4221)에서 증기를 스팀 탱크(41) 내로 이송한다. 차단판(421)은 스팀 탱크(41)의 꼭대기부를 향해 돌출되어 증기를 스팀배출 캐비티(44)에 도달시킴으로써 충분한 시간 동안 스팀배출 캐비티(44)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증기와 차단판(421)의 접촉시간을 연장시켜 증기를 보다 순조롭게 이송시킨다. 또한 차단판(421)은 자연적으로 증기에 하방 압력을 가해 증기가 증기투과판(422)에 도달했을 때 위를 향한 압출력이 발생하도록 만들어 증기가 증기투과판(422)을 관통하는 효율을 촉진시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판(421)은 제2 투기공(412)의 상방에 설치되고, 끓어 튕기는 물방울은 제2 투기공(412)을 통하여 스팀배출 캐비티(44) 내로 진입하고, 차단판(421)에 의해 차단된 후 제2 투수공(413)과 도통 채널(43)을 거쳐 에너지 집약 커버 내로 떨어진다.
물방울은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에 위치하는 제1 투수공(2312)을 통하여 스팀 탱크(41) 내로 진입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판(421)을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상방에 위치하고, 차단판(412)의 투영면은 에너지 집약 커버(23) 꼭대기부의 면적보다 크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231)에서 나오는 끓어 튕기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차단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팀배출 어셈블리(4)는 스팀 탱크를 덮는 솥뚜껑(45)을 더 포함하고, 솥뚜껑(45)에는 투기 채널(451)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과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력조정 어셈블리(5)는 제1 캐비티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에어 펌프(51)와 제1 캐비티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릴리프 밸브(52)를 포함하고, 에어 펌프(51)에 공기 진입공(511)이 설치되고, 하우징 바디(21)와 물저장 탱크(22) 사이에 제1 캐비티(24)와 공기 진입공(511)을 연통시키는 파이프(53)가 설치되고, 물저장 탱크(22)에 외부 공기를 연통시키는 연통 채널이 설치되고, 압력 릴리프 밸브(52)는 연통 채널에 설치된다. 에어 펌프(51) 작용을 통하여 제1 캐비티(24) 내의 기압을 증가시키고 제1 캐비티(24) 내의 물이 스팀 탱크(41) 내로 진입하도록 만들어 스팀 프레임(42)에 거치된 식재료를 침지시키는 목적을 구현한다. 압력 릴리프 밸브(52) 설치를 통해 제1 캐비티(24) 내부의 기압을 감소시키고 스팀 탱크(41) 내로 진입한 물이 제1 캐비티(24) 내로 환류하게 만들어 물을 걸러내는 목적을 구현한다. 압력조정 어셈블리(5)는 스팀배출 어셈블리(4) 내에 물이 진입하고 걸러지는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였으며 사용효과도 우수하다.
물저장 탱크(22)는 일체로 성형된 바닥벽(221)과 측벽(222)을 포함하고, 측벽(222)은 바닥벽(221)의 원주 방향 둘레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물저장 탱크(22)의 바닥벽(221)과 측벽(222)은 분리되어 성형된 구조일 수 있으며, 분리되어 성형된 바닥벽과 측벽은 용접 등 공정을 통해 하나로 고정할 수 있다. 측벽(222)은 꼭대기면에 인접한 상단부에 돌출기둥(223)이 설치되고, 돌출기둥(223)은 측벽(222)과 일체형 또는 단독으로 성형된 후 물저장 탱크에 조립될 수 있다. 돌출기둥(223)에 제1 캐비티(24) 내부와 연통하는 통공(2231)이 설치되고, 파이프(53)의 꼭대기단은 돌출기둥(223)을 씌우며 설치되고, 파이프(53)는 통공(2231)을 거쳐 제1 캐비티(24)와 연통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와 돌출기둥의 연결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파이프는 돌출기둥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21)는 바닥벽(221) 하방에 설치되는 바닥 하우징(211)과 측벽(221)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212)을 포함하고, 바닥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은 하나로 고정 연결되어 물저장 탱크(22)를 설치하는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물저장 탱크(22)는 하우징 바디(21) 내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와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21) 바닥부에 파이프(53)와 연통하는 돌출대(213)가 설치되고, 기기 베이스(1)에 커플링 지지대(11)가 설치되고, 기기 베이스(1) 내에 커플링 지지대(11)와 연통하는 연통 채널(12)이 설치되고, 연통 채널(12)은 외부 공기와 연통하고, 물저장 어셈블리 상의 하우징 바디(21)가 기기 베이스(1)에 설치될 때, 커플링 지지대(11)는 돌출대(213)를 씌우며 연결되고, 돌출대(213)와 커플링 지지대(11) 사이에 연통 채널(12)이 형성되고, 연통 채널(12)은 압력조정 어셈블리(5), 압력 릴리프 밸브(52)와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 베이스(1)는 밀봉 고리(13)를 포함하고, 밀봉 고리(13)는 커플링 지지대(11)를 씌우며 설치되고, 돌출대(213)에 커플링 지지대가 삽입되는 조립공(2131)이 설치된다. 돌출대(213)가 커플링 지지대(11)를 씌우며 연결될 때, 돌출대(213)와 밀봉 고리(13) 사이의 공간은 연통 채널(12)을 형성하고, 밀봉 고리(13)에 연통 채널(12)과 압력조정 어셈블리(5)를 연결하는 중공 기둥머리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통 채널(12)의 구조가 상당히 간단하며, 물저장 어셈블리(2)는 기기 베이스(1)에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밥솥 작동 시 공기 진입공(511)과 파이프(53)를 잘 연통시킬 수 있다.
커플링 지지대(11)는 밀봉 고리(13)를 지탱하여, 밀봉 고리(13)가 조립공(2131)에 삽입될 때 돌출대(213)와 매칭되어 연통 채널(12)을 형성함으로써, 밀봉 고리가 조립공(2131)에 삽입될 때 과도하게 변형되어 연통 채널(12)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고리가 조립공 내에 삽입될 때 돌출대와의 사이 마찰력 때문에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커플링 지지대(11)의 원주 방향 외벽에 위치제한 홈(111)을 개설하고, 밀봉 고리(13)를 상기 위치제한 홈(111) 내에 위치시킨다. 그 외, 밀봉 고리(13)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통 채널(12)의 밀봉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통 채널(12)의 공기 누설이 에어 펌프(51)가 물저장 탱크(22)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지한다. 연통 채널(12)이 충분한 횡단면 면적을 갖추어 기류가 순조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하여, 밀봉 고리(13)의 원주 방향 외벽에 오목홈(133)을 설치한다.
커플링 지지대(11)는 고리 모양을 나타내며, 커플링 지지대(11)와 돌출대(213) 사이에는 원형 매칭 구조를 채택하고, 연통 채널(12)은 고리 모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커플링 지지대(11)와 돌출대(213) 사이의 매칭은 원주 방향에서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물저장 어셈블리(2)는 특정한 방위로 기기 베이스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구체적인 에어 경로는 이하와 같다. 즉, 돌출대(213)의 외벽에 파이프(53)의 바닥단과 매칭되는 제1 조인트(214)가 설치되고, 파이프(53)의 바닥단은 제1 조인트(214)를 씌우며 설치된다. 제1 조인트(214)에 연통 채널(12)과 연통하는 제1 연통공(2141)이 설치된다. 커플링 지지대(11)의 바닥부에 제2 조인트(112)와 제3 조인트(113)이 엇갈리게 개설되고, 제2 조인트에 연통 채널(12)과 연통하는 제2 연통공(114)이 설치되고, 제3 조인트에 연통 채널과 연통하는 제3 연통공(115)이 설치된다. 압력조정 기구(5)는 제1 연결관(54)과 제2 연결관(55)을 더 포함하고,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은 모두 기기 베이스(1) 내에 설치된다. 제1 연결관(54)은 제2 연통공(114)과 공기 진입공(511)에 사용되고, 제1 연결관(54)의 꼭대기단은 제2 조인트(112)를 씌우며 설치되고, 바닥단은 에어 펌프의 공기 진입공(511)을 씌우며 설치된다. 제2 연결관(55)은 제2 연결공(115)과 외부 공기를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고, 기기 베이스(1)의 바닥부에는 배기공(14)이 개설되고, 제2 연결관(55)의 꼭대기단은 제3 조인트(113)를 씌우며 설치되고, 바닥단은 배기공(14) 지점까지 연장된다. 압력 릴리프 밸브(52)는 제1 연결관(55)에 설치되고, 물저장 탱크(22) 내부와 외부 공기 사이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물저장 탱크 내부 압력 릴리프의 목적을 구현하고, 압력 릴리프 구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사용에 따른 요구 기준을 아주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연통 채널(12)은 동시에 압력 증가 구조와 압력 릴리프 구조의 구성 부분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조정 기구의 구성 부품을 감소시켜 압력조정 기구 구조를 간소화시키는 데에 유익하고, 압력조정 기구의 구조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어 준다.
제2 연통공(114), 제3 연통공(115)을 연통 채널(12)에 연통시키기 위하여, 밀봉 고리(13)의 내벽에 제2 조인트(112)에 대응하는 제1 중공 기둥머리(131) 및 제3 조인트(113)에 대응하는 제2 중공 기둥머리(132)가 설치되고, 커플링 지지대(11)의 원주 방향에 제1 기둥구멍(116)과 제2 기둥구멍(117)이 개설되고, 제1 기둥구멍(116)은 제2 연통공(114)에 대응하고, 제2 기둥구멍(117)은 제3 연통공(115)에 대응한다. 밀봉 고리(13)가 커플링 지지대를 씌우며 설치될 때, 제1 중공 기둥머리(131)는 제1 기둥구멍(116) 내에 삽입 설치되어 제2 연통공(114)과 연통 채널(12) 사이가 연통된다. 제2 중공 기둥머리(132)가 제2 기둥구멍(117) 내에 삽입 설치되어 제3 연통공(115)과 연통 채널(12) 사이가 연통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연통 채널(12)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6에서 도시하는 전기밥솥과 같이, 기기 베이스(1') 내에 에어 펌프(51')의 공기 진입공과 연통하는 바닥 베이스 연통 채널(1a')이 있고, 하우징 바디(21')의 바닥부에 바닥 베이스 연통 채널(1a')과 연결되는 조인트(21a')가 설치되고, 조인트(21a')의 타단은 파이프(53')와 연결되고, 파이프(53')는 제1 캐비티(24')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어셈블리(3)는 가열체(31)를 포함하고, 가열체(31)는 하우징 바디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설치되고, 가열체(31)는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의 물만 가열해 수증기 생성에 필요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켜주기 때문에, 식재료를 찌는 데 필요한 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돼 식재료를 찌는 전기밥솥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익하다.
전자 제어 측면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 베이스(1) 내에 제어판(14)이 설치되고, 에어 펌프(51)와 압력 릴리프 밸브(52)는 모두 제어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열체(31)와 물저장 탱크(22) 내 수위에 대한 제어판(14)의 효과적인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물저장 어셈블리(2)와 기기 베이스(1)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 상부 전기 커플러(27)를 설치하고, 물저장 탱크의 내벽에 수위 센서(28)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릴리프 밸브(52)는 전자 밸브를 채택하고, 수위 센서(28)는 전극식 수위 센서이고, 가열체(32)는 가열관을 채택한다.
하우징 바디(21) 상의 바닥 하우징(211) 중심 부위는 고정시트(29)를 통해 상부 전기 커플러(27)에 연결되고, 가열체(32)와 수위 센서(28)는 모두 상부 전기 커플러(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기 베이스(10의 꼭대기부에 상부 전기 커플러(27)와 매칭되는 하부 전기 커플러(15)가 설치되고, 하부 전기 커플러(15)는 제어판(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저장 어셈블리(2)가 기기 베이스(1)에 설치될 때, 가열체(31)와 수위 센서(28)는 상부 전기 커플러(27)와 하부 전기 커플러(15)의 매칭을 통해 제어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을 개폐할 수 있다. 설치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고정시트(29)와 상부 전기 커플러(27)는 조립공(2131) 내에 설치되고 고정시트(29)와 돌출대(213) 내벽 사이에는 커플링 지지대(11)를 삽입하는 간극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밥솥은 바닥 하우징(211)에 설치되는 방출 기구(6)를 더 포함하고, 방출 기구(6)는 스프링(61)과 탄알(62)을 포함하고, 스프링(61)의 꼭대기단은 바닥 하우징(211)의 바닥부에 연결되고, 탄알(62)은 스프링의 바닥단에 연결된다. 물저장 어셈블리(2)가 기기 베이스(1)에 연결되면 탄알(62)이 기기 베이스(1)에 접촉되면서 스프링(61)을 압축시킨다. 물저장 어셈블리(2)가 기기 베이스(1)에서 이탈하면 스프링(61)이 받는 압력이 감소하고, 스프링(61)이 원상복구되는 과정에서 탄알(62)에 힘을 가하게 되고, 탄알(62)은 기기 베이스(1)에 힘을 가해 물저장 어셈블리(2)가 쉽게 기기 베이스(1)에서 이탈되도록 만든다. 특히 밀봉 고리(13)가 조립공(2131) 내에 삽입되어 돌출대(213)와 연통 채널을 형성하면, 밀봉 고리(13)와 돌출대(213) 사이에 일정한 정지 마찰력이 생기고, 상기 방출 기구(6)를 통하여 정지 마찰력의 영향을 감소, 심지어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물저장 어셈블리(2)를 기기 베이스에서 꺼내기 쉽게 만들어 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고리(13)와 돌출대(213) 간 작용력을 더욱 우수하게 제거하여 물저장 어셈블리(2)를 쉽게 기기 베이스(1)에서 꺼내기 위하여, 바닥 하우징(211)에 스프링(61) 설치에 사용하는 원주공(2121)이 설치되고, 원주공(2121)은 돌출대(213)의 내측에 위치하고, 돌출대(213) 내측에는 탄알(62)이 관통하는 후퇴공(2132)이 설치된다. 원주공(2121)은 꼭대기단이 폐쇄되고 바닥단이 열려 있으며, 스프링(61)의 꼭대기단은 원주공의 내부 꼭대기벽에 고정 접촉된다. 물저장 어셈블리(2)를 기기 베이스(1)에 설치하면, 탄알(62)이 커플링 지지대(11)의 꼭대기면에 잘 맞물리기 때문에 스프링(61)을 압축시킬 수 있다. 탄알(62)은 후퇴공(2132)을 따라 왔다갔다 이동하며, 후퇴공(2132)은 동시에 위치제한 작용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작업 시 물저장 어셈블리(2)를 기기 베이스(1)에 거치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를 물저장 탱크(22) 내에 넣고, 스팀 프레임(42)을 스팀 탱크(41) 내에 설치하고, 식재료를 스팀 프레임(42)에 놓은 후 솥뚜껑(45)을 닫고, 스팀배출 어셈블리(4)를 물저장 어셈블리(2)에 거치하고, 에너지 집약 커버(23)의 꼭대기단을 피트(411) 내에 삽입한다. 전원을 연결하고 기기 본체를 가동한다. 에어 펌프(51)가 작동하며 연통 채널(12)과 파이프(53)를 통해 물저장 탱크(22) 내의 제1 캐비티(24)를 향해 기체를 충전하고, 물저장 탱크(22) 내부 기압이 증가해 물저장 탱크 내의 물이 수류 채널(26)에서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로 유입되고 위를 향하여 도통 채널(43)을 거쳐 스팀 탱크(41) 내로 진입하고, 스팀 탱크(41)의 식재로가 침지된다. 침지 완료 후 압력 릴리프 밸브(52)가 열리고, 제1 캐비티(24) 내의 기압이 감소하며, 스팀 탱크(41) 내의 물이 도통 채널을 거쳐 아래를 향해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로 흐르고, 일부는 수류 채널을 거쳐 물저장 탱크(22) 내로 유입된다.
그 후, 가열체(31) 작동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의 물을 가열하고, 물을 끓으면서 증기가 생성되고, 증기는 위를 향해 제1 투기공(2311), 도통 채널(43), 제2 투기공(412)을 거쳐 스팀 탱크 내로 진입하고, 스팀 프레임 상의 관통공을 통하여 식재료에 대한 훈증을 진행한다. 이는 도 2에서 화살표 C1가 가리키는 경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증기 응결로 형성되는 물방울, 식재료 중에 남은 물 및 증기와 함께 상승하는 물방울은 제2 투수공(413), 도통 채널(43), 제1 투수공(2312)을 통하여 에너지 집약 커버(23) 내로 돌아간다. 이는 도 2에서 화살표 C2가 가리키는 경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당연히,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식재료에 대해 여러 차례 침지 동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가열 시작 후 일정 시간 내에 식재료에 대해 침지 동작을 진행하고, 물이 끓은 후 물을 걸러내는 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작업 프로그램은 식재료의 각기 다른 가열 방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물저장 탱크 내에 에너지 집약 커버를 설치하며,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를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로 분리하고,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 사이에 수류 채널이 있다. 에너지 집약 커버와 스팀 탱크 사이에 도통 채널이 있고, 압력조정 어셈블리가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변화시킬 때 물저장 탱크 내의 물이 수류 채널과 도통 채널을 통하여 스팀 탱크로 압력을 받아 진입하거나, 또는 반대의 경로를 따라 스팀 탱크 내의 물이 물저장 탱크 내로 되돌아 흡수된다. 스팀배출 캐비티 내에 물을 넣고 거르는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며,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만 하면 물을 넣고 거르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밥을 찌는 단계에서 도통 채널은 증기의 이송 채널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물 채널과 증기 채널을 하나로 복합시켰기 때문에 전기밥솥의 구조를 크게 간소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중국식 찐 밥 설비에서 물을 넣고 거르는 어셈블리가 증기 이송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증기의 가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찐 후의 쌀밥에 아주 우수한 식감을 가져다준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진행한 일부 변경과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12)

  1. 기기 베이스:
    하우징 바디, 물저장 탱크 및 에너지 집약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기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물저장 탱크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는 물저장 탱크를 에너지 집약 커버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캐비티와 에너지 집약 커버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캐비티로 분할되고, 상기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 사이에는 수류 채널이 있고, 상기 물저장 탱크 바닥부에 에너지 집약 커버와 클램핑되어 연결되는 클램핑 테이블이 있고, 상기 클램핑 테이블 외벽과 에너지 집약 커버 내벽 사이의 간극은 수류 채널을 형성하는 물저장 어셈블리;
    상기 하우징 바디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위치하는 가열 어셈블리;
    스팀 탱크와 스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 탱크는 상기 물저장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 탱크와 에너지 집약 커버 사이는 도통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도통 채널은 각각 스팀 탱크 내부 및 에너지 집약 커버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스팀 프레임과 스팀 탱크 사이는 스팀배출 캐비티를 형성하는 스팀배출 어셈블리;
    상기 기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 탱크와 연통하고, 상기 제1 캐비티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물저장 탱크 내의 물이 수류 채널과 도통 채널을 통하여 스팀 탱크로 진입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스팀 탱크 내의 물이 물저장 탱크 내로 돌아와 흡수되도록 만드는 압력조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와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는 원추형 구조이고, 원추형의 상단은 스팀 탱크 바닥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와 스팀 탱크가 맞물려 이어지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의 꼭대기부에 제1 투기공과 제1 투수공이 있고, 상기 제1 투기공은 제1 투수공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투기공은 도통 채널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탱크의 바닥부에 피트가 있고, 상기 피트에 제2 투기공과 제2 투수공이 있고, 상기 제2 투기공은 제1 투기공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2 투수공은 제1 투수공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와 밀봉 부재를 포함하되,
    측벽에 투기공이 있고, 상기 투기공은 도통 채널과 연통하는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
    상기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외부를 감싸며 설치되어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의 꼭대기부는 열린 개구부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투기공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의 꼭대기부보다 높은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에너지 집약 커버 본체,
    상기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와 스팀 탱크의 맞물려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바닥부를 따라 꼭대기부까지 상기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직경과 에너지 집약 외부 커버의 직경이 모두 점점 감소하고,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측벽은 에너지 집약 내부 커버의 내부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원호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프레임은 차단판과 증기투과판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투과판에는 관통공이 있고, 상기 증기투과판은 차단판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은 스팀 탱크의 꼭대기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에너지 집약 커버의 상방에 설치되고 차단판의 수직 투영면은 에너지 집약 커버 꼭대기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 어셈블리는 제1 캐비티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에어 펌프와 제1 캐비티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펌프에 공기 진입공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와 물저장 탱크 사이에 제1 캐비티와 공기 진입공을 연통시키는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물저장 탱크에 외부 공기를 연통시키는 연통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는 연통 채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1. 제 10항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 바닥부에 파이프와 연통하는 돌출대가 설치되고, 상기 기기 베이스에 커플링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기기 베이스 내에 커플링 지지대와 연통하는 연통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 채널은 외부 공기와 연통하고, 상기 물저장 어셈블리가 기기 베이스에 설치될 때, 커플링 지지대는 돌출대를 씌우며 연결되고, 돌출대와 커플링 지지대 사이에 연통 채널이 형성되고, 연통 채널은 압력조정 어셈블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베이스는 밀봉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고리는 상기 커플링 지지대를 씌우며 설치되고, 돌출대가 커플링 지지대를 씌우며 연결될 때, 돌출대와 밀봉 고리 사이의 공간은 연통 채널을 형성하고, 밀봉 고리에 연통 채널과 압력조정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중공 기둥머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80015251A 2017-11-07 2018-02-07 전기밥솥 Active KR102023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469844.6 2017-11-07
CN201721469844.6U CN208864043U (zh) 2017-11-07 2017-11-07 一种烹饪效果好的电饭煲
CN2017217775321 2017-12-18
CN201721777532.1U CN208876203U (zh) 2017-12-18 2017-12-18 聚能罩及具有聚能罩的电饭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47A KR20190051747A (ko) 2019-05-15
KR102023172B1 true KR102023172B1 (ko) 2019-09-19

Family

ID=6632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251A Active KR102023172B1 (ko) 2017-11-07 2018-02-07 전기밥솥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2605B2 (ko)
JP (2) JP6545850B2 (ko)
KR (1) KR102023172B1 (ko)
TW (1) TWI69480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162B1 (ko) * 2019-09-27 2020-03-10 구정오 저당밥 취사장치
KR102096321B1 (ko) * 2019-10-15 2020-04-02 이완수 저당용 밥솥
KR102096322B1 (ko) * 2019-10-15 2020-04-02 이완수 저당용 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JP7353391B2 (ja) * 2019-05-31 2023-09-29 佛山市▲順▼▲徳▼区美的▲電▼▲熱▼▲電▼器制造有限公司 調理器具、調理器具に用いる調理小物及び制御方法
CN210870991U (zh) * 2019-05-31 2020-06-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烹饪附件
CN110367831A (zh) * 2019-08-06 2019-10-25 安徽冠东科技有限公司 一种椭形内胆自动补水的食物加热设备
WO2021143777A1 (zh) * 2020-01-19 2021-07-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JP7529454B2 (ja) * 2020-06-19 2024-08-06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蒸気筒、容器蓋、および蒸気調理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600Y1 (ko) * 2003-01-15 2003-04-08 김영진 다기능 중탕기
KR200358052Y1 (ko) * 2004-05-24 2004-08-05 정금수 청국장 숙성용 채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6140B2 (de) * 1971-04-02 1973-07-12 Daempfgeraet zum garen von speisen im ueberdruck- oder unterdruckbereich
US5649476A (en) * 1994-08-22 1997-07-22 Production Engineered Designs, Inc. Steam generator assembly and steam cooking appliances using same
US6107605A (en) * 1997-09-12 2000-08-22 Middleby-Marshall, Inc. Pressure regulator for steam oven
JP4294842B2 (ja) * 2000-08-01 2009-07-15 忍耐子 三浦 「電気炊飯器の蒸気孔用蒸し器」
FR2831783B1 (fr) * 2001-11-06 2004-01-09 Seb Sa Cuiseur vapeur multifonctions a autonomie amelioree
JP3977615B2 (ja) * 2001-08-20 2007-09-19 勇 金澤 洗米炊飯装置
US7208702B2 (en) 2004-11-22 2007-04-24 Goodway Electrical Co., Ltd. Steam cooker
CN101107935A (zh) * 2006-07-18 2008-01-23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蒸气烤箱
WO2008025189A1 (fr) 2006-08-24 2008-03-06 Tuming You Procédé et dispositif destinés à générer un agent nettoyant et de la vapeur sous pression, et fer à repasser doté de ce dispositif
JP5409625B2 (ja) * 2007-07-31 2014-02-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米のような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0044286A1 (ja) 2008-10-15 2010-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KR101313247B1 (ko) * 2011-09-02 2013-09-30 정응조 전기 약탕기
EP3021716A1 (en) * 2013-07-17 2016-05-25 Top Electric Appliances Industrial Ltd. Pressure cooker
CN204445353U (zh) * 2015-01-05 2015-07-08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电蒸锅
CN108289560A (zh) * 2015-11-05 2018-07-17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烹饪谷物颗粒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600Y1 (ko) * 2003-01-15 2003-04-08 김영진 다기능 중탕기
KR200358052Y1 (ko) * 2004-05-24 2004-08-05 정금수 청국장 숙성용 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162B1 (ko) * 2019-09-27 2020-03-10 구정오 저당밥 취사장치
WO2021060895A1 (ko) * 2019-09-27 2021-04-01 구정오 저당밥 취사장치
KR102096321B1 (ko) * 2019-10-15 2020-04-02 이완수 저당용 밥솥
KR102096322B1 (ko) * 2019-10-15 2020-04-02 이완수 저당용 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66410A (ja) 2019-10-03
TW201918206A (zh) 2019-05-16
JP6545850B2 (ja) 2019-07-17
US20190133364A1 (en) 2019-05-09
TWI694801B (zh) 2020-06-01
JP2019084333A (ja) 2019-06-06
JP6745385B2 (ja) 2020-08-26
KR20190051747A (ko) 2019-05-15
US10932605B2 (en)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172B1 (ko) 전기밥솥
CN110448189B (zh) 一种带有高压煮食功能的空气炸锅
CN210446648U (zh) 烹饪器具的盛放组件和烹饪器具
WO2015192756A1 (zh) 烹饪器具
CN110811294B (zh) 电炊具
CN110353511B (zh) 沥水组件及具有沥水组件的烹饪器具
CN204181445U (zh) 电饭煲
CN210354295U (zh) 食物蒸煮装置
CN211559750U (zh) 沥水组件及具有沥水组件的烹饪器具
CN211533921U (zh) 烹饪设备
CN218105560U (zh) 烹饪器具
CN210227794U (zh) 高效率的食物蒸煮装置
CN216454542U (zh) 内锅及烹饪器具
CN208447219U (zh) 一种结构紧凑的电饭煲
KR20210110749A (ko) 조리 기구
CN216020481U (zh) 一种液体加热器
CN216454544U (zh) 顶部吸气式电饭煲
CN213962935U (zh) 电饭甑
CN204765002U (zh) 上盖组件及具有其的电饭煲
CN215383199U (zh) 一种液体加热器
CN209121857U (zh) 一种汤米分离的电饭锅
CN112006523B (zh) 烹饪器具的盛放组件和烹饪器具
CN210870991U (zh) 烹饪器具及其烹饪附件
CN215383153U (zh) 一种结构简单的烹饪器具
CN211093413U (zh) 煮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