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517B1 - Cleaning method using micro bubble - Google Patents
Cleaning method using micro bub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2517B1 KR102022517B1 KR1020190024211A KR20190024211A KR102022517B1 KR 102022517 B1 KR102022517 B1 KR 102022517B1 KR 1020190024211 A KR1020190024211 A KR 1020190024211A KR 20190024211 A KR20190024211 A KR 20190024211A KR 102022517 B1 KR102022517 B1 KR 102022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eight
- cleaning
- pump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01F3/0424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3—Anticorrosion compos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84—Antioxidants; Free-radical scaveng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4—Hydroxides or ba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6—Phosphates, including poly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4—Fillers; Abrasives ; Abrasive compositions; Suspending or absorbing ag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C11D3/12; Specific features concerning abrasives, e.g. granulometry or mix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3—Amino 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 in a heterocyclic ring, e.g. sultones or sulfol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dditionally containing nitrogen atoms, e.g. nitro, nitroso, amino, imino, nitrilo, nitrile groups containing compounds or their derivatives or thio urea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연장된 펌프관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펌프관을 통해 입수된 물을 통해 상기 펌프의 압력으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되, 단면 형상이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라운딩 절곡되도록 챔퍼(chamfer) 처리한 챔퍼부를 구비한 생성조를 구비한 생성 챔버; 상기 생성 챔버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세정 대상으로 공급하는 배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의하면, 직육면체 형상의 단면인 생성 챔버에서의 생성조의 모서리부에 챔퍼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마이크로 버블 생성을 효율적으로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ource; Connected to the pump pipe extending from the pump, the microbubbles are gen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pump through the water obtained through the pump pipe,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tate consisting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two long sides and two short sides A production chamber having a production tank having a chamfer portion chamfered to round the corners; And a discharge part supplying the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production chamber to a cleaning object.
According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the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has an effect of efficiently promoting microbubble production by forming a chamfer portion at a corner of a production tank in a production chamber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ross s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펌프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을 매개로 배수관이나 보일러관 등의 세정 대상을 보다 깨끗하게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a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evice for efficiently generating microbubbles by using a compression force of a pump, and at the same time, a drainage pipe or a boiler pipe through the generated microbubbles. It relates to a method of cleaning the cleaning objects such as more clean.
먼저,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이라 함은 직경이 50㎛(인간의 머리카락 굵기의 반 정도)이하의 매우 미세한 기포를 말하며 기포발생장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버블은 의료 및 식품제조 등의 현장에서 살균효과가 있는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난분해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수질정화 및 세정의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micro-bubble (Micro-Bubble) refers to very fine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50㎛ (about half of the thickness of the human hair) can be produced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Such microbubbles can generate ozone water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 the field of medical and food manufacturing and can effectively decompose hardly decomposable substances, and thus can be applied as a technology for water purification and cleaning.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기포는 수중에서 상승하면서 수면에서 없어지지만 마이크로버블은 액체 중에 떠있어 상승 속도가 낮고, 자기 가압 효과가 뛰어나 기체와의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버블 내의 기체로서는 오존을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마이크로버블의 압력에 의해 파괴될 때에 발생하는 pre-radical을 오수중의 유해물질 분리에 이용 가능함과 동시에 오염물질이나 금속이온 등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세정 효과 등이 높은 성질을 이용하여 수질정화 및 세정에도 이용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general bubble rises in water and disappears from the water surface, but the microbubbles float in the liquid, so the rising speed is low, and the self-pressing effect is high, solubility with the gas is high, so it is effective to use ozone as a gas in the bubble. The pre-radical generated when broken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can be used to separate harmful substances in the sewag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used to purify and clean water using high properties such as cleaning effect by electrostatic attraction such as pollutants and metal ions. It is to use.
이때, 고압을 이용한 세척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369978호(발명의 명칭 : 고압 세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는 선박 내부와 같이 밀폐된 공간 내에서의 오염물 세척을 위한 고압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t this time,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cleaning system using a high pressure, Korean Patent No. 10-1369978 (name of the invention: high pressure clean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is a high pressure for cleaning the contaminants in an enclosed space, such as inside the ship It relates to a cleaning system.
상기 선행기술은, 세척수가 저장됨과 더불어 배출관이 연결되며, 둘레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히터 결합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히터 결합구에는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세척수 저장탱크;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면서 상기 세척수를 복수의 유로로 분기하여 안내하는 복수의 제1분기관; 상기 각 제1분기관에 각각 구비되면서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일부만 구동되거나 혹은, 전부가 동시에 구동되는 복수의 펌프; 상기 각 펌프를 통과한 세척수를 단일 관로로 통합하여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에 구비되면서 안내관 내의 세척수의 수압을 센싱하는 수압센서; 상기 안내관에 구비되면서 상기 안내관을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장소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제 2 분기관; 상기 각 제 2 분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세척 장소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연결식 분사노즐; 그리고, 상기 연결식 분사노즐의 동작 시 수압센서에서 센싱된 수압이 설정 수압보다 낮을 경우 설정 수압에 이르기까지 상기 각 펌프의 일부 혹은, 전부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 결합구를 가로막도록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결합플랜지와, 상기 결합플랜지의 각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히터 결합구를 통과하여 세척수 저장탱크 내에 위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플랜지의 각 관통공 둘레로는 수용홈을 각각 요입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각 수용홈에는 상기 히터가 관통 설치되면서 상기 수용홈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한 압축볼트를 결합하며, 상기 압축볼트의 끝단면과 수용홈의 내벽면 사이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압축볼트의 결합 조작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히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탄력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 압축링을 개재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척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ior art, the washing water is stored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and any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heater coupler and the heater coupler is coupled to the heater assembly for heat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wash water storage tank Wash water storage tank;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and branching the washing water to a plurality of flow paths; A plurality of pumps,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and drives only a part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or all of the pumps are driven simultaneously; A guide tube that integrates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pumps into a single pipe; A water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guide tube for sensing a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guide tube;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provided in the guide pipe and branched to supply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guide pipe to a plurality of places; A connecting spray nozzle selectively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branch pipes to spray washing water to a washing pla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some or all of the pumps to be driven simultaneously until the set pressure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during operation of the connected injection nozzle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The assembly is coupled to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so as to block the heater coupler, the coupling flange formed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installed to pass through each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fl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upler washing wat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ers located in the storage tank for heating the washing water, and each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each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flange while the heater is penetrated in the receiving groove, Combining the detachable compression bolt screw type, the end of the compression bolt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convex structure toward the center, and is compressed through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bol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r is configured via a metal material compression ring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to maintain airtightness A high pressure washing system is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고압 및 고열을 가해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압으로 인한 세정으로 인해 마이크로버블 생성 및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오염물질이나 금속이온 등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세정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세척수의 성분 및 효과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아 이로 인한 세척 효과를 이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that efficient washing is possible by applying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using the washing water, but it is difficult to create and maintain microbubbles due to washing due to high pressure, and therefore, due to electrostatic attraction such as pollutants or metal io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eaning effect cannot be expected and the cleaning effect is not understood because no mention is made of the components and effects of the washing water.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높은 세정 효과를 위한 세정 조성물 및 고압을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생성기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leaning composition and a microbubble generator using high pressure and a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for a high cleaning effect.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펌프의 압력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되 생성 챔버의 모서리에 챔퍼부를 형성하여 마이크로 버블 생성을 촉진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which generates microbubbles by the pressure of a pump but forms a chamfer at the corner of the production chamber to promote microbubble generation. It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챔퍼부에 압력 반사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을 더욱 촉진하기 위한 생성 보조 파트을 구비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auxiliary part for further promoting the generation of micro bubbles due to pressure reflection in the chamfer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물질의 용해 및 무기 침전물 및 유기물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cleaning composition capable of effectively dissolving contaminants and removing inorganic precipitates and organ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수로 인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cleaning composition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corrosion due to the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의 제거 및 높은 흡착력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세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pare a cleaning composition which can anticipate the removal of odors due to contaminants and the cleaning effect of contaminants due to high adsorptiv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연장된 펌프관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펌프관을 통해 입수된 물을 통해 상기 펌프의 압력으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되, 단면 형상이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라운딩 절곡되도록 챔퍼(chamfer) 처리한 챔퍼부를 구비한 생성조를 구비한 생성 챔버; 상기 생성 챔버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세정 대상으로 공급하는 배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ource; Connected to the pump pipe extending from the pump, the microbubbles are gen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pump through the water obtained through the pump pipe,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tate consisting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two long sides and two short sides A production chamber having a production tank having a chamfer portion chamfered to round the corners; And a discharge part supplying the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production chamber to a cleaning object.
또한, 상기 펌프의 압력은 0.4Mpa 내지 0.8M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of the pump is characterized in that 0.4Mpa to 0.8Mpa.
더하여, 상기 생성조의 내측 벽에는, 복수 개의 미세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generating tank.
나아가, 상기 챔퍼부의 내측 절곡 부위에는, 상기 단변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절곡 부위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라운딩 섹션과, 상기 챔퍼부의 외측 절곡 부위 중에서 상기 가상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장변 측으로 연장된 일 지점까지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제 2 곡률반경으로서 상기 제 1 라운딩 섹션의 단부로부터 상기 챔퍼부에서 상기 장변 측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라운딩 섹션 및, 상기 제 2 라운딩 섹션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상기 챔퍼부에서 상기 장변 측 절곡 종료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3 라운딩 섹션으로 이루어진 생성 보조 파트;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ner bent portion of the chamf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ounded section extending in a first radius of curvature from a short side side bending start point to a point where an imaginary line extends in a norm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bent portion, and the chamfer portion;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equal to a radius of curvature from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imaginary line to one point extending toward the long side of the outer bent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rounding section toward the long side from the chamfer portion; And a second assisting part comprising a second rounding section and a third rounding section that is bent at an end of the second rounding section and extends from the chamfer portion to a third radius of curvature from the chamfer side to the long bending end point. It is don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직육면체 형상의 단면인 생성 챔버에서의 생성조의 모서리부에 챔퍼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마이크로 버블 생성을 효율적으로 촉진하고,1) Efficiently promote microbubble generation by forming a chamfer in the corner of the production tank in the production chamber, which is a cross-section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2) 상술한 챔퍼부에 독특한 형상의 생성 보조 파트를 추가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 생성을 더욱 촉진할 수 있으며,2)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mote the micro-bubble generation by adding the creation auxiliary part of the unique shape to the above-mentioned chamfer portion,
3) 오염물질의 용해 및 무기 침전물 및 유기물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3) can effectively dissolve contaminants and remove inorganic precipitates and organics,
4) 세정수로 인한 세정 대상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4) It can effectively prevent corrosion of the cleaning target by the washing water.
5)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의 제거 및 높은 흡착력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세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5) It can be expected to remove the odors caused by pollutants and to clean pollutants due to high adsorption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생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성 챔버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생성 챔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cleaning method using a microbub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먼저,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이라 함은 직경이 50㎛(인간의 머리카락 굵기의 반 정도)이하의 매우 미세한 기포를 말하며 기포발생장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버블은 의료 및 식품제조 등의 현장에서 살균효과가 있는 오존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난분해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므로 수질정화 및 세정의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기포는 수중에서 상승하면서 수면에서 없어지지만 마이크로버블은 액체 중에 떠있어 상승 속도가 낮고, 자기 가압 효과가 뛰어나 기체와의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버블 내의 기체로서는 오존을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마이크로버블의 압력에 의해 파괴될 때에 발생하는 pre-radical을 오수중의 유해물질 분리에 이용 가능함과 동시에 오염물질이나 금속이온 등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세정 효과 등이 높은 성질을 이용하여 수질정화 및 세정에도 이용하는 것이다.First, the micro-bubble (Micro-Bubble) refers to very fine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50㎛ (about half of the thickness of the human hair) can be produced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Such microbubbles can generate ozone water having a sterilizing effect in the field of medical and food manufacturing and can effectively decompose hardly decomposable substances, and thus can be applied as a technology for water purification and cleaning. Specifically, the general bubble rises in water and disappears from the water surface, but the microbubbles float in the liquid, so the rising speed is low, and the self-pressing effect is high, solubility with the gas is high, so it is effective to use ozone as a gas in the bubble. The pre-radical generated when broken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can be used to separate harmful substances in the sewag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used to purify and clean water using high properties such as cleaning effect by electrostatic attraction such as pollutants and metal ions. It is to use.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 상술한 고압 펌프(100)에 주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에 세정 조성물이 첨가된 혼합물이다. 이때, 세정수 내부의 세정 조성물의 비율은 오염의 정도 및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세정수를 통해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세정 작용을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Microbubb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injecting the above-described
마이크버블을 생성하는 방법에는 기계식 방식, 약품을 사용한 화학적 방식, 기체의 과포화를 이용한 방식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본 발명은 펌프(100)를 원동력으로 압력을 가하는 기계식 방식을 적용한다. 펌프(100)를 원동력으로 압력을 가하는 기계식 방식은 발생한 마이크로버블을 수중 외부로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는데 용이하다. The method of generating a microbubble includes a mechanical method, a chemical method using a chemical agent, a method using a supersaturation of gas, etc. Among them,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echanical method of applying pressure to the
도 1은 본 발명의 생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생성 챔버(200)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버블 생성장치는, 수원(水原),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압축하기 위해 압력을 발생시켜주는 펌프(100), 펌프(100)로부터 압축된 물을 유입받는 펌프관(120), 펌프관(120)과 연결되어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내부에 챔퍼부(230)를 구비한 생성조를 구비한 생성 챔버(200), 생성 챔버(20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세정 대상으로 공급하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ource, a
수원은 큰 물탱크나 물 공급장치 등과 같이 물을 펌프(100)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특정한 종류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water source is to supply water to the
펌프(100)는 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압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물을 공급해주는 수원과 압축된 물을 생성 챔버(200)로 유입시키는 펌프관(120)과 연결되어있다. 펌프(100)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압 펌프(100)를 사용하여 마이크로버블 생성에 원동력을 제공한다. 고압 펌프(100)란 물을 이송하기 위한 높은 압력을 발생할 수 있는 동력장치로서, 물을 높은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압 펌프(100)를 사용함으로써 펌프(100)내의 물을 높은 압력으로 압축시키고, 압축된 물을 생성 챔버(200)에 높은 분사압력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분사 압력이 높다는 것은 압축된 물의 유입 속도가 빠르다는 것과 같다. 결과적으로, 고압 펌프(100)는 높은 압력으로 물을 압축하여 고압으로 분사시킴으로써 마이크로버블이 더 잘 생성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과도한 압력의 고압 펌프(100)를 사용하는 경우 펌프(100)의 크기가 커지고, 너무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장치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The
또한, 마이크로버블의 크기는 특정 압력 이상에서 더 이상 작아지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버블의 크기와 생성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고압 펌프(100)의 적정압력은 0.4Mpa 내지 0.8Mpa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압 펌프(100)는 0.4Mpa 내지 0.8Mpa 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시킨다. 이 때 이와 같은 압력을 기반으로 할 경우 후술할 생성 챔버(200)의 체적은 100m3 내지 300m3 이다.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microbubbles does not become smaller any more than a specific pressure, the appropriate pressure of the
생성 챔버(2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것으로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공간이다. 생성 챔버(200)은 펌프(100)에서 연장된 펌프관(120)과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연결되어있다. 즉, 생성 챔버(200)은 펌프(100)에서 압축된 고압의 물을 펌프관(120)을 통하여 유입받고, 생성 챔버(200) 내부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배출부(300)를 통하여 세정 대상으로 공급한다. The
이러한 생성 챔버(200)은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적인 생성을 위해 특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배출부(300)는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세정 대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출부(300)는 생성 챔버(200)과 세정 대상을 연결해주는 구조로 생성 챔버(20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을 외부의 세정 대상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출부(300)는 별도의 펌프(100)로 이루어져 생성 챔버(200)에서 세정 대상으로 전달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아니면 상술한 펌프(100)의 원동력으로만 세정 대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일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에서 세정 대상이라 함은 마이크로버블로 세정이 되는 객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보일러관이나 기타 다양한 용도를 가진 파이프 또는 물탱크와 같은 대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세정 대상은 특정한 종류와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cleaning means an object to be cleaned by microbubbles, and may be classified into an object such as a boiler tub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r a pipe or a water tank having various other uses. In other words, the cleaning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kind and use.
이러한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능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basic functions and a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펌프(100)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펌프(100)는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압축시킨다. 펌프(100)는 압축된 물을 고압의 분사압력으로 펌프관(120)을 통해 생성 챔버(200)에 유입시킨다. 생성 챔버(200)은 유입받은 물에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며, 생성 챔버(200)에서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은 배출부(300)로 전달된다. 배출부(300)의 단부는 세정 대상과 연결되며, 배출부(300)를 통해 고압의 물이 세정 대상으로 분사된다. The
이로써, 마이크로 버블을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는 기반에서 세정 대상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수 있다. Thereby, it is possible to hav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leaning object can be cleaned cleanly on the basis of which micro bubbles can be easily generated.
또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생성 챔버(2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생성조)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있다. 다시 말해, 단면 형상이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모서리를 라운딩 절곡되도록 챔퍼(chamfer) 처리한 챔퍼부(230)를 구비한 생성조를 구비한 구조이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챔퍼부(230)는 생성 챔버(200)의 생성조 모서리를 챔퍼(chamfer) 처리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모서리, 다시 말해 네 개의 모서리 각각에 형성된 부위이다. 여기서 챔퍼(chamfer)라 함은 각 단면을 갖는 부재(部材)의 모서리 부분을 깎아내서 만들어지는 부분을 말하며, 평면뿐 아니라 둥근 면 등 많은 종류를 가진다. 그 중 본 발명에서 챔퍼부(230)는 모서리가 라운딩 절곡되도록 챔퍼(chamfer)처리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챔퍼부(23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생성 챔버(200)의 단면 구조에서 네 모서리를 라운딩 절곡시킨 형상이다. The
이와 같이, 모서리가 챔퍼 처리된 챔퍼부(230)를 구비한 생성조의 경우 생성조 내부의 물이 생성조 내측 벽에 충돌할 때, 물의 운동 방향의 변화가 챔퍼(chamfer)처리가 되지 않은 직육면체의 형상의 생성조보다 더 크다. 즉, 액체의 운동 방향의 변화가 커짐으로써 생성조 내부의 액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전체적인 생성조 내부 액체 운동의 불안정화를 가져올 수 있다. 다시 말해, 챔퍼부(230)는 액체의 운동 방향의 변화를 크게 하여 충돌 압력을 증가시켜 마이크로버블이 더 잘 생성되는 기능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tank including the
추가적으로 생성조의 내측 벽에는 복수 개의 미세 돌기(201)가 형성된 구조를 포함한다. 생성조의 내측 벽에 복수 개의 미세 돌기(201)를 형성함으로써 펌프(100)에서 유입된 고압의 물이 미세 돌기(201)와 충돌하여 압력 저항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한 압력 저항으로 인하여 미세 돌기(201)와 충돌한 물은 압력이 증가한다. 이후, 미세 돌기(201)와 충돌하여 압력이 증가한 물의 유속이 빨라지고, 서로 다른 유속을 가진 내부의 물이 계속하여 충돌하여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마이크로버블이 더 잘 생성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inner wall of the production tank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생성 챔버(200)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도 3에 따른 챔퍼부(230)의 절곡 부위(211)는 외측 절곡 부위(211b)와 내측 절곡 부위(211a)가 같은 곡률 반경을 유지하면서 동일 폭으로 절곡 연장되는 구조를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절곡 부위(211)의 내측 절곡 부위(211a)에 생성 보조 파트(21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e bending
생성 보조 파트(212)는 절곡 부위(211)의 내측 절곡 부위(211a)에 구비되며, 제 1 라운딩 섹션(212a)과 제 2 라운딩 섹션(212b) 및 제 3 라운딩 섹션(212c)으로 이루어진다. The production
제 1 라운딩 섹션(212a)은 단변 측(220)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절곡 부위(211)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 2 라운딩 섹션(212b)은 챔퍼부(230)의 외측 절곡 부위(211b) 중에서 가상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장변 측(210)으로 연장된 일 지점까지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제 2 곡률반경으로서 제 1 라운딩 섹션(212a)의 단부로부터 챔퍼부(230)에서 장변 측(210)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 3 라운딩 섹션(212c)은 제 2 라운딩 섹션(212b)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챔퍼부(230)에서 장변 측(210) 절곡 종료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부분이다.The first rounding
제 1 라운딩 섹션(212a)은 단변 측(220)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연장이 진행되면서 생성 보조 파트(212)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도입 부위를 의미한다. The first rounding
제 2 라운딩 섹션(212b)은 제 1 라운딩 섹션(212a)에 의해 내측 절곡 부위(211a)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 절곡 부위(211b) 중에서 가상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장변 측(210)으로 연장된 일 지점까지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 1 라운딩 섹션(212a)에 의해서 이격 증가된 절곡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rounding
다시 말해, 제 2 라운딩 섹션(212b)은 제 1 라운딩 섹션(212a)의 시작 부위보다 두꺼워진 부위로서, 이로 인해 이 제 1,2 라운딩 섹션(212a,212b)까지 전달되는 펌프(100)에서의 압력의 전달 거리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제 2 라운딩 섹션(212b)이 제 1 라운딩 섹션(212a)보다 두껍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라운딩 섹션(212a)보다 제 2 라운딩 섹션(212b)에 펌프 압력이 먼저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제 2 라운딩 섹션(212b)에 전달된 압력은 오목하게 절곡된 제 2 라운딩 섹션(212b)의 고유 형상에 의해 대향 측 장변(210) 방향으로 반사되면서 대향 측 장변(210)의 특정 영역 또는 이를 향한 방향으로 반사력이 수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장변(210)이 단변(220)보다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절곡 부위의 곡도 조절에 따라 수렴 영역이 발생될 수 있는 개연성이 단변(220)보다 장면(210)이 더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라운딩 섹션(212b)은 펌프(100)에서의 압력이 챔퍼부(230)에 부딪치면서 발생한 반사력이 대향 측 부위로 수렴되도록 안내하되 해당 대향 측이 단변(220) 측보다 상대적으로 긴 장변(210) 측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rounding
이와 같이 펌프 압이 반사되는 반사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물이 생성 챔버(200) 내측 벽에 접촉하는 비율이 증가하도록 하고 이로써 상대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reflection direction in which the pump pressure is reflected, the rate of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inner wall of the
더 나아가, 펌프(100) 압력이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제 2 라운딩 섹션(212b)으로 더 많이 전달되도록 하여 단변(22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는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생성 챔버(200)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여 생성 챔버(200)가 행여 쉽사리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제 3 라운딩 섹션(212c)은 도3a에 도시된 것처럼 자연스럽게 내측 절곡 부위(211a)에 접하도록 연장된 것을 기본으로 하나, 더 나아가 내측 절곡 부위(211a)와 단턱이 발생되지 않도록 챔퍼(chamfer)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hird rounding
이러한 제 3 라운딩 섹션(212c)은 제 2 라운딩 섹션(212b)이 오목하게 절곡된 것과 달리 변곡 처리되어 볼록하게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대향 측 단변(220) 방향으로 상술한 반사력을 유도 내지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 라운딩 섹션(212b)과 달리 제 3 라운딩 섹션(212c)은 대향 측 단변(220) 방향으로 물이 반사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챔퍼부(230)로 전달된 압력이 장변(210)에 집중되지 않고 단변(220) 방향으로도 적절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생성 챔버(200)의 전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이로 인해 마이크로 버블이 보다 잘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The third rounding
정리하면, 생성 보조 파트(212)는 마이크로버블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장변 측(210)으로 분산시켜 생성 챔버(200)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강하는 기능은 물론, 제 2,3 라운딩 섹션(212b,212c)에 의한 의식적인 장변/단변(210,220) 측 반사력의 유도 기능에 의하여 생성 챔버(200)의 내부 공간, 즉 생성조를 보다 폭넓게 활용하면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을 더욱 촉진하는 특성을 제공한다.In summary, the generation
이하, 상술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세정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leaning method using the micro bubble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micro bubble generator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방법은, 상술한 마이크로 생성장치를 통해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물에 세정 조성물을 추가하여 세정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수를 통해 세정 대상을 세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정 조성물은, 전체 세정 조성물 중량 대비, 계면활성제 15 내지 35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하나인 알칼리 25 내지 45중량%, 살균제 5 내지 30중량%, EDTA 5 내지 20중량%, 삼인산나트륨 5 내지 2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leaning method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 microbubble in water through the micro-generat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generating a washing water by adding a cleaning composition to water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microbubble. And washing the object to be cleaned through the washing water, wherein the cleaning composition comprises 25 to 45% by weight of alkali, which is one of 15 to 35% by weight of surfactant,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leaning composition. , 5 to 30% by weight of disinfectant,
이하, 세정수의 일 구성인 세정 조성물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leaning composition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washing wa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cleaning method using a microbub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은 상술한 물에 혼합되어 세정수를 이루는 일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체 세정 조성물 중량 대비, 계면활성제 15 내지 35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하나인 알칼리 25 내지 45중량%, 살균제 5 내지 30중량%, EDTA 5 내지 20중량%, 삼인산나트륨 5 내지 2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mposition which is mixed with water to form the washing water, and 25 to 45% by weight of alkali, which is one of 15 to 35% by weight of surfactant,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leaning composition. , 5 to 30% by weight of disinfectant,
이와 같은 세정 조성물은 생성 챔버(200)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투입관을 통해 유입시키거나 생성 챔버(200)의 상부에 별도로 형성된 개폐식 개구를 통해 유입시킬 수 있다.Such a cleaning composition may be introduced through a separate inlet tub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micro bubbles in the
여기서, 계면활성제라 함은 친수성 및 소수성 구조를 모두 갖는 양쪽 친매성(親媒性) 물질로서 대표적인 예로 비누와 세제가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가 물에 일정 농도(임계 마이셀 농도) 이상 첨가되면 친수성인 계면활성제의 머리 부분이 물 쪽으로(바깥쪽으로) 노출되어 둥근 형태인 마이셀(micelle)을 띠게 된다. 반대로, 기름에 계면활성제가 일정 농도 이상 첨가되면 소수성인 계면활성제의 꼬리 부분이 기름 쪽으로(바깥쪽으로) 노출되어 둥근 형태인 역 마이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셀이 형성되는 조건은 농도 뿐 아니라 용액의 온도, pH, 용액에 존재하는 다른 이온들의 농도(이온 세기) 등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서로 섞일 수 없는 물과 기름의 겉 표면을 둘러쌓아 에멀젼(emulsion)의 형태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세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의 종류로는 알칼리성 계면활성제인 로릴황산나트륨(SDS), 알킬에테르설페이트(Alkyl ether sulfates)와 산성 계면활성제인 제4급 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알킬이미다졸리늄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알칼리성 계면활성제는 단백질 층 등 유기물 제거에 효과적이며 산성 계면활성제는 무기물 오염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Here, surfactants are both lipophilic materials having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tructure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soap and detergent. In this case, when the surfactant is added to the water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r more, the hydrophilic surfactant is exposed to the water (outward) to the round to form a micelle (micelle). Conversely, when a certain amount of surfactant is added to the oil, the tail of the hydrophobic surfactant is exposed to the oil (outward) to form a rounded reverse micelle. The conditions under which such micelles are formed depend not only on the concentration but also on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pH, and the concentration of other ions present in the solution (ion strength). These surfactants can be dispersed in the form of an emulsion (emulsion) by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and oil that can not be mixed with each other and can perform a cleaning function using this propert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ype of the surfactant, sodium lauryl sulfate (SDS), alkyl ether sulfates and alkaline quaternary ammonium salts, alkylpyridinium salts and alkylimidazolinium salts may be used. have. At this time, the alkaline surfactant is effective to remove organic matters such as protein layer, and the acidic surfactant is effective to remove inorganic contamination.
또한, 알칼리는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수중 가용화 및 용해의 작용에 도움이 되며 단백질, 미생물 부산물 등의 유기물, 실리카 계열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살균제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DBNPA(2.2-Dibromo-3-Nitrilopropi onamaide)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kali may help the solubilization and dissolution of the water to remove the contaminants, and may remove the contamination of silica-based organic matter, such as proteins, microbial by-products. Next, the fungicide serves to remove microorganisms, and DBNPA (2.2-Dibromo-3-Nitrilopropi onamaide) may be used.
더하여, EDTA(2-({2-[bis(carboxymethyl)amino]ethyl}(carboxymethyl)amino) acetic acid)는 킬레이트제로서 금속염 오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삼인산나트륨은 세척제로서 수중 내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유화, 분산,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EDTA (2-({2- [bis (carboxymethyl) amino] ethyl} (carboxymethyl) amino) acetic acid) can remove metal salt contamination as a chelating agent and sodium triphosphate as a cleaning agent to remove contaminants in water. Emulsification, dispersion and surface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이렇게 제조된 세정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생성 챔버(200)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 물과 함께 혼합되어 세정수가 되며, 이와 같은 세정수에 의해 오염물질의 용해 및 무기 침전물 및 유기물의 제거 등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cleaning composition thus prepared is mixed with the water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in the
더불어, 세정 대상을 향해 세정수를 전달하게 되는데 만일 세정 대상이 금속재의 파이프인 경우 잦은 수분 접촉에 의해 산화되어 부식될 수 있다는 개연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세정 조성물에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을 포함하는 부식방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세정 대상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water is delivered to the cleaning object. If the cleaning object is a metal pip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ter may be oxidized and corroded by frequent water contact.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a corrosion inhibitor including 2-mercaptobenzothiazol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cleaning composition to effectively prevent corrosion of the cleaning object.
구체적으로, 부식방지제는 전체 세정 조성물 중량 대비, 계면활성제 15 내지 30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하나인 알칼리 25 내지 40중량%, 살균제 5 내지 25중량%, EDTA 5 내지 15중량%, 삼인산나트륨 5 내지 15중량%, 상기 부식방지제 1 내지 15%의 비율로 첨가되며 이러한 부식방지제의 제조 방법은 중간 용액 제조 단계, 부식방지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ti-corrosive agent is 15 to 30% by weight of the surfactant, 25 to 40% by weight alkali, which is either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5 to 25% by weight fungicide, 5 to 15% by weight EDTA,
먼저, 중간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중간 용액 중량 대비,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10 내지 3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30중량%, 용매 40 내지 60중량%를 혼합한 뒤 10,000 내지 15,0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First, the intermediate solution preparation step is 10 to 30% by weight of 2-mercaptobenzothiazole, 10 to 30%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 40 to 60% by weight of the solven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solution, 10,000 to 15,000rpm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intermediate solution by stirring at a rate of.
여기서, 2-메르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은 방청 능력이 뛰어난 물질로서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부식방지제의 화학적 혼합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더하여, 용매는 저점도를 가지며 상술한 2-메르캅토벤조티아졸과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어 에멀젼을 이룰 수 있는 바탕이 되고 Isopar-G((Isoparaffinic Hydrocarbon Solvent)와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이 사용될 수 있다. Here, 2-mercaptobenzothiazole i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rusting ability to prevent corrosion of metals, and nonionic surfactants act as emulsifiers and stability of chemical mixing of corrosion inhibitors. It can be maintained and the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non-ionic surfactant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olvent has a low viscosity, and the above-mentioned 2-mercaptobenzothiazole and a nonionic surfactant are mixed to form an emulsion, and Isopar-G (Isoparaffinic Hydrocarbon Solvent) and tetrachloroethylen are formed. Can be used.
다음, 부식방지제 완성 단계는 전체 부식방지제 중량 대비, 중간 용액 20 내지 50중량%, 프리폴리머 수지 50 내지 80중량%를 혼합한 후 40 내지 80℃로 가열한 뒤 150 내지 4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부식방지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프리폴리머 수지란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수지로서 중간 용액의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을 둘러싸게 되어 마이크로캡슐 형상의 부식방지제가 제조 된다. 따라서 프리폴리머 수지는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을 감싸는 벽재물질(wallmaterial)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이렇게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형상의 부식방지제는 세정 대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청 성능을 하는 물질이 캡슐로 쌓여 있으므로 이러한 성능이 안정적으로 더욱 오래 지속될 수 있다.Next, the step of completing the corrosion inhibitor is mixed with 20 to 50% by weight of the intermediate solution, 50 to 80% by weight of the prepolymer resin, and then heated to 40 to 80 ℃ and stirred at a speed of 150 to 450rpm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rrosion inhibitor The process of completing it. Here, the prepolymer resin is a resin prepared by mixing a melamine and formaldehyde solution to surround 2-mercaptobenzothiazole in an intermediate solution to prepare a microcapsule-type corrosion inhibitor. Therefore, the prepolymer resin serves as a wall material covering 2-mercaptobenzothiazole, and the microcapsule-shaped anti-corrosion agent thus prepared can prevent corrosion of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the material having anti-rust performance is encapsulated. These performances can be reliably lasted longer because they are stacked together.
상술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부식방지제의 화학적 혼합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퍼플루오르 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알릴폴리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nonionic surfactants can serve as emulsifiers and maintain the stability of chemical mixing of the preservatives. Such nonionic surfactants include 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allylpolyether, allylglycidyl ether, and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include preparing a first mixed solution, preparing a second mixed solution, and a nonion. It can be prepared through a surfactant completion step.
먼저,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1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퍼플루오르 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30 내지 70중량%, 알릴폴리에테르 10 내지 50중량%, 알릴글리시딜에테르 1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퍼플루오르 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은 소수성기의 재료가 되고 알릴폴리에테르는 친수성기의 재료, 알릴글리시딜에테르는 퍼플루오르 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과 알릴폴리에테르 간의 결합 반응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irst, the primary mixed solution preparation step is 30 to 70% by weight of 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10 to 50% by weight of allylpolyether, allyl glycidyl ether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mixed solution It is a process of preparing a primary mixed solution by mixing the weight%. Specifically, 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is a hydrophobic group material, allylpolyether is a hydrophilic group material, allylglycidyl ether plays a role of imparting a binding reactivity between perfluoromethyl hydrogen siloxane and allylpolyether. Do this.
다음,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2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1차 혼합 용액 95 내지 99.99중량%, 염화백금산 0.01 내지 5중량%을 혼합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혼합 후 5 내지 30분 교반한 후 70 내지 90℃ 환경에서 1 내지 5분 후에 1차 혼합 용액과 염화 백금산과의 반응이 시작 된다. 이때, 염화 백금산은 2차 혼합 용액 생성 속도를 단축시켜주는 촉매 역할을 한다. Next, the secondary mixed solution preparation step is a process of preparing a secondary mixed solution by mixing 95 to 99.99% by weight of the primary mixed solution, 0.01 to 5% by weight of chloroplatinic acid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mixed solution. At this time, the mixture is stirred for 5 to 30 minutes, and then the reaction of the primary mixed solution and the chloroplatinic acid is started after 1 to 5 minutes in a 70 to 90 ℃ environment. At this time, the chloroplatinic acid serves as a catalyst to reduce the rate of secondary mixed solution production.
마지막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 완성 단계는 상기 2차 혼합 용액을 20 내지 30℃에서 냉각시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제조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부식방지제의 화학적 혼합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세정수에 포함되면 세정수의 점도가 높아지게 되며 높은 점도의 세정수는 기존의 큰 크기의 기포 발생을 억제시켜 줄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의 수중 유지 시간을 더욱 늘려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흡착 파우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의 제거 및 오염물질에 대한 높은 흡착력으로 인한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세정 조성물 중량 대비, 계면활성제 10 내지 30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하나인 알칼리 20 내지 40중량%, 살균제 5 내지 20중량%, EDTA 1 내지 10중량%, 삼인산나트륨 1 내지 10중량%, 부식방지제 1 내지 10중량%, 산화방지제 1 내지 10중량%, 흡착 파우더 10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흡착 파우더가 세정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Finally, the nonionic surfactant completion step is a process of completing the nonionic surfactant by cooling the secondary mixed solution at 20 to 30 ° C. The non-ionic surfactant thus prepared serves as an emulsifier and can maintain the stability of chemical mixing of the corrosion inhibitor. When the nonionic surfactant is included in the washing water, the viscosity of the washing water is increased, and the high viscosity washing water can suppress the formation of large bubbles in the existing water and improve the cleaning effect by further increasing the retention time of the microbubbles in water. Can be.
In another embodiment, the adsorbent powd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the odor due to the contaminants and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due to the high adsorption force on the contaminants. Specifically, 10 to 30% by weight of surfactant, 20 to 40% by weight of alkali, which is either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5 to 20% by weight of disinfectant, 1 to 10% by weight of EDTA, 1 to 1% of sodium triphosphate The adsorbent powd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cleaning composition at a ratio of 10% by weight, 1 to 10% by weight of corrosion inhibitor, 1 to 10% by weight of antioxidant, and 10 to 20% by weight of adsorbent pow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대조예를 들어 비교함으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될 실시예 및 대조예에 대해서는 25명의 평가단이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과 시판 세정액에 의한 세정 능력(오염물질의 제거 능력)과 부식 방지(파이프의 상태)를 각각 매우 좋음(5), 좋음(4), 보통(3), 나쁨(2), 매우 나쁨(1)의 5단계로 평가하여 그 평균점을 판정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compar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s for the examples and the control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25 evaluation teams used the cleaning composition and the commercial cleaning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 4)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in five stages of normal (3), bad (2) and very bad (1) to determine the average point.
이때 세정 능력은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함유된 세정수로 오염물질을 세척한 뒤 세척의 정도에 대한 평가단의 평가를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의한 오염물질의 세척 능력이 좋을수록 매우 좋음(5)에 가깝게, 세척 능력이 안 좋을수록 매우 나쁨(1)에 가깝게 평가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the cleaning ability was expressed by the evaluation stage for the degree of washing after washing the contaminants with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tter the cleaning ability of the contaminants by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er to very good (5), and the poorer the cleaning ability, the closer to very poor (1).
또한, 부식 방지는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이 함유된 세정수로 인한 세정 대상의 부식에 대한 정도를 평가단이 관찰한 후 이에 대한 평가를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과 시판 세정액으로 인한 세정 대상의 부식 정도가 적을수록 매우 좋음(5)에 가깝게, 부식의 정도가 클수록 매우 나쁨(1)에 가깝게 평가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corrosion protection was evaluated after the evaluation step observed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cleaning object due to the cleaning water containing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er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object to be cleaned due to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cleaning solution, the closer to very good (5), and the greater the degree of corrosion, the closer to very poor (1).
<실시예 1><Example 1>
계면활성제 35g, 수산화나트륨 30g, 살균제 15g, EDTA 10g, 삼인산나트륨 10g을 혼합하여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lea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35 g of surfactant, 30 g of sodium hydroxide, 15 g of bactericide, 10 g of EDTA, and 10 g of sodium triphosphate.
활성탄을 포함하는 흡착 파우더를 제조하였다.Adsorption powder containing activated carbon was prepared.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을 포함하는 부식방지제를 제조하였다.An anticorrosive comprising 2-mercaptobenzothiazole was prepared.
다음으로, 세정 조성물에 흡착 파우더 및 부식방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였다. Next, the cleaning composition further contained an adsorbent powder and a corrosion inhibitor.
<실시예 2><Example 2>
세정 조성물에 흡착 파우더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한다.A clea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leaning composition did not contain the adsorbent powder.
<실시예 3><Example 3>
세정 조성물에 부식방지제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한다.A clea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leaning composition did not include a corrosion inhibitor.
<대조예><Control>
시판 세정액.Commercial cleaning liquids.
<표 1 :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표>Table 1: Table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에 나타난 바를 통해, 평가단이 실시예와 대조예로 제조된 세정 조성물의 세정 능력을 평가한 결과를 평균 점수로 표현하여 표로 나타낸 것이며, 앞서 설명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3는 대조예와 비교하여 높은 평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대조예인 시판 세정액의 세정 능력보다 강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leaning ability of the cleaning composition prepared as an example and the control example represented by the average score is shown in the table, Examples 1 to 3 as shown in the above description A high evaluation score was obtain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1 to 3) was strengthened than the cleaning ability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leaning solution as a control.
또한, 평가단이 실시예와 대조예로 제조된 세정 조성물과 접촉하는 세정 대상의 부식의 방지 능력을 관찰한 결과를 평균 점수로 표현하여 표로 나타내었는데, 이 역시 실시예 1 내지 3는 대조예와 비교하여 높은 평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세정 대상의 부식 방지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orrosion prevention ability of the cleaning object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and Control Example are expressed in a table, expressed as an average score, also Examples 1 to 3 compared with the control example Gained a high rating. Therefore, it turns out that the cleaning composition (Examples 1-3) of this invention improved the corrosion prevention ability of the cleaning object.
이를 통해 세정 조성물과 흡착 파우더 및 부식방지제를 통한 세정 능력 및 부식 방지 능력을 파악할 수 있어 각 공정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leaning ability and the anti-corrosion ability through the cleaning composition, the adsorption powder and the corrosion inhibitor, there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each process.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the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described as example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펌프 110: 공급관
120: 펌프관 200: 생성 챔버
210: 장변 220: 단변
211: 절곡 부위 211a: 내측 절곡 부위
211b: 외측 절곡 부위 212: 생성 보조 파트
212a: 제 1 라운딩 섹션 212b: 제 2 라운딩 섹션
212c: 제 3 라운딩 섹션 230: 챔퍼부
300: 배출부100: pump 110: supply pipe
120: pump pipe 200: production chamber
210: long side 220: short side
211: bending
211b: outer bent portion 212: generation aid part
212a: first rounding
212c: third rounding section 230: chamfer portion
300: discharge part
Claims (13)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물에 세정 조성물을 추가하여 세정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세정수를 통해 세정 대상을 세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정 조성물은,
전체 세정 조성물 중량 대비, 계면활성제 15 내지 30중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중 하나인 알칼리 25 내지 40중량%, 살균제 5 내지 25중량%, EDTA 5 내지 15중량%, 삼인산나트륨 5 내지 15중량%,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을 포함하는 부식방지제 1 내지 15%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식방지제는,
전체 중간 용액 중량 대비,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10 내지 3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30중량%, 용매 40 내지 60중량%를 혼합한 뒤 10,000 내지 15,0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부식방지제 중량 대비, 상기 중간 용액 20 내지 50중량%, 프리폴리머 수지 50 내지 80중량%를 혼합한 후 40 내지 80℃로 가열한 뒤 150 내지 4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부식방지제를 완성하는, 부식방지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방법.As a washing method using microbubbles,
Generating microbubbles in water;
Generating washing water by adding a cleaning composition to water while the microbubbles are generated;
Washing the object to be cleaned through the washing water;
The cleaning composition,
15-30 wt% of surfactant, 25-40 wt% of alkali, either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5-25 wt% of disinfectant, 5-15 wt% of EDTA, 5-15 wt% of sodium triphosphate , Consisting of a mixture of preservatives 1-15%, including 2-mercaptobenzothiazole,
The corrosion inhibitor,
10 to 30% by weight of 2-mercaptobenzothiazole, 10 to 30%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 40 to 60% by weight of solvent, and then stirred at a speed of 10,000 to 15,000 rpm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termediate solution Preparing an intermediate solution;
20 to 50% by weight of the intermediate solution, 50 to 80% by weight of the prepolymer resin, and then heated to 40 to 80 ℃ and stirred at a speed of 150 to 450rpm to complete the corrosion inhibitor,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preservative, Comple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microbubble.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전체 1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퍼플루오르 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30 내지 70중량%, 알릴폴리에테르 10 내지 50중량%, 알릴글리시딜에테르 1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전체 2차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1차 혼합 용액 95 내지 99.99중량%, 염화백금산 0.01 내지 5중량%을 혼합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2차 혼합 용액을 20 내지 30℃에서 냉각시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완성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5,
The nonionic surfactant,
Primary mixed solution by mixing 30 to 70% by weight of perfluoromethylhydrogen siloxan, 10 to 50% by weight of allylpolyether, 1 to 30% by weight of allylglycidyl eth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rimary mixed solution Preparing a first mixed solution;
Preparing a second mixed solution by mixing 95 to 99.99% by weight of the first mixed solution and 0.01 to 5% by weight of chloroplatinic aci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mixed solution;
The non-ionic surfactant is completed by cooling the secondary mixed solution at 20 to 30 ℃, nonionic surfactants, characterized in that is prepared through; washing method using a microbub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211A KR102022517B1 (en) | 2019-02-28 | 2019-02-28 | Cleaning method using micro bub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4211A KR102022517B1 (en) | 2019-02-28 | 2019-02-28 | Cleaning method using micro bubb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2517B1 true KR102022517B1 (en) | 2019-09-18 |
Family
ID=6807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4211A Active KR102022517B1 (en) | 2019-02-28 | 2019-02-28 | Cleaning method using micro bub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2517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756A (en) * | 2009-02-02 | 2010-08-11 | 주식회사엔지오스 | The equipment for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utilizing microbubble generator |
KR20150040134A (en) * | 2013-10-04 | 2015-04-14 | (주)범용테크놀러지 | Nano bubble generator |
KR20150077221A (en) * | 2013-12-27 | 2015-07-07 | 주식회사 일성 | A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
JP2016036775A (en) * | 2014-08-07 | 2016-03-22 | 株式会社ワイビーエム | Fine bubble generator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the same |
KR101894468B1 (en) * | 2017-09-22 | 2018-09-04 | 박기원 | Tablet for making liquid was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
2019
- 2019-02-28 KR KR1020190024211A patent/KR1020225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756A (en) * | 2009-02-02 | 2010-08-11 | 주식회사엔지오스 | The equipment for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utilizing microbubble generator |
KR20150040134A (en) * | 2013-10-04 | 2015-04-14 | (주)범용테크놀러지 | Nano bubble generator |
KR20150077221A (en) * | 2013-12-27 | 2015-07-07 | 주식회사 일성 | A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
JP2016036775A (en) * | 2014-08-07 | 2016-03-22 | 株式会社ワイビーエム | Fine bubble generator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the same |
KR101894468B1 (en) * | 2017-09-22 | 2018-09-04 | 박기원 | Tablet for making liquid was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85970A (en) | Paint spray booth composition | |
TW299349B (en) | ||
ES2325768T3 (en) | IMPROVED PROCESS OF INCRUSTATION TREATMENT. | |
CA3128188A1 (en) | Use of cationic sugar-based compounds as corrosion inhibitors in a water system | |
EP0701599A1 (en) | Foam surface cleaner | |
US11459530B2 (en) | Solution for removing various types of deposits from a surface | |
KR102022517B1 (en) | Cleaning method using micro bubble | |
JP2015105310A (en) | Liquid treatment agent composition for hard surface | |
CN102367576B (en) | EDTA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low-temperature cleaning aid and application thereof | |
JP2005505684A (en) |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 |
WO2011135366A2 (en) | Cleaning cooling towers | |
CN109267076A (en) | A kind of alkaline defatting agent and method improving titanium tube surface hydrophilicity | |
CN105647662A (en) | Cleanout fluid applicable to cleaning of clinical laboratory instruments and preparation method | |
JP5349783B2 (en) |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 |
Koopal | Physico-chemical aspects of hard-surface cleaning. 1. Soil | |
CN108865491A (en) | A kind of efficiently stripping oil type industrial greasy dirt cleaning agent and preparation method | |
WO2020167483A1 (en) | High foaming liquid alkaline cleaner concentrate composition | |
JP3756971B2 (en) | How to remove soot dirt | |
RU2551723C2 (en) | Removal of scale-corrosion | |
CN219647190U (en) | Reverse osmosis membrane washes structure | |
US6300300B1 (en) | Liquid cleaning, degreasing, and disinfecting concentrate and methods of use | |
JP7450428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composition | |
CN112592770A (en) | Heavy oil cleaning agent and preparation and cleaning methods thereof | |
JP2015206020A (en) | Detergent composition for hard surface | |
CN111909796A (en) | Cleaning solution and cleaning method for plate heat exchanger of cooling water system of nuclear island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