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2461B1 -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461B1
KR102022461B1 KR1020170161561A KR20170161561A KR102022461B1 KR 102022461 B1 KR102022461 B1 KR 102022461B1 KR 1020170161561 A KR1020170161561 A KR 1020170161561A KR 20170161561 A KR20170161561 A KR 20170161561A KR 102022461 B1 KR102022461 B1 KR 10202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hoto detector
photo
signal
specific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900A (ko
Inventor
서지선
Original Assignee
서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선 filed Critical 서지선
Priority to KR102017016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9Electr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된 광 수신기; 및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덱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광을 이용한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무선 광통신 시스템은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이용한 IR(InfraRed) 통신 시스템으로서, 현재 FIR급(4Mb/s)까지 개발되어 있으며, 주로 TV 리모콘 등과 같이 장치 제어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IR 통신 시스템에서는 적외선의 방사특성 상 원활한 통신을 위해 조준을 해야 하며, 방사광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비가시성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고, 이와 같은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백색 LED 등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가시광 통신 시스템은 광원의 빛에 데이터를 실어 무선 통신하는 기술로서 반도체에 의해 발생된 빛으로 온과 오프를 반복하여 온/오프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와 1과 0을 전달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한편, 고속의 가시광 통신을 위해서는 고속의 광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광 송신기와, 광 송신기에서 송신된 고속의 연속된 가시광 펄스에 대해 빠른 응답속도를 가진 광 수신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광 수신기의 크기와 소비 전력 등의 제한으로 인해 고속의 광 수신기를 개발하는데 제한이 있었고, 이에 따라 송신 속도에 맞지 않는 광 수신기를 사용하면서 도 1과 같이 정확한 신호를 복구하기 어려워 통신 간에 많은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큰 소비전력과 큰 크기의 광 수신기를 사용하거나 미세하게 수신된 광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복잡한 전자 회로 등을 설계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광 수신기를 제작하는 전체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63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광 수신기를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하고, 제어부에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덱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종래의 저속의 응답속도를 가진 포토 디텍터를 사용하여 고속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된 광 수신기; 및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덱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광 수신기의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수신하여 변환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순차에 따라 조합하는 신호 조합모듈; 및 신호 조합모듈을 통해 조합된 신호를 바탕으로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복구하는 신호 복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에 있어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 중 임의의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선정하여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은 임의의 포토 디텍터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한 이후부터는, 기 설정된 순차에 따라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은 광 송신기의 송신이 유지되는 동안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의 순차적인 작동이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포토 디텍터가 작동되는 특정 시간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주파수 정보와 광 수신기를 구성하는 포토 디텍터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은, 광 송신기에서 광신호의 송신시, 복수의 포토 디덱터들 중 어느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특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단계; 어느 하나의 포토 디텍터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복수의 포토 디덱터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포토 디텍터들의 작동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수신기를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하고, 제어부에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덱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종래의 저속의 응답속도를 가진 포토 디텍터를 사용하여 고속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사용하는 광 수신기에서 고속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복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로 구성된 광 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에서,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에 대해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수신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의 신호 조합 모듈에서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수신하여 변환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순차에 따라 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에서, 4개의 포토 디텍터로 구성되는 광 수신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이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생성한 셀렉트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제어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복수의 포토 디텍터로 구성된 광 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에 대해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수신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신호 조합 모듈에서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수신하여 변환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순차에 따라 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에서, 4개의 포토 디텍터로 구성되는 광 수신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이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생성한 셀렉트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은 광수신기(100) 및 제어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광 송신기(300) 및 증폭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송신기(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광을 이용하여 광 수신기(100)에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광 송신기(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가시광을 이용하여 광 수신기(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 등이 본 발명에서의 광 송신기(300)로 사용될 수 있다.
광 수신기(100)는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110, 120, 130, 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토 디텍터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이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광 수신기(100)가 4개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 하였는데, 광 수신기(100)를 구성하는 포토 디텍터들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 송신기(300)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속도,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종류 및 광 수신기(100)의 응답속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의 송신 속도가 고속인 광 송신기(300)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기(100)의 경우는, 송신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인 광 송신기(300)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기(100) 보다 많은 개수의 포토 디텍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광 수신기(100)의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수신하여 변환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순차에 따라 조합하는 신호 조합모듈(220) 및 신호 조합모듈(220)을 통해 조합된 신호를 바탕으로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복구하는 신호 복구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00)의 세부 구성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어부(300)를 통해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가 생성되는 것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수신기(100)의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수신기(100)가 4개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된 경우, 포도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4개의 포토 디텍터들이 기 설정된 순차적에 따라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하는 순서는 실시예에 따라 제1포토 디텍터(110),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 순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제1 포토 디텍터(11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의 순서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순서는 특정 순서에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그 작동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에 있어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 중 임의의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선정하여 특정 시간 동안 해당 포토 디텍터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임의의 포토 디텍터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한 이후부터는, 기 설정된 순차에 따라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에 있어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 중 기 설정된 순차 중 첫번째 포토 디텍터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하고, 첫번째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이후부터는, 기 설정된 순차에 따라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하는 순서가 제1포토 디텍터(110),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 순인 경우,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에, 4개의 포토 디텍터 중에 임의의 하나의 포토 디텍터인 제2 포토 디텍터(120)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제2 포토 디텍터(120)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한 이후에는 순차에 따라, 제3포토 디텍터(130), 제4 포토 디텍터(140) 및 제1포토 디텍터(110)가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하는 순서가 제1포토 디텍터(110),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 순인 경우,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에, 4개의 포토 디텍터 중에 첫번째 순서인 제1포토 디텍터(110)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제1 포토 디텍터(110)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한 이후에는 순차에 따라, 제2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포토 디텍터(140)가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송신기(300)의 송신이 유지되는 동안 복수의 포토디텍터들이 순차적인 작동이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하는 순서가 제1포토 디텍터(110),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 순인 경우,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송신기(300)의 송신이 유지되는 동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셀렉트 신호를 각각 제1포토 디텍터(110),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에 입력하여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은 셀렉트 신호가 온인 경우에 작동하고, 오프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포토 디텍터는 셀렉트 신호가 온인 동안에만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고, 셀렉트 신호가 오프인 동안에는 광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토 디텍터가 작동되는 특정 시간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주파수 정보와 광 수신기를 구성하는 포토 디텍터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포토 디텍터가 작동되는 특정 시간은 포토 디텍터가 작동되는 특정 주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주파수가 1.6GHz이고, 광 수신기(100)가 4개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은 각각 400MHz의 신호를 나누어 수신하므로,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은 2.5ns 동안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주파수가 1GHz이고, 광 수신기(100)가 4개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은 각각 250MHz의 신호를 나누어 수신하므로, 각각의 포토 디텍터들은 4ns 동안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에서,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에 대해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수신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210)은 광 수신기(100)의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한 각각의 포토 디텍터는 해당 시간 동안 수신한 광신호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조합모듈(220)은 특정 시간 동안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수신하여 변환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순차에 따라 도 5와 같이 조합할 수 있다. 도 5에서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하는 순서는 제1포토 디텍터(110),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포토 디텍터들이 작동하는 순서가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0), 제1 포토 디텍터(11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인 경우, 신호 조합모듈(220)은 제2 포토 디텍터(120), 제3 포토 디텍터(13), 제1 포토 디텍터(110) 및 제4 포토 디텍터(140)의 순으로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조합할 수 있다.
신호 복구모듈(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조합모듈(220)을 통해 조합된 신호를 바탕으로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증폭기(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수신기(100)에서 광 송신기(300)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한 전기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외부 환경에 따라 광신호를 이루는 가시광이 산란되는 경우, 광신호의 세기가 낮아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증폭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송신기에서 광신호의 송신시, 복수의 포토 디덱터들 중 어느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특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단계, 어느 하나의 포토 디텍터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복수의 포토 디덱터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포토 디텍터들의 작동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수신기를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하고, 제어부에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덱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종래의 저속의 응답속도를 가진 포토 디텍터를 사용하여 고속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100: 광 수신기 200: 제어기
210: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 220: 신호 조합모듈
230: 신호 복구모듈 300: 광 송신기
400: 증폭기

Claims (8)

  1.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로 구성된 광 수신기; 및
    복수의 포토 디텍터가 각각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덱터에서 나누어 수신하도록 하며,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출력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광 수신기의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순차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
    각각의 포토 디텍터에서 수신하여 변환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각각의 포토 디텍터가 작동한 순차에 따라 조합하는 신호 조합모듈; 및
    신호 조합모듈을 통해 조합된 신호를 바탕으로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복구하는 신호 복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에 있어서,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 중 임의의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선정하여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은 임의의 포토 디텍터가 특정 시간 동안 작동한 이후부터는, 기 설정된 순차에 따라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각각 특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포토 디텍터 제어모듈은 광 송신기의 송신이 유지되는 동안 복수의 포토 디텍터들의 순차적인 작동이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포토 디텍터가 작동되는 특정 시간은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주파수 정보와 광 수신기를 구성하는 포토 디텍터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광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광 통신 시스템.
  8. 청구항 1의 광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광 송신기에서 광신호의 송신시, 복수의 포토 디덱터들 중 어느 하나의 포토 디텍터를 특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단계;
    어느 하나의 포토 디텍터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나머지 포토 디텍터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복수의 포토 디덱터들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를 포토 디텍터들의 작동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광 송신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완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70161561A 2017-11-29 2017-11-29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02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61A KR102022461B1 (ko) 2017-11-29 2017-11-29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561A KR102022461B1 (ko) 2017-11-29 2017-11-29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900A KR20190062900A (ko) 2019-06-07
KR102022461B1 true KR102022461B1 (ko) 2019-09-18

Family

ID=6684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561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2461B1 (ko) 2017-11-29 2017-11-29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01321A1 (en) * 2016-01-07 2017-07-13 Ozyegin Universitesi Adapt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optica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ofdm)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029A (ja) * 1994-12-01 1996-06-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受信回路
KR100834621B1 (ko) 2006-11-22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위한 광 수신기와 그를 이용한 광 통신시스템
KR101307610B1 (ko) * 2007-08-10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수광소자의 신호 처리 방법 및장치
KR101612127B1 (ko) * 2009-08-14 201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58731A (ko) * 2015-11-19 2017-05-29 코아글림 주식회사 가시광의 디밍 제어를 통한 수중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01321A1 (en) * 2016-01-07 2017-07-13 Ozyegin Universitesi Adapt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optica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ofdm)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900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84586B (zh) 光通信系统、发射装置及接收装置
TW201403034A (zh) 光感應式感測裝置
US20150185359A1 (en) Photoelectric switch for detection of an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4243404A3 (en) Photonics systems and methods
KR102022461B1 (ko) 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217571B (zh) Cmos单管红外收发器
JP2013197120A (ja) 受光用集積回路およびこの集積回路を用いた光電センサ
US9232039B2 (en) Audio playback system
CN104601236A (zh) 一种基于反射原理的可见光通讯系统及方法
US7647442B2 (en) Series-connected control system
TW432808B (en) Transceiving apparatus and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60239103A9 (en) Optical object recognition system
US8384664B2 (en) Opto-electronic system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programs
JP2006332846A (ja) Av信号の伝送装置、通信機、および伝送方法
JP2997597B2 (ja) 光送受信器
JP4846325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投光器、及び受光器
CN102867404A (zh) 一种通过遥控器控制手机的系统及方法
JP2013121175A (ja) 無線受信装置、無線受信装置の制御方法、無線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受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1815857B1 (ko) 신호 세기 기반 제어 장치
JP7258334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用受信機、送信機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用送受信システム
US20170324993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AU2003263950A8 (en) Integrated post-amplifier and laser driver assembly with digital control interface
KR100605648B1 (ko) 적외선 통신장치
CN107688413A (zh) 接近传感器、接近传感器输出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1332234A (zh) 座舱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