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2338B1 -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338B1
KR102022338B1 KR1020180091284A KR20180091284A KR102022338B1 KR 102022338 B1 KR102022338 B1 KR 102022338B1 KR 1020180091284 A KR1020180091284 A KR 1020180091284A KR 20180091284 A KR20180091284 A KR 20180091284A KR 102022338 B1 KR102022338 B1 KR 10202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s
amino acids
aminoguanidine
osmolarity
amino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무
강희영
이인성
이준성
정미분
Original Assignee
이건무
강희영
이인성
이준성
정미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무, 강희영, 이인성, 이준성, 정미분 filed Critical 이건무
Priority to KR102018009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338B1/ko
Priority to PCT/KR2019/009200 priority patent/WO2020032439A1/ko
Priority to US17/265,858 priority patent/US20210170030A1/en
Priority to EP19846614.6A priority patent/EP3834818B1/en
Priority to CN201980051888.2A priority patent/CN11254362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9Parenteral nutrition; Parenteral nutrition compositions as drug c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아미노산과 당의 혼합 시에 변색이 되고 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아미노산과 당의 안정한 혼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A stable infusion solution comprising saccharide and amino acid}
본 발명은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과 아미노산을 수액제의 성분으로서 혼합하여 두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성이 감소하고 변색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수액제 조성물은 이러한 단점을 크게 감소시켜,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체의 필수 영양소인 당과 아미노산의 동시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당과 같은 탄수화물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 이외에도 면역계 조절, 호르몬 분비, 생체 내 주요 신호전달 등 인체의 필수적인 생리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인체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특정 당분의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글루코스(Glucose; Glu), 갈락토스(Galactose; Gal), 만노스(Mannose; Man), 푸코스(Fucose; Fuc), 자일로스(Xylose; Xy),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GlcNAc), N-아세틸갈락토사민 (N-Acetylgalactosamine; GalNAc), N-아세틸뉴라민산(N-Acetylneuraminic acid; NANA 또는 시알산(sialic acid)의 8가지 당은 체내에서 생리활성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이들을 필요한 만큼 공급하는 것은 인체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근육의 원료물질로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인체조직의 재생과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체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아미노산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많은 경우에 당과 아미노산이 동시에 필요하다.
따라서 당과 아미노산을 혼합하여 동시에 투여하고자 하였으나,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이라고 알려진 갈변반응 문제 때문에 기존에는 각각의 아미노산 수액제와 당 수액제를 사용 시에 조제과정에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용시 제조).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조제과정에서 균 감염의 우려가 있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안정성이 보장된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수액제를 공급할 수 있다면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양질의 영양수액 요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1699호
본 발명은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시에 일어나는 반응으로 인하여 안정성이 감소하고 변색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혼합 시에도 안정한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수액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당과 아미노산 사이의 마이야르 반응을 억제하고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안정화제를 발굴하여, 안정성 및 유효성이 향상된 당과 아미노산의 안정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과 아미노산의 안정한 혼합 조성물은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시에 발생하는 변색과 안정성 저하의 문제를 크게 개선시킨 것으로서, 당과 아미노산의 동시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인체의 필수적인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수액제는 제조 후에 즉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의료기관에서 대량으로 상당 기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일반적으로 병원 또는 의원에서는 12~24개월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실정이다), 보관 안정성은 수액제의 제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보관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연구하여, 당과 아미노산의 안정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액에 서로 다른 안정화제 후보군을 첨가함에 따른 혼합액의 측정된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위 도 1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의 그래프로부터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삼투압몰농도가 20%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 따라,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액에, 실험예 1에서 안정화 효과를 보였던 안정화제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아미노구아니딘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 첨가함에 따른 혼합액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위 도 3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의 그래프로부터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삼투압몰농도가 20%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 따라,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액에, 실험예 2에서 안정화 효과의 영향이 더 크다고 판명된 안정화제인 아미노구아니딘의 양을 달리하여 첨가함에 따른 혼합액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위 도 5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의 그래프로부터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삼투압몰농도가 20%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당과 아미노산의 안정한 혼합 수액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다양한 생리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8가지 당과 아미노산에 특정 안정화제를 조합하여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혼합물을 제조함으로써 당과 아미노산의 동시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아미노산과,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뉴라민산의 8가지 당을 포함하는, 아미노산과 당이 혼합된 형태의 영양수액제이다.
위에 열거한 당은 당단백질 합성에 필수불가결한 주요 당 성분이다. 단백질 중 약 50% 이상에 당쇄가 붙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특정 구조의 당이 결합해야만 단백질의 고유기능이 발현된다. 또한, 결합된 당쇄는 단백질 자체의 기능을 증대 또는 억제 시키기도 하여 세포 성장 및 면역 작용 등을 더욱 더 세밀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글루코스(포도당)는 체내에서 대표적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고, 갈락토스는 서로 다른 종 간의 구별인자로 기능하며, 만노스는 혈당조절, 면역작용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 항체에 붙어있는 푸코스는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의 활성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뼈의 성장에도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일로스는 세포막 점액에 병원균의 결합을 억제하는 항균, 항박테리아, 항암물질로 작용하며,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연골재생산에 도움을 준다. N-아세틸갈락토사민은 종양세포의 성장억제, 류마티스성 관절염 완화, 노화억제의 기능을 하며, N-아세틸뉴라민산은 항바이러스 작용 및 뇌 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또한, 아미노산들은 체내에서 근육의 원료물질로 사용되어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인체 조직의 재생과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8가지 당을 아미노산 수액제에 혼합된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인 영양수액 요법을 가능하게 하고, 인체의 면역계 및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을 함께 포함하는 수액제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는 당과 아미노산 사이의 반응 문제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당과 아미노산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안정화제를 발굴해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EDTA), 트리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타우린(Taurine), 피리독사민(Pyridoxamine), 아미노구아니딘 (Aminoguanidine)을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조성물에 첨가할 안정화제 후보물질로 선정한 후,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본 발명을 통해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 시에도 안정성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안정화제를 발굴하였으며, 안정성을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시간에 따른 기저치 대비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비교하는 방법과 0~5까지의 Color scale을 설정하여 변색 정도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당과 아미노산의 혼합물에 적절한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안정화 효과가 발생하면 물질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게 되어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삼투압몰농도 변화가 적게 나타나게 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본 발명자가 발굴한 안정화제를 첨가한 당/아미노산 혼합물은,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당/아미노산의 혼합물 또는 다른 안정화제를 첨가한 당/아미노산 혼합물보다 시간에 따른 변색 정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삼투압몰농도 변화율도 상당히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할 수 있는 20종의 아미노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서로 상이한 안정화제 후보물질을 함유하는 아미노산 수액제와 당의 혼합 조성물의 제조
가. 재료 및 기기
시그마-알드리치 (Sigma-Aldrich,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미국)사로부터 입수한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의 8가지의 당을 사용하였다.
위의 8가지 당을 주사용수(Water for injection, 중외제약)에 녹인 후, 시판 중인 아미노산 수액제인 89.4% 푸로아민주(Proamin injection, 한올바이오파마㈜)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푸로아민주에는 이소류신, 류신, 리신아세테이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글루타민산, 히스티딘, 프롤린, 세린, 티로신,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시료의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1N 농도의 NaOH 용액(삼전순약공업, samchun pure chemical Co.)을 사용하였다.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이 함유된 수액제들의 pH를 pH 측정기(METTLER TOLEDO Seven Compact pH/Ion)를 이용하면서 6.0 정도로 맞추었다.
아미노산과 당의 혼합 조성물에 첨가할 안정화제 후보물질로는, 9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나트륨 염(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dihydrate; EDTA-2Na dihydrate, 대정화금(주)), 85.0% 트리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igma-Aldrich),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Sigma-Aldrich), 97%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ßSigma-Aldrich), 99% 타우린(Taurine, Sigma-Aldrich), 피리독사민(Pyridoxamine, Sigma-Aldrich),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 Sigma-Aldrich)을 사용하였다.
안정화제 후보물질을 첨가한 후, 안정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기저치 대비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측정하고 Color scale을 이용한 색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삼투압몰농도는 삼투압측정기 (OSMOMAT 030, Cryoscopic os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의 변화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갈변이 심화될수록 숫자가 증가하는 0~5까지의 Color scale로 표시하였다.
나. 실험 방법
하기 표 1과 같이 푸로아민주와 8가지 당의 혼합액 조성물 F1 및 이러한 조성물에 서로 다른 안정화제를 첨가한 조성물 F2, F3, F4, F5, F6, F7, F8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8가지의 당 각각을 12.4 mg씩(따라서, 첨가되는 8가지의 당의 총량은 12.4 mg*8=99.2 mg이다) 주사용수 20 mL에 첨가한 후, 아미노산 수액제인 푸로아민주 20 mL와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교반한 혼합액을 4 mL씩 10개 바이알(vial)에 소분하였다. 이 후, 각각의 바이알에 서로 다른 안정화제를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각 바이알에 1N 농도의 NaOH를 적량 첨가하여 pH를 약 6.0 정도로 맞추었다.
빠른 반응을 위해 F1, F2, F3, F4, F5, F6, F7, F8 바이알은 파라필름으로 감싸 밀봉한 뒤 온도 40±2℃, 상대습도 75±5% 조건에서 가속시험을 진행하여 시간에 따른 삼투압몰농도를 측정하고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F1, F2, F3, F4, F5, F6, F7, F8 시료의 조성
Ingredients Formulation code
F1 F2 F3 F4 F5 F6 F7 F8
푸로아민주 (mL) 2 2 2 2 2 2 2 2
8가지 당* (mg) 12.4 12.4 12.4 12.4 12.4 12.4 12.4 12.4
주사용수 (mL) 2 2 2 2 2 2 2 2
Tripolyphosphate (mg) 16
β-Cyclodextrin (mg) 16
Pyridoxamine (mg) 16
Taurine (mg) 16
Aminoguanidine (mg) 16
Aspartic acid (mg) 16
EDTA (mg) 16
Total (mL) 4 4 4 4 4 4 4 4
* 8가지 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이 각각 12.4 mg씩 첨가된 것이므로, 8가지 당의 총량은 12.4 mg*8=99.4 mg임.
다. 실험 결과
장기보존 안정성 시험으로 가속시험 시작 후,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F1에서는 약 10일 후부터 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안정화제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한 F3과 아미노구아니딘을 첨가한 F6에서는 대조군 F1보다 변색이 적고, 낮은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보였다. F3과 F6을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는 색 변화와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에 있어 대조군 F1 대비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F1, F2, F3, F4, F5, F6, F7, F8 시료에 대한 삼투압몰농도
측정 결과(단위: osmol/L)
Formulation code Osmolality (초기 상태와 대비한 상대적 변화율( % ))
제조 7일 경과 14일 경과 21일 경과 28일 경과
F1(Control) 0.598 0.619
(3.5%)
0.656
(9.7%)
0.706
(18.1%)
0.760
(27.1%)
F2(Tripolyphosphate)* 0.632
F3(β-Cyclodextrin) 0.591 0.609 (3.0%) 0.643
(8.8%)
0.694
(12.4%)
0.706
(19.4%)
F4(Pyridoxamine)* 0.648
F5(Taurine)* 0.625 0.650 (4.0%) 0.706
(13.0%)
F6(Aminoguanidine) 0.639 0.651 (1.9%) 0.681
(6.6%)
0.716
(12.0%)
0.762
(19.2%)
F7(Aspartic acid) 0.637 0.657 (3.1%) 0.692
(8.6%)
0.719
(12.9%)
0.771
(21.0%)
F8(EDTA) 0.616 0.636
(3.2%)
0.687
(11.5%)
0.717
(16.1%)
0.765
(24.2%)
* 대조군 F1 대비 삼투압몰농도 변화량과 색 변화가 심한 시료는 이후의 측정을 중단했음
도 1은 위 표 2의 F1, F3, F6에 대한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고, 도 2는 위 도 1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의 그래프로부터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삼투압몰농도가 20%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위 도 2로부터 아미노구아니딘을 안정화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안정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F1, F2, F3, F4, F5, F6, F7, F8 시료에 대한 Color scale 측정 결과
Formulation code Color scale (0~5)
제조 7일 경과 14일 경과 21일 경과 28일 경과
F1 (Control) 0 0 2 3 4
F2 (Tripolyphosphate) 0 2 3 4 4
F3 (β-Cyclodextrin) 0 0 1 3 4
F4 (Pyridoxamine) 0 3 4 4 5
F5 (Taurine) 0 0 2 2 4
F6 (Aminoguanidine) 0 0 1 2 3
F7 (Aspartic acid) 0 0 2 3 4
F8 (EDTA) 0 0 2 3 4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 안정화 효과를 보였던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아미노구아니딘을 서로 다른 조성 비율로 함유하는 아미노산 수액제와 당의 혼합 조성물의 제조
가. 재료 및 기기
시그마-알드리치 (Sigma-Aldrich,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미국)사로부터 입수한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의 8가지의 당을 사용하였다.
위의 8가지 당은 주사용수(Water for injection, 중외제약)에 녹인 후, 시판 중인 아미노산 수액제인 89.4% 푸로아민주 (Proamin injection, 한올바이오파마㈜)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료의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1N 농도의 NaOH 용액 (삼전순약공업, samchun pure chemical Co.)을 사용하였다.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이 함유된 수액제들의 pH를 pH 측정기 (METTLER TOLEDO Seven Compact pH/Ion)를 이용하여 약 6.0 정도로 맞추었다.
안정화제로는 97%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ßSigma-Aldrich)과 아미노구아니딘 (Aminoguanidine, Sigma-Aldrich)을 사용하였다.
안정화제를 첨가한 후, 안정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기저치 대비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측정하고 Color scale을 이용한 색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삼투압몰농도는 삼투압측정기 (OSMOMAT 030, Cryoscopic os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의 변화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갈변이 심화될수록 숫자가 증가하는 0~5까지의 Color scale로 표시하였다.
나. 실험 방법
하기 표 4와 같이 푸로아민주와 8가지 당의 혼합물에 실험예 1에서 안정화 효과를 보였던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과 아미노구아니딘을 서로 다른 조성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 G1, G2, G3, G4, G5, G6, G7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8가지의 당 각각을 12.4 mg씩(따라서, 첨가되는 8가지의 당의 총량은 12.4 mg*8=99.2 mg이다) 주사용수 20 mL에 첨가한 후, 아미노산 수액제인 푸로아민주 20 mL와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교반한 혼합액을 4 mL씩 10개 바이알(vial)에 소분하였다. 이 후, 각각의 바이알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아미노구아니딘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각 바이알에 1N 농도의 NaOH를 적량 첨가하여 pH를 약 6.0 정도로 pH 측정기를 이용해 맞추었다.
빠른 반응을 위해 G1, G2, G3, G4, G5, G6, G7 바이알은 파라필름으로 감싸 밀봉한 뒤 온도 40±2℃, 상대습도 75±5% 조건에서 가속시험을 진행하여 시간에 따른 삼투압몰농도를 측정하고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G1, G2, G3, G4, G5, G6, G7 시료의 조성
Ingredients Formulation code
G1 G2 G3 G4 G5 G6 G7
푸로아민주 (mL) 2 2 2 2 2 2 2
8가지 당* (mg) 12.4 12.4 12.4 12.4 12.4 12.4 12.4
주사용수 (mL) 2 2 2 2 2 2 2
β-cyclodextrin (mg) 16 16 16 16 8 32
Aminoguanidine (mg) 16 8 16 32 16 16
Total (mL) 4 4 4 4 4 4 4
* 8가지 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이 각각 12.4 mg씩 첨가된 것이므로, 8가지 당의 총량은 12.4 mg*8=99.4 mg임.
다. 실험 결과
장기보존 안정성 시험으로 가속시험 시작 후, 안정화제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만을 첨가한 G2보다 아미노구아니딘만을 첨가한 G3에서 적은 변색과, 낮은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보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고정하고 아미노구아니딘의 양을 달리하여 혼합한 G3, G4, G5에서는 아미노구아니딘의 양이 증가할수록 적은 변색과, 낮은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보였다. 반면, 아미노구아니딘의 양을 고정하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을 달리하여 혼합한 G4, G6, G7에서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는 얻을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아미노산 수액제와 당의 혼합 조성물에 첨가한 안정화제의 효과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보다 아미노구아니딘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는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G1, G2, G3, G4, G5, G6, G7 시료에 대한 삼투압몰농도
측정 결과 (단위: osmol/L)
Formulation code Osmolality (초기 상태와 대비한 상대적 변화율( % ))
제조 3일 경과 7일 경과 10일 경과 14일 경과
G1 (β-CD only) 0.575 0.596
(3.6%)
0.620 (7.8%) 0.656
(14.1%)
0.744 (31.7%)
G2 (AG only) 0.630 0.643 (2.1%) 0.656 (4.1%) 0.705
(11.9%)
0.800 (27.0%)
G3 (β-CD : AG = 16 : 8) 0.602 0.613 (1.8%) 0.628 (4.3%) 0.683
(13.4%)
0.782 (29.9%)
G4 (β-CD : AG = 16 : 16) 0.628 0.630 (0.3%) 0.652 (3.8%) 0.702
(11.8%)
0.747 (18.9%)
G5 (β-CD : AG = 16 : 32) 0.685 0.687 (0.3%) 0.708 (3.4%) 0.757
(10.5%)
0.787 (14.9%)
G6 (AG : β-CD = 16 : 8) 0.628 0.631 (0.5%) 0.652 (3.8%) 0.720
(14.6%)
0.803 (27.9%)
G7 (AG : β-CD = 16 : 32) 0.637 0.639
(0.3%)
0.647 (1.6%) 0.721
(13.2%)
0.810 (27.2%)
β-CD = βCyclodextrin, AG = Aminoguanidine
도 3은 위 표 5의 G1 내지 G5에 대한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고, 도 4는 위 도 3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의 그래프로부터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삼투압몰농도가 20%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위 도 4로부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아미노구아니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하여 안정화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안정화 효과가 더 높고, 혼합 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보다 아미노구아니딘의 양이 많을 때 보다 더 높은 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1, G2, G3, G4, G5, G6, G7 시료에 대한 Color scale 측정 결과
Formulation code Color scale (0~5)
제조 3일 경과 7일 경과 10일 경과 14일 경과
G1 (β-CD only) 0 0 1 1 4
G2 (AG only) 0 0 0 1 3
G3 (β-CD : AG = 16 : 8) 0 0 0 1 4
G4 (β-CD : AG = 16 : 16) 0 0 0 1 2
G5 (β-CD : AG = 16 : 32) 0 0 0 0 2
G6 (AG : β-CD = 16 : 8) 0 0 0 1 3
G7 (AG : β-CD = 16 : 32) 0 0 0 1 2
β-CD = βCyclodextrin, AG = Aminoguanidine
실험예 3. 실험예 2에서 더 높은 안정화 효과를 보였던 아미노구아니딘을 서로 다른 양으로 함유하는 아미노산 수액제와 당의 혼합 조성물의 제조
가. 재료 및 기기
시그마-알드리치 (Sigma-Aldrich,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주, 미국)사로부터 입수한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의 8가지의 당을 사용하였다.
위의 8가지 당은 주사용수 (Water for injection, 중외제약)에 녹인 후, 시판 중인 아미노산 수액제인 89.4% 푸로아민주 (Proamin injection, 한올바이오파마㈜)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료의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1N 농도의 NaOH 용액 (삼전순약공업, samchun pure chemical Co.)을 사용하였다. 8가지 당과 아미노산이 함유된 수액제들의 pH를 pH 측정기 (METTLER TOLEDO Seven Compact pH/Ion)를 이용하여 약 6.0 정도로 맞추었다.
안정화제로는 아미노구아니딘 (Aminoguanidine, Sigma-Aldrich)을 사용하였다.
안정화제를 첨가한 후, 안정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기저치 대비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측정하고 Color scale을 이용한 색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삼투압몰농도는 삼투압측정기 (OSMOMAT 030, Cryoscopic os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의 변화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갈변이 심화될수록 숫자가 증가하는 0~5까지의 Color scale로 표시하였다.
나. 실험 방법
하기 표 7과 같이 푸로아민주와 8가지 당의 혼합물에 실험예 2에서 더 높은 안정화 효과를 보였던 아미노구아니딘을 서로 다른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H1, H2, H3, H4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8가지의 당을 62 mg씩(따라서, 첨가되는 8가지의 당의 총량은 62 mg*8=496 mg이다) 주사용수 10 mL에 첨가한 후, 아미노산 수액제인 푸로아민주 10 mL와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교반한 혼합액을 4 mL씩 5개 바이알 (vial)에 소분하였다. 이 후, 각각의 바이알에 아미노구아니딘을 하기 표 7과 같은 용량으로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각 바이알에 1N 농도의 NaOH를 적량 첨가하여 pH를 약 6.0 정도로 pH 측정기를 이용해 맞추었다.
빠른 반응을 위해 H1, H2, H3, H4 바이알은 파라필름으로 감싸 밀봉한 뒤 온도 40±2 ℃, 상대습도 75±5 % 조건에서 가속시험을 진행하여 시간에 따른 삼투압몰농도를 측정하고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H1, H2, H3, H4 시료의 조성
Ingredients Formulation code
H1 H2 H3 H4
푸로아민주 (mL) 2 2 2 2
8가지 당* (mg) 12.4 12.4 12.4 12.4
주사용수 (mL) 2 2 2 2
Aminoguanidine (mg) 0.1 1 10 100
Total (mL) 4 4 4 4
* 8가지 당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이 각각 12.4 mg씩 첨가된 것이므로, 8가지 당의 총량은 12.4 mg*8=99.2 mg임.
다. 실험 결과
장기보존 안정성 시험으로 가속시험 시작 후 약 14일 후부터 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안정화제로 아미노구아니딘을 각각 0.1mg, 1mg, 10mg, 100 mg 첨가한 H1, H2, H3, H4에서는 대체적으로 적은 변색과 낮은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첨가한 아미노구아니딘의 양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따라서, 아미노산 및 당의 혼합 조성물의 안정화 효과는 아미노구아니딘에 의해 크게 나타나며, 아미노구아니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안정화 효과 또한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는 표 8과 표 9에 나타내었다.
H1, H2, H3, H4 시료에 대한 삼투압몰농도 측정 결과 (단위: osmol/L)
Formulation code Osmolality (초기 상태와 대비한 상대적 변화율( % ))
제조 4일 경과 7일 경과 10일 경과 14일 경과 18일 경과
H1 0.590 0.618 (4.7%) 0.624 (5.8%) 0.637 (8.0%) 0.658 (11.5%) 0.685 (16.1%)
H2 0.591 0.603 (2.0%) 0.614 (3.9%) 0.629 (6.4%) 0.642 (8.6%) 0.667 (12.8%)
H3 0.624 0.639 (2.4%) 0.646 (3.5%) 0.660 (5.8%) 0.673 (7.8%) 0.688 (10.2%)
H4 0.906 0.908 (0.2%) 0.916 (1.1%) 0.923 (1.9%) 0.937 (3.4%) 0.956 (5.5%)
도 5는 위 표 8의 H1 내지 H4에 대한 삼투압몰농도 변화율(%)를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고, 도 6은 위 도 5의 삼투압몰농도 변화율(%)의 그래프로부터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삼투압몰농도가 20%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위 도 6으로부터 아미노구아니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안정화 효과 또한 커진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H1, H2, H3, H4 시료에 대한 Color scale 측정 결과
Formulation code Color scale (0~5)
제조 4일 경과 7일 경과 10일 경과 14일 경과 18일 경과
H1 0 0 0 0 2 3
H2 0 0 0 0 1 3
H3 0 0 0 0 0 1
H4 0 0 0 0 0 0
본 발명에 따른 당 및 아미노산의 안정한 혼합 수액제 조성물은 안정성, 특히 장기보관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Claims (5)

  1. 삭제
  2. 1종 이상의 아미노산;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푸코스, 자일로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뉴라민산;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수액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및 아미노구아니딘 (Aminoguanidine)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아미노구아니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제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할 수 있는 20종의 아미노산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제 조성물.
KR1020180091284A 2018-08-06 2018-08-06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Active KR10202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84A KR102022338B1 (ko) 2018-08-06 2018-08-06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PCT/KR2019/009200 WO2020032439A1 (ko) 2018-08-06 2019-07-24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US17/265,858 US20210170030A1 (en) 2018-08-06 2019-07-24 Stable infusion solution composition containing sugar and amino acid
EP19846614.6A EP3834818B1 (en) 2018-08-06 2019-07-24 Stable infusion solution composition containing sugar and amino acid
CN201980051888.2A CN112543628B (zh) 2018-08-06 2019-07-24 含有糖和氨基酸的稳定的输液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84A KR102022338B1 (ko) 2018-08-06 2018-08-06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338B1 true KR102022338B1 (ko) 2019-09-18

Family

ID=6807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84A Active KR102022338B1 (ko) 2018-08-06 2018-08-06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70030A1 (ko)
EP (1) EP3834818B1 (ko)
KR (1) KR102022338B1 (ko)
CN (1) CN112543628B (ko)
WO (1) WO2020032439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556A (ja) * 2002-12-10 2006-03-23 ガンブロ・ルンディア・エービー 腹膜透析用薬剤の製造のための医学的溶液を調製する方法
KR20070100390A (ko) * 2003-08-26 2007-10-10 마나테크 인코포레이티드 항산화 건강 보조 식품
KR20110131699A (ko) 2010-05-31 2011-12-07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영양공급에 따른 부작용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정맥주사 수액제
EP3058833A1 (en) * 2013-11-15 2016-08-24 Institute of Process Engineering,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omplex carbohydrate formulation for fodder, fodder comprising same, and application
US20170121361A1 (en) * 2014-02-18 2017-05-04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Hydrolysis Resistant Sialic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20170111281A (ko) * 2016-03-25 2017-10-12 (주)정진호이펙트 단당류를 이용한 피부 보습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5424A (ko) * 2017-03-15 2018-09-28 이건무 당 수액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3030B2 (en) * 1984-02-08 1988-05-26 Tanabe Seiyaku Co., Ltd. Parenteral alimentation solution comprising amino acids reducing sugar and electrolytes
US4758583A (en) * 1984-03-19 1988-07-19 The Rockefeller University Method and agents for inhibiting protein aging
JPH06312923A (ja) * 1993-04-30 1994-11-08 Green Cross Corp:The 末梢静脈投与用栄養輸液
KR100450097B1 (ko) * 1996-08-09 2004-09-30 마나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식이 보조제 용도의 식물 탄수화물 조성물
DE19701382A1 (de) * 1997-01-16 1998-07-23 Nutricia Nv Kohlenhydratmischung
CA2905131A1 (en) * 2013-03-15 2014-09-18 Durect Corporation Compositions with a rheological modifier to reduce dissolution variability
CN105101971A (zh) * 2013-03-15 2015-11-25 王慧茹 用于传染性或炎症性疾病或病症的组合物和产品
CN103284156A (zh) * 2013-06-20 2013-09-11 上海西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健品组合物及其应用
JP6240246B2 (ja) * 2015-03-27 2017-11-29 株式会社和冠 甘味料組成物
WO2017118994A1 (en) * 2016-01-08 2017-07-13 Gufic Biosciences Limited A freeze dried parenteral composition of tigecyclin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556A (ja) * 2002-12-10 2006-03-23 ガンブロ・ルンディア・エービー 腹膜透析用薬剤の製造のための医学的溶液を調製する方法
KR20070100390A (ko) * 2003-08-26 2007-10-10 마나테크 인코포레이티드 항산화 건강 보조 식품
KR20110131699A (ko) 2010-05-31 2011-12-07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영양공급에 따른 부작용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정맥주사 수액제
EP3058833A1 (en) * 2013-11-15 2016-08-24 Institute of Process Engineering,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omplex carbohydrate formulation for fodder, fodder comprising same, and application
US20170121361A1 (en) * 2014-02-18 2017-05-04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Hydrolysis Resistant Sialic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20170111281A (ko) * 2016-03-25 2017-10-12 (주)정진호이펙트 단당류를 이용한 피부 보습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5424A (ko) * 2017-03-15 2018-09-28 이건무 당 수액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439A1 (ko) 2020-02-13
EP3834818A4 (en) 2022-06-08
US20210170030A1 (en) 2021-06-10
CN112543628A (zh) 2021-03-23
CN112543628B (zh) 2024-04-02
EP3834818A1 (en) 2021-06-16
EP3834818B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6753B1 (en) Pd-1 antibody formulation
AU641991B2 (en) Novel insulin compositions
JP6027708B2 (ja) 安定な液体製剤
EP0265865A2 (de) Blutersatzmittel
CN109069590A (zh) 包含聚山梨酯80的胰岛素制剂
CN103126978A (zh) 一种盐酸氨溴索注射液的制备方法
US20220031718A1 (en) Glucose infusion solution composition
CN102497877B (zh) 附加了水溶性长链分子的修饰的促红细胞生成素
KR102022338B1 (ko) 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액제 조성물
US359288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intramuscularly injectable iron preparation for animals
RU2454237C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высокомолекулярного гепарина с антикоагулянтными, антитромбоцитарными, фибринолитическими и фибриндеполимеризацио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CN108367094B (zh) 肽组合物
EP3178927B1 (en) Protein-stabilizing agent and protein-stabilizing method
CN107961216B (zh) 一种阿扎胞苷的制剂及其制备方法
RU2456993C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высокомолекулярного гепарина с антикоагулянтными, антитромбоцитарными, фибринолитическими и фибриндеполимеризацио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EP1737480A2 (de) Pharmazeutisches kombinationspr parat enthaltend ein therape utisches protein
CN112999148A (zh) 复方氨基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
RU2043108C1 (ru) Плазмозамещающее средство, корректирующее гемодинамические нарушения, - неорондекс
KR102129366B1 (ko) 염증 치료용 수액제 조성물
EP3639818B1 (en) Glucose consumption promoter and glycolysis promoter
KR100671449B1 (ko)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WO2025011276A1 (zh) 一种糖肽分子
KR20240139551A (ko) 허혈-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Vagne et al. Interaction of Secretin and Carbaminolchoyline on Gastric Secretion in Cats
HK113877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