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0896B1 - Vertical type crusher - Google Patents

Vertical type cru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896B1
KR102020896B1 KR1020190044346A KR20190044346A KR102020896B1 KR 102020896 B1 KR102020896 B1 KR 102020896B1 KR 1020190044346 A KR1020190044346 A KR 1020190044346A KR 20190044346 A KR20190044346 A KR 20190044346A KR 102020896 B1 KR102020896 B1 KR 10202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ller
fixed
plat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규
장호진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에스티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에스티,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제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9004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8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커터(33)를 구비하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30)와, 외면을 이루는 커버판(61, 61')에 폐기물과 충돌되는 복 수개의 라이너(62, 62')가 각각 체결되는 고정 하우징(60a)과 이동 하우징(60b)을 구비하여 파쇄부(30)의 수용 및 폐기물의 파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60) 및 스위치부(92)에서 입력된 작동 명령에 따라 이동 하우징(60b)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부(50)를 포함하고, 하우징부(60)는 고정 하우징(60a)의 천정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1 구동 플레이트(63)와, 이동 하우징(60b)의 천정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구동 플레이트(64);를 포함하고, 하우징 구동부(50)는 고정 하우징(60a)의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21) 및 제2 구동 플레이트(64)에 고정되어 구동 실린더(51)에 의해 가이드 레일(52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하우징(531)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tary cutter 33 that is rotated by the crushing drive unit to crush the waste 30 and the plurality of cover plates (61, 61 ') forming the outer surface to collide with the waste The housing part 60 and the switch part 92 having a fixed housing 60a and a moving housing 60b to which the liners 62 and 62 'are fastened, respectively, to form the shredding space of the shredding part 30 and waste shredding space. A first driving plate 63 fixed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60a, including a housing driving unit 50 for moving the moving housing 60b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And a second driving plate 64 fixed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60b, wherein the housing driving unit 50 is a guide rail 521 and a seco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60a. It is fixed to the drive plate 64 and along the guide rail 521 by the drive cylinder 5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tical crusher comprising a roller housing 531 is copper.

Description

수직 파쇄기{VERTICAL TYPE CRUSHER}Vertical Shredder {VERTICAL TYPE CRUSHER}

본 발명은 수직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shredder.

일반적으로, 파쇄기는 건설 혼합 폐기물, 산업 폐기물 및 생활 폐기물(이하 폐기물로 총칭함)을 후처리 하는 과정에서 정해진 크기로 파쇄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 파쇄기는 분쇄물의 종류, 크기, 및 처리량이나 설치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구동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에 다수의 회전 커터가 설치되어 이 회전 커터상으로 유입되는 파쇄물이 회전되는 회전 커터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crusher is a device used to shred to a predetermined size during the post-treatment of construction mixed waste, industrial waste and household wast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aste). The crush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driving methods according to the type, size, throughput,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ulverization, and a plurality of rotary cutters are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crushed material flowing onto the rotary cutter is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crushed by the rotating cutter which rotates.

그리고 파쇄기는 회전 커터를 포함하는 파쇄부의 배치형태에 따른 분류로서 파쇄부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식 파쇄기와, 파쇄부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파쇄기로 구분할 수 있다.The crusher may be classified into a horizontal crusher in which the crusher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crusher in which the crusher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rusher including the rotary cutter.

예컨대, 수직 파쇄기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폐기물 투입 호퍼(7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파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 호퍼가 구비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 중앙에 양단이 지지되고 외부의 구동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과, 이축에 축결합된 디스크 외측에 방 사상으로 설치된 핀에 부착된 복수의 회전 커터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vertical shredd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light-receiving narrow,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waste input hopper 71 and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pper for discharging the crushed waste, and both ends are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rotary cutters attached to pins installe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disk axially coupled to the two shafts and rotated by an external drive.

그러나 종래의 수직 파쇄기는 하우징이 상광하협 구조의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터, 회전 커터등과 같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유지 보수나 각종 부품의 교체 등을 수행할 경우 파쇄기 전체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지나치게 긴 시간이 소요되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휴지시간이 늘어나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rtical shredder, since the housing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tructure, when the maintenance or replacement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rotor and a rotary cutter, etc. Sinc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akes too long time to increase the maintenance cos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is reduced by the increase of downtime.

또한, 종래의 수직 파쇄기는 플라스틱과 금속의 혼합된 폐기물을 파쇄시킴에 따라 소음과 진동이 크기 때문에 장기간동안 작업자의 청력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주변 건물이나 설치 기구등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rtical shredder may damage the worker's hearing for a long time due to the high noise and vibration as shredding the mixed waste of plastic and metal,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s the surrounding buildings and installation equipment.

아울러, 종래의 수직 파쇄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회전 커터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벨트를 적용함에 따라 장비가 콤팩트하지 못하고 외형적으로 확장된다. 즉, 종래의 수직 파쇄기는 그 부피로 인하여 공간 활용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rtical shredder is not compact, the equipment expands in appearance as the belt is applied as a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between the drive and the rotary cutte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hat is, the conventional vertical crusher has a problem that inhibits the space utilization due to its volume.

또한, 종래의 수직 파쇄기는 회전 커터가 작동되는 내부 공간의 부피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일정 수량 이상이 확보된 이후에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폐기물의 입도(또는 파쇄된 폐기물의 사이즈)는 회전 커터의 회전과 연계되어 라이너와의 충돌 횟수에 따라 다르게 파쇄될 수 있으며, 각 폐기물 마다 종류나 활용 목적에 따라 적정한 입도가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vertical crusher is difficult to adjust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rotary cutter is operated, it is preferable to be added after a certain amount or more is secured.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or the size of the crushed waste) may be crush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llisions with the lin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cutter, and the appropriate particle size may be set for each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r purpose of use.

하지만 종래의 파쇄기는 파쇄되는 폐기물의 입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장치별로 회전 커터가 수용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면적으로 통하여 설정됨에 따라 특수한 목적으로 폐기물의 입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hredder can not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to be shredded by the rotary cutter is set by the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ccommodated by the device was not able to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for a special purpose.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45788호(2006.01.17)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45788 (January 17, 2006)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98678호(2006.07.03)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98678 (2006.07.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물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직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tical crusher that can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crushed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파쇄공간 내에서 협지된 이물질의 제거나 유지보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는 수직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tical shredder that can be quickly and simply to remove or maintain the foreign matter sandwiched in the shredding space to be shred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쇄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건강 및 주변 건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직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tical shredder that can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shredder to prevent the health of workers and damage to the surrounding buildi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xampl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커터를 구비하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와, 외면을 이루는 커버판에 폐기물과 충돌되는 복 수개의 라이너가 각각 체결되는 고정 하우징과 이동 하우징을 구비하여 파쇄부의 수용 및 폐기물의 파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 및 스위치부에서 입력된 작동 명령에 따라 이동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는 고정 하우징의 천정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1 구동 플레이트와, 이동 하우징의 천정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하우징 구동부는 고정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및 제2 구동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구동 실린더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구동 플레이트는 고정 하우징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의 고정 위치를 표시하는 가이드 턱과, 제2 구동 플레이트와 조립되면서 파쇄 구동부와 파쇄부가 상호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본체의 단부에 내향 절개된 내향 절개단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housing and a mobile housing, each of which has a rotary cutter rotated by the crushing driving unit, and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waste, and a plurality of liners which are collided with the waste on the cover plate forming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a housing driving part for moving the movable housing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the switch part and a housing part for forming a shredding space of the shredding part and waste, and the housing part being fixed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And a second drive plate fixed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drive part is a guide rail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and a roller fixed to the second drive plate and moved along the guide rail by the drive cylinder. A housing, wherein the first drive plate faces the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A first main body to be formed, a guide jaw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to indicate a fixed position of the guide rail, and a space to which the crushing drive unit and the crushing unit are interconnected while being assembled with the second driving p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tical shredder comprising an inward incision cut inwardly at the end of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은 폐기물의 입도 조절을 위하여 하우징 내면에 고정되어 폐기물과 충돌되도록 하우징 내면에 블록형으로 설치되는 복 수개의 라이너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폐기물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어 폐기물의 종류나 목적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by mov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liners installed in a block ty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colliding with the waste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to the type or purpose of the waste Regardless, there is a general purpos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파쇄공간이 개방될 수 있어 하우징 내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므로 회전 커터 또는 하우징 내부에 협지된 이물질의 제거나 회전 커터의 유지보수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내구성의 향상 및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ing space is secured in the housing because the shredding space can be opened, removal of foreign matters held in the rotary cutter or the housing or maintenance work of the rotary cutter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thereby improving and maintaining durability. The cost of maintenance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파쇄기의 지면에서 지지할 때 소음의 차폐 및 진동 전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 기둥을 이용하여 지면에서 지지하고, 소음 및 진동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방진 패드로서 주요 구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작업자의 건강과 주변 건물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ground using a hollow column made of a hollow space to prevent the shielding and vibration transmission of noise when supported from the ground of the crusher, as a dustproof pad that can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and vibration By supporting the main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workers' health and surrounding buildings due to noise and vib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파쇄기에서 하우징부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포함하는 분해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고정 하우징 및 제1 구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하우징 및 제2 구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B'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파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우징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12는 롤러 하우징 및 롤러 커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4의 'C'의 확대 도면이다.
도 14는 상부 롤러를 이용한 위치 감지 작용의 설명을 위한 간략 도면이다.
도 15는 라이너 조절부를 간략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shre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housing portion in the vertical shre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housing of FIG. 3.
5 is an exploded view includ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of FIG. 3.
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fixed housing and the first drive plate.
8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moving housing and the second drive plat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4.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ush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driving unit.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oller housing and the roller cover.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C' of FIG. 4.
14 is a simplified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sensing action using the upper roller.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r control uni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t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o any and all alter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necting and / or fixing structure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pplicab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파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rtical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파쇄기에서 하우징부(60)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하우징부(60)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포함하는 분해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shre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housing unit 60 in the vertical shre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housing part 60 of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includ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 참조하면, 본 발명은 회전 커터(33)를 구비하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30), 파쇄부(30)의 구동시키는 파쇄 구동부(40)와, 파쇄 구동부(40)와 파쇄부(30) 및 하우징부(60)를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부(20)와, 소음 및 진동이 방지되도록 하우징 지지부(20)를 지면에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중공 지지부(10)와, 파쇄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60)와, 하우징부(60)를 분리 및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부(50)와, 하우징부(60)의 내면을 이루는 라이너(62, 62')와 파쇄부(30)의 간격을 조절하는 라이너 조절부(80)와, 폐기물의 투입 및 파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호퍼부(70)와, 작동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치부(92)와, 오작동 및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부(94)와, 스위치부(92)에서 출력된 명령에 따른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91)와, 제어부(91)의 명령에 따른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93)를 포함한다.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shing unit 30 for crushing waste having a rotary cutter 33, a crushing driving unit 40 for driving the crushing unit 30, and a crushing driving unit 40. Housing support 20 for supporting the shred 30 and the housing 60, the hollow support 10 for supporting the housing 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prevent noise and vibration, and the internal space to be shredded Of the housing part 60 forming the housing, the housing driving part 50 separating and moving the housing part 60, and the liners 62 and 62 ′ and the crushing part 30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60. Liner control unit 80 for adjusting the interval, the hopper unit 70 for discharging the waste of the input and crushed waste, the switch unit 92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command, and the sensor unit for detecting malfunction and abnormality ( 94, a control unit 91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mmand output from the switch unit 92, and an alarm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91. It includes an alarm unit 93 for issuing.

스위치부(92)는 복 수개의 스위치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파쇄명령과, 정지, 하우징 분리와 같은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9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display to output a command such as crushing, stop, and housing detachment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센서부(94)는 파쇄기의 화재나 고장과 같은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복 수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센서부(94)는 하우징부(60)의 하중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하우징 지지부(20)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경사감지 센서와, 하우징부(60)의 분리 및 결합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하우징부(60)의 결합 및 분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는 고정 하우징(60a)과 이동 하우징(60b)의 체결 부위, 또는 이동 하우징(60b)의 이동 구간에 설치되는 압전 센서, 광센서, 또는 카메라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94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bnormality such as a fire or breakdown of the crushe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94 may include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a load of the housing unit 60, a fire sensor for detecting a fire,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n inclination of the housing support unit 20, and a housing unit. 6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eparation and coupling.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ual housing part 60 is a piezoelectric sensor, an optical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ixed housing 60a and the mobile housing 60b, or the moving section of the mobile housing 60b. Or it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 cameras.

제어부(91)는 스위치부(92)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 하우징 구동부(50), 라이너 조절부(80), 경보부(93)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91 controls the crushing drive unit 40, the crushing unit 30, the housing driving unit 50, the liner adjusting unit 80, and the alarm unit 93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the switch unit 92.

또는 제어부(91)는 센서부(94)의 감지신호에 따라 하우징부(60)의 개폐. 동작 유무, 화재, 고장과 같은 이상 유무를 경보하도록 경보부(93)를 제어한다. 여기서 경보부(93)는 알람과 같은 청각적 경보와, 디스플레이를 통한 문자나 발광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서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91 opens and closes the housing unit 6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94. The alarm unit 93 is controlled to aler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such as operation, fire, and failure. Here, the alarm unit 93 may issue an alarm as at least one of an audio alarm such as an alarm and a text or a light emitting signal through a display.

호퍼부(70)는 하우징부(60)로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71)와, 파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 호퍼(72)를 구비한다. 이중 투입 호퍼(71)는 하우징부(60)의 상부에서 설치되고, 배출 호퍼(72)는 하우징 지지부(20)의 하측에 설치된다. The hopper unit 70 includes an input hopper 71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unit 60, and a discharge hopper 72 from which crushed waste is discharged. The double input hopper 71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60, and the discharge hopper 72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support part 20.

투입 호퍼(71)는, 예를 들면, 하우징 구동부(50)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 하우징(60b)의 상면에서 설치되어 폐기물을 하우징 내측으로 안내한다. The injection hopper 7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housing 60b moved by the housing drive part 50, for example, and guides wast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배출 호퍼(72)는 하우징 지지부(20)의 하면에서 하우징부(60)의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하우징부(60) 내에서 파쇄부(30)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시킨다. 배출된 폐기물은 배출 호퍼(72)의 하측에 위치된 카트나 자루와 같은 수단으로 수용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opper 72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60 at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pport portion 20 to discharge the waste crushed by the crushing portion 30 in the housing portion 60. The discharged waste may be received by means such as a cart or bag located under the discharge hopper 72.

하우징부(60)는 내측에서 폐기물이 투입되는 파쇄공간을 형성하며,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고정 하우징(60a)과 이동 하우징(60b)을 구비한다. 이중 고정 하우징(60a)은 고정된 하우징이며, 이동 하우징(60b)은 하우징 구동부(50)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 하우징(60a)과 결합 및 분리된다. The housing part 60 forms a shredding space into which waste is injected from the inside, and includes a fixed housing 60a and a movable housing 60b that ar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dual fixed housing 60a is a fixed housing, and the movable housing 60b is moved by the housing driver 50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xed housing 60a.

또한, 하우징부(60)는 이동 하우징(60b)과 고정 하우징(60a)을 고정시키는 락킹 수단(65)과, 이동 하우징(60b) 및 고정 하우징(60a)의 상면에서 하우징 구동부(50)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구동 플레이트(63, 64)와, 하우징부(60)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66)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part 60 supports the housing driving part 50 on the locking means 65 which fixes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And first and second drive plates 63 and 64 and a housing plate 66 forming a bottom plate of the housing part 60.

이중 락킹 수단(65)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6은 도 3의 'A' 확대 도면이다. The double locking means 6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6.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of FIG. 3.

도 6을 참조하면, 락킹 수단(65)은 이동 하우징(60b)과 고정 하우징(60a)의 결합단(613, 613')에 내향된 복 수개의 걸이홈(654)과, 걸이홈(654)에 끼움되는 복 수개의 걸이봉(651)과, 걸이봉(6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653)와, 걸이봉(651)을 고정시키는 조임 볼트(65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ocking means 65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grooves 654 and a hook groove 654 inwardly coupled to the coupling ends 613 and 613 'of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ok rods 651, a hinge 653 rotatably supporting the hook rod 651, and a tightening bolt 652 for fixing the hook rod 651.

힌지(653)는 이동 하우징(60b)과 고정 하우징(60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걸이봉(651)의 한 쪽 끝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The hinge 653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to rotatably support one end of the hook rod 651.

걸이봉(651)은 힌지(65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걸이홈(654)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걸이봉(651)은 고정 하우징(60a)에서 힌지(65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걸이홈(654)은 이동 하우징(60b)과 고정 하우징(60a)의 결합단(613, 613')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이봉(651)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 하우징(60b)의 결합단(613, 613')에 형성된 걸이홈(654)으로 삽입된다. The hook rod 651 is rotatably fixed by the hinge 653 and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654. For example, the hook rod 651 is rotatably fixed by the hinge 653 in the fixed housing 60a, the hook groove 654 is the coupling end 613 of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613 '). Therefore, the hook rod 651 is rotated by the operator's manual operation and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654 formed in the coupling ends 613 and 613 'of the mobile housing 60b.

조임 볼트(652)는 걸이봉(651)의 끝단에서 회전되어 결합단(613, 613')과 걸이봉(651)의 선단을 조임시킨다. 즉, 조임 볼트(652)는 걸이봉(651)의 선단을 조임시켜 걸이홈(654)에 고정시킨다. Tightening bolt 652 is rotated at the end of the hook rod 651 to tighten the ends of the coupling end (613, 613 ') and the hook rod 651. That is, the tightening bolt 652 tightens the tip of the hook rod 651 to be fixed to the hook groove 654.

고정 하우징(60a)과 제1 구동 플레이트(63)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7은 고정 하우징(60a) 및 제1 구동 플레이트(63)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The fixed housing 60a and the first drive plate 6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fixed housing 60a and the first drive plate 63.

도 7은 고정 하우징 및 제1 구동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fixed housing and the first drive plate.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하우징(60a)은 외면을 이루는 제1 커버판(61)과, 제1 커버판(61)의 내면을 이루는 제1 라이너(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커버판(61) 및 제1 라이너(62)는 고정 하우징(60a) 및 이동 하우징(60b) 모두에 공통적으로 설치되는 구성들임에 따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3 to 7, the fixed housing 60a includes a first cover plate 61 forming an outer surface and a first liner 62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late 61. Here, the first cover plate 61 and the first liner 62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y are the components commonly installed in both the fixed housing 60a and the movable housing 60b.

제1 커버판(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복 수개의 판넬(611)이 경사지도록 인접하게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제1 커버판(61)은 하나의 판넬을 성형 가공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first cover plate 61 may be adjacently bonded to the plurality of panels 611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lternatively, the first cover plate 61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as illustrated by molding one panel.

또한, 제1 커버판(61)은 제1 라이너(62)의 고정을 위하여 관통형성된 복 수개의 결합공(612)과, 끝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결합단(613)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late 6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612 formed therethrough for fixing the first liner 62 and a coupling end 613 bent outward from an end thereof.

결합공(612)은 복 수개로서 제1 라이너(62)와 연통되는 고정핀, 고정나사 및/또는 고정볼트(이하 고정 수단으로 총칭함)가 연통 체결된다. The coupling hole 612 is a plurality of fastening pins, fixing screws and / or fixing bolt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fixing mean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liner 62 is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제1 라이너(62)는 제1 커버판(61)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제1 라이너(62)는 상호 분할된 복 수개의 블럭들로 이루어져 제1 커버판(61)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라이너(62)는 회전 커터(33)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턱(621)과, 돌출턱(621)에서 내향되어 결합공(612)과 연통되는 결합홀(622)을 포함한다. The first liner 6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late 61 and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he first liner 62 may be faste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late 61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divided into each other. To this end, the first liner 62 has a protruding jaw 6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rotary cutter 33 side, and an engaging hole 622 inwardly communicating with the engaging hole 612 at the protruding jaw 621. It includes.

돌출턱(621)은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제1 커버판(61)의 내면에 밀착되는 단면의 반대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돌출형성된다. The protruding jaws 6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ross-s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late 6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결합홀(622)은 돌출턱(621)에서 내향되도록 형성되어 결합공(612)과 연통된다. 여기서 결합홀(622)은 고정수단의 헤드가 걸림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hole 622 is formed to be inward from the protruding jaw 621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612. Here, the coupling hole 622 may be formed with a step so that the head of the fixing means can be locked.

또한, 고정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라이너(62)와 제1 커버판(61)을 연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고정볼트와 고정핀은 제1 라이너(62)의 이동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라이너 조절부(8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may be selected from the fixing bolt or fixing pin for fixing the first liner 62 and the first cover plate 61 in communication. The fixing bolt and the fixing pin may be selectively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liner 62 is mov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liner adjusting unit 80.

고정핀은 제1 라이너 또는 제2 라이너(62, 62')의 결합홀(622, 622')을 통하여 커버판(61, 61')의 결합공(612, 612')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고정핀은 라이너(62, 62')가 파쇄부(30)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커버판(61, 61')의 외면과 걸림되지 않은 상태에서 라이너(62, 62')를 지지할 수 있다. The fixing pin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s 612 and 612 'of the cover plates 61 and 61' through the coupling holes 622 and 622 'of the first liner or the second liner 62 and 62'. Here, the fixing pin may support the liners 62 and 62 'in a state in which the liner 62 and 62' are not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cover plates 61 and 61 'so that the liners 62 and 62' can be moved toward the crushing part 30 side. .

또한 고정핀에 의해 지지되는 라이너(62, 62')는 복 수개의 블럭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ers 62 and 62 'supported by the fixing pin may be selected from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blocks.

고정볼트는 라이너(62, 62')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커버판(61, 61')의 내면에 고정시킨다. Fixing bol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61, 61 ') to prevent the liner (62, 62') to move.

제1 구동 플레이트(63)는 제1 커버판(61)의 상면에서 고정되어 하우징 구동부(50) 및/또는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구동 플레이트(63)는 판넬형의 제1 본체(631)와, 제1 본체(631)에서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의 파쇄영역을 형성하도록 제2 구동 플레이트(64)에 대향된 단부에서 절개된 내향 절개단(633)과, 제1 본체(631)의 상면에서 돌출 및 연장된 단턱으로서 하우징 구동부(50)의 고정 위치가 설정된 가이드 턱(632)을 포함한다. The first driving plate 63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late 61 to support the housing driving unit 50 and / or the crushing driving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To this end, the first driving plate 63 may include a panel-shaped first main body 631 and a second driving plate so as to form a crushing region of the crushing driving part 40 and the crushing part 30 in the first main body 631. An inward incision end 633 cut at the end opposite to 64) and a guide jaw 632 in which the fixing position of the housing driving part 50 is set as a stepped protrusion and an extens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31. .

제1 본체(631)는 고정 하우징(60a)의 천정면을 형성하여 파쇄 구동부(40)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1 본체(631)의 상면에는 하우징 구동부(50)와 파쇄 구동부(40)가 고정 및/또는 지지된다. The first body 631 forms a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60a to support the crushing drive unit 40. Therefore, the housing driving unit 50 and the crushing driving unit 40 are fixed and / o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31.

가이드 턱(632)은 제1 본체(63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후술되는 하우징 구동부(50)가 고정되는 영역을 표시한다. 즉, 가이드 턱(632)은 도 7에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631)의 상면에서 'ㄷ'형으로 돌출된 단턱을 이룬다. 가이드 턱(632)의 형상은 하우징 구동부(50)에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guide jaw 632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31 to indicate an area in which the housing driver 5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hat is, the guide jaw 632 forms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in a 'c' shap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31,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The shape of the guide jaw 632 may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using driving unit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내향 절개단(633)은 하우징부(60)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제1 구동 플레이트(63)와 제2 구동 플레이트(64)가 상호 조립되면서 상측의 파쇄 구동부(40)와 하우징부(60) 내측의 파쇄부(3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내향 절개단(633)은 반구 형으로 절개된 제1반구(633a)와,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개되는 개구홈(633b)을 포함한다. The inward cutting end 633 is the first drive plate 63 and the second drive plate 64 forming the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unit 60, while assembling each other the upper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housing unit 60 The inner crushing portion 30 forms an open space to be interconnected. To this end, the inward cut end 633 includes a first hemisphere 633a cut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n opening groove 633b cut inward at the end.

제1반구(633a)는 제2 구동 플레이트(64)와 조립되면서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간의 연결 구성(예를 들면 파쇄부(30)의 회전축과 커플러(35), 모터 회전축(411))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를 형성한다. The first hemisphere 633a is assembled with the second drive plate 64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for example, the rotating shaft of the crushing unit 30, the coupler 35, and the motor rotating shaft). 411 form an opening so that they can be interconnected.

개구홈(633b)은 제2 구동 플레이트(64)에서 돌출된 영역(끼움판(643b), 도 8 참조)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반구(633a)를 중심으로 절개되었다. The opening groove 633b is cut about the first hemisphere 633a so that a region (fitting plate 643b, see FIG. 8) protruding from the second driving plate 64 can be inserted.

따라서 제1 구동 플레이트(63)는 후술되는 제2 구동 플레이트(64)와 연계되어 하우징부(60)의 밀폐된 천정면을 형성하되,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drive plate 63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plate 64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sealed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part 60, the space where the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is retracted Can be formed.

이동 하우징(60b) 및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8은 이동 하우징 및 제2 구동 플레이트의 분해 도면이다. The moving housing 60b and the second drive plate 6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vable housing and the second drive plate.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하우징(60b)은 제2 커버판(61')과, 제2 라이너(62')를 포함한다. 3 to 8, the movable housing 60b includes a second cover plate 61 ′ and a second liner 62 ′.

제2 커버판(61')은 결합공(612')과 결합단(613')을 구비한다. 여기서 결합단(613')은 락킹 수단(65)의 걸이봉(651)이 삽입되는 걸이홈(654)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커버판(61')의 외면에서 락킹 수단(65)의 걸이봉(651)과 힌지(653)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plate 61 'includes a coupling hole 612' and a coupling end 613 '. Here, the coupling end 613 ′ may be provided with a hook groove 654 into which the hook rod 651 of the locking means 65 is inserted. Alternatively, the hook rod 651 and the hinge 653 of the locking means 65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late 61 ′.

제2 라이너(62')는 제2 커버판(6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제2 라이너(62')는 블록형의 복 수개로서 제2 커버판(61')의 내면에 각각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제2 라이너는(6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턱(621')이 복 수개 형성되고, 돌출턱(621')에서 내향되어 결합공(612)에 연통되는 결합홀(622')이 형성된다. The second liner 62 'is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late 61'. Here, the second liner 62 'is assembl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late 61' as a plurality of block types. Specifically, the second liner 62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 jaws 6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holes 622 'inwardly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s 612 at the protrusion jaws 621'. ) Is formed.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제2 커버판(61')과 하우징 구동부(50) 사이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하우징 구동부(50)에서 전달된 힘에 의하여 이동 하우징(60b)을 이동시킨다. The second drive plate 64 is fixed between the second cover plate 61 ′ and the housing driver 50. Here, the second drive plate 64 moves the movable housing 60b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housing driver 50.

이를 위하여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하우징 구동부(50)와 이동 하우징(60b)의 제2 커버판(61')에 각각 고정되는 제2 본체(641)와, 제2 본체(641)에서 절개된 개구를 형성하여 투입 호퍼(71)가 설치되는 설치구(642)와, 내향 절개단(633)과 연계되는 돌출 절개단(643)과, 하우징 구동부(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 롤러(644)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econd drive plate 64 is cut off from the second body 641 and the second body 641 respectively fixed to the second cover plate 61 ′ of the housing driver 50 and the movable housing 60b. A lower opening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ousing driving unit 50, an installation hole 642 in which the injection hopper 71 is formed, a protruding cut end 643 associated with the inward cut end 633, and a housing driving unit 50, 644).

제2본체(641)는 편평한 판넬로서 하우징 구동부(50) 및 제2커버판(61')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치구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용접으로 접착된다. 제2본체(641)는 하우징 구동부(50)에서 발생된 힘에 의하여 제2커버판(61')을 이동시킨다. The second body 641 is a flat panel, and is fixed or welded to the housing driver 50 and the second cover plate 61 ′ by a jig such as a bolt or a screw. The second body 641 moves the second cover plate 61 ′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housing driver 50.

설치구(642)는 제2본체(641)에서 절개된 영역으로서 투입 호퍼(71)가 설치된다. 즉, 투입 호퍼(71)는 설치구(642)를 통하여 하우징부(60) 내측으로 폐기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제2 구동 플레이트(64)에 고정된다. The installation tool 642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hopper 71 as a region cut out from the second body 641. That is, the input hopper 71 is fixed to the second drive plate 64 so that waste can fall into the housing part 60 through the installation port 642.

돌출 절개단(643)은 내향 절개단(633)과 연계되어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가 하우징부(60)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돌출 절개단(643)은 단부에서 돌출 연장되는 끼움판(643b)과, 끼움판(643b)의 선단에서 내향되어 절개된 제2반구(643a)를 포함한다. The protruding cut end 643 is associated with the inward cut end 633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unit 60. For this purpose, the protruding cut end 643 includes a fitting plate 643b protruding from the end and a second hemisphere 643a cut inwardly at the tip of the fitting plate 643b.

끼움판(643b)은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내향 절개단(633)의 개구홈(633b)으로 끼움된다. The fitting plate 643b extends to protrude and is fitted into the opening groove 633b of the inwardly cutting end 633.

제2반구(643a)는 제1반구(633a)에 연계됨에 따라 그 사이에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가 하우징부(60)로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As the second hemisphere 643a is connected to the first hemisphere 633a, the second hemisphere 663a forms a space in which the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are drawn into the housing unit 60.

그러므로 제1 구동 플레이트(63)와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상호 연계되어 하우징부(60)의 천정면을 형성하되, 직립된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가 하우징부(6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천정면에 개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driving plate 63 and the second driving plate 6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part 60, and the upright crushing drive part 40 and the crushing part 30 are housed part 60 Open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iling surface to be drawn inside.

하부 롤러(644)는 제2 본체(641)의 외측 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서 제2 구동 플레이트(64)의 이동을 가이드 및 충돌 방지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하부 롤러(644)는 하우징 구동부(50)의 설명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The lower rollers 644 are pai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end of the second body 641, respectively, and serve to guide and prevent collision of the second driving plate 64. The lower roller 644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housing driver 50.

하우징 플레이트(66)는 이동 하우징(60b)과 고정 하우징(60a)에 의해 형성된 파쇄 영역의 바닥판을 형성함과 동시에 파쇄된 페기물을 배출 호퍼(72)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하우징 플레이트(66)는 상면이 개구된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안내구(24)에 끼움되는 수용수단(661)과, 수용수단(66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확장 및 고정되는 고정판(662)을 포함한다.The housing plate 66 forms a bottom plate of the crushing area formed by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and serves to guide the crushed waste to the discharge hopper 72. Therefore, the housing plate 66 includes a receiving means 661 fitted into the guide opening 24 of the base plate 21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fixed plate 662 extending and fixed outwardly about the receiving means 661. It includes.

수용수단(661)은 상면이 개구되어 파쇄된 폐기물이 모여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수용수단(661)은 상면이 개구되어 하향되는 벽면과 바닥면으로서 안내구(24)에 끼움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1)의 하측에서 설치된다. 이때, 배출 호퍼(72)는 수용수단(661)에 연통되도록 고정된다. The accommodating means 661 forms a spac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collect the crushed waste. That is, the accommodating means 661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21 as the upper surface is fitted into the guide 24 as th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are opened downward.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pper 72 is fixe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means (661).

고정판(662)은 수용수단(66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판넬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고정판(662)은 상면이 개구된 수용수단(66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확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판(662)은 방진 패드(23)의 상측에 놓여진 후 고정된다. The fixed plate 662 is formed of a panel extending outward from the top of the receiving means (661). Therefore, the fixing plate 66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 by extending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means 661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At this time, the fixing plate 662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proof pad 23.

중공 지지부(10)는 직립된 복 수개의 중공 기둥(11)과, 한 쌍의 중공기둥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중공 블럭(12)을 포함한다. The hollow support 10 includes a plurality of hollow pillars 11 that are upright, and a hollow block 12 that horizontally connects a pair of hollow pillars.

중공 기둥(11)은 내부(112)가 빈공간을 이루고 하광상협의 형상으로서 지면에서 직립된다. 여기서 중공 기둥(11)은 복 수개로서, 예를 들면, 하우징 지지부(20)의 하면을 지지하는 네 개이며, 두 개가 서로 쌍을 이루게 된다. 특히 중공 기둥(11)은 내측이 노출되도록 개구된 개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llow pillar 11 is upright from the ground in the form of a hollow light and the interior 112 is empty space. Here, the hollow pillars 11 are plural, for example, four that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upport 20, and two are pair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hollow pillar 11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surface opened to expose the inside.

중공 블럭(12)은 내부가 빈공간을 이루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두 개의 중공 기둥(11)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 시킨다. 즉, 중공 블럭(12)은 한 쌍의 중공 기둥(11)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시킨다. The hollow block 12 extends horizontally to form an empty space inside to connect the two horizontal hollow columns 11 horizontally. That is, the hollow block 12 horizontally connects the pair of hollow pillars 11.

이와 같은 중공 기둥(11)은 하광상협의 형상으로서 고중량의 장치들을 지지할 수 있고, 중공 블럭(12)은 내측이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중공 기둥(11)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시킴에 따라 고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특히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주변으로 전달 또는 확산됨을 방지할 수 있다. Such a hollow column 11 can support heavy weight devices in the shape of a lower beam cross section, and the hollow block 12 is made of an empty space on the inside to connect the heavy loads horizontally between the hollow columns 11. It can support, and in particular, can prevent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crushing process to be transmitted or spread to the surroundings.

하우징 지지부(20)는 중공 지지부(10) 상측에서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와 하우징부(60) 및 하우징 구동부(50)를 지지하고, 하면에서 배출 호퍼(72)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지지부(20)는 하우징부(60)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 지지부(20)에 대한 설명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9는 도 4의 'B' 단면도이다. The housing support part 20 supports the crush drive part 40 and the crush part 30, the housing part 60, and the housing drive part 50 above the hollow support part 10, and support the discharge hopper 72 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Can be. Here, the housing support portion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housing portion 60. This housing suppor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9.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4.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 지지부(20)는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21)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하면에서 하향되어 중공 기둥(11)의 상면으로 연장된 지지 다리(22)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중앙에서 관통되는 안내구(24)와, 안내구(24)를 중심으로 정렬된 복 수개의 방진 패드(23)와 작업 영역을 구획하는 접근방지수단(25)을 포함한다. 5 and 9, the housing support 20 is a base plate 21 forming a plane, and a support leg 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 and exte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illar 11. And a guide tool 24 penetrating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1, a plurality of dustproof pads 23 arranged around the guide tool 24, and an access preventing means 25 for partitioning the work area. Include.

베이스 플레이트(21)는 편평한 평면을 이루어 중공 기둥(11)의 상면에서 설치되는 하우징부(60) 및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를 지지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21)는 지지 하중을 확대하는 대신 경량화 가능한 격자형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21)는 상판(211)과 하판(212)을 이루는 금속 재질의 판넬 사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직립된 복 수개의 격벽판(213)으로 진공된 복 수개의 진공구역(214)으로 구획된다. 이와 같은 진공 구조는 소음 저감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base plate 21 forms a flat plane to support the housing part 60, the crushing drive part 40, and the crushing part 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illar 11. Here, the base plate 21 has a lattice structure that can be reduced in weight instead of expanding the supporting load. For example, the base plate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cuum zones 214 vacuum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213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panels 211 and the lower panels 212. It is divided into Such a vacuum structure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in noise reduction.

지지 다리(22)는 베이스 플레이트(21)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중공 기둥(11)의 상면에 놓여진다. 즉 지지 다리(22)는 베이스 플레이트(21)를 중공 기둥(11)의 상면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The support leg 22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21 and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ollow pillar 11. That is, the support leg 22 supports the base plate 21 to be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illar 11.

안내구(24)는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중심부에 개구를 형성한다. 여기서 안내구(24)는 하우징부(60)의 하우징 플레이트(66)가 끼움식으로 설치된다. The guide 24 forms an opening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1. Here, the guide port 24 is installed in the housing plate 66 of the housing unit 60 is fitted.

방진 패드(23)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섬유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안내구(24)를 중심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의 복 수개가 정렬되도록 고정된다. The anti-vibration pad 23 is formed of a rubber, fiber or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and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base plates 21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guide 24.

방진 패드(23)는 후술되는 하우징 플레이트(66)의 하면을 탄성력을 지지함으로서 하우징 플레이트(66)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을 흡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1)로 진동이 전달됨을 차단한다. The anti-vibration pad 23 absorbs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housing plate 66 by supporting an elastic for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late 66 to be described later, and blocks vibr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ase plate 21.

접근방지수단(25)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상면에서 직립된 복 수개의 수직바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로 형성되어 파쇄 구동부(40) 및 파쇄부(30) 및 하우징부(60)에 허락되지 않은 접근을 방지하도록 공간을 구획한다. 바람직하게로는 접근방지수단(25)은 투명판넬을 이용하여 벽면을 형성하고, 작업자의 접근을 위하여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ccess preventing means 25 is formed as a horizontal bar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 to the crush drive unit 40, crush unit 30 and the housing unit 60 Partition the space to prevent unauthorized access. Preferably, the access preventing means 25 forms a wall surface using a transparent panel, and a door may be formed for the worker's access.

따라서 본 발명은 방진 패드(23)와 중공 기둥(11) 및 중공 블럭(12)의 조합된 구성으로 인하여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block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crushing process due to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the anti-vibration pad 23, the hollow pillar 11 and the hollow block 12.

파쇄 구동부(40)는 종래와 같이 벨트를 매개로 파쇄부(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파쇄부(30)에 직결 구조를 갖는다. 즉, 파쇄 구동부(4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파쇄기구동모터(41)와, 제1 구동 플레이트(63)에 고정되어 파쇄기구동모터(41)를 지지하는 모터 베이스(42)와, 모터 베이스(42)의 상면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43)를 포함한다. The crushing drive unit 40 has a structu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rushing unit 30, not a method of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crushing unit 30 via a belt as in the prior art. That is, the crushing drive unit 40 includes a crushing drive motor 41 for generating power, a motor base 42 fixed to the first drive plate 63 to support the crushing drive motor 41, and a motor base 42. Connection plate 43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중 모터 베이스(42)는 개구된 베이스 상판(423)과, 베이스 상판(423)의 양측에서 직립된 베이스 벽판(421)과, 베이스 벽판(421)의 하단에서 절곡된 베이스 절곡단(422)을 구비한다. The dual motor base 42 includes an open base top plate 423, a base wall plate 421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top plate 423, and a base bent end 422 bent at a lower end of the base wall plate 421. Equipped.

베이스 상판(423)은 파쇄기구동모터(41)의 축과 후술되는 파쇄부(3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다. The base upper plate 423 is formed with an opening such that the shaft of the crushing drive motor 41 and the crush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베이스 벽판(421)은 베이스 상판(423)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된 직립된 판재로서 끝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베이스 절곡단(422)과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양측 베이스 벽판(421)은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base wall plate 421 is an upright plate material which is respectively lowere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top plate 423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bent end 422 bent horizontally at the end. Here, both base wall plates 421 may be interconnected by connecting bars (not show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베이스 절곡단(422)은 제1 구동 플레이트(63)의 제1 본체(631) 상면에 놓여지면서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The base bent end 42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31 of the first drive plate 63 and fixed by bolts or welding.

파쇄부(3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파쇄부(3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The crush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crushing unit 30.

도 10을 참조하면, 파쇄부(30)는 하우징부(6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서, 회전축(311)에 다단으로 로터판(312)이 형성된 로터(31), 로터판(312)에 등각도로 직립,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커터 설치핀(32), 로터판(3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 커터 설치핀(32)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 커터(33), 회전축(311)의 상하부에 결합되고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바디(34), 회전축(311)과 파쇄기구동모터(41)를 연결하는 커플러(35) 등이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rushing unit 30 is a component installed to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unit 60, and the rotor 31 and the rotor plate 312 having the rotor plate 312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rotation shaft 311. A plurality of rotary cutter installation pins 32, which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otary cutter installation pins 32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ry cutter installation pins 32 and the rotor plate 312, which are upright and installed at an isometric angl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311, the bearing body 34, the bearing is embedded, the coupler 35 for connecting the rotary shaft 311 and the crushing drive motor 41 is configured.

로터(31)는 회전축을 통하여 파쇄구동모터(41)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 커터(33)는 로터(31)가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전 커터(33)설치핀(3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The rotor 31 is rotated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crushing drive motor 41 through the rotating shaft. Therefore, the rotary cutter 33 is rotated about the rotary cutter 33 mounting pin 32 by the centrifugal force by the rotor 31 is rotated.

폐기물은 회전 커터(33)와의 마찰 및 압력으로 이동 하우징(60b) 및 고정 하우징(60a)의 내면에서 설치된 라이너(62, 62')로 충돌된 후 다시 회전 커터(33)와 충돌 또는 수용수단(661)으로 수집된 후 배출 호퍼(72)로 배출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폐기물의 입도는 라이너(62, 62')와의 충돌 횟수에 따라 입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너(62, 62')와 폐기물의 충돌 횟수는 라이너(62, 62')와 회전 커터(33) 사이의 간격조절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The waste collides with the liner 62, 62 'install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by friction and pressure with the rotary cutter 33, and then collides with the rotary cutter 33 or with the receiving means ( 661) is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pper (72). In this case,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llisions with the liners 62 and 62 '. The number of collisions between the liners 62 and 62 'and the waste may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rs 62 and 62' and the rotary cutter 33.

하우징 구동부(50)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11은 하우징 구동부(50)의 분해 도면이고, 도 12는 도 4에서 'C'의 확대 도면이다. The housing driver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housing driver 50, and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C' in FIG. 4.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 구동부(50)는 구동 실린더(51)와, 제1 구동 플레이트(63)에 고정되는 가이드 수단(52)과, 구동 실린더(51)에 의해 이동되어 제2 구동 플레이트(64)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동 수단(53)을 안내하는 상부 롤러(54)를 포함한다. 1 to 12, the housing driving unit 50 is moved by the driving cylinder 51, the guide means 52 fixed to the first driving plate 63, and the driving cylinder 51 to be moved by the seco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drive plate 64 and an upper roller 54 for guiding the moving means 53.

구동 실린더(51)는 제어부(91)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 수단(5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구동 실린더(51)는 선단에서 이동 수단(53)으로 연장되는 로드(511)와, 이동 수단(53)의 롤러 하우징(531)에 체결된 링크(5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drive cylinder 51 moves the moving means 53 to the front-back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91. FIG. Here, the driving cylinder 51 may further include a rod 511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moving means 53, and a link 512 fastened to the roller housing 531 of the moving means 53.

가이드 수단(52)은 제1 구동 플레이트(63)의 가이드 턱(632)에 고정되어 이동 수단(53)의 이동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수단(52)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521)과, 가이드 레일(521) 사이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가이드 지지바(522)를 포함한다. The guide means 52 is fixed to the guide jaw 632 of the first drive plate 63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ans 53. Specifically, the guide means 52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5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guide support bar 5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guide rails 521.

한 쌍의 가이드 레일(521)은 상호 이격되어 제1 구동 플레이트(63)의 가이드 턱(632)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521)은 상단에서 구동 실린더(51)가 설치되는 고정단(521b)과, 한쪽 끝단에서 이동수단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5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guide rails 5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guide tuck 632 of the first driving plate 63 to extend in one direction. Here, the guide rail 521 may further include a fixed end 521b in which the driving cylinder 51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and a stopper 521a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moving means at one end.

고정단(521b)은 가이드 레일(521) 및/또는 가이드 지지바(522)의 상단에 나사공 또는 볼트공과 같이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치구들이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단(521b)은 구동 실린더(51)의 조립위치가 설정됨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521)의 상단에 구동 실린더(5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xed end 521b is formed to allow a jig such as a screw or bolt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521 and / or the guide support bar 522. That is, the fixed end 521b allows the driving cylinder 51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521 whil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51 is set.

스토퍼(521a)는 가이드 레일(521)의 끝단에서 상향 돌출되어 이동수단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The stopper 521a protrudes upward from the end of the guide rail 521 to limit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means.

가이드 지지바(522)는 가이드 레일(521) 사이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레일(521)은 상단과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즉, 가이드 레일(521)은 'H' 형으로서 가이드 지지바(522)의 상단이 가이드 레일(521)의 보다 높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높이의 조절은 파쇄 구동부(40)와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The guide support bar 522 interconnects the guide rails 521. To this end, the guide rails 521 protrude laterally from the top and bottom to form spaces spaced therebetween. That is, the guide rail 521 is of the 'H' typ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support bar 522 is not higher than the guide rail 521. This height adjustment facilitates assembly with the crushing drive 40.

이동 수단(53)은 구동실린더(51)의 로드(511)에 링크 체결되는 롤러 하우징(531)과, 롤러 하우징(531)의 내측에서 가이드 레일(521)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 롤러(533)와, 회전 롤러(53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롤러 커버(532)를 포함한다. The moving means 53 includes a roller housing 531 which is linked to the rod 511 of the drive cylinder 51, a rotating roller 533 rotated along the guide rail 521 inside the roller housing 531, and And a roller cover 532 for rotatably fixing the rotating roller 533.

롤러 하우징(531)은 상면(531a)과 양 측면(531b), 양 측면(531b)의 하단에서 절곡된 하우징 절곡단(531c)과, 양 측면(531b)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관통된 핀홀(531d)을 포함한다. The roller housing 531 has a housing bent end 531c, which is bent at the lower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531a, both side surfaces 531b, and both side surfaces 531b, and pinholes 531d penetrat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both sides 531b. It includes.

롤러 하우징(531)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은 상면(531a)의 양측에서 각각 직립됨에 따라 그 사이에 회전 롤러(533)가 끼움 및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롤러 하우징(531)은 양 측면(531b) 사이에 가이드 레일(521)이 인입된 상태에서 구동 실린더(51)에 의해 이동된다. The roller housing 531 is open at the front and the rear, and both sides are formed upright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531a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rotating roller 533 is fitted and moved therebetween. That is, the roller housing 531 is moved by the drive cylinder 51 in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521 is drawn in between the both side surfaces 531b.

하우징 절곡단(531c)은 양 측면(531b)의 하단에서 나사공 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다. 하우징 절곡단(531c))은 이동 하우징(60b)에 고정된 제2 구동 플레이트(64)의 상면에 놓여져 볼트 또는 나사가 연통 삽입된다.  The housing bending end 531c is bent horizontally by forming a screw hole or a bolt hole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531b. The housing bent end 531c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ive plate 64 fixed to the movable housing 60b so that bolts or screws are communicatively inserted.

핀홀(531d)은 롤러 하우징(531)의 양 측면(531b)에서 각각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핀홀(531d)은 후술되는 롤러 커버(53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 롤러(533)는 일측면에서 삽입되어 타측면의 핀홀(531d)로 끝단이 돌출되도록 연통된다. The pinholes 531d are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s 531b of the roller housing 531, respectively. Here, the pinhole 531d is installed so that the roller cover 532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e, and the rotary roller 533 is inserted from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end of the pinhole 531d on the other side.

회전 롤러(53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형상의 봉체(533a)와, 봉체(533a)의 끝단 외면에 돌출된 걸림턱(533b)를 포함한다. The rotary roller 533 includes a pin-shaped rod body 533a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locking jaw 533b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rod body 533a.

봉체(533a)는 롤러 하우징(531)의 일측 핀홀(531d)로 삽입되어 타측면의 핀홀(531d)로 연통된다. 여기서 봉체(533a)의 선단과 끝단은 후술되는 고정 나사 또는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롤러 고정홀(532c)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od 533a is inserted into one pinhole 531d of the roller housing 531 and communicates with the pinhole 531d of the other side. Here,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rod 533a may be formed with a roller fixing hole 532c so that the fixing screw or pin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걸림턱(533b)은 봉체(533a)의 끝단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걸림턱(533b)은 봉체(533a)가 일측면에서 삽입될 때, 핀홀(531d)의 외측에 걸림되어 봉체(533a)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The locking jaw 533b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rod 533a. Here, the locking jaw 533b is locked to the outside of the pinhole 531d when the rod 533a is inserted from one side thereof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d 533a.

따라서 회전 롤러(533)는 롤러 하우징(531)의 내측에서 회전 롤러(533)의 상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고정되며, 이는 롤러 커버(5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otary roller 533 is fixed to rotat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roller 533 inside the roller housing 531, which can be achieved by being rotatably fixed by the roller cover 532.

롤러 커버(532)는 롤러 하우징(531)의 양 측면에서 핀홀(531d)을 통하여 노출된 봉체(533a)의 선단과 끝단에 체결되도록 각각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롤러 커버(532)는 롤러 하우징(531)의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 고정판(532a)과, 롤러 고정판(532a)의 중심부에서 봉체(533a)의 선단 또는 끝단에 체결되는 롤러 커플러(532b)와, 롤러 커플러(532b)의 선단에 관통 형성된 롤러 고정홀(532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oller covers 532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r 533a exposed through the pinholes 531d at both sides of the roller housing 531. To this end, the roller cover 532 may include a roller fixing plate 532a fixed to the side of the roller housing 531, a roller coupler 532b fastened to the front end or the end of the rod 533a at the center of the roller fixing plate 532a. The roller fixing hole 532c may be formed through the roller coupler 532b.

롤러 고정판(532a)은 나사등이 연통되어 롤러 하우징(531)의 측면에 고정된다. The roller fixing plate 532a is fixed to the side of the roller housing 531 by communicating with a screw.

롤러 커플러(532b)는 롤러 고정판(532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내측에서 봉체(533a)의 선단 또는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성된다. 여기서 롤러 커플러(532b)는 , 예를 들면,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롤러 고정판(532a)의 측면 개구(도시되지 않음)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roller coupler 532b is rotatably fixed to the roller fixing plate 532a, and is formed hollow so that the tip or end of the rod 533a can be inserted therein. Here, the roller coupler 532b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side opening (not shown) of the roller fixing plate 532a by a bearing (not shown), for example.

롤러 고정홀(532c)은 롤러 커플러(532b)의 외면에서 관통 형성되며, 롤러 커플러(532b)의 내측 중공으로 인입된 봉체(533a)의 선단 또는 끝단 외면의 걸림턱(533b)이 체결된다. 따라서 롤러 커플러(532b)는 회전 롤러(533)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동시 회전된다. The roller fixing hole 532c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coupler 532b, and the locking jaw 533b of the outer or front end of the rod 533a introduced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roller coupler 532b is fastened. Therefore, the roller coupler 532b is simultaneously rotated as i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rotary roller 533.

그러므로 롤러 커버(532)는 롤러 하우징(531)의 내측에서 가이드 레일(521)의 상면에 밀착된 회전 롤러(5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Therefore, the roller cover 532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roller 533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1 inside the roller housing 531.

상부 롤러(54)는 롤러 하우징(531)의 선단 상측, 하부 롤러(644)는 롤러 하우징(531)의 선단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521)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면서 회전된다. 여기서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644)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 레일(521)의 끝단에서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된 스토퍼(521a)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이동 하우징(60b)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The upper roller 54 is installed above the tip of the roller housing 531 and the lower roller 644 is installed below the tip of the roller housing 531 to rotat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rail 521. Here, at least one of the upper roller 54 and the lower roller 644 may detect contact with the stopper 521a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guide rail 521 to check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able housing 60b. You can give a way.

이는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상부 롤러(5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부 롤러(54)와 하부 롤러(64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적용가능하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but using the upper roller 54. This is not limited, and any one or both of the upper roller 54 and the lower roller 644 may be applicable.

도 13은 도 4의 'C'의 확대 도면, 도 14는 상부 롤러 및/또는 하부 롤러를 이용한 위치 감지 작용의 설명을 위한 간략 도면이다.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C' of FIG. 4, and FIG. 14 is a simplified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sensing action using an upper roller and / or a lower roller.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 롤러(54)는 롤러 하우징(531)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도판(542)과,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전 롤러(541)와, 전도판(542)에서 연장되어 도전 롤러(5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수단(543)을 포함한다. 13 and 14, the upper roller 54 extends from the conductive plate 542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oller housing 531, the conductive roller 541 made of a conductive metal, and the conductive plate 542. And roller supporting means 543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onductive roller 541.

여기서 전도판(542)과 도전 롤러(541)는 양 또는 음의 전원 라인이 연결되어 상호 접촉시 전원이 통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ductive plate 542 and the conductive roller 541 may be connected to a positive or negative power line, and the power may be energized when the conductive plate 542 and the conductive roller 541 contact each other.

롤러 지지수단(54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판(542) 또는 롤러 하우징(531)의 양 측면(531b)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롤러 지지수단(543)은 도전 롤러(5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되, 스토퍼(521a)와의 접촉시에 그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롤러 지지수단(543)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질로서 도전 롤러(541)가 스토퍼(521a)와 밀착시에 휨이 가능한 회전축으로 도전 롤러(541)를 지지한다. The roller support means 543 may extend from both side plates 531b of the conductive plate 542 or the roller housing 531 as shown. The roller supporting means 543 supports the conductive roller 541 so as to be rotatable, and has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pushed backward by the force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stopper 521a. For example, the roller supporting means 543 is made of plastic or rubber and supports the conductive roller 541 with a rotating shaft which can bend when the conductive roller 5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521a.

따라서 제어부(91)는 전도판(542)과 도전 롤러(541)가 접촉되면서 전원이 통전되면, 구동 실린더(51)의 동작을 정지하여 이동 하우징(60b)의 이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ower is energized while the conductive plate 542 and the conductive roller 54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roller 91 may control the driving cylinder 51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oving housing 60b.

라이너 조절부(80)는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라이너 조절부(80)를 간략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The liner adjusting unit 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15.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the liner adjustment portion 80.

도 15를 참조하면, 라이너 조절부(80)는 커버판(61, 61')을 관통하여 라이너(62, 62')에 고정되는 구동축(82)과, 구동축(82)을 고정시키는 축 고정수단(83)과, 제어부(91)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축(8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라이너 구동수단(8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liner adjusting unit 80 penetrates the cover plates 61 and 61 ′ to drive shafts 82 fixed to the liners 62 and 62 ′, and shaft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rive shafts 82. (83) and liner drive means (81) for moving the drive shaft (82) in the front-rear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1).

라이너 구동수단(81)은,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로서 제어부(91)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축(82)을 이동시킨다. The liner drive means 81 moves the drive shaft 82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91 as a hydraulic cylinder, for example.

구동축(82)은 커버판(61, 61') 및 라이너(62, 62')를 연통하여 삽입되고, 라이너(62, 62') 내면에서 축 고정수단(83)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축(82)은 라이너 구동수단(81)에 의하여 전진되면서 라이너(62, 6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The drive shaft 82 is inser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plates 61 and 61 'and the liners 62 and 62', and is fixed by the shaft fixing means 83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liners 62 and 62 '. Accordingly, the drive shaft 82 is advanced by the liner drive means 81 to move the liners 62 and 62 'forward or backward.

이와 같은 라이너(62, 62')의 전진과 후진은 파쇄 공간 내에서 파쇄부(30)의 회전 커터(33)와 라이너(62, 6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기물이 라이너(62, 62')와 충돌 횟수가 증감됨에 따라 파쇄된 폐기물의 입도 조절이 가능하다. This forward and backward of the liners 62, 62 'can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rotary cutter 33 of the crusher 30 and the liners 62, 62' in the shredding space, whereby the waste liner As the number of collisions with (62, 62 ') increases and decreases, the size of the crushed waste can be controlled.

아울러, 위와 같이 이동 가능한 라이너(62, 62')는 이동 하우징(60b) 또는 고정 하우징(60a)에 설치된 라이너(62, 62')의 복 수개의 블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다. In addition, the liners 62 and 62 'movable as described above may be any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blocks of the liners 62 and 62' installed in the movable housing 60b or the fixed housing 60a.

해당 라이너(62, 62') 또는 라이너(62, 62')들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가 아닌 고정핀(67)으로 커버판(61)의 외면에 고정시키고, 축 고정수단(83)과, 구동축(82) 및 라이너 구동수단(81)을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liners 62 and 62 'or the liners 62 and 62'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61 with fixing pins 67, not fixing bolts, as shown in FIG. ), The drive shaft 82 and the liner drive means 81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수직 파쇄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shredd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작업자는 파쇄 작업 이전에 파쇄 대상 폐기물의 종류 또는 폐기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 커터(33)와 라이너(62, 6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The operator may selectiv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ry cutter 33 and the liners 62 and 62 'according to the type of waste to be shredded or the intended use of the waste before the shredding operation.

그러므로 제어부(91)는 라이너 구동수단(81)을 제어하여 하우징부(60)의 내측에 설치된 복 수개의 라이너(62, 62')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이동시킨다. 라이너(62, 62')의 이동 거리는 폐기물의 입도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91 controls the liner driving means 81 to move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liners 62 and 62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unit 60.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ners 62 and 62 'may be preset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이후 작업자는 스위치부(92)를 조절하여 작동 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제어부(91)는 스위치부(92)로부터 작동명령이 입력되면, 파쇄 구동부(40)를 작동시켜 투입 호퍼(71)를 통하여 인입된 폐기물을 파쇄시킨다. After that, the operator adjusts the switch 92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switch unit 92, the control unit 91 operates the crushing drive unit 40 to crush waste introduced into the hopper 71.

즉, 파쇄기구동모터(41)는 전원이 공급되면 접속된 로터(3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커터(33)는 로터(31)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면서 파쇄작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파쇄과정에서 파쇄된 파쇄물은 하우징 플레이트(66)의 수용수단(661)으로 모여져서 배출 호퍼(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at is, the crushing drive motor 41 rotates the connected rotor 31 when power is supplied. Therefore, the rotary cutter 33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otor 31 to perform a crushing action. In the crushing process, the crushed matter is collected into the receiving means 661 of the housing plate 66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pper 72.

여기서 본 발명은 하우징 플레이트(66)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상면에서 방진 패드(2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내측이 진공된 중공 블럭(12)과 중공 기둥(11)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지지됨에 따라 진동의 전달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late 66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anti-vibration pad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 so that the inn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the hollow block 12 and the hollow pillar 11 which is vacuumed inside. As supported, transmission of vibrations and noise can be interrupted.

한편, 수직 파쇄기의 사용과정에서 로터판(312), 회전 커터 설치핀(32), 회전 커터(33) 등 파쇄부(30)에 이물질이 협지되어 제거가 필요한 경우, 고장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또는 마모에 따른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crushing unit 30 such as the rotor plate 312, the rotary cutter installation pin 32, and the rotary cutter 33 in the process of using the vertical crusher, and the removal is necessary, when maintenance is necessary due to a failure. Or consumables need to be replaced due to wear.

따라서 작업자는 이동 하우징(60b)과 고정 하우징(60a) 간에 체결된 락킹 수단(65)을 해제하고, 스위치부(92)를 조작하여 이동 하우징(60b)의 이동 명령을 입력한다. Therefore, the operator releases the locking means 65 fastened between the movable housing 60b and the fixed housing 60a, and operates the switch unit 92 to input the movement command of the movable housing 60b.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 실린더(51)의 로드(511)가 전진 이동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롤러 하우징(53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력이 작용되고, 그 내부에 결합된 회전 롤러(533)가 가이드 레일(521)를 타고 이동된다. 그러므로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롤러 하우징(531)의 이동에 연계되어 이동 하우징(60b)을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Specifically, when the rod 511 of the drive cylinder 51 is operated to move forward, the moving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roller housing 531, the rotating roller 533 coupled therein guide rail 521 is moved. Therefore, the second drive plate 64 moves the moving housing 60b outward in conne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oller housing 531.

여기서 상부 롤러(54) 및/또는 하부 롤러(644)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판(542)과 도전 롤러(541)로서 설치되고, 제어부(91)와 전기적으로 통전 되도록 연결되었다. 따라서 도전 롤러(541)는 롤러 하우징(531)의 이동으로 가이드 레일(521)의 끝단에 설치된 스토퍼(521a)에 접촉되면 롤러 지지수단(543)의 탄성력에 의해 전도판(542)과 접촉된다. 따라서 제어부(91)는 이동 하우징(60b)의 이동 거리를 확인하여 이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upper roller 54 and / or the lower roller 644 is installed as the conductive plate 542 and the conductive roller 54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1. Therefore, the conductive roller 541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late 54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oller support means 543 when the conductive roller 541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521a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521 by the movement of the roller housing 531. Therefore, the controller 91 may check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housing 60b to control the movement to stop.

즉,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장치들의 상호 연계된 작용을 통하여 파쇄된 폐기물의 입도조절이 가능하고, 이동 하우징(60b)의 이동 거리의 감지를 통한 이상 상황을 예방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 저감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crushed waste through the interoperation of the above devices, can prevent the abnormal situation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housing (60b), and the ability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I could improve mor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파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vertical shre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o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 중공 지지부 11 : 중공 기둥
12 : 중공 블럭 20 : 하우징 지지부
21 : 베이스 플레이트 22 : 지지 다리
23 : 방진 패드 24 : 안내구
25 : 접근방지수단 30 : 파쇄부
31 : 로터 32 : 회전 커터 설치핀
33 : 회전 커터 34 : 베어링바디
35 : 커플러 40 : 파쇄 구동부
41 : 파쇄구동모터 42 : 모터 베이스
43 : 연결플레이트 50 : 하우징 구동부
51 : 구동 실린더 52 : 가이드 수단
53 : 이동 수단 60 : 하우징부
60a : 고정 하우징 60b : 이동 하우징
61, 61': 커버판 62, 62' : 라이너
63 : 제1 구동 플레이트 64 : 제2 구동 플레이트
65 : 락킹 수단 66 : 하우징 플레이트
70 : 호퍼부 71 : 투입 호퍼
72 : 배출 호퍼 80 : 라이너 조절부
81 : 라이너 구동수단 82 : 구동축
83 : 축 고정수단 311 : 회전축
312 : 로터판 411 : 모터 회전축
421 : 베이스 벽판 422 : 절곡단
423 : 베이스 상판 521 : 스토퍼
531 : 롤러 하우징 531a : 상면
531b : 측면 531c : 하우징 절곡단
531d : 핀홀 532 : 롤러 커버
532a : 롤러 고정판 532b : 롤러 커플러
532c : 고정홀 541 : 도전 롤러
542 : 전도판 543 : 롤러 지지수단
611 : 판넬 612 : 결합공
613, 613' : 결합단 621, 621': 돌출턱
622, 622' : 결합홀 631 : 제1 본체
632 : 가이드 턱 633 : 내향 절개단
633a : 제1 반구 633b ; 개구홈
641 : 제2 본체 642 : 설치구
643: 돌출 절개단 643a : 제2반구
643b ; 끼움판 644 : 하부 롤러
651 : 걸이봉 652 : 조임 볼트
653 : 힌지 654 : 걸이홈
661 : 수용수단 662 : 고정판
10 hollow support 11 hollow pillar
12: hollow block 20: housing support
21: base plate 22: support legs
23: dustproof pad 24: guide
25: access preventing means 30: crushing unit
31: rotor 32: rotary cutter mounting pin
33: rotary cutter 34: bearing body
35: coupler 40: crush drive
41: crush drive motor 42: motor base
43: connection plate 50: housing drive unit
51 driving cylinder 52 guide means
53 moving means 60 housing part
60a: fixed housing 60b: mobile housing
61, 61 ': cover plate 62, 62': liner
63: first drive plate 64: second drive plate
65 locking means 66 housing plate
70: hopper portion 71: injection hopper
72: discharge hopper 80: liner adjustment unit
81: liner drive means 82: drive shaft
83: shaft fixing means 311: rotating shaft
312: rotor plate 411: motor rotation shaft
421: base wall plate 422: bending end
423: base top plate 521: stopper
531: roller housing 531a: upper surface
531b: side 531c: housing bending end
531d: pinhole 532: roller cover
532a: roller fixing plate 532b: roller coupler
532c: fixing hole 541: conductive roller
542: conductive plate 543: roller support means
611: panel 612: coupling holes
613, 613 ': coupling end 621, 621': protruding jaw
622, 622 ': coupling hole 631: first body
632: guide jaw 633: inward incision
633a: first hemisphere 633b; Opening
641: 2nd body 642: Mounting port
643: protruding incision 643a: second hemisphere
643b; Insertion Plate 644: Lower Roller
651: hook rod 652: tightening bolt
653 hinge 654 hanger groove
661: receiving means 662: fixed plate

Claims (10)

파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커터(33)를 구비하여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30);
외면을 이루는 커버판(61, 61')에 폐기물과 충돌되는 복 수개의 라이너(62, 62')가 각각 체결되는 고정 하우징(60a)과 이동 하우징(60b)을 구비하여 파쇄부(30)의 수용 및 폐기물의 파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60); 및
스위치부(92)에서 입력된 작동 명령에 따라 이동 하우징(60b)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부(50);를 포함하고,
하우징부(60)는
고정 하우징(60a)의 천정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1 구동 플레이트(63)와, 이동 하우징(60b)의 천정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제2 구동 플레이트(64);를 포함하고,
하우징 구동부(50)는
고정 하우징(60a)의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21); 및
제2 구동 플레이트(64)에 고정되어 구동 실린더(51)에 의해 가이드 레일(52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하우징(531);을 포함하고,
제1 구동 플레이트(63)는
고정 하우징(60a)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제1 본체(631);
제1 본체(63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521)의 고정 위치를 표시하는 가이드 턱(632);
제2 구동 플레이트(64)와 조립되면서 파쇄 구동부(40)와 파쇄부(30)가 상호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본체(631)의 단부에 내향 절개된 내향 절개단(633);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A crushing unit 30 having a rotary cutter 33 rotated by the crushing driving unit to crush waste;
The cover plates 61 and 61 'forming the outer surface are provided with a fixed housing 60a and a movable housing 60b to which a plurality of liners 62 and 62' collided with waste are fastened, respectively, A housing part 60 for forming a shredding space for receiving and waste; And
And a housing driving unit 50 for moving the moving housing 60b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the switch unit 92.
Housing part 60 is
And a first drive plate 63 fixed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60a, and a second drive plate 64 fixed to form a ceiling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60b.
The housing driver 50
A guide rail 521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60a; And
And a roller housing 531 fixed to the second drive plate 64 and moved along the guide rail 521 by the drive cylinder 51.
The first drive plate 63
A first body 631 forming a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60a;
A guide jaw 632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631 to indicate a fixed position of the guide rail 521;
An inward incision end 633 which is assembled in the second driving plate 64 and cut inwardly at an end of the first body 63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are interconnected. Vertical shredder.
청구항 1에 있어서, 복 수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라이너(62, 6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회전 커터(33)와 라이너(62, 6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폐기물의 입도를 조절하는 라이너 조절부(80);를 더 포함하고,
라이너 조절부(80)는
커버판(61, 61') 및 라이너(62, 62')를 연통하여 라이너(62, 62')의 내면에서 축 고정수단(83)에 의해 선단이 고정되는 구동축(82);
구동축(8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라이너 구동수단(81);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The liner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s of the liner 62, 62 ′ is mov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rotary cutter 33 and the liners 62, 62 ′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waste. 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unit 80,
Liner adjuster 80
A drive shaft 82 in which the tip is fixed by the shaft fixing means 83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liners 62 and 62 'in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plates 61 and 61' and the liners 62 and 62 ';
And a liner driving means (81) for moving the drive shaft (82) in the front-rear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라이너(62, 62')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턱(621, 621')에서 내향되어 관통형성된 결합홀(622, 622')을 통하여 커버판(61, 61')의 결합공(612)으로 연통되는 고정핀에 의해 커버판(61, 61')의 내면에서 파쇄부(30)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파쇄기.
The liner of claim 2, wherein the liners 62, 62 ′
Fixed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s 612 of the cover plates 61 and 61 'through the coupling holes 622 and 622' formed inwardly through the protruding jaws 621 and 621 'which protrude inwards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crusher,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pin so as to be movabl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61, 61 ') to the crushing portion (30)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 구동부(50)는
롤러 하우징(531)의 양 측면 사이에 끼움 되어 가이드 레일(521)의 상면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 롤러(533); 및
롤러 하우징(531)의 양 측면에서 각각 인출되는 회전 롤러(533)의 선단과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커버(532);를 더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drive unit 50
A rotary roller 533 which is sandwiched between both sides of the roller housing 531 and rotates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1; And
And a roller cover (532)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rotating roller (533) drawn out from both sides of the roller housing (531), respectively.
청구항 4에 있어서, 롤러 하우징(531)은
양 측면(531b)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제2구동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절곡단(531c); 및 양 측면(531b)에서 상호 대향된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 수개의 핀홀(531d);을 포함하고,
회전 롤러(53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측면(531b)에서 상호 대향된 위치의 핀홀(531d)들에 연통 삽입되는 핀 형상의 봉체(533a); 및 봉체(533a)의 외면에 돌출되어 핀홀(531d)의 외측에 걸림되는 걸림턱(533b);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ller housing 531 is
A housing bending end 531c that is bent at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531b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plate; And a plurality of pinholes 531d penetratingly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both sides 531b.
Rotary roller 533 is
A pin-shaped rod body 533a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ommunicating with pinholes 531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both sides 531b; And a locking jaw (533b)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ar (533a) to be locked to the outside of the pinhole (531d).
청구항 5에 있어서, 롤러 커버(532)는
롤러 하우징(531)의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 고정판(532a);
롤러 고정판(532a)의 중심부에서 봉체의 선단 또는 끝단이 체결되는 롤러 커플러(532b); 및
롤러 커플러(532b)의 내측으로 인입된 회전 롤러(533)를 고정시키도록 롤러 커플러(532b)의 외면에서 관통되어 나사가 삽입되는 롤러 고정홀(532c);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ller cover 532 is
A roller fixing plate 532a fixed to the side of the roller housing 531;
A roller coupler 532b to which the tip or end of the rod is fastened at the center of the roller fixing plate 532a; And
And a roller fixing hole (532c) penetrating through an outer surface of the roller coupler (532b) to fix the rotary roller (533) drawn into the roller coupler (532b) to insert a screw.
삭제delete 청구항 1있어서, 제2 구동 플레이트(64)는
이동 하우징(60b)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제2본체(641);
제2본체(641)의 단부에서 내향 절개단(633)과 조립되면서 파쇄 구동부(40)와 파쇄부(30)가 상호 연결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돌출 절개단(643);을 포함하고,
내향 절개단(633)은
반구형으로 절개된 제1반구(633a)와, 제1반구(633a)를 중심으로 내향 절개된 개구홈(633b);을 포함하고,
돌출 절개단(643)은
제1개구와 조립되어 개구를 형성하도록 반구형으로 절개된 제2반구(643a)와, 제2반구(643a)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개구홈(633b)으로 삽입되는 끼움판(643b);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e plate 64
A second body 641 forming a ceiling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60b;
And a protruding cut end 643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body 641 to form an opening in which the crushing drive unit 40 and the crushing unit 30 are interconnected with the inward cut end 633.
Inward incision 633
And a first hemisphere 633a cut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n opening groove 633b cut inwardly about the first hemisphere 633a.
Protruding incision 643 is
A second hemisphere 643a cut into a hemispherical shape to be assembled with the first opening to form an opening, and a fitting plate 643b protruding about the second hemisphere 643a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633b. Vertical shredder.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부(60)를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부(20); 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 지지부(20)는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21);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중앙에서 관통되는 안내구(24); 및
안내구(24)를 중심으로 정렬된 복 수개의 방진 패드(23);를 포함하고,
하우징부(60)는
배출 호퍼(72)가 연결되고, 파쇄된 폐기물이 수집 및 배출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어 안내구(24)로 끼움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파쇄된 폐기물이 수집되는 공간을 이루고, 배출 호퍼(72)가 연결되는 수용수단(661); 및
수용수단(66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방진 패드(23)의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판(662);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According to claim 1, Housing support portion 20 for supporting the housing portion 60; More,
The housing support 20 is
A base plate 21 forming a plane;
A guide 24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1; And
And a plurality of dustproof pads 23 arranged around the guide 24.
Housing part 60 is
The discharge hopper 72 is connected, extends downward so that the shredded waste is collected and discharged, and extends downwardly so as to fit into the guiding port 24 to form a space for collecting the shredded waste, and to which the discharge hopper 72 is connected. Receiving means 661; And
And a fixing plate (662)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dustproof pad (23)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ans (661).
청구항 9에 있어서, 하우징 지지부(20)를 지면에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중공 지지부(10);를 더 포함하고,
중공 지지부(10)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직립되고, 내측이 빈 공간을 이루는 복 수개의 중공 기둥(11); 및
내측이 진공되어 한 쌍의 중공기둥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 수개의 중공 블럭(12);을 포함하는 수직 파쇄기.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hollow support 10 for supporting the housing support 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Hollow support 10 is
A plurality of hollow pillars 11 which are upright in the shape of a lower light reciprocation and have an empty space inside; And
And a plurality of hollow blocks (12)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hollow columns by vacuuming the inside thereof.



KR1020190044346A 2019-04-16 2019-04-16 Vertical type crusher Active KR102020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46A KR102020896B1 (en) 2019-04-16 2019-04-16 Vertical type cru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46A KR102020896B1 (en) 2019-04-16 2019-04-16 Vertical type cru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96B1 true KR102020896B1 (en) 2019-09-11

Family

ID=6794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46A Active KR102020896B1 (en) 2019-04-16 2019-04-16 Vertical type cru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8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7170B1 (en) * 2024-02-02 2024-08-21 주식회사 호재메탈 Waste metal process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918A (en) * 1998-03-27 1999-10-12 Furukawa Co Ltd Crusher
KR100545788B1 (en) 2004-05-24 2006-01-24 하용간 Vertical shaft impact crusher
KR100598678B1 (en) 2006-02-15 2006-07-19 (주)아이앤씨 Vertical Large Waste Shredders
US20140166795A1 (en) * 2012-11-07 2014-06-19 Heritage Environmental Servicces, Inc. Vertical shaft impactor
KR101908960B1 (en) * 2018-04-19 2018-10-17 삼보계량시스템(주) Vertical shredder apparatus with variable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918A (en) * 1998-03-27 1999-10-12 Furukawa Co Ltd Crusher
KR100545788B1 (en) 2004-05-24 2006-01-24 하용간 Vertical shaft impact crusher
KR100598678B1 (en) 2006-02-15 2006-07-19 (주)아이앤씨 Vertical Large Waste Shredders
US20140166795A1 (en) * 2012-11-07 2014-06-19 Heritage Environmental Servicces, Inc. Vertical shaft impactor
KR101908960B1 (en) * 2018-04-19 2018-10-17 삼보계량시스템(주) Vertical shredder apparatus with variable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7170B1 (en) * 2024-02-02 2024-08-21 주식회사 호재메탈 Waste metal process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980B1 (en) Electronic Component Lead Cutting Machine
KR102020896B1 (en) Vertical type crusher
US20160045919A1 (en) Vertical shaft impactor
CN108367406A (en) Working cell and laser machining centre equipped with this unit
KR20020082849A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cuttings
US7325759B2 (en) Method for minimizing damage to a waste fragmentation machine
US7721983B2 (en) Crusher
US3897016A (en) Granulator with noise abatement and safety means
KR100933181B1 (en) grinder
US8152081B2 (en) Comminuting machine containment system
CN106238167A (en) A kind of hollow brick breaker
KR20110105238A (en) Shredder
JP2003038968A (en) Apparatus for adjusting gap of impact crusher
EP3306026A1 (en) Roll door
WO1996034689A1 (en) Transportable crusher
CN219051522U (en) Hammer crusher with safety protection function
US20240139753A1 (en) Material processing unit and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a housing part of a housing of a material processing unit
CN213349252U (en) Protective door device for shredder
CN215197259U (en) Case device and crusher
CN218398154U (en) Garbage sorting robot
JPH10249231A (en) Self-propelled crusher
KR101565915B1 (en) Cyclic Aggregate Multi-stage Vibration Peeling off Device
CA3185755C (en) Button cover
KR102691218B1 (en) Wedge cutting apparatus using hydraulic press type cutting technology
JP4391410B2 (en) Wood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