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09B1 - Cookware having agitator - Google Patents
Cookware having agit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0609B1 KR102020609B1 KR1020170139018A KR20170139018A KR102020609B1 KR 102020609 B1 KR102020609 B1 KR 102020609B1 KR 1020170139018 A KR1020170139018 A KR 1020170139018A KR 20170139018 A KR20170139018 A KR 20170139018A KR 102020609 B1 KR102020609 B1 KR 102020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haft
- power shaft
- outer housing
- stir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 B01F7/00208—
-
- B01F7/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담아 가열하는 용기; 용기에 수용되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와, 교반날개가 하부에 장착된 회전축을 구비한 교반수단;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닫도록 제작된 뚜껑; 뚜껑의 상면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 외부하우징에 내장되는 내부하우징, 내부하우징에 내장된 동력원과,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축에 체결되는 동력축을 구비한 동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a container for heating food; Stirring means having a stirring blad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for stirring the food, and a rotating shaf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A lid configured to close the open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n outer hous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n inner housing built into the outer housing, a power source built into the inner housing, and a power means having a power shaft that is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while being rotated by the power sou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뒤섞으면서 고온의 용기와 수증기로부터 동력부를 보호하도록 된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configured to protect a power unit from a hot container and steam while mixing food contained therein.
일반적으로 각종 식재료를 조리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팬, 냄비 등과 같은 용기가 사용되며, 부수적으로 주걱이나 젓개 등이 이용되고 있다. 조리용기는 렌지나 직화로 조리되거나, 혹은 전기를 이용한 가열판(히터)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ook a variety of foods to make a variety of food containers such as pans, pots, etc. are used, incidentally, a spatula or a saucer. The cooking container is cooked by using a stove or a fire, or by using an electric heating plate (heater) to cook food.
그리고 조리 방법의 예로, 각각의 식재료를 조리용기에 넣고 조리하는 동안 재료를 고르게 익히기 위해 주걱 등의 주방용품을 사용하여 식재료가 서로 엉겨 붙거나 타지 않도록 저어서 볶아 주기도 한다.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 cooking method, each ingredient is put in a cooking container and stir-fried by using kitchen utensils such as a spatula to cook the ingredients evenly while cooking so that the ingredients do not get tangled together or burned.
이외에도 죽 요리 또한 계속 저어주어 조리용기의 바닥에 음식이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조리용기를 주시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도 있다. In addition, porridge dishes are continuously stirred to prepare food by keeping an eye on the cooking container so that the food does not stick or burn on the bottom of the cooking container.
이러한 조리를 위한 종래의 조리용기로, 공개특허 제10-2015-0052545호(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뚜껑(100), 이 뚜껑(100)의 외부에 장착된 손잡이(11) 및 동력원(12), 뚜껑(100)을 관통하여 위치되면서 동력원(12)에 연결된 동력축(13), 동력축(13)이 끼움결합되는 회전축(14), 회전축(14)의 하부에 장착된 교반날개(15)와, 교반날개(15) 및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16) 등을 포함하고 있다. As a conventional cooking container for such a cooking,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52545 (heating cooking appliance having a stirring function) is disclosed. Briefly described, the lid 100, the
따라서, 용기(16)에 음식물과 함께 교반날개(15)를 넣은 후 뚜껑(100)을 닫고, 조리온도와 시간을 설정한 후 전원을 공급하면 동력원(12)가 작동하고, 동력축(13) 및 회전축(14)에 의해 교반날개(15)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저어주게 된다. Therefore, after putting the stirring
그러나 뚜껑(100)은 용기(16)의 내부를 밀폐시키므로, 용기(16) 내부에 고열(高熱)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이 한편으로는 교반날개(15), 회전축(14) 및 동력축(13)을 따라 동력원(12)에 전도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뚜껑(100)을 통해 동력원(12)에 전도됨으로써, 동력원(12)에 심각한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lid 100 seals the inside of the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 및 동력축의 체결부위와, 동력축 및 회전축의 체결부위와, 외부하우징과 동력원 및 내부하우징의 체결부위에 단열부재를 개재하고,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 간에 단열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열전도로 인한 동력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terpose a heat insulating member i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power shaft,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ower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power source and the inner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to prevent damage to a power source due to heat conduction by providing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담아 가열하는 용기; 용기에 수용되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와, 교반날개가 하부에 장착된 회전축을 구비한 교반수단;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닫도록 제작된 뚜껑; 뚜껑의 상면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 외부하우징에 내장되는 내부하우징, 내부하우징에 내장된 동력원과,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축에 체결되는 동력축을 구비한 동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for heating food; Stirring means having a stirring blad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for stirring the food, and a rotating shaf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A lid configured to close the open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n outer hous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n inner housing built into the outer housing, a power source built into the inner housing, and a power means having a power shaft that is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while being rotated by the power source.
이때, 회전축과 동력축이 내부하우징, 외부하우징과 뚜껑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내부하우징의 외측면과 외부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and the power shaft is fasten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ner housing, the outer housing and the lid, a space for insula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may be provided.
그리고 뚜껑은 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배출하기 위해 주변부에 다수 가공된 배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li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vents in the periphery to discharge the vapor in the container away from the outer housing.
또한, 외부하우징은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단열 공간 내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housing may be made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 the heat in the heat insulating space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추가적으로, 동력수단은 내부하우징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된 하판, 뚜껑에서 외부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뚜껑과 외부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된 제1단열패드와, 외부하우징에서 내부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외부하우징의 내부 바닥과 하판 사이에 배치된 제2단열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wer means includes a bottom plate coupled to close the open bottom of the inner housing, a first insulation pad disposed between the lid and the outer housing to block heat from the lid to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in the outer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sulating pad disposed between the inner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outer housing to block the heat transferred to the.
이때, 하판 또는 제1단열패드 또는 제2단열패드을 관통하여 동력축과 회전축이 체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wer shaft and the rotation shaf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penetrating the lower plate or the first insulation pad or the second insulation pad.
한편, 동력축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동력축과, 제1동력축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체결되고 타단부가 회전축과 끼움 결합되는 제2동력축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haft may include a first power shaft installed to rotate by a power source, and a second power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wer shaft and the other end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추가적으로, 동력수단은 회전축의 열이 동력축에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에 끼움 결합하는 동력축의 하단 일부위에 끼워지는 단열끼움부재를 더 구비하고, 이 단열끼움부재가 회전축과 동력축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means further includes an insulation fitting member fitted over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shaft fitting to the rotation shaft to prevent the heat of the rotation shaf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ower shaft, the insulation fitt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the power shaft. Can be arranged.
추가적으로, 동력수단은 상면에 동력원이 고정되면서 동력축이 관통하고, 하판에 체결되는 단열 재질의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wer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penetrated by the power shaft while the power sourc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and fastened to the lower plate.
또한, 고정부재는 동력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에 동력축의 흔들림을 잡아주도록 체결링이 내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be made of a fastening ring is built to hold the shaking of the power shaft in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ower shaft passes.
한편, 회전축은 동력축의 하단 부위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면에 가공된 체결홈과, 체결홈의 내측면에서 삽입 또는 돌출되면서 체결홈에 끼워진 동력축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체결되도록 장착된 끼움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shaft has a fastening groove machin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ower shaft is fitted and fastened, and a fitting roller mounted to be fastened by elastically pressing the power shaf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while being inserted or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Can be done.
또한, 교반수단은 회전축의 하단에 중앙부위가 고정되면서 양측부에 용기의 바닥과 측면이 닿도록 교반날개가 장착되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에 교차되면서 회전축의 하단에 중앙부위가 고정되어 용기의 바닥에 닿도록 교반날개가 장착되는 제2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irring means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while the center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stirring blade is mounted so that the bottom and 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sides, and the center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while crossing the first fram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ame is mounted to the stirring blade to rea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여기서, 제1프레임에 장착되는 교반날개는 제1프레임에 상향 돌출되도록 장착된 일정 크기의 상부교반날개와, 제1프레임에 하향 돌출되도록 장착되면서 측면상 양측부가 바닥과 측면에 닿도록 중앙부위보다 하향 돌출된 형태의 하부교반날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stirring blade mounted on the first frame is the upper stirring blade of a predetermined size mounted to protrude upward in the first frame, and is mount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in the first frame, so that both sides on the side contact the bottom and side than the central por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lower stirring wing of the downwardly protruding form.
또한, 제2프레임은 하부교반날개의 중앙부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may have a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tirring blade.
그리고 제2프레임에 장착되는 교반날개는 제2프레임의 길이이면서 제2프레임에 하향 돌출되어 용기 바닥에 닿도록 장착된 교차교반날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irring blade mounted on the second frame may be a cross stirring blade mounted to rea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hil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frame while being the length of the second fram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하우징의 상면이 개방되고,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 사이에 단열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외부하우징에서 내부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동력원을 열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is opened, and an insul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thereby blocking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er housing to the inner housing to protect the power source from heat. It works.
또한, 외부하우징의 바닥과 내부하우징 사이에 제2단열패드와 고정부재가 배치되고, 뚜껑과 외부하우징 사이에 제1단열패드가 배치됨으로써, 뚜껑에서 외부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열과, 외부하우징에서 내부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동력원을 열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pad and the fix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the first insulating pad is disposed between the lid and the outer housing,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lid to the outer housing, the inner housing in the outer housing By blocking the heat transmitted to the power source is effective to protect from hea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부하우징의 내부와, 내부에 수용되는 부재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하우징, 동력원 및 주변 부재들이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력원, 동력축 및 고정부재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교반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축의 상면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vessel having a conventional stirring func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king vessel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shown in FIG. 3 and the members accommodated there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housing, the power source and the peripheral members shown in FIG. 3.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wer source, the power shaft, and the fix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5.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irring unit shown in FIG. 3.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illustrated in FIG. 7.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는 죽이나 음식물을 만들거나 데울 때, 또는 식재료를 뒤섞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0), 뚜껑(2000), 동력수단(3000)과 교반수단(40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ooking vessels compris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making porridge or food or heating, or when mixing ingredients. To this end,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용기(1000)는 음식물과 교반수단(4000)를 수용하는 정도의 크기이다. 이 용기(1000)는 통상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용기(1000)는 종류에 따라 상단 일측부에 외향으로 길게 배치된 1개의 용기손잡이(1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용기손잡이(110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뚜껑(2000)은 용기(10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 뚜껑(2000)은 제1관통홀(2100), 제1결합홀(2200), 배기구(2300)와 손잡이홈(240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먼저, 제1관통홀(2100)은 중앙부위에 가공될 수 있다. 이 제1관통홀(2100)은 후술된 동력수단(3000)의 제2동력축(3260)이 관통하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First, the first through
또한, 제1결합홀(2200)은 제1관통홀(2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후술된 외부하우징(3110)이 볼팅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되도록 하나 이상이 가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 배기구(2300)는 용기(1000)에 뚜껑(2000)을 닫았을 때, 용기(100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뚜껑(2000)의 상면이면서 주변부에 적어도 1개가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배기구(2300)는 중앙 부위에 체결되는 외부하우징(3110)에 증기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외부하우징(3110)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져 위치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2300)는 슬롯형태나 다수의 구멍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배기구(2300)는 다양한 실시 예로, 뚜껑(2000)의 측면에 가공되거나, 증기가 측방향으로 분출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외의 또 다른 예로, 배기구(2300) 대신에 증기가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배출되도록 통상의 압력밥솥이나 전기밥솥의 증기배출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한편, 뚜껑(2000)은 용기(1000)에 상단에 용기손잡이(1100)가 있는 경우, 용기(1000)를 덮었을 때 용기손잡이(1100)가 끼워지도록 손잡이홈(2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동력수단(3000)은 교반수단(4000)의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수단(30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100)와 동력부(3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means 3000 may be installed to rotate the stirring blades of the stirring means 4000. The power means 3000 may include a fixing
먼저, 고정부(310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동력수단(3000)을 뚜껑(200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3100)는 도 4에서 보듯이, 외부하우징(3110), 제1단열패드(3120)와 제2단열패드(3130)를 구비할 수 있다. First, the fixing
외부하우징(3110)은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하우징(3210)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외부하우징(3110)의 바닥에는 제2동력축(3260)이 관통하도록 가공된 제1중앙홀(3111)과, 이 제1중앙홀(3111)의 주변에 다수의 제1체결홀(3112)이 가공될 수 있다. 이외에 외부하우징(3110)은 폐쇄된 내부 공간에 내부하우징(3210)이 내장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3 and 4, the
제1단열패드(3120)는 가열된 뚜껑(2000)의 열이 외부하우징(3110)에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재로, 도 3에서와같이 외부하우징(3110)의 바닥과 뚜껑(200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제1단열패드(3120)는 제2동력축(3260)이 관통하면서 제1중앙홀(3111)과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가공된 제2중앙홀(3121)과, 이 제2중앙홀(3121)의 주변이면서 제1체결홀(3112)과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가공된 제2체결홀(3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단열패드(312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한 통상의 단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열패드(3120)는 뚜껑의 가열 온도에 따라 두께를 조정하고, 대략 외부하우징(3110)의 바닥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름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제2단열패드(3130)는 외부하우징(3110)에 전달된 일부 열이 내부하우징(3210), 보다 자세하게는 하판(3220)에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재로, 외부하우징(3110)의 안쪽 바닥에 놓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같이 외부하우징(3110)의 내부 바닥과 하판(3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2단열패드(3130)는 제2동력축(3260)이 관통하면서 제1중앙홀(3111)과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가공된 제3중앙홀(3131)과, 이 제3중앙홀(3131)의 주변이면서 제1체결홀(3112)과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가공된 제3체결홀(31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열패드(313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한 통상의 단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단열패드(3130)는 외부하우징(3110)의 가열 온도에 따라 두께를 조정하고, 대략 외부하우징(3110)의 바닥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름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The second
한편, 동력부(3200)는 교반수단(40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동력부(320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내부하우징(3210), 하판(3220), 고정부재(3230), 동력원(3240),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내부하우징(3210)은 도 3과 도 5에서와같이 대략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이고, 환형 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플랜지(3211)가 가공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플랜지(3211)에는 내부하우징(3210)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기 위한 하판(3220)이 볼팅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되도록 제1장착홀(3212)이 가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이 내부하우징(3210)에는 동력원(3240)과 고정부재(3230)가 수용되고, 동력원(3240)에 연결된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이 하판(3220)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면에 동력원(3240)과 연결된 전원스위치(321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하우징(3210)은 외부하우징(31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A
그리고 내부하우징(3210)이 외부하우징(3110)에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하우징(3210)의 측면과 외부하우징(3110)의 측면 사이에 단열공간이 마련되고, 이 단열공간은 뚜껑(2000)에서 외부하우징(3110)으로 전달될 수 있는 열이 내부하우징(3210)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공간에는 단열을 위한 부재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외부하우징(3110)의 상면이 개방되므로 단열공간 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Insul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of the
또한, 내부하우징(3210)의 상부에는 뚜껑손잡이(3214)가 장착될 수 있고, 이 뚜껑손잡이(3214)를 잡고 올리면 외부하우징(3110)과 뚜껑(2000)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교반수단(4000)도 함께 들어 올려질 수 있다. 한편, 내부하우징(3210), 외부하우징(3110) 및 고정부재(3230)는 단열재질로 제작되거나, 단열코팅하여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a
하판(3220)은 도 4 및 도 5에서와같이 내부하우징(3210)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는 부재로, 내부하우징(3210)의 플랜지(3211)에 볼팅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되도록 제1장착홀(3212)과 동심을 이루도록 가공된 제2장착홀(3221),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이 관통되는 제4중앙홀(3222)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로 하판(3220)은 제4중앙홀(3222)의 주변에 제2단열패드(3130)의 제3체결홀(3132), 외부하우징(3110)의 제1체결홀(3112), 제1단열패드(3120)의 제2체결홀(3122)과 뚜껑(2000)의 제1결합홀(2200)과 동심을 이루도록 가공된 제4체결홀(32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고정부재(3230)는 도 5에서와같이, 내부하우징(3210)에 수용되어 하판(3220)에 고정되면서 상부에 동력원(3240)이 고정되는 부재이다. 이 고정부재(3230)는 단순히 동력원(3240)을 고정하도록 제작될 수 있고, 외부하우징(3110) 및 하판(322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동력원(3240)을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단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230)는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이 통과하는 관통홀(3231), 상면에 동력원(3240)를 볼팅 체결 또는 나사 체결하기 위해 가공된 제1결합홈(3232)과, 하면에 하판(3220)의 제2장착홀(3221)과 동심을 이루는 제2결합홈과, 제4체결홀(3223)과 동심을 이루는 제3결합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fixing
일례로, 동력원(3240)의 하단에는 외향 돌출된 플랜지가 가공되고, 이 플랜지를 나사가 관통하여 제1결합홈(3232)에 체결됨으로써, 동력원(3240)이 고정부재(32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230)의 관통홀(3231) 내부에는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의 결합부위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의 결합부위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관통홀(3231)에서 외면까지 홈이 가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outwardly protruding flange is processed at the lower end of the
또한, 도 6에서와같이 고정부재(3230)의 관통홀(3231)의 하단 부위에는 제2동력축(3260)의 떨림 현상을 차단하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링(3233) 또는 일종의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lower end portion of the through
동력원(3240)은 도 5에서 보듯이,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을 회전시키고, 최종적으로 제2동력축(3260)에 체결된 회전축(4100) 및 교반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 동력원(3240)은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에 관통홀(3231)을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고정부재(32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원(3240)은 일례로 모터일 수 있고, 이외에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동력축(3250)은 모터에서 돌출되어 회전하는 로드일 수 있고, 선단부에 제2동력축(3260)이 삽입되어 핀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물론, 동력원(3240)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제1동력축(3250)은 동력원(3240)에 의해 직접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제2동력축(3260)은 제1동력축(3250)의 회전을 교반수단(4000)의 회전축(4100)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이 제2동력축(3260)은 일단부가 제1동력축(3250)의 선단부에 끼워져 핀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고, 타단부가 회전축(4100)에 체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제2동력축(3260)은 회전축(4100)과 체결되는 하단측 일부위가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을 포함한 다면체인 체결부(3261)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체결부(3261)와 체결되는 회전축(4100)의 해당 부위 역시 상응하는 다면체로 가공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또한, 제2동력축(3260)은 제1동력축(3250)의 체결 부위 근처에 환형상으로 돌출 가공된 걸림돌기(3263), 이 걸림돌기(3263)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제1베어링(3264)과 제2베어링(326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제1베어링(3264)과 제2베어링(3265)은 고정부재(3230)의 관통홀(3231)에 끼워져 체결링(3233)과 함께 제2동력축(3260)의 흔들림 없는 회전을 보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제2동력축(3260)의 체결부(3261)에는 단열끼움부재(3262)가 감싸도록 장착되어 회전축(4100)과 체결부(3261)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이는 제2동력축(3260)과 회전축(4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410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한편, 교반수단(4000)은 도 3, 도 6과 도 7에서 보듯이, 회전축(4100), 제1프레임(4200), 상부교반날개(4300), 하부교반날개(4400), 제2프레임(4500)과 교차교반날개(4600)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3, 6, and 7, the stirring means 4000 includes a
회전축(4100)은 도 3과 도 7에서와같이, 상부가 제2동력축(3260)에 체결되고, 하부에 교반날개가 장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4100)은 제2동력축(3260)과의 체결을 위해 상면에 체결부(3261)와 동일한 형상의 체결홈(4110)이 가공되고, 제1프레임(4200) 및/또는 제2프레임(4500)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4110)은 도 8에서 보듯이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도록 적어도 1개의 끼움롤러(412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홈(4110)에 제2동력축(3260)의 체결부(3261)가 삽입되면 끼움롤러(4120)가 들어가면서 스프링 등을 포함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체결부(3261)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체결홈(4110)에 체결부(3261)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4110)과 체결부(3261)의 체결을 위한 끼움롤러(4120)의 탄성력은 교반수단(4000) 자체의 무게보다 더 크므로, 외력에 의해서만 체결홈(4110)에 체결부(3261)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이들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4110)에는 스프링을 포함한 탄성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이 탄성부재는 체결홈(4110)에 제2동력축(3260)의 하단 일부위가 삽입될 때의 충격을 흡수하고, 음식물 교반시 제2동력축(3260)에 대해 회전축(4100)을 하방으로 밀어 교반날개가 용기(1000)의 바닥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제1프레임(4200)은 교반날개가 고정되는 부재로, 회전축(4100)의 하단에 중앙부위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프레임(4200)은 대략 역'U'자 형상이고, 양측부의 상면에 상부교반날개(4300)가 고정되고, 개방된 하면에 하부교반날개(440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4200)은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된 일정 길이를 갖는 부재이고, 개방된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하부교반날개(440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4200)의 양측부 상면에 각각 측면 및 상면이 개방된 'U'자형 고정편(4210)이 고정되고, 이 고정편(4210)에 상부교반날개(4300)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1프레임(4200)은 판 형상이고, 상, 하로 돌출되도록 상부교반날개(4300)와 하부교반날개(4400)가 장착될 수 있다. The
상부교반날개(4300)는 제1프레임(4200)의 상면 양측부에 직접 고정되거나 제1프레임(4200)의 상면 양측부에 각각 고정된 고정편(4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상부교반날개(4300)는 일례로 측면상 대략 사각형일 수 있다. The
하부교반날개(4400)는 제1프레임(420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끼워져 고정되고, 양측부가 용기의 바닥에 닿고, 중앙부가 바닥에서 떠 있도록 양측부가 중앙부에 비해 하향 돌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하부교반날개(4400)의 양측부에서 일부 테두리는 용기(1000) 내의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해 용기(1000)의 바닥면과 측면의 일부위에 접촉하도록 곡면 또는 직선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교반날개(4300)와 하부교반날개(4400)의 측면은 용기의 내면에 동시에 닿을 수 있도록 측면 끝선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제2프레임(4500)은 제1프레임(4200)과 직교하도록 회전축(4100)의 하단에 중앙부위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프레임(4500)의 하면은 개방된 역'U'자형이고, 개방된 하면에 교차교반날개(4600)가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프레임(4500)은 2개이고, 회전축(4100)의 하단 부위에서 제1프레임(420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4500)의 길이는 제1프레임(4200)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물론, 제2프레임(4500)은 판 형상이고, 이 판에 하부교반날개(4400)가 장착될 수 있다. The
교차교반날개(4600)는 제2프레임(4500)에 장착되고, 하부가 용기(1000)의 바닥면에만 접촉하도록 측면상 사각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교차교반날개(4600)의 길이는 하부교반날개(4400)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일례로 교차교반날개(4600)는 하부교반날개(4400)에서 용기(1000)의 바닥에 닿지 않는 중앙부위의 회전 반경의 지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교차교반날개(4600)와 하부교반날개(4400)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하부교반날개(4400)가 교차교반날개(4600)의 상부 일부위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교차교반날개(4600)의 하면은 용기(1000)의 바닥에 닿을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이러한 제1프레임(4200), 제2프레임(4500), 상부교반날개(4300), 하부교반날개(4400)와 교차교반날개(460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측면상 상단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는 교반이 좀 더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least one of the
<조립><Assembly>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y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을 보면, 동력원(3240)의 제1동력축(3250)이 제2동력축(3260)에 장착된다. 6, the
이후, 동력원(3240)이 고정부재(3230)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제2동력축(3260)의 하부가 고정부재(3230)를 관통하여 외부로 위치된다. Then, while the
이후, 도 5를 보면, 내부하우징(3210)에 동력원(3240)과 고정부재(3230)가 수용되고, 내부하우징(3210)의 하면에 하판(3220)이 체결된다. 이 상태를 '내부하우징블록'이라 한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5, the
이후, 도 4를 보면 '내부하우징블록'이 외부하우징(3110)에 수용되면서 제2단열패드(3130) 위에 놓인다. 이 상태를 '외부하우징블록'이라 한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4, the 'inner housing block' is accommodated in the
이후, 도 1을 보면, 외부하우징블록이 뚜껑(2000) 위에 놓은 제1단열패드(3120) 위에 놓인다. 1, the outer housing block is placed on the
이후, 측단면상 아래에서부터 뚜껑(2000), 제1단열패드(3120), 외부하우징(3110)의 하면, 제2단열패드(3130), 하판(3220)을 관통한 나사가 고정부재(3230)에 체결된다. Subsequently, a screw passing through the
마지막으로, 동력원(32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장착되면서 고정부재(3230), 하판(3220), 제1단열패드(3120), 외부하우징(3110)의 하면, 제2단열패드(3130)와 뚜껑(2000)을 관통한 제2동력축(3260)의 하부가 회전축(4100)의 체결홈(4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Finally, the bottom of the fixing
<작동><Ope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외부 전원을 동력원(3240)에 인가한 후 작동시킨다. 이때, 동력원(3240)에 전원스위치(3213)를 켜서 외부 전원이 동력원(3240)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동작스위치를 켜서 동력원(3240)을 작동시킬 수 있다. First,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다음으로, 동력원(3240)이 작동하면 제1동력축(3250)과 제2동력축(3260)이 제자리 회전하고, 교반수단9)의 회전축(4100)과 더불어 제1프레임(4200), 상부교반날개(4300), 하부교반날개(4400), 제2프레임(4500)과 교차교반날개(46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들 교반날개에 의해 용기(1000) 내의 음식물이 교반될 수 있다. Next, when the
여기서, 용기(1000)와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한 증기는 뚜껑(2000)에 가공된 배기구(2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용기(1000) 내부의 최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배기구(2300)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열이 외부하우징(3110)에 전달되더라도 외부하우징(3110)과 내부하우징(3210) 간의 단열공간에 의해 외부하우징(3110)에서 내부하우징(3210)으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e steam generated while the
또한, 용기(1000) 내부의 열이 뚜껑(2000)으로 전달되고, 뚜껑(2000)의 열이 외부하우징(3110)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제1단열패드(3120)에 의해 일부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henomenon in which heat inside the
또, 외부하우징(3110)에 전달된 열이 제2단열패드(3130)에 의해 내부하우징(3210)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henomenon in which heat transferred to the
요약하자면, 용기(1000) 내부의 열이 뚜껑(2000)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증기의 열이 외부하우징(3110)과 내부하우징(3210)을 통해 동력원(3240)에 전달되는 현상이 외부하우징(3110)과 내부하우징(3210) 사이의 단열 공간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heat of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또한, 용기(1000) 내부의 열이 뚜껑(2000), 외부하우징(3110)과 내부하우징(3210)을 통해 동력원(3240)에 전달되는 현상이 제1단열패드(3120)와 제2단열패드(3130)를 통해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enomenon in which heat inside the
이러한 단열 기능으로 인해 뚜껑(2000) 위에 장착된 동력원(3240)을 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This insulation function can safely protec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0:용기
1100:용기손잡이
2000:뚜껑
2100:제1관통홀 2200:제1결합홀
2300:배기구 2400:손잡이홈
3000:동력수단
3100:고정부 3110:외부하우징
3111:제1중앙홀 3112:제1체결홀
3120:제1단열패드 3121:제2중앙홀
3122:제2체결홀 3130:제2단열패드
3131:제3중앙홀 3132:제3체결홀
3200:동력부 3210:내부하우징
3211:플랜지 3212:제1장착홀
3213:전원스위치 3214:뚜껑손잡이
3220:하판 3221:제2장착홀
3222:제4중앙홀 3223:제4체결홀
3230:고정부재 3231:관통홀
3232:제1결합홈 3233:체결링
3240:동력원 3250:제1동력축
3260:제2동력축 3261:체결부
3262:단열끼움부재 3263:걸림돌기
3264:제1베어링 3265:제2베어링
4000:교반수단
4100:회전축 4110:체결홈
4120:끼움롤러 4200:제1프레임
4210:고정편 4300:상부교반날개
4400:하부교반날개 4500:제2프레임
4600:교차교반날개.1000: container
1100: container handle
2000: lid
2100: first through hole 2200: first coupling hole
2300: Exhaust vent 2400: Handle groove
3000: power means
3100: Government 3110: External housing
3111: 1st Central Hall 3112: 1st Fastening Hall
3120: 1st heat insulation pad 3121: 2nd central hole
3122: second fastening hole 3130: second insulating pad
3131: 3rd Central Hall 3132: 3rd Conclusion Hall
3200: power unit 3210: internal housing
3211: flange 3212: first mounting hole
3213: power switch 3214: lid handle
3220: Bottom 3221: Second mounting hole
3222: 4th Central Hall 3223: 4th Conclusion Hall
3230: fixing member 3231: through hole
3232: first coupling groove 3233: fastening ring
3240: power source 3250: first power shaft
3260: 2nd power shaft 3261: fastening part
3262: insulation fitting member 3263: locking projection
3264: First bearing 3265: Second bearing
4000: Stirring means
4100: rotating shaft 4110: fastening groove
4120: fitted roller 4200: first frame
4210: fixed 4300: upper stirwing
4400: lower stirwing 4500: second frame
4600: Cross Stirwing.
Claims (13)
상기 용기(1000)에 수용되어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와, 교반날개가 하부에 장착된 회전축(4100)을 구비한 교반수단(4000);
상기 용기(1000)의 개방된 상면을 닫도록 제작된 뚜껑(2000);
상기 뚜껑(20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3110), 외부하우징(3110)에 내장되는 내부하우징(3210), 내부하우징(3210)에 내장된 동력원(3240)과, 동력원(3240)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축(4100)에 체결되는 동력축을 구비한 동력수단(300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수단(3000)은 상면에 동력원(3240)이 고정되면서 동력축이 관통하고, 하판(3220)에 체결되는 단열 재질의 고정부재(323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4100)과 동력축이 내부하우징(3210), 외부하우징(3110)과 뚜껑(200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내부하우징(3210)의 외측면과 외부하우징(3110)의 내측면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Container 1000 for containing food and heating;
Stirring means (4000) accommodated in the vessel 1000 and having a stirring blade for stirring food, and a rotary shaft 410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A lid (2000) manufactured to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0);
The outer housing 31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0, the inner housing 3210 embedded in the outer housing 3110, the power source 3240 embedded in the inner housing 3210 and the power source 3240 It includes; a power means 3000 having a power shaft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4100 while rotating;
The power means 3000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3230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 power source 324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power shaft penetrates,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plate 3220,
The rotary shaft 4100 and the power shaft are fasten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ner housing 3210, the outer housing 3110 and the lid 2000,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ula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3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3110).
상기 외부하우징(3110)은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단열 공간 내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1,
The outer housing (3110) is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configured to open the upper surface, the heat in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상기 뚜껑(2000)은 용기(1000) 내부의 증기를 외부하우징(3110)으로부터 멀리 배출하기 위해 주변부에 다수 가공된 배기구(2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1,
The lid (2000) is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vents (2300) processed in the periphery to discharge the steam in the container (1000) away from the outer housing (3110).
상기 동력수단(3000)은
상기 내부하우징(3210)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된 하판(3220),
상기 뚜껑(2000)에서 외부하우징(3110)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뚜껑(2000)과 외부하우징(3110)의 사이에 배치된 제1단열패드(3120)와,
상기 외부하우징(3110)에서 내부하우징(3210)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외부하우징(3110)의 내부 바닥과 하판(3220) 사이에 배치된 제2단열패드(3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판(3220) 또는 제1단열패드(3120) 또는 제2단열패드(3130)을 관통하여 동력축과 회전축(4100)이 체결되어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2,
The power means 3000 is
A lower plate 3220 coupled to close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3210,
A first insulation pad 3120 disposed between the lid 2000 and the outer housing 3110 to block heat transferred from the lid 2000 to the outer housing 3110;
Further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sulating pad 3130 disposed between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housing 3110 and the lower plate 3220 to block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er housing 3110 to the inner housing 3210. and,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in which the power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4100) are fastened through the lower plate (3220) or the first insulating pad (3120) or the second insulating pad (3130).
상기 동력축은 동력원(32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동력축(3250)과, 제1동력축(3250)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체결되고 타단부가 회전축(4100)과 끼움 결합되는 제2동력축(326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4,
The power shaft has a first power shaft 3250 installed to rotate by the power source 3240, and a second power shaf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wer shaft 3250 and the other end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4100. A cooking vessel including an agitating apparatus, comprising (3260).
상기 제2동력축(3260)은 상부에 환형상으로 가공된 걸림돌기(3263), 걸림돌기(3263)를 사이에 두고 장착된 제1베어링(3264)과 제2베어링(3265)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5,
The second power shaft 3260 further includes a first bearing 3264 and a second bearing 3265 mount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3263 and an engaging protrusion 3263 interposed therebetween. Cooking vessels comprising a stirring device.
상기 동력수단(3000)은 회전축(4100)의 열이 동력축에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4100)에 끼움 결합하는 동력축의 하단 일부위에 끼워지는 단열끼움부재(326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열끼움부재(3262)가 회전축(4100)과 동력축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power means 3000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fitting member 3326 fitted over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shaft that is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4100 to prevent the heat of the rotation shaft 410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ower shaft.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stirring device is formed between the insulating fitting member (3262) and the rotating shaft (4100) and the power shaft.
상기 고정부재(3230)는 동력축이 관통하는 관통홀(3231)에 동력축의 흔들림을 잡아주도록 체결링(3233)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1,
The fixing member 3230 is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formed with a fastening ring (3233) is built to hold the shaking of the power shaft in the through hole (3231) through which the power shaft passes.
상기 회전축(4100)은 동력축의 하단 부위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면에 가공된 체결홈(4110), 체결홈(4110)의 내측면에서 삽입 또는 돌출되면서 체결홈(4110)에 끼워진 동력축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체결되도록 장착된 끼움롤러(4120)와, 제2동력축(3260)에 대해 회전축(4100)을 하방으로 밀어 교반날개가 용기(1000)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체결홈(4110)에 내장된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rotary shaft 4100 elastically presses the power shaf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4110 while being inserted or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4110 and the fastening groove 4110 proces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shaft to be fastened. The elasticity built into the fastening groove 4110 so that the stirring blade contact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0 by pushing the rotary roller 4120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fitting roller 4120 and the second power shaft 3260. A cooking vessel comprising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members.
상기 교반수단(4000)은 회전축(4100)의 하단에 중앙부위가 고정되면서 양측부에 용기(1000)의 바닥과 측면이 닿도록 교반날개가 장착되는 제1프레임(4200)과, 제1프레임(4200)에 교차되면서 회전축(4100)의 하단에 중앙부위가 고정되어 용기의 바닥에 닿도록 교반날개가 장착되는 제2프레임(45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10,
The stirring means 4000 is a first frame (4200) and the first frame is equipped with a stirring blade so that the bottom and side of the container (1000) is fixed to both sides while the central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4100) 4200, the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ame (4500) is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shaft (4100)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rotating blade to rea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상기 제1프레임(4200)에 장착되는 교반날개는 제1프레임(4200)에 상향 돌출되도록 장착된 일정 크기의 상부교반날개(4300)와, 제1프레임(4200)에 하향 돌출되도록 장착되면서 측면상 양측부가 바닥과 측면에 닿도록 중앙부위보다 하향 돌출된 형태의 하부교반날개(44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11,
The stirring blade mounted on the first frame 4200 has an upper stir blade 4300 of a predetermined size mounted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first frame 4200, and is mount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irst frame 4200. A cooking vessel including a stirring device having at least one of lower stir blades (440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so that both sides touch the floor and the side surfaces.
상기 제2프레임(4500)은 하부교반날개(4400)의 중앙부위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프레임(4500)에 장착되는 교반날개는 제2프레임(4500)의 길이이면서 제2프레임(4500)에 하향 돌출되어 용기(1000) 바닥에 닿도록 장착된 교차교반날개(4600)인 것으로 하는 교반장치를 포함한 조리용기. In claim 11,
The second frame 4500 has a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tirring blade 4400,
The stirring blade mounted on the second frame 4500 is a cross stirring blade 4600 mounted to rea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0 by protruding downwardly to the second frame 4500 while being the length of the second frame 4500. Cooking vessels, including agita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9018A KR102020609B1 (en) | 2017-10-25 | 2017-10-25 | Cookware having agit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9018A KR102020609B1 (en) | 2017-10-25 | 2017-10-25 | Cookware having agit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7151A KR20190047151A (en) | 2019-05-08 |
KR102020609B1 true KR102020609B1 (en) | 2019-09-16 |
Family
ID=6658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9018A Active KR102020609B1 (en) | 2017-10-25 | 2017-10-25 | Cookware having agit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060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8647B1 (en) | 2020-06-11 | 2021-01-05 | 박정원 | Cooking pan with stirring means |
KR20220066792A (en) | 2020-11-16 | 2022-05-24 | 주식회사 맘쓰랩 | food ingredient stirring device |
KR102521982B1 (en) | 2022-11-15 | 2023-04-18 | 박정원 | Cooking pot with stirring blad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10372B1 (en) * | 2020-05-19 | 2022-06-03 | Seb Sa | food cooking applian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1366Y1 (en) * | 2004-10-15 | 2004-12-29 | 반정민 | Agitating device for making food |
KR101410501B1 (en) * | 2013-05-14 | 2014-07-02 | 김성복 | Agitator for cooking us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3706B1 (en) | 2010-08-23 | 2011-05-09 | 이세영 | Automatic stirring vessel |
KR20150052545A (en) | 2013-11-06 | 2015-05-14 | 이준성 | Electrically heated cookware having stirring function |
-
2017
- 2017-10-25 KR KR1020170139018A patent/KR1020206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1366Y1 (en) * | 2004-10-15 | 2004-12-29 | 반정민 | Agitating device for making food |
KR101410501B1 (en) * | 2013-05-14 | 2014-07-02 | 김성복 | Agitator for cooking usin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8647B1 (en) | 2020-06-11 | 2021-01-05 | 박정원 | Cooking pan with stirring means |
KR20220066792A (en) | 2020-11-16 | 2022-05-24 | 주식회사 맘쓰랩 | food ingredient stirring device |
KR102521982B1 (en) | 2022-11-15 | 2023-04-18 | 박정원 | Cooking pot with stirring blad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7151A (en) | 2019-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0609B1 (en) | Cookware having agitator | |
CN110250937B (en) | Cooking system | |
KR102075069B1 (en) |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 |
US10485060B2 (en) | Food processing apparatus | |
US9609975B2 (en) |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 |
JP5831520B2 (en) | rice cooker | |
US9924825B2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964554B1 (en) | A lid for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 |
US20130334349A1 (en) | Food processing and preparation apparatus | |
CN111050608A (en) | Cooking pot cover with stirring function | |
KR20150052545A (en) | Electrically heated cookware having stirring function | |
RU2506877C2 (en) | Device for food products steam treatment and mixing | |
US7026591B2 (en) |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 |
KR200460018Y1 (en) | Multipurpose cooker | |
CN208286839U (en) | Cooking apparatus | |
US20160338155A1 (en) | Microwave Tray and Accessories | |
CN208286882U (en) | Cooking apparatus | |
CN215993696U (en) | Upper cover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 |
CN107041676B (en) | Heating dish and cooking utensil | |
KR102231538B1 (en) | Automatic cooker | |
KR102249510B1 (en) |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 |
CN209733607U (en) | baking tray assembly and cooking device | |
KR100857176B1 (en) | Cooking container | |
KR20200127852A (en) | Rotary Oven Skewer | |
KR100556614B1 (en) | Microwave 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