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318B1 - 전기 생산과 농축수 및 탈염수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생산과 농축수 및 탈염수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9318B1 KR102019318B1 KR1020170146555A KR20170146555A KR102019318B1 KR 102019318 B1 KR102019318 B1 KR 102019318B1 KR 1020170146555 A KR1020170146555 A KR 1020170146555A KR 20170146555 A KR20170146555 A KR 20170146555A KR 102019318 B1 KR102019318 B1 KR 102019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entration solution
- power generation
- high concentration
- flow path
- anode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22—Electrodialy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8—Alleged electric or magnetic perpetua mobilia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모식도이다.
100: 제1 발전부
101: 제1 애노드 전극
102: 제1 캐소드 전극
102a: 제1 캐소드 전극 제1면 102b: 제1 캐소드 전극 제2면
103: 제1 저항 110: 복수 개의 제1 이온교환막
200: 제2 발전부
201: 제2 애노드 전극
201a: 제2 애노드 전극 제1면 202b: 제2 애노드 전극 제2면
202: 제2 캐소드 전극
203: 제2 저항 210: 복수 개의 제2 이온교환막
300: 분리부 301: 제3 저항
310: 복수 개의 제3 이온교환막
321: 탈염 유로 322: 농축 유로
Claims (15)
- 제1 애노드 전극, 제1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캐소드 전극 및, 제1 애노드 전극과 제1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고농도 용액과 제1 저농도 용액의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제1 발전부;
제1 캐소드 전극과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한 제2 애노드 전극 및 제2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캐소드 전극, 제2 애노드 전극과 제2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고농도 용액과 제2 저농도 용액의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제2 발전부; 및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의 마주보는 대향면들 사이 공간으로 정의되며, 제3 고농도 용액이 유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염 유로 및 농축 유로를 갖는 분리부; 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발전부로 유입된 각각의 저농도 용액과 고농도 용액의 농도차에 의해 제1 애노드 전극 및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 및 제2 캐소드 전극에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여 분리부에 전위가 인가되며,
인가된 전위에 의해, 분리부를 유동하는 제3 고농도 용액 내 이온성 물질은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의 마주보는 대향면들 측으로 이동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분리부는, 탈염 유로 및 농축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3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발전부 및 제2 발전부는, 제1 및 제2 저농도 용액 유로와 제1 및 제2 고농도 용액 유로를 저농도 용액과 고농도 용액이 유동할 때,
저농도 용액과 고농도 용액의 농도차에 의해 제1 및 제2 이온교환막을 통과하며 제1 및 제2 애노드 전극과 제1 및 제2 캐소드 전극에서 전기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에 생산된 전기에 의해, 제3 고농도 용액의 이온성 물질이 각각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 측으로 이동하며 탈염 유로 및 농축 유로에서 탈염 및 농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은 발전부 측과 분리부 측을 향하는 양면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저농도 용액의 유로로 기수 또는 담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농도 용액의 유로로 염수, 해수, 기수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탈염 유로 및 농축 유로로, 염수, 해수, 기수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제3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저농도 용액 유로 또는 제1 및 제2 고농도 용액 유로로, 탈염 유로 및 농축 유로에서 토출되는 토출 용액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유로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발전부를 각각 복수 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캐소드 전극과 제2 애노드 전극은 전기화학적으로 연결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1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캐소드 전극은 제1 저항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1 저항은 크기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2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캐소드 전극은 제2 저항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2 저항은 크기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흡수제가 토출되는 흡수제 유로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및
제 1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가 흡수된 흡수제를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의 제1 및 제2 고농도 용액 유로로 공급하도록, 흡수제 유로와 제1 및 제2 고농도 용액 유로는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제 1항에 따른 제1 및 제2 발전부의 제1 및 제2 고농도 용액 유로와 제1 및 제2 저농도 용액 유로로 고농도 용액과 저농도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및
제 1항에 따른 분리부의 탈염 유로 및 농축 유로로 고농도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6555A KR102019318B1 (ko) | 2017-11-06 | 2017-11-06 | 전기 생산과 농축수 및 탈염수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PCT/KR2018/013309 WO2019088782A1 (ko) | 2017-11-06 | 2018-11-05 | 전기 생산과 탈염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및 방법 |
EP18873377.8A EP3708544B1 (en) | 2017-11-06 | 2018-11-05 | Hybrid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electricity production and deionization simultaneous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6555A KR102019318B1 (ko) | 2017-11-06 | 2017-11-06 | 전기 생산과 농축수 및 탈염수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185A KR20190051185A (ko) | 2019-05-15 |
KR102019318B1 true KR102019318B1 (ko) | 2019-09-09 |
Family
ID=6657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6555A Active KR102019318B1 (ko) | 2017-11-06 | 2017-11-06 | 전기 생산과 농축수 및 탈염수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931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6979A (ko) * | 2022-07-07 | 2024-01-1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염분차 발전 기반 그린 에너지 생산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186B1 (ko) * | 2020-02-11 | 2021-11-1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공급 용액의 재순환이 가능한 염도차 발전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3978A (ja) * | 2002-08-15 | 2004-03-11 | Meidensha Corp | 二酸化炭素固定方法及びその装置 |
JP2014168758A (ja) * | 2013-03-05 | 2014-09-18 | Kuraray Co Ltd | 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有する通液型コンデンサ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9573A (ko) * | 2009-08-20 | 2011-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
KR101743565B1 (ko) * | 2015-03-24 | 2017-06-1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를 이용한 영구 발전 방법 |
KR20170052739A (ko) * | 2015-11-03 | 2017-05-1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생물전기화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전처리 장치 |
-
2017
- 2017-11-06 KR KR1020170146555A patent/KR10201931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3978A (ja) * | 2002-08-15 | 2004-03-11 | Meidensha Corp | 二酸化炭素固定方法及びその装置 |
JP2014168758A (ja) * | 2013-03-05 | 2014-09-18 | Kuraray Co Ltd | 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有する通液型コンデンサ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Y.A.C. Jande et al. "Integrating reverse electrodialysis with constant current operating capacitive deio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146, pp. 463-469 (2014.08.20) 1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6979A (ko) * | 2022-07-07 | 2024-01-1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염분차 발전 기반 그린 에너지 생산 시스템 |
KR102773762B1 (ko) | 2022-07-07 | 2025-02-2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염분차 발전 기반 그린 에너지 생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185A (ko) | 201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6503B1 (ko) | 탈염발전 하이브리드 장치 및 방법 | |
JP6078074B2 (ja) | 脱塩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07624106A (zh) | 通过电容去离子进行连续的水脱盐和离子分离的方法及其单模块流动电极装置 | |
EP3708544B1 (en) | Hybrid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electricity production and deionization simultaneously | |
US20160023925A1 (en) | Polarized electrodialysis | |
CN107398181B (zh) | 一种用于煤化工浓盐水分质浓缩的电渗析装置 | |
EP300078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a fluid | |
US20170326499A1 (en) | Hybrid FO-EED System for High Salinity Water Treatment | |
KR102019317B1 (ko) | 전기 생산과 탈염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및 방법 | |
KR102019318B1 (ko) | 전기 생산과 농축수 및 탈염수 생산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 |
CN106430463B (zh) | 一种带有中间极板的电渗析水处理装置及方法 | |
KR101787181B1 (ko) | 담수화 시스템 및 방법 | |
US9878927B2 (en) | Apparatus for purifying a fluid and method for purifying a fluid, in particular by means of the aforesaid apparatus | |
WO2013036354A1 (en) |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 |
US9932253B2 (en) | Apparatus for purifying a fluid and method for purifying a fluid, in particular by means of the aforesaid apparatus | |
EP2825509B1 (en) | Desalination method | |
CN106673144B (zh) | 一种具有低脱盐率和高有机物截留率的电纳滤装置 | |
EP256925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posal of brine solution | |
AU202242105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 ocean alkalinity enhancement | |
Chattopadhyay et al. | Electromembrane Processes in Water Purification and Energy Generation | |
Ahmadpari et al. | Investigation of Electrodialysis Technology for Water Desalination | |
KR20150062360A (ko) | 고효율 오존 발생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