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20B1 -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 Google Patents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9120B1 KR102019120B1 KR1020120143284A KR20120143284A KR102019120B1 KR 102019120 B1 KR102019120 B1 KR 102019120B1 KR 1020120143284 A KR1020120143284 A KR 1020120143284A KR 20120143284 A KR20120143284 A KR 20120143284A KR 102019120 B1 KR102019120 B1 KR 102019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support member
- housing
- pair
- button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프레임, 상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부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내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길다란 형상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 inner fram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 button part configured to be movabl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pressed, and both ends of the housing or the inner frame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so that the button por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is released, the support member is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between both ends in a direction and having an end contacting any on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frame includes a button assembly including a button portion having a long shape that can be stably operated. A mobile terminal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길다란 형상의 버튼부를 포함하는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assembly including a button portion having a long shape that can be stably operated,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erminal can move It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terminal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such a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시작, 종료, 화면 전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면에 홈 버튼(home button)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 홈 버튼을 누르면 홈 버튼이 이동 단말기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홈 버튼의 이동에 의해 홈 버튼과 접하는 스위치가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홈 버튼은 전술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에 따라 홈 버튼의 형상이 여러 가지로 달라질 수 있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home button on its front surfac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tart, end, and screen switch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home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home button moves to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witch in contact with the home button is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home button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he home button not only performs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but also affects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by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home butt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홈 버튼을 길다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홈 버튼의 길이방향 끝단이 스위치로부터 멀리 위치함에 따라 길이방향 끝단이 가압되면 스위치가 가압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홈 버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위치를 장착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홈 버튼을 가압 시 복수의 스위치가 개별적으로 가압되어 이중 클릭 또는 이음(異音)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home button has a long shape, when the longitudinal end is pressed as the longitudinal end of the home button is located far from the switch, the switch is frequently not pres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switches may be moun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me button, but even in this case, when the home button is pressed, the plurality of switches are individually pressed to generate a double click or a sound. have.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버튼부의 길이방향 끝단이 가압될 때에도 스위치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의 평행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a button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arallelism of the button portion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so as to reliably press the switch even wh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button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프레임, 상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부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내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an inner fram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 button portion and a length configured to be movabl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pressed. Both ends of the direction is fixed to the housing or the inner frame,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so that the button por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is released. A mobile terminal protrudes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includes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whose ends contact on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fram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에 있어서, 가압된 경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버튼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과 접하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고, 단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서포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 서포트 사이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버튼 조립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tton assembly installed in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the button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when pressed, and the button un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button unit is released. And a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wherein the support member extends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so that one surface thereof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nel, the base panel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A button assembly including a pair of fixed supports at which the end is fixed to the housing, and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jecting between the pair of fixed support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end being in contact with the housing.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button assembly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지지부재가 버튼부의 저면을 지지할 때,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부재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버튼부의 길이방향 끝단부가 가압될 때에도 지지돌기가 지지부재의 양쪽에서 지지부재와 타 부재(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버튼부의 길이방향 끝단이 가압될 때 가압된 끝단만 내측으로 기울어져 버튼부의 중심에 구비된 스위치가 가압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버튼부가 가압될 때 지지돌기의 단부가 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됨으로써 버튼부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버튼부의 클릭감이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bottom of the button portion,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pport member can effectively support the support member. That is, even when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is pressed, the support protrusion can effectively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member (housing or inner fram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As a result, wh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button part is pressed, only the pressed end is inclined inward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witch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utton part is not pressed. In addition, when the button portion is pressed,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may slide on the housing or the inner frame to allow the button portion to move inside the housing, and as a result, a feeling of click of the button portion may be maintain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리어 케이스와 후면 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 글래스, 버튼부 및 지지부재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지부재가 포함된 이동 단말기를 도 1의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지지부재가 포함된 이동 단말기를 도 1의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지지부재가 포함된 이동 단말기를 도 1의 A-A' 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버튼부가 가압 될 때 지지돌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case and a rear cov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ndow glass, a button part, and a support memb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support protrusion when the butt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is press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has a terminal body in the form of a b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바디는 외관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은 이동 단말기 바디의 측면 및 후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와 이동 단말기 바디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윈도우 글래스(101')를 포함한다. 윈도우 글래스(101')는 케이스(101, 102)의 전면에 삽입되며, 윈도우 글래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51', 도 4 참조)에서 출력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윈도우 글래스(101')는 이동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터치패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is made of a housing. The housing includes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이 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을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케이스(101, 102) 및 후면커버(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U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제1 내지 제3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Content input by the first to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이 버튼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각각 가압된 경우 이동 단말기 바디의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버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이동 단말기 바디의 전면 하단부에 구비되는 버튼부는 '홈 버튼'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의 바디를 구성하고, 상기와 같은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커버(10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by removing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이동 단말기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As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is diversified,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the USIM
도 3에는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IM
상기 후면커버(103)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버튼 조립체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a button assembly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 바디에 구비된 조작 유닛(131, 132, 133) 중 전면의 하단에 구비된 제1 조작 유닛(131)이 버튼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버튼방식으로 이루어진 제1 조작 유닛(131)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버튼부(131)'를 대표할 수 있다. 그러나 버튼부(131)가 제1 조작 유닛(13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또는 제3 조작 유닛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윈도우 글래스, 버튼부(131) 및 지지부재(200)가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지지부재(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0)에 포함된 지지돌기(210)의 모습이 나타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indow glass,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101, 101', 102), 내부 프레임(미도시), 버튼부(131) 및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이 때, 지지부재(200)는 상기 지지부재(200)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2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이동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케이스(101, 102)와 윈도우 글래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 102)는 다시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글래스(101')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101)의 하부에 리브(1011)가 형성되어 윈도우 글래스(101') 하단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forms the exterior of the mobile terminal body and may include
내부 프레임(미도시)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다. 일 예로, 내부 프레임은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하부에 프론트 케이스(101)의 리브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위치에 프론트 케이스(101)의 리브(1011) 대신 내부 프레임의 일부가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윈도우 글래스(101') 하단의 후면에는 내부 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An inner frame (not shown)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For example, the inner frame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1)는 상면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가압된 경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버튼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구성하는 윈도우 글래스(101')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튼부(131)는 프론트 케이스(101) 또는 리어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단부가 횡방향 단부보다 긴 길다란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종방향 단부와 평행하게 버튼부(131)의 길이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지지부재(200)는 버튼부(131)의 가압이 해제될 때 버튼부(13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면이 버튼부(131)의 저면을 탄성 지지한다. 즉, 지지부재(20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버튼부(131)의 저면을 지지하고, 버튼부(131)가 가압되어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버튼부(131)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버튼부(131)의 가압이 해제되면, 변형되었던 지지부재(200)가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가면서 버튼부(1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 때,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종방향 단부가 횡방향 단부보다 긴 길다란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은 상기 종방향 단부와 평행하게 결정될 수 있다. 길이방향 양 단부가 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에 고정됨에 따라, 버튼부(131)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 부분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양 단부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200)에 의해 지지되는 버튼부(131)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upporting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의 리브(1011)에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버튼부(131)의 후면에 프론트 케이스의 리브(1011) 대신 내부 프레임의 일부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내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스위치부(300) 및 액츄에이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300)는 지지부재(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가압된 경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액츄에이터(400)는 지지부재(20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버튼부(131)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시 스위치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 버튼부(131)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지지부재(200)가 변형됨으로써 지지부재(200)로부터 돌출된 액츄에이터(400)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스위치부(300)를 가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부(300)와 액츄에이터(400)는 각각 버튼부(131)의 중심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베이스 패널(220)과 한 쌍의 고정 서포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베이스 패널(220)은 버튼부(131)의 저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단부가 횡방향 단부보다 긴 길다란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베이스 패널(220)의 일면은 버튼부(131)의 저면과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패널(220)의 길이는 버튼부(131)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1)가 베이스 패널(220)의 중심에 위치하면 베이스 패널(220) 중 버튼부(131)의 횡방향 단부의 바깥쪽에 여유 부분(2201)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한 쌍의 고정 서포트(230)는 각각 베이스 패널(22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패널(220)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고정 서포트(230)는 버튼부(13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서포트(230)의 단부는 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The pair of fixing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서포트(230)가 베이스 패널(22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베이스 패널(22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패널(220)은 버튼부(131)를 지지하며, 버튼부(131)가 가압될 때 베이스 패널(220)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버튼부(131)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버튼부(131)의 가압이 해제되면 재질의 탄성에 의해 패널(220)의 형상이 회복되면서 버튼부(131)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a pair of fixing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210)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210)는 지지부재(20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즉, 지지돌기(210)는 버튼부(13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가 베이스 패널(220)과 한 쌍의 고정 서포트(230)를 포함하는 경우, 지지돌기(210)는 베이스 패널(220)로부터 고정 서포트(2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0)가 지지부재(2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210)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400)가 형성될 수 있다.5 and 6, a pair of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210)는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에서 돌출된다. 이 때, 한 쌍의 지지돌기(210)는 각각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 가까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돌기(210)는 각 고정 서포트(230)의 바로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가 버튼부(131)의 길이보다 큰 경우, 한 쌍의 지지돌기(210)는 각각 베이스 패널(220) 중 버튼부(131)의 횡방향 단부보다 외측에 형성된 부분, 즉 여유 부분(2201)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210)의 단부는 각각 하우징 및 내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에 리브(1011)가 형성된 경우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210)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접할 수 있다. 만약 버튼부(131)의 후면에 프론트 케이스의 리브(1011) 대신 내부 프레임의 일부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지지돌기(210)는 내부 프레임에 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ends of the pair of
지지돌기(210)의 단부가 접하는 부재는 지지부재(200)가 고정되는 부재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00)의 고정 서포트(230)가 프론트 케이스의 리브(1011)에 고정될 때, 지지돌기(210) 또한 프론트 케이스의 리브(1011)와 접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200)의 고정 서포트(230)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고정되지만, 지지돌기(210)는 내부 프레임과 접할 수도 있다.The member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이 때, 한 쌍의 지지돌기(210)의 단부는 버튼부(131)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시 각각 외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도 9 참조). 즉, 버튼부(131)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 부분이 가압되면,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가까이에 형성된 지지돌기(210)의 단부가 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의 표면 위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하우징 또는 바깥으로 벌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ds of the pair of
한 쌍의 지지돌기(210)가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지지부재(200)의 베이스 패널(220)이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돌기(210)가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베이스 패널(220)의 평형을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버튼부(131)가 가압될 때 버튼부(131)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As the pair of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부재(200)에 지지돌기(210)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버튼부(131)의 일측 끝단이 가압될 때, 상기 끝단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0)의 끝단 부분만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s the
지지부재(200)의 끝단 부분만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버튼부(131)의 끝부분이 가압될 때에도 지지부재(200)의 베이스 패널(220)이 평형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버튼부(131)의 끝부분에 가압될 때 버튼부(131) 및 지지부재(200)가 기울어져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액츄에이터(400)가 효과적으로 이동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튼부(131)의 끝부분이 가압될 때에도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액츄에이터(400)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버튼부(131)의 중심선상에 배치된 스위치부(300)가 안정적으로 클릭될 수 있다.As the phenomenon in which only the end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돌기(210)의 단부는 각각 버튼부(131)의 길이방향 양 단부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지지돌기(210)와 하우징 또는 내부 프레임의 접점(b)은 버튼부(131)의 횡방향 단부(a)보다 바깥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6, the ends of the pair of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돌기(210)의 단부가 각각 버튼부(131)의 횡방향 단부보다 바깥에 위치하면, 버튼부(131)가 가압될 때 지지돌기(210)의 단부가 더 효과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 결과, 버튼부(131)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한 쌍의 지지돌기(210)가 더 효과적으로 바깥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버튼의 클릭감이 향상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nds of the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여러 가지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버튼 조립체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a button assembly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0)에 포함된 지지돌기(210)의 모습이 나타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0)에 포함된 지지돌기(210)의 모습이 나타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버튼부(131)가 가압될 때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0)가 동작 모습이 나타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210) 각각의 단부의 내측 모서리에는 챔퍼(chamfer)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가까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210)의 내측 모서리 에지(edge)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chamfer may be formed at the inner edges of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210) 각각의 단부의 내측면은 경사면(2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 지지돌기(210) 단부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챔퍼부(2101)가 확장되어 지지부재(200)의 베이스 패널(220)의 저면에서 시작되어 지지돌기(210)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경사면(21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01')은 지지부재(200)의 베이스 패널(220)의 저면에서 시작되어 지지돌기(210)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베이스 패널(220)의 저면에 가까워질수록 지지부재(2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inner side surface of each end of the pair of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돌기(210)의 내측 모서리에 도 7의 챔퍼부(2101) 또는 도 8의 경사면(2101')이 형성된 경우, 버튼부(131)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시 각 지지돌기(210)의 단부가 더 용이하게 외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9에는 각 지지돌기(210)의 내측면에 경사면(2101')이 형성된 경우의 동작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10)의 단부의 내측에 챔퍼부(2101) 또는 경사면(2101')이 형성된 경우, 버튼부(131)가 가압될 때 지지돌기(210)가 상기 챔퍼부(2101) 또는 경사면(2101')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버튼부(131)가 가압되어 지지돌기(210)가 살짝 벌어지면, 챔퍼부(2101) 또는 경사면(2101')이 하우징 및 내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접하면서 한 쌍의 지지돌기(210)가 더 효과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지돌기(210)는 버튼부(131)가 가압될 때 버튼부(131)의 이동을 더 효과적으로 허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버튼부(131)의 클릭감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버튼 조립체는 가압된 경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버튼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assembly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when pressed and the button unit to return the button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is released I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이 때, 상기 지지부재는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과 접하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서포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 서포트 사이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뿐만 아니라, 케이스 내부에서 부품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각종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is a pair of the base panel which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extends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nel, the position of the end is fixed to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jecting between the fixed support and the pair of fixed suppor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end contacting the housing. The housing may include not only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but also various frames for supporting components and the like in the cas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1': 윈도우 글래스 131: 버튼부
200: 지지부재 210: 지지돌기
220: 베이스 패널 230: 고정 서포트
300: 스위치부 400: 액츄에이터101: front case 102: rear case
101 ': window glass 131: button section
200: support member 210: support protrusion
220: base panel 230: fixed support
300: switch unit 400: actuator
Claims (8)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프레임;
상면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부; 및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내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 사이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의 단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시 각각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 단말기. A housing forming an appearance;
An inner fram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 button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inside of the housing when an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pressed;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housing or the inner frame, one side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so that the button por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is released,
The support member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betwee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upport member, the end includes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frame,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is slid outwards when the button portion moves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의 단부는 각각 상기 버튼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is formed at an outer side than both ends of the butt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각각의 단부의 내측 모서리에는 챔퍼(chamfer)부가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A mobile terminal is formed with a chamfer (chamfer) in the inner edge of each end of the pair of support projections.
상기 지지부재는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과 접하는 베이스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 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 서포트 사이에서 돌출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A base panel having one surfac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unit; and
A pair of fixing support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se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nel;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e between the pair of fixing support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nel.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는 상기 버튼부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는 각각 상기 베이스 패널 중 상기 버튼부의 길이방향 양단보다 외측에 형성된 부분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5,
The length of the base panel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button portion,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respectively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base panel formed on the outer side tha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button portion.
상기 버튼부의 중심선상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가압된 경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시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A switch unit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member on the center line of the button uni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when pressed;
And a actuator form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pressurizing the switch unit when the button unit moves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가압된 경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버튼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버튼부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면이 상기 버튼부의 저면과 접하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의 위치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서포트; 및
상기 지지부재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 서포트 사이에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의 단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시 각각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버튼 조립체.A button assembly installed in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A button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when pressed; And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to return the button por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is released,
The support member
A base panel of which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unit;
A pair of fixing supports extend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nel, and th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housing; And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jecting between the pair of fixed support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n end contacting the housing,
End portions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the button assembly is slid outwards when the button portion moves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3284A KR102019120B1 (en) | 2012-12-11 | 2012-12-11 |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3284A KR102019120B1 (en) | 2012-12-11 | 2012-12-11 |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5184A KR20140075184A (en) | 2014-06-19 |
KR102019120B1 true KR102019120B1 (en) | 2019-09-06 |
Family
ID=5112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3284A Ceased KR102019120B1 (en) | 2012-12-11 | 2012-12-11 |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91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65397A1 (en) * | 2015-10-16 | 2017-04-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KR102573190B1 (en) | 2015-10-16 | 2023-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912815B1 (en) * | 2015-12-14 | 2019-01-14 | (주)블루버드 |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KR101661582B1 (en) * | 2016-06-17 | 2016-10-10 | (주)두씽 | Iot relay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84866A (en) * | 1999-09-10 | 2001-03-30 | Smk Corp | Push switch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5672A (en) * | 2009-09-30 | 2011-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2012
- 2012-12-11 KR KR1020120143284A patent/KR102019120B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84866A (en) * | 1999-09-10 | 2001-03-30 | Smk Corp | Push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5184A (en) | 2014-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9795B1 (en) |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rin | |
US8880129B2 (en) | Mobile terminal | |
US7936278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 |
KR101427264B1 (en) | Portable terminal | |
US8974246B2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120661A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it | |
TWI540875B (en) | Mobile terminal | |
KR102019120B1 (en) |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 |
CN211349017U (en) | Wearable device | |
US9137906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97707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76464B1 (en) |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molding a battery equipped therein | |
KR10127154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009781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8457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18989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1977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8070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8131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0491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50387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045818A (en) | Mobile terminal | |
KR20140036699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1362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2018374B1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2102 | Extinguishment |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