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984B1 -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8984B1 KR102018984B1 KR1020180055407A KR20180055407A KR102018984B1 KR 102018984 B1 KR102018984 B1 KR 102018984B1 KR 1020180055407 A KR1020180055407 A KR 1020180055407A KR 20180055407 A KR20180055407 A KR 20180055407A KR 102018984 B1 KR102018984 B1 KR 102018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
- pixels
- pixel array
- opas
- ar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2—Geometry or disposition of elements in pixels, e.g. address-lines or gate electrodes
- H10F39/8023—Disposition of the elements in pixels, e.g. smaller elements in the centre of the imager compared to larger elements at the periph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04N5/225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3—SSIS architectures incorporating pixels for producing signals other than image signals
- H04N25/705—Pixels for depth measurement, e.g. RGBZ
-
- H04N5/335—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5—Coatings
- H10F39/8057—Optical shielding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6—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image sens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6—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image sensors
- H10F39/8063—Micro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81—Depth or disparity estimation from stereoscopic image sig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13—Electronic components shared by multiple pixels, e.g. one amplifier shared by two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에서의 깊이 산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제약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에 포함되는 픽셀 어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OPA가 적용된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와 등가의 렌즈 애퍼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에 포함되는 픽셀 어레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 도시된 OPA가 적용된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들과 등가의 렌즈 애퍼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에 포함되는 픽셀 어레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OPA가 적용된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들과 등가의 렌즈 애퍼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8)
- 단일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픽셀 어레이-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 어레이는 2차원 배열의 복수의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의 상부에 공유되도록 배치되는 단일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함-로 구성되는 이미지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 각각의 상부에는 OPA(Offset Pixel Aperture)가 형성된 차광막이 배치되며,
상기 OPA들은,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차광막들 상에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은,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 어레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은,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 어레이에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 각각의 높이와 관련된 오프셋 f 넘버는,
상기 단일 렌즈의 f 넘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은,
상기 복수의 픽셀들 중 최대 광 투과(Maximum light transmission) 특성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은,
W(White) 광 신호를 처리하는 W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PA들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 각각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난 중심 위치를 갖는, 카메라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PA들이 형성된 차광막이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을 통해 획득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 사이의 시차(Disparity)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깊이를 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 단일 렌즈; 및
복수의 픽셀 어레이들-상기 복수의 픽셀 어레이들 각각은 2차원 배열의 복수의 픽셀들 및 상기 복수의 픽셀들의 상부에 공유되도록 배치되는 단일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함-로 구성되는 이미지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 어레이들 중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복수의 픽셀 어레이들 중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각각의 상부에는 OPA(Offset Pixel Aperture)가 형성된 차광막이 배치되며,
상기 OPA들은,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차광막들 상에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은,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제1 픽셀 어레이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은,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 상 상기 제1 픽셀 어레이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은,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 상 상기 제1 픽셀 어레이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은,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상기 제1 픽셀 어레이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OP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와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각각의 높이와 관련된 오프셋 f 넘버는,
상기 단일 렌즈의 f 넘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은,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들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픽셀들 중 최대 광 투과(Maximum light transmission) 특성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은,
W(White) 광 신호를 처리하는 W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OPA들은,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각각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난 중심 위치를 갖는, 카메라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픽셀을 통해 획득된 두 개의 이미지들 사이의 시차(Disparity)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깊이를 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5407A KR102018984B1 (ko) | 2018-05-15 | 2018-05-15 |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
US16/412,092 US10893255B2 (en) | 2018-05-15 | 2019-05-14 | Camera system for increasing baseline |
CN201910406147.3A CN110493586B (zh) | 2018-05-15 | 2019-05-15 | 用于增加基线的摄像头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5407A KR102018984B1 (ko) | 2018-05-15 | 2018-05-15 |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8984B1 true KR102018984B1 (ko) | 2019-09-05 |
Family
ID=6794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540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8984B1 (ko) | 2018-05-15 | 2018-05-15 |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893255B2 (ko) |
KR (1) | KR102018984B1 (ko) |
CN (1) | CN110493586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27B1 (ko) * | 2020-02-14 | 2020-08-26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상보적인 픽슬렛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 |
KR102309976B1 (ko) * | 2020-08-03 | 2021-10-08 | 주식회사 덱셀리온 | 하나의 장면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28B1 (ko) * | 2020-03-06 | 2020-08-26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상보적인 픽슬렛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92147B2 (ja) * | 1998-08-20 | 2004-11-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 |
JP2010020015A (ja) * | 2008-07-09 | 2010-01-28 | Canon Inc | 撮像装置 |
US8610815B2 (en) * | 2009-01-12 | 2013-12-17 | Aptina Imaging Corporation | Imaging device having microlens array adhered to wafer-level lens |
JP5515396B2 (ja) * | 2009-05-08 | 2014-06-11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5967950B2 (ja) * | 2011-04-20 | 2016-08-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
JP5956782B2 (ja) * | 2011-05-26 | 2016-07-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
EP2762941B1 (en) * | 2011-09-30 | 2016-12-28 | Fujifilm Corporation | Imaging device and focus parameter value calculation method |
JP5917207B2 (ja) * | 2012-03-14 | 2016-05-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焦点調節装置 |
JP6066593B2 (ja) * | 2012-06-13 | 2017-01-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駆動方法 |
KR20160010986A (ko) * | 2014-07-21 | 2016-01-29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 |
JP6369233B2 (ja) * | 2014-09-01 | 2018-08-08 | ソニー株式会社 |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並びに電子機器 |
JP2016058451A (ja) * | 2014-09-05 | 2016-04-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センサおよびカメラ |
DE102016208210A1 (de) * | 2016-05-12 | 2017-11-16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3d-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en, 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ausgangssignals einer 3d-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gesamtgesichtsfeldes |
KR102398667B1 (ko) * | 2017-06-05 | 2022-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상 검출 픽셀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
-
2018
- 2018-05-15 KR KR1020180055407A patent/KR10201898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9
- 2019-05-14 US US16/412,092 patent/US1089325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9-05-15 CN CN201910406147.3A patent/CN110493586B/zh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27B1 (ko) * | 2020-02-14 | 2020-08-26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상보적인 픽슬렛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 |
KR102309976B1 (ko) * | 2020-08-03 | 2021-10-08 | 주식회사 덱셀리온 | 하나의 장면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893255B2 (en) | 2021-01-12 |
US20190356901A1 (en) | 2019-11-21 |
CN110493586A (zh) | 2019-11-22 |
CN110493586B (zh) | 2021-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5012B1 (ko) | 멀티 픽셀 마이크로 렌즈 픽셀 어레이와 컬러 믹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15502B1 (ko) |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라이트 필드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
KR102018984B1 (ko) |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 | |
US10771771B2 (en) | Method of determining calibration parameter for three-dimensional (3D) display device and 3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 |
EP3139602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KR20160021968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20170017586A (ko)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라미터 추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61042A (ko) | 부화소를 렌더링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US934907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matching between multiview cameras | |
US10845593B2 (en) |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images | |
US1027095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dapted slice image from a focal stack | |
US875060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3D) zoom image of stereo camera | |
US20150092030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
KR102060880B1 (ko) | 단안 카메라를 이용한 내시현미경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60014260A (ko) | 영상 렌더링 장치 및 방법 | |
KR102465492B1 (ko) | 수평적 시차와 수직적 시차를 획득하기 위한 opa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 |
US1173353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 |
Lin et al. | Real-time low-cost omni-directional stereo vision via bi-polar spherical cameras | |
KR20170031384A (ko) | 광학 레이어,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 |
US20210065404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KR102309976B1 (ko) | 하나의 장면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055410B1 (ko) | 비정형적 직사각형 레이-스페이스 360 구조 | |
KR102382206B1 (ko) | Opa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30009031A (ko) | Ocl 기반의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20016575A (ko) | 베이스라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opa 구조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