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373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8373B1 KR102018373B1 KR1020130006784A KR20130006784A KR102018373B1 KR 102018373 B1 KR102018373 B1 KR 102018373B1 KR 1020130006784 A KR1020130006784 A KR 1020130006784A KR 20130006784 A KR20130006784 A KR 20130006784A KR 102018373 B1 KR102018373 B1 KR 102018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mobile terminal
- access point
- signal strength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HRUYBRGMRSNLNW-UHFFFAOYSA-N 6-methoxy-2-[(4-methylphenyl)methylsulfanyl]-1h-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N1C2=CC(OC)=CC=C2N=C1SCC1=CC=C(C)C=C1 HRUYBRGMRSNL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100033616 Phospholipid-transporting ATPase ABCA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710205202 Phospholipid-transporting ATPase ABCA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_ID)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와이 파이(Wi-Fi)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온(On)으로 설정하고 와이 파이를 검색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cell ID (Cell_ID) and a signal strength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sets a Wi-Fi search if the received cell ID and signal strength satisfy a preset condition. Can be set to On automatically and Wi-Fi can be searc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셀을 이동함에 따라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오프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for changing a Wi-Fi search setting on and off as the cell moves.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며,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는 용량이 한계가 있다.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slim)에 따라 배터리 역시 소형화, 슬림화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소모 전력을 줄이는 방법이 중요한 연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uses a battery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has a limited capacity. With the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mobile terminals, batteries are also miniaturizing and slimming, so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mobile terminal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research issue.
스마트폰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휴대폰을 결합시킨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 기능, 전자수첩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등과 같은 PDA의 기본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일반 무선 전화 기능과 같은 휴대폰 기능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Smartphones combi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with mobile phones, which perform not only the basic functions of PDAs such as portable computer functions, electronic organizers, and Internet search functions, but also mobile phone functions such as general wireless telephone functions.
스마트폰과 같이 WiFi 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는 기본적인 통화 기능을 하는 모듈 이외에도 무선통신 기능을 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이동통신은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이동 중에도 계속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무선통신 기능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A terminal having a WiFi func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includes a module that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to a module that performs a basic call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is a periodic signal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so that you can continue to receive services while on the mov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usually turned on and off manually by the user.
그러나, 사용자가 무선통신 기능을 직접 제어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접속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무선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cannot access the access point (AP), which consumes power unnecessarily since it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access point. Many times.
본 발명은 셀 아이디(Cell_ID)와 수신된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와이 파이(Wi-Fi)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로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changing the Wi-Fi search setting to On or Off using a cell ID (Cell_ID)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ill be.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_ID)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와이 파이(Wi-Fi)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온(On)으로 설정하고 와이 파이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receives a cell ID (Cell_ID) and a signal strength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ceived cell ID and signal strength are preset.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Wi-Fi search setting may be automatically set to On,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arch for Wi-Fi.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수신된 셀 아이디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포함하는 셀의 셀 아이디이고,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reset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received cell ID is a cell ID of a cell including a registered access point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included in a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검색된 와이 파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자동으로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register at least one access poin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Wi-Fi connection fou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s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검색된 와이 파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gister the selected access point as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among at least one access point capable of connecting to a Wi-Fi connection fou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어부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의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register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제어부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되면,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를 검색하고,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신호 세기 범위를 결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is registered,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a cell ID of a cell including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and determine and store a signal strength range using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이동 단말기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 및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storing a cell ID of a cell in which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is included, and a signal strength range of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와이 파이로 연결된 경우, 와이 파이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디스플레이 모듈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무관하게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dule, and when the Wi-Fi connection is disconnected when the Wi-Fi connection is disconnected when the Wi-Fi connection is disconnected when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You may not perform a pie search.
제어부는 수신된 셀 아이디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셀의 셀 아이디가 아닌 경우,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If the received cell ID is not the cell ID of the cell including the registered access point, or if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not included in the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Wi-Fi search setting ( Off) can be set automatically.
제어부는 셀 아이디가 변경된 경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changed cell ID and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ell ID is changed.
제어부는 셀 아이디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만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cell ID is not changed, the controller may periodically receive only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_ID)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조전을 만족하면 와이 파이(Wi-Fi)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온(On)으로 설정하고 와이 파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 is a step of receiving a cell ID (Cell_ID) and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the condition that the cell ID and the signal strength is set in advan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satisfied, and automatically setting the Wi-Fi search setting to On and searching for Wi-Fi when the preset precondition is satisfied.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된 셀 아이디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포함하는 셀의 셀 아이디이고,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received cell ID and the signal strength satisfy a preset condition is a cell ID of a cell including a registered access point, and the signal strength is included in a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Can be determined.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검색된 와이 파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registering at least one access point capable of a Wi-Fi connection search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s the access point befor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cell ID and the signal strength satisfy a preset con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_ID)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는 셀 아이디가 변경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셀 아이디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만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Receiving the cell ID (Cell_ID) and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if the cell ID is changed, receives the changed cell ID and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if the cell ID is not changed, only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Can b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셀에 진입하고,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으로 변경함으로써,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셀 중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영역 내에서만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enters a cell including a registered access point of interest and changes the Wi-Fi search setting to ON only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alls within a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Battery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performing a Wi-Fi search only within an area included in a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among cells including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력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gistering an access point of intere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saving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ransparent LCD.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a mobil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mechanical force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touch sensors.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s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도 2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Referring to FIG. 2,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s and frequency assignments may be referred to as a CDMA channel.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The base stations 27 may also be referred to a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 In some examples, the term "base station" may be used to collectively refer to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도 2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2 illustrates variou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Dur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_ID)와 신호 세기를 수신한다(S110).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함에 따라 새로운 셀에 진입한 경우, 홈 위치 등록기(HLR)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등록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새로 진입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The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와이 파이(Wi-Fi)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온(On)으로 설정하고(S130), 접속가능한 와이 파이를 검색할 수 있다(S150). 반면,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오프(Off)로 설정하고(S140) 접속가능한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다(S150).The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수신된 셀 아이디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셀의 셀 아이디이고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Here, the preset condition means a case where the received cell ID is a cell ID of a cell including a registered access point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included in a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와이 파이 모듈이 온(On)된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환경 설정에서 와이 파이가 활성화(WiFi On)된 상태를 전제로 하며, 상기의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와이 파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현재 접속가능한 와이 파이를 검색(search)할 수 있도록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활성화한 상태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와이 파이가 활성화(WiFi On)된 경우 주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와이 파이를 검색하게 되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가 없는 셀을 지나는 경우 와이 파이 검색을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소모가 많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와이 파이 검색을 위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온(On)된 상태에서만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 중인 셀 내에 접속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전히 불필요한 와이 파이 검색을 위해 배터리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In general, when the Wi-Fi is activated, th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S120)여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오프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S130, S140), 기존의 이동 단말기(100)에 비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 또는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gistering or releasing an access point of intere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4A and 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gistering an access point of intere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검색된 와이 파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자동으로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고, 특정 액세스 포인트만을 선택하여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 The
또한, 제어부(180)는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의 관심 액세스 포인트의 등록을 해제함으로써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Also, the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관심 액세스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관심 액세스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gistering interest ac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leasing interest access.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환경 설정에서 일반 모드와 스마트 와이 파이(WiFi) 절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스마트 와이 파이 절전 모드를 선택한 경우, 관심 액세스 포인트(AP)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
여기서, 일반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와이 파이가 활성화(WiFi On)된 경우, 주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스마트 와이 파이 절전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와이 파이가 활성화(WiFi On)된 경우지만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온(On)으로 설정(변경 또는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normal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Wi-Fi search periodically accessible when the Wi-Fi is activated in the
제어부(180)는 스마트 와이파이 절전 모드에서 접속가능한 와이 파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ABC-1 및 ABC-3을 선택하여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한 실시예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A, an embodiment in which ABC-1 and ABC-3 are selected and registered as an access point of interest.
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 ABC-1 및 ABC-3 중 ABC-3이 선택되면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해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ABC-3 of the registered access points ABC-1 and ABC-3 is selected, the
따라서, 제어부(180)는 등록이 해제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ABC-3)을 제외한 ABC-1만을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환경 설정을 스마트 와이 파이 절전 모드로 설정한 경우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when an access point of interest is registered in the
제어부(180)에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등록하고 해제하는 방법은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접속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 또는 선택을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method of registering and releasing an access point of interest by the
이동 단말기(100)에서 접속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선택하면,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 범위가 각 관심 액세스 포인트와 대응되어 저장된다.When at least one access point accessible by the
이때, 신호 세기 범위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산출된 값으로, 수신된 신호 세기에 설정된 값을 플러스/마이너스(+/-)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strength range is a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and may be determined by plus / minus (+/−) a value set i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환경 설정에서 특정 액세스 포인트(271, AP1)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 특정 액세스 포인트(271, AP1)가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되면 등록된 액세스 포인트(AP1)가 포함되는 셀(A 영역)의 셀 아이디(Cell 1)를 자동 검색하여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된 액세스 포인트(AP1)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미도시)를 기준으로 와이 파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범위(B 영역)를 신호 세기 범위로 등록할 수 있다. Also,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AP1)를 통해 수신한 신호 세기가 -80dBm인 경우, 와이 파이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신호 범위를 -100dBm 내지 -75dBm(C 영역)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AP1 of interest is -80 dBm, the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 관심 액세스 포인트(AP1)가 등록된 경우의 실시예이다.Referring to FIG. 6, an access point AP1 of interest is registered i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지국(270)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 1)와 신호 세기(-85dBm)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셀 아이디(Cell 1)가 관심 액세스 포인트(AP1)가 포함된 셀(A 영역)의 셀 아이디(Cell 1)와 일치하지 및 수신된 신호 세기(-85dBm)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100dBm ~ -75dBm)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For example, when the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Cell 1)가 저장된 셀 아이디가 Cell 1과 일치하고 수신된 신호 세기(-85dBm)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100dBm ~ -75dBm)에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변경하고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고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다.When the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the
따라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함에 따라 C 영역에서는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변경하여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as the
또한, 제어부(180)는 C 영역을 벗어난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여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동일한 셀에 포함되는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한 실시예이다.FIG. 7 illustrat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same cell are registered as an access point of interest.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Cell 1에 포함되는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 AP1, AP2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접속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AP1, AP2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한 경우, 각 액세스 포인트 AP1, AP2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를 검색하여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access point AP1 and AP2 are registered as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1, AP2에 각각 접속된 경우에 수신된 신호 세기에 설정된 값을 플러스/마이너스(+/-)하여 각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 범위로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는 다수의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아래 [표 1]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동 단말기(100)가 셀을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Cell 2라는 셀 아이디와 -50dBM 이라는 신호 세기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인 Cell 2를 저장된 셀 아이디와 각각 비교한다. When the
비교 결과, 동일한 셀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 또는 변경하고,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 result of comparison, when the same cell ID does not exist, the
이동 단말기(100)가 다른 셀로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Cell 1라는 셀 아이디와 -60dBm이라는 신호 세기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인 Cell 1과 저장된 셀 아이디를 각각 비교한다. When the
비교 결과, 수신된 셀 아이디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인 AP1, AP2에 대응되는 셀 아이디와 동일하므로,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ince the received cell ID is the same as the cell ID corresponding to AP1 and AP2 of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the
판단 결과,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호 세기인 -60dBm이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접속가능한 영역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변경한다.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이동 단말기(100)가 동일한 셀 내를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 세기가 -65dBm인 경우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므로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유지한다.When the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180)는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한다.If the periodically received signal strength is out of the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the
즉, 이동 단말기(100)가 Cell 1의 C2 영역에 진입한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변경되고, C2 영역을 벗어나면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다. That is, when the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100)가 C1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변경되고, C1 영역을 벗어나면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다.Similarly, when the
즉,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 영역 중에서도, 특정 신호 세기 범위에 해당되는 영역(C1, C2)에서만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이 온(On)으로 설정되므로, 그 외의 영역에서 와이 파이 검색을 위해 소모되는 배터리를 절감할 수 있다.
That is, among the cell areas including the registered access point of interest, the Wi-Fi search setting is set to On only in the areas C1 and C2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ignal strength range, so that the Wi-Fi search may be performed in other areas. Reduced battery consump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웃 셀을 이동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8 and 9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Cell 3, Cell 4에 포함되는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미도시)를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인 Cell 3, Cell 4를 각각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각각 접속된 경우 수신된 신호 세기에 설정된 값을 플러스/마이너스(+/-)하여 각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 범위로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는 다수의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아래 [표 2]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동 단말기(100)가 셀을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Cell 1라는 셀 아이디와 -50dBM 이라는 신호 세기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인 Cell 1를 저장된 셀 아이디와 각각 비교한다. When the
비교 결과, 동일한 셀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하고,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same cell ID does not exist, the
이동 단말기(100)가 다른 셀로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Cell 4라는 셀 아이디와 -30dBm이라는 신호 세기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인 Cell 4와 저장된 셀 아이디를 각각 비교한다. When the
비교 결과, 수신된 셀 아이디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인 AP2에 대응되는 셀 아이디와 동일하므로,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ince the received cell ID is the same as the cell ID corresponding to AP2 of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the
판단 결과,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호 세기인 -30dBm이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접속할 수 없는 영역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인 상태로 유지한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Cell 4를 이동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를 수신하며, -75dBm ~ -50dBm 사이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면(C1 영역),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온(On)으로 변경한다.The
즉,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호 세기가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접속가능한 영역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변경한다. That is, when the
제어부(180)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신호 세기가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2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odically received signal strength is out of the signal strength range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AP2 of interest, th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Cell 5로 이동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 Cell 5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지만,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되는 셀 아이디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한다.When 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Cell 5 에서 Cell 3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 Cell 3과 신호 세기 -50dBm을 수신한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를 저장된 셀 아이디 및 신호 세기 범위와 비교한다. In addition, when the
제어부(180)는 수신된 셀 아이디(Cell 3)가 관심 액세스 포인트 AP1에 대응되는 셀 아이디와 동일하지만, 수신된 신호 세기(-50dBm)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90dBm ~ -60dBm)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한다. The
이동 단말기(100)가 Cell 3에서 계속 이동하는 동안, 제어부(180)는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90dBm ~ -60dBm)에 포함되는 영역(C2)에서는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은 온(On)으로 변경한다.While the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다시 이동하여 새로운 셀(Cell 2)로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 2)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저장된 셀 아이디(Cell 3, Cell 4) 및 신호 세기 범위(-90dBm ~ -60dBm, -75dBm ~ -50dBm)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한다. 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여러 셀을 이동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미리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AP1, AP2)가 포함되는 셀 아이디(Cell 3, Cell 4)와 신호 세기 범위(-90dBm ~ -60dBm, -75dBm ~ -50dBm)에 따라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오프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제어부(180)는 Cell 4의 C1 영역, Cell 3의 C2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만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설정하고(실선), 다른 영역을 통과할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설정할 수 있다(점선). The
제어부(180)는 C1 및 C2 영역 이외의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가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에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Cell 2 내의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이다.Referring to FIG. 9, an access point of interest registered in the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는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 아이디로 Cell 2를 저장하고, 신호 세기 범위를 동심원 내부에서 수신된 신호 범위로 저장할 수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가 와이 파이 모듈을 활성화(WiFi On)한 상태로, Cell 1, Cell 2, 및 Cell 3 순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 중인 경우의 실시예이다. In the case where the
A 지점에서, 제어부(180)는 셀이 변경되어 셀 아이디(Cell 2)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지만, 수신된 셀 아이디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셀 아이디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와이 파이 설정 검색을 오프(Off) 상태로 유지한다. At point A, the
B 지점에서, 제어부(180)는 셀이 변경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가 이동함에 따라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므로, B 지점에서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저정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판단 결과,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온(On)으로 변경하고, 와이 파이를 검색한다. At point B, the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접속가능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 파이에 연결될 수 있고, 와이 파이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C 지점),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와이 파이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무관하게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Wi-Fi is connected, the
종래에는,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온(On)된 경우 와이 파이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오프(Off)된 경우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온(On)/오프(Off)와 무관하게 와이 파이가 연결되면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C 지점을 통과하여 D 지점까지, 제어부(180)에서 수신한 신호 세기는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를 벗어나므로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한다.Since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D 지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새로운 셀로 진입하므로,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 3)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저장된 셀 아이디 및 신호 세기와 비교한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한다.
At point D, since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력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saving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100)가 도 9의 Cell 1을 통과하는 경우 소모 전력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도 9의 Cell 1을 통과하는 경우 소모 전력을 도시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10, FIG. 10A illustrates power consumption whe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100 passes through
종래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 아이디가 아닌 셀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모되는 전력이 많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 아이디가 아닌 셀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유지하기 때문에 와이 파이 검색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the related art, although the
도 10의 (c)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100)가 도 9의 Cell 2의 와이 파이 접속가능한 영역을 통과하는 경우 소모 전력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도 9의 Cell 2의 와이 파이 접속가능한 영역을 통과하는 경우 소모 전력을 도시한 것이다. 10 (c) shows power consumption whe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100 passes through the Wi-Fi accessible area of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소모되는 전력이 없지만,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온(On)된 상태에서는 주기적으로 와이 파이를 검색하기 때문에 전력이 소모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통과하는 동안, 즉 와이 파이에 연결된 경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온/오프에 무관하게 와이 파이 검색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no power consumed when th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y recording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a program for executing in a computer.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through software.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work.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upled with a carrier on a transmission medium or network.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 includ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device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but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이동 단말기 151: 디스플레이 모듈
180: 제어부100: mobile terminal 151: display module
180: control unit
Claims (15)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셀 아이디(Cell_ID)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와이 파이(Wi-Fi) 검색 설정을 자동으로 온(On)으로 설정하고 상기 와이 파이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와이 파이로 연결된 경우, 상기 와이 파이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무관하게 상기 와이 파이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Display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es cell ID (Cell_ID) and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 received cell ID and signal strength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the Wi-Fi search setting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setting the control unit to search for the Wi-Fi;
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the Wi-Fi irrespective of On or Off of the display module until the Wi-Fi connection is disconnected when the Wi-Fi connection is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fou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oes not perform.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수신된 셀 아이디가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포함하는 셀의 셀 아이디이고, 상기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et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received cell ID is a cell ID of a cell including a registered access point,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included in a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Mobile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검색된 와이 파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자동으로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register at least one access point capable of a Wi-Fi connection search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s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검색된 와이 파이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중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may register, as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an access point selected from at least one access point capable of Wi-Fi connection fou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의 등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registration of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등록되면,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를 검색하고,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신호 세기 범위를 결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is registered,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 cell ID of a cell including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and determines and stores a signal strength range using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Mobile terminal.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되는 셀의 셀 아이디, 및 상기 관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memory storing a cell ID of a cell in which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is included and a signal strength range of the access point of interes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셀 아이디가 상기 등록된 관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셀의 셀 아이디가 아닌 경우,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가 저장된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와이 파이 검색 설정을 오프(Off)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If the received cell ID is not the cell ID of the cell including the registered access point, or if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not included in the stored signal strength range,
And automatically set the WiFi search setting to Off.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아이디가 변경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셀 아이디와 신호 세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cell ID is change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changed cell ID and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아이디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만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 cell ID is not change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eriodically receiving only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base statio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6784A KR102018373B1 (en) | 2013-01-22 | 2013-01-22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6784A KR102018373B1 (en) | 2013-01-22 | 2013-01-22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243A KR20140094243A (en) | 2014-07-30 |
KR102018373B1 true KR102018373B1 (en) | 2019-09-04 |
Family
ID=5174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6784A Ceased KR102018373B1 (en) | 2013-01-22 | 2013-01-22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837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0018B1 (en) * | 2014-08-07 | 2016-01-29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method for coupling femtocell with WiFi AP in SD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63745B2 (en) * | 2008-03-26 | 2016-06-07 | Srinivasan Balasubramanian |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
KR101645461B1 (en) * | 2010-01-12 | 2016-08-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conntecting wlan in portable terminal |
KR101702361B1 (en) * | 2010-11-03 | 2017-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reless network in a digital device |
-
2013
- 2013-01-22 KR KR1020130006784A patent/KR102018373B1/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243A (en) | 2014-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9737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CN104834517A (en) | Mobile terminal power-sav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CN104767889B (en) | Screen state control method and device | |
CN104750384B (en) | Mobile terminal and its split screen method of operating | |
KR2010006073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799462B1 (en) |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limiting mode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106973156B (en) |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 |
KR2012007839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touch pattern recognition thereof | |
KR20110133713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1279518B1 (en) | Mobile terminal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656278B (en) | A kind of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CN105120067B (en) | The acquisition device of terminal sliding distance and method | |
CN107395876A (en) | Self-adaptiv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for screen display content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712666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sha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KR101967765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CN106412295A (en) | Mobile terminal based on virtual key | |
CN106250151B (en) | The operat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
KR10201837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CN104850351B (en) |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Rimless interaction | |
KR20130006154A (en) | Method for screen orientation determin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 |
CN104834464A (en) | Mobile terminal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KR10201912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 |
KR10201911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06558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4881192B (en) | Operate recognition methods and device and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2102 | Extinguishment |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