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8243B1 -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243B1
KR102018243B1 KR1020180134389A KR20180134389A KR102018243B1 KR 102018243 B1 KR102018243 B1 KR 102018243B1 KR 1020180134389 A KR1020180134389 A KR 1020180134389A KR 20180134389 A KR20180134389 A KR 20180134389A KR 102018243 B1 KR102018243 B1 KR 10201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onductive member
connector
pullback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서영석
김정현
백대열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243B1/ko
Priority to PCT/KR2019/013944 priority patent/WO2020096230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Clinical applications
    • A61B8/0891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Details of cathete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2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additionally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테터 및 풀백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며 풀백 디바이스와 카테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게 되어 구조가 컴팩트해지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며,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 단가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Catheter pullback connection joint system}
본 발명은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변을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해서 여러 의학 분야에서 의료 영상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의료 영상 중 혈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영상을 진단하는 혈관내 초음파(IVUS)가 있다. 혈관내 초음파(IVUS)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관상동맥뿐만 아니라 말초 혈관에서도 이용되는데, 특히 심장에 이용될 경우에는 관상동맥내 영상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의료 영상은 혈관 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혈관내 초음파는 초음파 변환자를 혈관에 삽입하여 영상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초음파 변환자의 지름은 1mm 이내 이어야 하고,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20-100 MHz 대역의 고주파이어야 한다. 즉, 기기는 소형이면서도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혈관 내 영상은 직접 혈관 내로 카테터를 넣어 혈관 내부를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혈관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좀 더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다. 특히 카테터를 혈관 내로 삽입하고 목표 영역을 촬영하여 혈관벽의 동맥경화와 석회화 등의 혈관 내부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해준다.
또 다른 기술로 광학 기술에 기반을 둔 광단층촬영(OCT)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영상 진단 부위와 영상 검출기 사이에 있는 축을 따라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파이버를 요구한다.
또 다른 기술로 광음향단층촬영 영상(PhotoAcoustic Tomography)기술은 광음향 효과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생체조직을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광음향단층촬영 영상 기술은 전자기파를 초음파로 변환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광학적 영상 특성과 초음파 영상의 특징을 혼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진단 기술은 소화기내 계열, 관상동맥 등의 심장 혈관 계열, 주변 및 신경 혈관계, 피부, 눈, 생식기 계열, 가슴 조직, 간 조직 등의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초음파 영상 또는 광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심장혈관 계열의 영상 진단은 동맥혈 플라크(arterial plaque)의 구조 및 조성을 판단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영상 기술을 혼합하여 혈관 계열의 영상 진단에서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병변을 진단하기 위해서 풀백 장치가 구비된 카테터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카테터 시스템에 있어서, 카테터는 신체로부터 광 및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고, 이 신호는 카테터를 이송 및 회전시키는 풀백장치를 거쳐 영상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광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를 통해 한가지의 영상을 제공하는 카테터 시스템과는 달리 상기와 같은 카테터 시스템에서는 복합적인 광신호 및 초음파 신호 전달을 위해 카테터와 풀백 장치사이에 광파이버 또는 전기신호선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카테터와 풀백 장치 사이의 초소형의 공간에 부속을 배치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광파이버 및 전기신호선은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튜브내에 배치됨으로써, 혈관 내 삽입되어야 하는 카테터 구조의 크기를 키우게 된다. 또한, 카테터가 회전하는데 제약을 받고 카테터를 무리하게 회전시킬 때에는 광파이버 및 전기신호선의 꼬임 또는 단선 등의 원인이 되어 시스템이 고장 나거나 잘못된 신호 전달로 인해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카테터와 풀백장치를 연결함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간소화하여 위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카테터 및 풀백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은 전기신호선 및 광신호선이 구비된 튜브를 포함하며, 음파 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 및 광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받는 카테터; 상기 튜브에 의해 관통 결합되며, 음파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1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신호선이 상기 제1 전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튜브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카테터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는 풀백장치; 및 상기 풀백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된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풀백장치는, 회전구동모듈, 직선구동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전도성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구동모듈은 상기 튜브가 관통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튜브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2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은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는 상기 커넥터 외면에 도금되고, 상기 제2 전도성 부재는 상기 수용부 내면에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풀백 디바이스와 카테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게 되어 구조가 컴팩트해지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며,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 단가가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의 각 구성의 연결을 나타낸 도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은 카테터(100), 커넥터(200) 및 어댑터(300)를 포함한다.
카테터(100)는 전기신호선(121)이 구비된 튜브(120)를 포함하며 음파 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받는다. 카테터(100)는 체내 삽입수단과 영상 스캐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의 카테터(100)는 영상 스캐닝 수단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카테터(100)는 헤드(미도시) 및 튜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튜브(120)는 헤드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며 광신호선(미도시) 및 전기신호선(121)을 포함하는 케이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카테터(100)의 튜브(120)는 말단부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 구멍(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튜브 구멍(122)을 통해 전기신호선(121)을 빼어 두부분으로 분리하여 후술하는 커넥터(200)의 제1 전도성 부재(2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커넥터(200)와 카테터(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헤드를 통해 혈관 내 광 및 음파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헤드 내부에는 광전달부와 음파전달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음파전달부는 헤드(미도시)의 일단과 인접한 전기신호선(121) 일단에 연결되어 전기신호 및 음파신호의 상호변환을 수행하고, 혈관 내 음파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음파전달부는 압전효과를 이용해 가변적 신호변환이 이루어지는 초음파 변환기(Transducer)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제1 전도성 부재(210) 및 커넥터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커넥터(200)는 튜브(120)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며, 음파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1 전도성 부재(210)를 포함하며, 전기신호선이 제1 전도성 부재(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200)는 커넥터하우징(220)에 수용되며, 커넥터하우징(220)은 후술하는 어댑터(300)의 수용부(310)에 꼭 맞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커넥터하우징(220)은 커넥터(200)를 보호하며,제1 전도성 부재(2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어 어댑터(300)와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커넥터(200)는 구조적, 전기적으로 카테터(100)와 어댑터(30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풀백장치는 튜브(120)가 관통 결합되며, 카테터(100)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고, 튜브(120) 내 전기신호선(121)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풀백장치는 회전구동모듈, 직선구동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구동모듈은 제1 모터 및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모터는 회전 구동용으로 회전부는 광신호선 및 전기신호선(121)을 포함하는 튜브(120)가 관통 결합되고, 제1 모터의 동작에 의해 튜브(12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어댑터(300)는 풀백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310)가 마련된다. 어댑터(300)는 풀백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카테터(100)로 제공하거나, 카테터(100)로부터 받은 전기신호를 풀백장치로 제공한다. 구조적으로는 카테터(100) 및 커넥터(200)를 풀백장치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용부(310)는, 제2 전도성 부재(311)를 포함하며, 커넥터(200)가 수용된 커넥터하우징(210)은 수용부(310)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전도성 부재(210) 및 제2 전도성 부재(3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카테터(100)의 음파전달부에서 수신한 음파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전기신호선을 따라 전달되며, 커넥터(200)의 제1 전도성 부재(210)와 전기 신호선이 전기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커넥터(200)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커넥터(200)의 제1 전도성 부재(210)와 제2 전도성 부재(311)의 전기적 연결에 따라 전기적 신호는 어댑터(300)로 연결되어 종국적으로 풀백장치 및 영상출력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는 역으로 진행되어 풀백장치 및 영상장치(미도시)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전기적 신호 전달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은 의 제1 전도성 부재(210) 및 제2 전도성 부재(311)는 다양하게 마련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전도성 코팅이 각각 커넥터(200) 및 어댑터(300)에 마련될 수 있고, 얇은 전도성 금속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전도성 부재(210)는 커넥터(200) 외면에 도금되고, 제2 전도성 부재(311)는 수용부(310) 내면에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200)와 어댑터(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별도의 케이블 및 전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협소한 구조 내에서 공간확보가 충분해지므로 제조공정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러한 전도성 부재의 각 형태는 카테터(200)와 풀백장치를 연결하는 협소한 구조내에서 커넥터(200)와 어댑터(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도 공간을 최소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며 자유롭게 선택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카테터(100), 커넥터(200), 어댑터(300) 등의 각 구성은 규격화되어있어 각 구성의 형태를 변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및 광 신호를 통해 융합 영상 획득이 이루어지는 카테터 시스템과 같이 일반적인 카테터 시스템에 비해 구조적으로 각 구성이 밀집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조적 결합 및 전기적 접촉을 위한 구성을 최소화하는 컴팩트한 구조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에 따르면, 풀백장치와 카테터(100)를 연결하는 부분에 있어 충분한 공간 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컴팩트한 구조를 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며, 제조가 용이해지므로 제조 단가도 감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테터
120: 튜브
121: 전기신호선
122: 튜브 구멍
200: 커넥터
210: 제1 전도성 부재
220: 커넥터하우징
300: 어댑터
310: 수용공간
311: 제2 전도성 부재

Claims (2)

  1. 전기신호선 및 광신호선이 구비된 튜브를 포함하며, 음파 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 및 광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받는 카테터;
    상기 튜브에 의해 관통 결합되며, 음파신호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1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신호선이 상기 제1 전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튜브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카테터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는 풀백장치; 및
    상기 풀백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된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풀백장치는,
    회전구동모듈, 직선구동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고,
    제2 전도성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구동모듈은 상기 튜브가 관통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튜브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2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부재는
    상기 커넥터 외면에 도금되고,
    상기 제2 전도성 부재는
    상기 수용부 내면에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KR1020180134389A 2018-11-05 2018-11-05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Active KR10201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89A KR102018243B1 (ko) 2018-11-05 2018-11-05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PCT/KR2019/013944 WO2020096230A1 (ko) 2018-11-05 2019-10-23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89A KR102018243B1 (ko) 2018-11-05 2018-11-05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243B1 true KR102018243B1 (ko) 2019-09-05

Family

ID=6794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89A Active KR102018243B1 (ko) 2018-11-05 2018-11-05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8243B1 (ko)
WO (1) WO20200962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526A1 (ko) * 2022-09-30 2024-04-04 울산과학기술원 헬리컬 스캔 광음향-초음파 내시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022A (ja) * 2001-04-04 2002-10-15 Asahi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2003070736A (ja) * 2001-09-06 2003-03-11 Pentax Corp 電子内視鏡
JP5112575B2 (ja) * 2011-03-15 2013-01-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KR20140004667A (ko) * 2010-12-03 2014-01-13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초음파 장치 및 관련 케이블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627B2 (ja) * 2003-08-13 2009-08-12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用コネクタ装置
US20140180371A1 (en) * 2012-12-21 2014-06-26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Leads with proximal stiffening and rel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20170110480A (ko) * 2016-03-23 2017-10-11 원텍 주식회사 의료 영상 획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022A (ja) * 2001-04-04 2002-10-15 Asahi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2003070736A (ja) * 2001-09-06 2003-03-11 Pentax Corp 電子内視鏡
KR20140004667A (ko) * 2010-12-03 2014-01-13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초음파 장치 및 관련 케이블 어셈블리
JP5112575B2 (ja) * 2011-03-15 2013-01-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526A1 (ko) * 2022-09-30 2024-04-04 울산과학기술원 헬리컬 스캔 광음향-초음파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30A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6649B2 (en) Rotational intravascular ultrasound probe with an active spinning element
JP2019217348A (ja) 光−音響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1311271B2 (en) Catheter with integrated controller for imaging and pressure sensing
US9579080B2 (en) Internal transducer assembly with slip ring
US20230263507A1 (en) Wireless intraluminal imaging device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40187965A1 (en) Stepped Banded Connector for Intravascular Ultrasound Devices
US12097072B2 (en) Interconnects for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devices
JP2017520308A (ja) 血管内カテーテルのための設計及び方法
KR102018243B1 (ko) 카테터 풀백 연결 조인트 시스템
US20140257107A1 (en) Transducer Assembly for an Imaging Device
JP2019532751A (ja) 血管内撮像デバイス用の内側部材並びに関連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110480A (ko) 의료 영상 획득 장치
CN221129905U (zh) 一种全方位血管内成像探头组件
JPH0574504U (ja) 体腔内超音波診断装置
JP7032505B2 (ja) 画像診断用カテーテル
CN118593006A (zh) 一种具有模块化结构的机械式血管内超声成像探头
JPH0347244A (ja) 超音波プロ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