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7840B1 - 소방호스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소방호스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840B1
KR102017840B1 KR1020190001786A KR20190001786A KR102017840B1 KR 102017840 B1 KR102017840 B1 KR 102017840B1 KR 1020190001786 A KR1020190001786 A KR 1020190001786A KR 20190001786 A KR20190001786 A KR 20190001786A KR 102017840 B1 KR102017840 B1 KR 10201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ssembly
fire hose
groove
shaf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이종영
이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에스에프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에스에프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에스에프피
Priority to KR102019000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8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2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a single end flange (e.g. with a conical end flange); formed with one end of greater diameter than th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 B65H2701/332Flattened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호스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량화를 통해 휴대성이 향상된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전동공구의 척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전동공구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하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중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어느 한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를 따라 회전하여 권취되는 소방호스를 상면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소방호스 회수장치{DEVICE FOR COLLECTING FIRE HO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방호스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호스 회수장치는 화재 진압을 위하여 길이가 수 미터 이상 되는 소방호스를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감아놓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에는 소방차량이나 소방서 등에는 소방호스를 적절히 권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기다란 소방호스를 펼친 후 처음부터 끝까지 말아서 정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방관들의 작업에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말아진 소방호스가 운반 도중 흩트려지기도 하여, 화재진화 출동의 지체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소방호스를 회전드럼 등에 권취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호스 권취장치가 다수 공지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방호스 권취장치는 무게가 무거우며 이에 따라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28247호(등록일자: 2015년06월05일) 등록특허공보 제10-0934861호(등록일자: 2009년12월22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량화를 통해 휴대성이 향상된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의 회수장치는, 전동공구의 척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전동공구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하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중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어느 한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를 따라 회전하여 권취되는 소방호스를 상면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부가 상기 전동공구의 척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제1 샤프트 부재; 상기 제1 샤프트 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 샤프트 부재; 중심부에 상기 제1 샤프트 부재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결합 홀, 상기 중심부와 측부 사이에 상기 제2 샤프트 부재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결합 홀, 상기 제1 결합 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까지 절단 가공된 제1 갭, 상기 제2 결합 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외측까지 절단 가공된 제2 갭, 상기 제1 갭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 홀, 및 상기 제2 갭을 수직 방향을 관통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 홀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제1 체결 홀에 결합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상기 제2 체결 홀에 결합되는 제2 볼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에 제1 조립 홈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2 조립 홈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조립 홈 내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되는 샤프트 부재 고정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2 조립 홈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회전 시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제2 조립 홈 내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지면을 향해 돌출된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된 지지체; 상기 돌기 삽입 홈의 내면과 상기 회전 돌기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조립 홈의 내면과 상기 지지체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2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부재 고정 홈은 외주연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체 간은 분리 이격되되, 상기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2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회전 시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수의 회수장치는, 전동공구 및 복스공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전장치; 상기 회전장치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전동공구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하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중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어느 한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를 따라 회전하여 권취되는 소방호스를 상면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 시 상기 전동공구에 의해 자동 회전하며, 상기 복스공구에 장착 시 사용자의 의해 수동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화를 통해 휴대성이 향상된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회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통한 소방호스의 회수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회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샤프트 어셈블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통한 소방호스의 회수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회수장치(1000)는 샤프트 어셈블리(100)와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100)는 전동공구(10)의 척(11)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shaft)를 포함하고, 각각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전동공구(10)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 어셈블리(100)는 제1 샤프트 부재(110), 제2 샤프트 부재(120), 연결부재(130), 제1 볼트부재(140) 및 제2 볼트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부재(110)는 상부가 전동공구(10)의 척(11)에 직접 장착되고, 전동공구(10)의 회전축을 이루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샤프트 부재(110)는 샤프트 어셈블리(100)에 구성된 다른 샤프트 부재(예를 들어 제2 샤프트 부재(120))보다 가장 길게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형태를 기존의 전공공구(10)의 공구 핀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플레이트 어셈블리(200)에 접촉되는 끝부분은 둥글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부재(120)는 제1 샤프트 부재(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샤프트 부재(12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샤프트 부재(11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제1 샤프트 부재(110)보다 짧게 형성되어 연결부재(1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대략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샤프트 부재(110, 120)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나란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30)에는 제1 결합 홀(131), 제2 결합 홀(132), 제1 갭(133), 제2 갭(134), 제1 체결 홀(135) 및 제2 체결 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홀(131)은 연결부재(130)의 몸체 중심부에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홀(132)은 연결부재(130)의 몸체 중심부와 측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샤프트 부재(12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갭(133)은 제1 결합 홀(121)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까지 절단 가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갭(133)은 제1 결합 홀(121)과 외측 변 간을 잇는 이격 공간으로 제1 결합 홀(121)을 중심으로 연결부재(130)의 몸체 일측이 분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결합 홀(131)에 제1 샤프트(110)가 끼워질 경우 제1 체결 홀(135)에 제1 볼트부재(140)가 체결됨에 따른 클램프(clam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갭(134)은 제2 결합 홀(132)로부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외측까지 절단 가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갭(125)은 제2 결합 홀(132)과 외측 변 간을 잇는 이격 공간으로 제2 결합 홀(132)을 중심으로 연결부재(132)의 몸체 타측이 분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2 결합 홀(132)에 제2 샤프트(120)가 끼워질 경우 제2 체결 홀(136)에 제2 볼트부재(150)가 체결됨에 따른 클램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홀(135)은 제1 갭(133)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 홀(135)에 제1 볼트부재(140)가 체결될 경우 제1 갭(133)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제1 결합 홀(131)에 삽입된 제1 샤프트 부재(110)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1 샤프트 부재(110)가 연결부재(130)에 체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 홀(136)은 제2 갭(134)을 수직 방향을 관통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 홀(136)에 제2 볼트부재(150)가 체결될 경우 제2 갭(134)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제2 결합 홀(132)에 삽입된 제2 샤프트 부재(120)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2 샤프트 부재(120)가 연결부재(130)에 체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샤프트 부재(110)의 하단부가 중앙에 지지되며, 전동공구(10)의 구동 시 샤프트 어셈블리(100)를 따라 회전하여 권취되는 소방호스를 그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권취되는 소방호수가 풀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레이트 어셈블리(200)의 상면은 마찰력이 일정 수준 높은 재질로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재질의 얇은 막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회전 플레이트(210), 회전체(220), 지지체(230), 제1 베어링(240) 및 제2 베어링(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210)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에 제1 조립 홈(211)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2 조립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립 홈(211)과 제2 조립 홈(212)은 서로 연결되어 회전 플레이트(210)의 중앙부분은 이들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립 홈(211)은 제2 조립 홈(212)보다 직경과 그 깊이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설계 사항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회전체(220)는 제1 조립 홈(211) 내에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샤프트 어셈블리(100)와 직접 접촉되는 샤프트 부재 고정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부재 고정 홈(2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이 상부로 돌출되어 제1 샤프트 부재(110)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샤프트 부재 고정 홈(221)은 회전체(220)의 내부를 향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홈의 외주연을 따라 측벽이 형성됨으로써 그 상부로도 이어진 홈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체(220)의 하부에는 제2 조립 홈(212)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샤프트 어셈블리(100)의 회전 시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230)는 제2 조립 홈(212) 내에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회전체(2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된 회전 돌기(222)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30)의 하부에는 회전 플레이트(2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지지되도록 회전 플레이트(210)의 하면보다 지면을 향해 돌출된 지지 플레이트(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32)가 구비된 지지체(230)는 제1 및 제2 베어링(240, 250)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210)와 회전체(220) 사이를 연결하며, 이들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및 지지되도록 하여 플레이트 어셈블리(200)의 회전 동작 시 회전 플레이트(21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켜줌으로써 이에 따라 지면과의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베어링(240)는 돌기 삽입 홈(231)의 내면과 회전 돌기(222)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2 베어링(250)은 제2 조립 홈(212)의 내면과 지지체(230)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어링(240)은 지지체(230)의 안쪽에 설치되고, 제2 베어링(250)은 지지체(230)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체(230)는 지면에 고정된 채로 회전하지 않으며,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회전 플레이트(210)와 회전체(221)가 각각 따로 회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210)와 회전체(220) 간은 서로 분리 이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그 내측으로는 제1 베어링(240)을 통해 회전체(230)가 연결되고, 그 외측으로는 제2 베어링(250)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210)가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샤프트 어셈블리(100)의 회전 시 회전 플레이트(210)와 회전체(220)가 상호 간섭 없이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체(220)가 회전 플레이트(2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베어링(240), 지지체(230) 및 제2 베어링(250)을 통해 분리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체(220)의 토크(torque)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플레이트(210)와 회전체(220)는 최초에 개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소방호스가 권취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소방호스가 회전 플레이트(210) 상에도 놓인 채로 권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권취되는 소방호스에 의해 회전체(220)와 회전 플레이트(210)는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 플레이트(210)는 회전체(220)의 회전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권취되는 소방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돌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샤프트 어셈블리(100)를 전동공구(10)에 장착시켜 회전하는 자동 권취 방식으로 구현된 소방호스 회수장치(10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전동공구(10) 대신 복스공구(미도시)를 샤프트 어셈블리(100) 즉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에 장착하여 수동으로 회전시켜 소방호스를 권취시켜 회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는 생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복수공구(미도시)의 소켓과 렌치를 이용하여 샤프트 어셈블리(1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소방호스의 권취를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전동공구(10) 또는/및 복스공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100)는, 전동공구(10)의 척(11)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shaft)를 포함하고, 각각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전동공구(10)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 어셈블리(100)는 제1 샤프트 부재(110), 제2 샤프트 부재(120), 연결부재(130) 및 체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부재(110)는 상부가 전동공구(10)의 척(11)에 직접 장착되고, 전동공구(10)의 회전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샤프트 부재(110)는 샤프트 어셈블리(100)에 구성된 다른 샤프트 부재(예를 들어 제2 샤프트 부재(120))보다 가장 길게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형태를 기존의 전공공구(10)의 공구 핀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샤프트 부재(110)는 상부(111)와 하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0)의 결합 홀(131)을 관통하고, 전동공구(10)의 척(111)에 장착되도록 생크(shank)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111)의 길이는 하부(112)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육각 생크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샤프트 부재(110)의 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각 생크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샤프트 부재(110)의 하부(112)는 둥근 막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어셈블리(200)의 상에 형성된 샤프트 부재 고정 홈(221)에 삽입됨으로써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샤프트 부재(110)의 하부(112)의 단부는 라운드된 형태(끝이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의 구조가 둥근 형태뿐만 아니라 생크 구조와 같이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샤프트 부재 고정 홈(221)의 구조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 하부(111, 112)의 경계부분에는 상부(111)의 생크 구조에 의해 단차(S)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차(S)에 의해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111)를 관통하는 연결부재(130)가 하부(112)로 내려가지 않고 걸려 그 위치가 상, 하부(111, 112)의 경계부분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111)와 연결부재(130)의 결합 홀(131)이 상호 대응되는 생크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샤프트 부재(110)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연결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샤프트 부재(120)는 제1 샤프트 부재(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단에 제1 체결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샤프트 부재(12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샤프트 부재(11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제1 샤프트 부재(110)보다 짧게 형성되어 연결부재(130)에 체결 시 그 단부가 제1 샤프트 부재(110)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소방호스의 각 단부에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어 소방호스의 일측이나 타측부분을 제1 및 제2 샤프트 부재(110, 120) 사이에 끼우면 소방호스의 연결관에 의해 소방호스가 제1 및 제2 샤프트 부재(110, 120) 사이를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제1 샤프트 부재(110)와 제2 샤프트 부재(12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략 납작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30)의 구조를 원통형으로만 한정한 것이 아니라, 직육면체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130)의 중심부에는 제1 샤프트 부재(11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된 결합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의 하면에는 결합 홀(131)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샤프트 부재(120)의 상부가 삽입되는 샤프트 부재 삽입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의 상면으로부터 샤프트 부재 삽입 홈(132)까지 관통되는 제2 체결 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0)는 제2 샤프트 부재(120)의 제1 체결 홀(121)과 연결부재(130)의 제2 체결 홀(133)을 따라 삽입되어 제2 샤프트 부재(120)를 연결부재(1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샤프트 부재(120)의 상단부가 샤프트 부재 삽입 홈(132)에 끼워지게 되면 제1 체결홀(121)과 제2 체결홀(133)은 하나로 연결된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재(140)는 볼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체결홀(121)과 제2 체결홀(1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호스 회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소방호스 회수장치
100: 샤프트 어셈블리
110: 제1 샤프트 부재
120: 제2 샤프트 부재
130: 연결부재
131: 제1 결합 홀
132: 제2 결합 홀
133: 제1 갭
134: 제2 갭
135: 제1 체결 홀
136: 제2 체결 홀
137: 제3 갭
140: 제1 볼트부재
150: 제2 볼트부재
200: 플레이트 어셈블리
210: 회전 플레이트
211: 제1 조립 홈
212: 제2 조립 홈
220: 회전체
221: 샤프트 부재 고정 홈
222: 회전 돌기
230: 지지체
231: 돌기 삽입 홈
232: 지지 플레이트
240: 제1 베어링
250: 제2 베어링
10: 전동공구
11: 척

Claims (6)

  1. 전동공구의 척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전동공구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하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중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어느 한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를 따라 회전하여 권취되는 소방호스를 상면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에 제1 조립 홈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2 조립 홈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조립 홈 내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되는 샤프트 부재 고정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2 조립 홈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회전 시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제2 조립 홈 내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지면을 향해 돌출된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된 지지체;
    상기 돌기 삽입 홈의 내면과 상기 회전 돌기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조립 홈의 내면과 상기 지지체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소방호스 귄취 시, 상기 지지체는 지면에 고정된 채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체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회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부가 상기 전동공구의 척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제1 샤프트 부재;
    상기 제1 샤프트 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 샤프트 부재;
    중심부에 상기 제1 샤프트 부재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제1 결합 홀, 상기 중심부와 측부 사이에 상기 제2 샤프트 부재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결합 홀, 상기 제1 결합 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까지 절단 가공된 제1 갭, 상기 제2 결합 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외측까지 절단 가공된 제2 갭, 상기 제1 갭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 홀, 및 상기 제2 갭을 수직 방향을 관통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 홀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제1 체결 홀에 결합되는 제1 볼트부재; 및
    상기 제2 체결 홀에 결합되는 제2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회수장치.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 고정 홈은 외주연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회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체 간은 분리 이격되되, 상기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2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회전 시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회수장치.
  6. 전동공구 및 복스공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전장치;
    상기 회전장치에 탈착 가능한 다수의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사이에 소방호스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전동공구의 구동에 의해 소방호스를 권취하는 샤프트 어셈블리; 및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샤프트 부재 중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축을 이루는 어느 한 샤프트 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에 지지되며,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를 따라 회전하여 권취되는 소방호스를 상면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전동공구에 장착 시 상기 전동공구에 의해 자동 회전하며, 상기 복스공구에 장착 시 사용자의 의해 수동 회전하고,
    상기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중앙에 제1 조립 홈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2 조립 홈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조립 홈 내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와 직접 접촉되는 샤프트 부재 고정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2 조립 홈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 어셈블리의 회전 시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제2 조립 홈 내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지면을 향해 돌출된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된 지지체;
    상기 돌기 삽입 홈의 내면과 상기 회전 돌기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조립 홈의 내면과 상기 지지체의 외면 간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소방호스 귄취 시, 상기 지지체는 지면에 고정된 채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체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회수장치.
KR1020190001786A 2019-01-07 2019-01-07 소방호스 회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1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86A KR102017840B1 (ko) 2019-01-07 2019-01-07 소방호스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86A KR102017840B1 (ko) 2019-01-07 2019-01-07 소방호스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840B1 true KR102017840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8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7840B1 (ko) 2019-01-07 2019-01-07 소방호스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8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282B1 (ko) * 2019-09-04 2021-02-17 주식회사 삼우에스에프피 소방 호스 권취 장치
KR102320268B1 (ko) * 2021-06-08 2021-11-03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소방호스 권취장치
KR102349321B1 (ko) * 2021-03-03 2022-01-11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소화전 호스릴용 연결관
KR20220138720A (ko) 2021-04-06 2022-10-13 이종영 경량형 소방호스 권취장치
KR20220147186A (ko) 2021-04-26 2022-11-03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소방호스 권취장치
KR102767960B1 (ko) 2024-11-15 2025-02-14 김성민 소방 호스의 복층 적재가 가능한 소방 호스 가방
KR102793144B1 (ko) 2024-11-05 2025-04-08 김근우 소방 호스의 권취가 가능한 소방 호스 가방
KR102793142B1 (ko) 2024-11-18 2025-04-08 서지오 휴대가 가능한 소방 호스 수납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231A (ja) * 1999-05-17 2000-11-28 Max Co Ltd エアホースドラム
JP2008127174A (ja) * 2006-11-22 2008-06-05 Koichi Koga 布地巻き装置
KR100934861B1 (ko) 2009-07-07 2009-12-31 박덕치 선박용 소방호스 권취장치
KR100955096B1 (ko) * 2009-04-30 2010-04-29 정연석 이동식 소방호스 두루마리 장치
KR20120001411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릴텍산업 공회전 제동 조절 장치를 구비한 호스릴
KR101528247B1 (ko) 2013-05-21 2015-06-12 제이엔티(주) 소방호스 권취장치
KR20150127908A (ko) * 2014-05-07 2015-11-18 주식회사 포스코 호스 권취용 치공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231A (ja) * 1999-05-17 2000-11-28 Max Co Ltd エアホースドラム
JP2008127174A (ja) * 2006-11-22 2008-06-05 Koichi Koga 布地巻き装置
KR100955096B1 (ko) * 2009-04-30 2010-04-29 정연석 이동식 소방호스 두루마리 장치
KR100934861B1 (ko) 2009-07-07 2009-12-31 박덕치 선박용 소방호스 권취장치
KR20120001411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릴텍산업 공회전 제동 조절 장치를 구비한 호스릴
KR101528247B1 (ko) 2013-05-21 2015-06-12 제이엔티(주) 소방호스 권취장치
KR20150127908A (ko) * 2014-05-07 2015-11-18 주식회사 포스코 호스 권취용 치공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282B1 (ko) * 2019-09-04 2021-02-17 주식회사 삼우에스에프피 소방 호스 권취 장치
KR102349321B1 (ko) * 2021-03-03 2022-01-11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소화전 호스릴용 연결관
KR20220138720A (ko) 2021-04-06 2022-10-13 이종영 경량형 소방호스 권취장치
KR20220147186A (ko) 2021-04-26 2022-11-03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소방호스 권취장치
KR102320268B1 (ko) * 2021-06-08 2021-11-03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소방호스 권취장치
KR102793144B1 (ko) 2024-11-05 2025-04-08 김근우 소방 호스의 권취가 가능한 소방 호스 가방
KR102767960B1 (ko) 2024-11-15 2025-02-14 김성민 소방 호스의 복층 적재가 가능한 소방 호스 가방
KR102793142B1 (ko) 2024-11-18 2025-04-08 서지오 휴대가 가능한 소방 호스 수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840B1 (ko) 소방호스 회수장치
KR102465549B1 (ko) 고정기구
JP6691484B2 (ja) 吸塵ドリル及び吸塵ユニット
US20160096396A1 (en) Chalk line device
JP2022520423A (ja) 撮影機器用の取り外し可能なクイック接続装置および撮影機器アセンブリ
EP2656722B1 (en) Rotary cutter for brush cutter
US20070180705A1 (en) Locking device for spline shaft of brush cutter
JP2007181439A (ja) 刈払機
CN210150512U (zh) 一种直径可调节的自动放卷设备
JP6840234B2 (ja) 回転式に駆動可能な回転工具装置
JP5919416B1 (ja) 施設ハウス用の高設栽培装置
JP5480239B2 (ja) 迅速交換型アーバ、ホールカッタ、および方法
US10828755B2 (en) Fastener device with cam assembly
HUP0800497A2 (en) Gripping device
JP2018144953A (ja) 供給装置、締結システム、及びねじ締結物の製造方法
KR101697194B1 (ko)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US20170144865A1 (en) Lifting Apparatus
JP5873359B2 (ja) 刈払機のコード繰り出し機構
US11812699B2 (en) Corn silk removing device
KR101757643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권취드럼
KR101859162B1 (ko) 프로펠러 탈부착 장치
US20070180704A1 (en) Locking device for spline shaft of brush cutter
JP4979782B2 (ja) 刈払機
KR101094184B1 (ko) 케이블 권취롤의 회전 지지대
JP6767238B2 (ja) フレール爪の着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