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44B1 -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6944B1 KR102016944B1 KR1020180047454A KR20180047454A KR102016944B1 KR 102016944 B1 KR102016944 B1 KR 102016944B1 KR 1020180047454 A KR1020180047454 A KR 1020180047454A KR 20180047454 A KR20180047454 A KR 20180047454A KR 102016944 B1 KR102016944 B1 KR 102016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reactor
- pressure
- leakage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5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flow detect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6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고압반응기의 누설여부 측정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체 누설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체 누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반응기에서의 누설량과 제2반응기에서의 누설량을 측정하는 상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1반응기에서만 기체누설이 있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2반응기에서만 기체누설이 있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10:반응기
11:제1반응기
12:제2반응기
20:기체유입부
21:제1밸브
22:유량계
30:기체배출부
31:제2밸브
40:압력계
50:데이터베이스
60:연결관
61:제3밸브
100: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Claims (14)
- 반응기에서 기체 누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반응기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 전단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기체유량의 측정이 가능한 유량계;
상기 반응기 내부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반응기 내부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 및
상기 기체배출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2밸브를 닫고, 상기 제1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유량계에 의해 기체를 반응기 내로 주입하여 압력계에서의 압력변화를 통해 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유량계는 상기 반응기 측으로만 기체를 유입시키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고, 상기 압력계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변화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밸브를 닫고, 제1밸브가 열린상태에서 기체를 주입한 후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유량계를 0으로 맞추어 더 이상 기체가 주입되지 않도록 했을 때,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반응기 내 기체 누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량계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여 압력 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유량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 삭제
- 삭제
- 반응기에서 기체 누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응기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반응기 내부의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밸브 전단에 구비된 유량계를 통해 상기 반응기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
압력계에 의해 반응기 내부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유량계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량을 0으로 조절한 후, 압력계에서의 압력변화를 통해 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압력변화가 없는 경우 누설이 없다고 판단하고,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반응기 내의 기체누설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누설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 후에,
제어부가 유량계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여 압력 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유량계를 제어하고, 상기 압력 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
- 복수의 반응기에서 기체 누설량과 누설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반응기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
상기 기체유입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 전단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기체유량의 측정이 가능한 유량계;
상기 제1반응기와 제2반응기의 내부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압력계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변화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반응기 내부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
상기 기체배출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1반응기와 상기 제2반응기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 일측에 구비되는 제3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2밸브를 닫고, 상기 제1밸브와 제3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량계에 의해 기체를 제1, 제2반응기 내로 주입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유량계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량을 0으로 조절한 후 압력계에서의 압력변화를 통해 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상태를 측정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량을 0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압력값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 제2반응기 내 기체 누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량계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여 압력 제1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유량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제1, 제2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상태에 도달한 후, 상기 제3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평형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2반응기 내의 기체누설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을 상기 제1반응기 내에서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상태에 도달한 후, 상기 제3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압력계의 압력값이 증가되고 상기 유량계에 의해 기체를 주입하지 않아도 상기 제1평형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1반응기 내의 기체누설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을 상기 제2반응기 내에서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상태에 도달한 후, 상기 제3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압력계에서의 압력값이 증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유량계에서의 기체주입량을 감소시켜 제2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제어하고, 제2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을 상기 제1반응기 내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과 상기 제2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의 차를 상기 제2반응기 내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 복수의 반응기에서 기체 누설량과 누설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반응기의 기체유입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반응기의 타측에 연결되어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밸브를 닫고 제1반응기와 제2반응기 사이의 연결관 일측에 구비된 제3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밸브 전단에 구비된 유량계를 통해 상기 제1, 제2반응기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
압력계에 의해 제1, 제2반응기 내부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력계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유량계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량을 0으로 조절한 후 압력계에서의 압력변화를 통해 제1, 제2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압력변화가 없는 경우 누설이 없다고 판단하고,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반응기 및 상기 제2반응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체누설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누설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가 유량계를 통해 기체를 주입하여 압력 제1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유량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제1, 제2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제1, 제2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3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평형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2반응기 내의 기체누설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을 상기 제1반응기 내에서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제1, 제2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3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압력계의 압력값이 증가되고 상기 유량계에 의해 기체를 주입하지 않아도 상기 제1평형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1반응기 내의 기체누설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을 상기 제2반응기 내에서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 주입량을 제1, 제2반응기 내의 기체 누설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3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압력계에서의 압력값이 증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유량계에서의 기체주입량을 감소시켜 제2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제어하고, 제2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을 상기 제1반응기 내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과 상기 제2평형상태에서의 기체주입량의 차를 상기 제2반응기 내의 기체누설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454A KR102016944B1 (ko) | 2018-04-24 | 2018-04-24 |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US16/011,439 US10852211B2 (en) | 2018-04-24 | 2018-06-18 |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leakage measurement in a high pressure rea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454A KR102016944B1 (ko) | 2018-04-24 | 2018-04-24 |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6944B1 true KR102016944B1 (ko) | 2019-09-03 |
Family
ID=6795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7454A Active KR102016944B1 (ko) | 2018-04-24 | 2018-04-24 |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852211B2 (ko) |
KR (1) | KR1020169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622765B (en) * | 2022-07-13 | 2024-10-02 | Proactive Analytics Holdings Cyprus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
CN116465572B (zh) * | 2023-06-20 | 2023-12-08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检测设备及其检测电池的方法、装置 |
CN118641123B (zh) * | 2024-07-29 | 2025-01-17 | 苏州优湖流体科技有限公司 | 废气处理氧化炉低负载高频率切换阀泄漏率智能检测系统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1922A (ja) | 1998-06-09 | 1999-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気体の流量計測方法 |
KR100291635B1 (ko) | 1996-09-07 | 2001-12-12 |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 용기,특히탱크통기장치의기능성검사방법및장치 |
JP2005037268A (ja) | 2003-07-16 | 2005-02-10 | Cosmo Instruments Co Ltd | 流量検査装置 |
KR100929580B1 (ko) | 2006-12-18 | 2009-12-03 | 서광공업 주식회사 | 저온용 밸브의 누설시험장치 |
KR101131948B1 (ko) * | 2009-11-23 | 2012-03-29 | 김용성 | 압력평형을 이용한 기밀검사장치 및 방법 |
KR20130047001A (ko) * | 2011-10-31 | 2013-05-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이중 체크 밸브의 누설 테스트장치 및 방법 |
KR101767982B1 (ko) * | 2017-05-02 | 2017-08-16 | (주)에스티글로벌 | 유닛별 로그 정보 및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반도체 장비의 실시간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15033A (en) * | 1990-08-30 | 1995-05-16 | Vista Research, Inc. | Simplified apparatus for detection of leaks in pressurized pipelines |
DE10156205A1 (de) * | 2001-11-15 | 2003-06-05 | Inficon Gmbh | Testgaslecksuchgerät |
JP3820168B2 (ja) * | 2002-03-15 | 2006-09-13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リークテスタ |
GB0303936D0 (en) * | 2003-02-21 | 2003-03-26 | Honeywell Normalair Garrett | Method of testing |
ATE506609T1 (de) * | 2003-06-11 | 2011-05-15 | Agilent Technologies Inc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tektion von grossen leckagen in abgedichteten gegenständen |
KR100929680B1 (ko) | 2003-10-31 | 2009-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
JP4281001B2 (ja) * | 2004-09-15 | 2009-06-17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ガスリーク検査装置 |
NO331633B1 (no) * | 2009-06-26 | 2012-02-13 | Scanwell As | Apparat og framgangsmate for a avdekke og kvantifisere lekkasje i et ror |
WO2011135711A1 (ja) * | 2010-04-30 | 2011-11-0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燃料漏れ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
WO2015012702A1 (en) * | 2013-07-24 | 2015-01-29 | Ikm Production Technology As | Measurement device |
US10288517B2 (en) * | 2014-04-14 | 2019-05-14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for measurement of ultra-low permeability and porosity |
US10365202B2 (en) * | 2015-05-11 | 2019-07-30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for measurement of ultra-low permeability and porosity by accounting for adsorption |
EP3460438B1 (en) * | 2017-09-26 | 2021-02-17 | General Electric Company | Gas turbomachine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
-
2018
- 2018-04-24 KR KR1020180047454A patent/KR102016944B1/ko active Active
- 2018-06-18 US US16/011,439 patent/US1085221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1635B1 (ko) | 1996-09-07 | 2001-12-12 |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 용기,특히탱크통기장치의기능성검사방법및장치 |
JPH11351922A (ja) | 1998-06-09 | 1999-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気体の流量計測方法 |
JP2005037268A (ja) | 2003-07-16 | 2005-02-10 | Cosmo Instruments Co Ltd | 流量検査装置 |
KR100929580B1 (ko) | 2006-12-18 | 2009-12-03 | 서광공업 주식회사 | 저온용 밸브의 누설시험장치 |
KR101131948B1 (ko) * | 2009-11-23 | 2012-03-29 | 김용성 | 압력평형을 이용한 기밀검사장치 및 방법 |
KR20130047001A (ko) * | 2011-10-31 | 2013-05-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이중 체크 밸브의 누설 테스트장치 및 방법 |
KR101767982B1 (ko) * | 2017-05-02 | 2017-08-16 | (주)에스티글로벌 | 유닛별 로그 정보 및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반도체 장비의 실시간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323916A1 (en) | 2019-10-24 |
US10852211B2 (en) | 202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6944B1 (ko) |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
JP5346628B2 (ja) | マスフローコントローラの検定システム、検定方法、検定用プログラム | |
US627938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 |
KR200490385Y1 (ko) | 볼밸브의 누설시험장치 | |
KR20140057771A (ko) | 배관의 수압테스트 장치 | |
KR20190102241A (ko) | 유량 측정 방법 및 유량 측정 장치 | |
KR20220081032A (ko) | 유체 제어밸브용 성능 검사 시스템 및 검사방법 | |
JP2018179840A (ja) | エアリークテスタ、エアリークテスト方法 | |
JPH02247534A (ja) | 導管系の漏れモニター方法及び装置 | |
CN209372401U (zh) | 安全阀泄压性能测试系统 | |
KR102170504B1 (ko) |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 |
KR101439919B1 (ko) | 밀폐 제품의 대용량 리크와 소용량 리크 모두를 검출할 수 있는 기밀 검사 장치 | |
KR101818159B1 (ko) | 안전 매니폴더 밸브 | |
JP5034875B2 (ja) | 漏水検知装置 | |
RU2270986C2 (ru) |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газа (перетечки), протекающего через закрытый шаровой кра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JP2014048212A (ja) | キャピラリーチューブ気泡検出装置およびその気泡検出方法 | |
KR100216708B1 (ko) | 원전 격납용기의 배관설비의 국부누설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 |
KR20180061739A (ko) | 발사체 적용 기밀시험 방법 | |
CN210981374U (zh) | 一种零部件流量恒温恒压测量装置 | |
JPH02176440A (ja) | 配管路の監視方法 | |
KR101510711B1 (ko) |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유량조절기 | |
CN116428171A (zh) | 一种水泵排气状态测试系统及方法 | |
JP2000227378A (ja) | 異質物注入による水管内漏水位置の確定法 | |
KR20160110611A (ko) | 다기능 가스 안전 계량기용 차단밸브 배선 연결 장치 | |
JPS5983030A (ja) | パイプラインの漏洩検知方法およ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