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16B1 -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6916B1 KR102016916B1 KR1020170180139A KR20170180139A KR102016916B1 KR 102016916 B1 KR102016916 B1 KR 102016916B1 KR 1020170180139 A KR1020170180139 A KR 1020170180139A KR 20170180139 A KR20170180139 A KR 20170180139A KR 102016916 B1 KR102016916 B1 KR 102016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xide
- solid electrolyte
- precipitate
- powder
- electrolyte pow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LLZO 분말들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LLZO 분말들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LLZO 분말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분말 |
소결밀도 (%) |
실시예 1 | 92.6 % |
실시예 4 | 91.5 % |
실시예 5 | 93.9 % |
실시예 6 | 94.2 % |
비교예 1 | 90.9 % |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분말 |
이온전도도 (S/cm) |
실시예 1 | 2.86 x 10-4 S/cm |
실시예 4 | 2.86 x 10-4 S/cm |
실시예 5 | 3.16 x 10-4 S/cm |
실시예 6 | 3.94 x 10-4 S/cm |
비교예 1 | 8.62 x 10-5 S/cm |
Claims (12)
- 지르코늄 염, 란타늄 염 및 도핑 이종원소 염을 포함하는 금속 염 혼합용액과, 수산화 염 용액을 혼합하고, 침전을 유도하여, 수산화 공침물을 형성시키되, 상기 수산화 공침물을 형성시킬 때, 혼합용액의 pH를 6 내지 8.5 범위로 유지하는 단계(단계 1);
형성된 수산화 공침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80 내지 110℃로 가열하여 수산화 공침물의 가수분해를 유도하는 단계(단계 2);
가수분해된 수산화 공침물을 분리하고, 수산화 공침물과 Li 원료를 혼합하여 전구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전구체 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수산화 공침물을 분리하고, 수산화 공침물과 Li 원료를 혼합하여 전구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3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가수분해가 유도된 수산화 공침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의 pH를 8.5 내지 9.5 범위로 조절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수산화 공침물을 형성시킬 때, 혼합용액의 지르코늄 농도를 0.1 내지 2 M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금속 염 혼합용액을 구성하는 지르코늄 염, 란타늄 염 및 도핑 이종원소 염은 수용성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침전은 균일 침전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혼합용액을 90 내지 10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 원료는 LiOH·H2O, LiOH 및 Li2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 4는, 1차 열처리 단계와 2차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1차 열처리는 600℃ 내지 900℃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고; 및
2차 열처리는 850℃ 내지 1050℃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지르코늄 염, 란타늄 염 및 도핑 이종원소 염을 포함하는 금속 염 혼합용액과, 수산화 염 용액을 혼합하고, 침전을 유도하여, 수산화 공침물을 형성시키되, 상기 수산화 공침물을 형성시킬 때, 혼합용액의 pH를 6 내지 8.5 범위로 유지하는 단계(단계 1);
형성된 수산화 공침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80 내지 110℃로 가열하여 수산화 공침물의 가수분해를 유도하는 단계(단계 2);
가수분해된 수산화 공침물을 분리하고, 수산화 공침물과 Li 원료를 혼합하여 전구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전구체 분말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4);로 제조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수산화 공침물을 분리하고, 수산화 공침물과 Li 원료를 혼합하여 전구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3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가수분해가 유도된 수산화 공침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의 pH를 8.5 내지 9.5 범위로 조절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
- 제11항의 이종원소가 도핑된 LLZO 고체전해질 분말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139A KR102016916B1 (ko) | 2017-12-26 | 2017-12-26 |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139A KR102016916B1 (ko) | 2017-12-26 | 2017-12-26 |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296A KR20190078296A (ko) | 2019-07-04 |
KR102016916B1 true KR102016916B1 (ko) | 2019-09-02 |
Family
ID=6725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0139A Active KR102016916B1 (ko) | 2017-12-26 | 2017-12-26 |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691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7097B1 (ko) * | 2021-02-24 | 2023-06-23 |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 리튬 란타늄 지르코늄 산화물(llzo)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리튬 란타늄 지르코늄 산화물(llzo) 고체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
CN118173867B (zh) * | 2024-04-19 | 2024-11-05 | 深圳市贝特瑞新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 粉体材料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9551B2 (ja) * | 1991-10-15 | 2000-03-13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超微粒低抵抗スズドープ酸化インジウム粉末とその製法 |
KR101728434B1 (ko) * | 2015-09-18 | 2017-04-2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KR101793168B1 (ko) | 2016-02-03 | 2017-11-2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Llzo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80139A patent/KR102016916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296A (ko) | 2019-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1240B1 (ko) | 가넷형 화합물의 제조 방법, 가넷형 화합물 및 상기 가넷형 화합물을 포함한 전고체 리튬 2차 전지 | |
KR101568468B1 (ko) |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 |
CN111918838B (zh) | 陶瓷粉末、烧结体和电池 | |
JP6831011B2 (ja) | 全固体電池用高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200967B1 (ko) |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갈륨-가돌리늄이 도핑된 고체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316442B1 (ko) | 세라믹 분말 재료, 세라믹 분말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전지 | |
KR20200048749A (ko) |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갈륨 도핑 llzo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갈륨 도핑 llzo 고체전해질 | |
KR101745930B1 (ko) | 복합공정에 의한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JP2016213178A (ja) | リチウムイオン伝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 |
KR102016916B1 (ko) |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 |
KR102776436B1 (ko) | 마이크로웨이브 용매열합성법을 이용한 llzo계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llzo계 고체전해질 | |
CN115413273B (zh) | 陶瓷粉末材料、烧结体及电池 | |
Sharifi et al. | Effects of Al Doping on the Properties of Li 7 La 3 Zr 2 O 12 Garnet Solid Electrolyte Synthesized by Combustion Sol-Gel Method. | |
US11629098B2 (en) | Ceramic powder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powder material, molded body, sintered body, and battery | |
JP2017091910A (ja) | リチウムイオン伝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 |
CN114678587B (zh) | 固态电解质的制备方法、镧钛氧化合物及其制备方法 | |
JP2007022835A (ja) | 酸化アルミニウム含有希土類元素添加酸化セリウム粉体 | |
KR20210128622A (ko) | 동결건조를 사용한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 |
JP2020158322A (ja) | マグネシウム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