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6695B1 -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 Google Patents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95B1
KR102016695B1 KR1020170144729A KR20170144729A KR102016695B1 KR 102016695 B1 KR102016695 B1 KR 102016695B1 KR 1020170144729 A KR1020170144729 A KR 1020170144729A KR 20170144729 A KR20170144729 A KR 20170144729A KR 102016695 B1 KR102016695 B1 KR 10201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in body
discharge
zone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9167A (en
Inventor
이승진
권한조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to KR102017014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95B1/en
Publication of KR2019004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9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1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substantially vertically, e.g. for base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공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230)를 포함하는 공 유입부(200); 및 상기 본체 연결부(230)를 통과하는 공 파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는 경사 부재(700)가 위치되는 공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A ball transfer device is disclosed.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A ball inlet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all, and including a main body connecting part 23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a ball gripping part 300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ng part 230, and a ball feeding device in which the inclined member 700 is positioned below the main body 100 is disclosed.

Description

본체 내에서 낙하한 공을 배출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본 발명은 공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 이송 과정에서 본체 내부에 낙하한 공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과정 없이도 본체 하측에 형성된 경사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transf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ball transfer device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lined memb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ithout a separate process for the discharge of the ball dropped inside the body during the ball transfer It is about.

스크린 야구는 실제 야구 경기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일종의 가상 야구이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및 스크린의 후측에 위치되는 피칭 머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투사되는 영상을 보며 실제 공이 피칭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피칭된 공을 타격하기 위해 사용자가 야구 배트를 휘두르며 실제 야구 경기장에서 경기하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도 1 참조).Screen baseball is a kind of virtual baseball that is played similar to a real baseball game. Specifically, using the screen o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and the pitching machin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creen, the user may feel the actual ball being pitched while watching the projected image, and the user may hit the baseball bat to hit the pitched ball. It feels like you're playing on a real baseball stadium while swinging (see Figure 1).

스크린 야구에서는 사용자의 토출 신호 입력에 따라 피칭 머신에서 공이 즉각적으로 토출되기 위해 피칭 머신이 공 이송 장치로부터 공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In screen baseball, the pitching machine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the ball from the ball feeder in order to immediately discharge the ball from the pitc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discharge signal input by the user.

그런데, 종래의 공 이송 장치에서는, 장치 내에서 이송 중인 공이 낙하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 이송 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공 이송 장치를 개방한 후, 공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ball transfer apparatus, when the ball being transported in the apparatus falls, it ha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removing the ball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all transfer apparatus, opening the ball transfer apparatus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이 과정에서, 진행 중이던 스크린 야구가 중단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의 스크린 야구에의 몰입감 및 흥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공 이송 장치 내부에 낙하한 공이 쌓일 경우, 체인 등 공의 이송 수단에 끼어 장치가 고장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In this process, since the on-screen baseball is inevitably stopped, the user's immersion and interest in the screen baseball may be reduced. Moreover, when the ball which fell inside the ball transfer apparatus accumulates, it may become stuck in the transfer means of a ball, such as a chain, and the apparatus may fail.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41526호는 벌크 형태의 원료를 선박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과정에서 해수 또는 지면으로 원료가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고, 차단된 원료를 자동으로 회수하는 낙하물 회수 장치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1041526 discloses a dropping material recovery device which blocks raw materials from falling into seawater or the ground in the process of loading or unloading bulk raw materials into a vessel and automatically recovers the blocked raw materials.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낙하물 회수 장치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비되어 원료를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마다 선박에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고, 벨트 구동부, 선체 밀착부 등 여러 가지 추가 부재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this type of falling object recovery device is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to be installed and used on the ship every time to load or unload the raw materia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number of additional members such as belt drive, hull close contact is required.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37425호는 이송 체인과 스프라켓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이송 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 장치 및 이송 장치에 의하여 이송물을 일정량씩 이송할 수 있는 수직 컨베이어에 대해 개시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37425 transfers a conveyed object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a conveying device and a conveying device which prevents the conveyed object from being conveyed by the conveying chain due to vibration generated between the conveying chain and the sprocket. Disclosed is a vertical conveyor.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이송 장치 또한 바닥부에 낙하한 이송물을 다시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회수 장치가 추가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송되는 물체의 입자의 크기가 작은 벌크 형태의 물체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However, this type of conveying device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complicated retrieving device for recovering the conveyed product dropped to the bottom must be added.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only to a bulk-shaped object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41526호 (2011.06.16)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41526 (2011.06.16)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37425호 (2011.05.30)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37425 (2011.05.3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야구 진행에 필요한 공을 공급하는 공 이송 장치 내부에서 공이 낙하한 경우, 경사 부재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공이 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장치 내부에서 낙하한 공에 의한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중단 없이 스크린 야구를 진행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ball falls inside the ball transfer device for supplying the ball required for the progress of the screen baseball, the ball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using the inclined member,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 by the ball dropped inside the device It is to provide a ball transfer device that can prevent the screen, and proceed to the screen baseball without interru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230)를 포함하는 공 유입부(200); 및 상기 본체 연결부(230)를 통과하는 공 파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는 경사 부재(700)가 위치되는 공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100; A ball inlet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all, and including a main body connecting part 23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a ball gripping part 300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part 230, and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provides a ball transfer device in which the inclined member 700 is positioned.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저면(140)은 공의 직경 이상의 거리만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저면 공간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 부재(700)는 상기 저면 공간부(144)에 위치되며, 상기 저면(140)에는 저면 개구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경사 부재(700)로 공이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main body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distanc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to form a bottom space portion 144, the inclined member 700 is located in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The bottom surface 140 may have a bottom opening 142 formed therein such that a ball may move from the main body 100 to the inclined member 700.

또한, 상기 경사 부재(700)는 승강 부재(7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부재(720)에 의한 상기 경사 부재(7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경사 부재(700)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member 700 includes an elevating member 720, and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member 700 may be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inclined member 700 by the elevating member 720. have.

또한, 상기 공 파지부(300)의 전방 측부(310)에는 전방 펜스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fence portion 3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31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또한, 상기 전방 펜스부(312)는 상기 공 파지부(300)의 하측부(340)로부터 상측부(35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fence portion 312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350 from the lower portion 34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또한, 상기 공 파지부(300)의 측부(330)에는 측방 펜스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fence portion 332 may be formed on the side portion 33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또한, 상기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 파지부(300)가 통과하는 배출 개구부(510)를 포함하는 공 배출부(500); 및 상기 공 배출부(5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결합되는 배출 펜스부(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펜스부(520)는 상기 공 배출부(500)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mmunicate, the ball discharge portion 500 including a discharge opening 510 through which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passes; And a discharge fence part 520 coupled to the ball discharge part 50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discharge fence part 520 may form one side of the ball discharge part 500. .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공 이송 장치(34)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으로서, 대기자가 위치하는 안전 구역(10); 상기 안전 구역(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게임 구역(20); 및 상기 피칭 머신(32) 및 상기 공 이송 장치(34)가 위치하는 피칭 구역(3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구역(10)과 상기 게임 구역(20)은 안전망(12)으로 구획되고, 상기 게임 구역(20)과 상기 피칭 구역(30)은 스크린(24)으로 구획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creen baseball syste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ball transfer device 34, comprising: a safety zone 10 in which a waiter is located; A game zone 20 located at one side of the safety zone 10 where screen baseball is played; And a pitching zone 30 in which the pitching machine 32 and the ball transfer device 34 are located, wherein the safety zone 10 and the game zone 20 are partitioned by a safety net 12. Game zone 20 and pitching zone 30 provide a screen baseball system that is partitioned into screens 24.

본 발명에 따르면, 공 이송 장치의 본체 하측에 위치하는 경사 부재에 의해 공 파지부에서 이탈하여 낙하한 공이 별도의 조치 없이도 자연스럽게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낙하한 공에 의한 공 이송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ll dropped out of the ball holding part by the inclined member located below the main body of the ball transfer device can b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ithout any further action, the ball transfer device malfunctions due to the dropped ball. Can be prevented.

또한, 낙하한 공들이 자연스럽게 공 이송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공을 회수하기 위해 공 이송 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스크린 야구 진행을 중단하지 않고도 공을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opped balls ar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ll transfer device, it is not necessary to stop the ball transfer device to recover the ball, so that the ball can be recovered without stopping the screen baseball process.

이에 더하여, 공 파지부에 전면 펜스부가 형성되어 궤도 순환부에 의한 공 이송시 공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fence portion is form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can prevent the ball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ball transfer by the track circulation portion.

더 나아가, 공 배출부에 배출 펜스부가 형성되어, 공 파지부로부터 공 배출부를 통해 공이 피칭 머신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ischarge fence portion is formed in the ball discharg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ll from being separated in the process of the ball is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from the ball holding portion through the ball discharg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경기장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이송 장치를 보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이송 장치를 보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 이송 장치의 후면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공 이송 장치에 구비되는 공 파지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 파지부가 공 이송 장치 내에 구비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공 파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공 이송 장치의 상측에 위치되는 배출 펜스부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출 펜스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배출 펜스부에 의해 공의 이탈이 방지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공 이송 장치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 부재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경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공 이송 장치의 내부에서 낙하한 공이 경사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baseball sta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cover of the ball transport apparatus of FIG. 3 opene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ll gripping portion provided in the ball transfer device of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l gripping portion of FIG. 5 is provided in the ball transfer device.
7 is a front view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of FIG. 5.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ischarge fence unit located above the ball transport apparatus of FIG. 2.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charge fence unit of FIG. 8. FIG.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venting the ball from being separated by the discharge fence unit of FIG. 8.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clined member formed below the ball transport apparatus of FIG. 2.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clined member of FIG. 11.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all dropped from the inside of the ball transport apparatus of FIG.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inclined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설명1. Description of Screen Baseball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경기장은 크게 안전 구역(10), 게임 구역(20) 및 피칭 구역(30)으로 분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tadium of a screen baseball system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may be classified into a safety zone 10, a game zone 20, and a pitching zone 30.

안전 구역(10)은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동안 대기자가 안전하게 자기 순서를 기다릴 수 있는 구역이다. 대기자의 편안한 대기를 위해, 안전 구역(10)에는 티테이블 또는 소파 등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가구가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zone 10 is a zone where waiters can safely wait for their turn while screen baseball is in progress. For the comfortable waiting of the waiter, the safety zone 10 may be provided with furniture for sitting and relaxing, such as a tea table or sofa.

안전 구역(10)에는 안전망(12), 출입문(12a) 및 단말기(16)가 위치된다. 안전 구역(10)과 게임 구역(20)은 안전망(12)으로 구분된다. In the safety zone 10, a safety net 12, a door 12a and a terminal 16 are located. The safety zone 10 and the game zone 20 are divided into a safety net 12.

안전망(12)은 게임 구역(20)에서 토출되는 공 또는 물체를 차단하여 안전 구역(10)에서 대기하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게 한다. 안전망(12)은 후술될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 또는 게임 구역(20)에서 사용자가 놓친 야구 배트 등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망 등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ty net 12 blocks the balls or objects discharged from the game zone 20 so that a user waiting in the safety zone 10 can safely wait. The safety net 1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such as a wire mesh so as to prevent a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to be described later or a baseball bat missed by the user in the game zone 20.

안전망(12)에는 출입문(12a)이 형성된다. 대기자는 출입문(12a)을 통해 게임 구역(20)에 진입할 수 있다. 출입문(12a)은 안전망(12)의 일부를 형성하므로 안전망(12)과 동일하게 철망 등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12a is formed in the safety net 12. The waiter may enter the game zone 20 through the door 12a. Since the entrance door 12a forms a part of the safety net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rance door 12a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such as a wire mesh.

단말기(16)는 안전 구역(10)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사용자 또는 운영자는 단말기(16)를 통해 스크린 야구의 진행 방식을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16)를 통해 야구의 회 수, 사용자 수 등 스크린 야구의 일반적인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The terminal 16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afety zone 10. The user or operator can operate the screen baseball through the terminal 16. Specifically, the user may set the general matters of the screen baseball, such as the number of baseball, the number of users through the terminal 16.

단말기(16)는 안전 구역(10)에서 대기하며 스크린 야구를 관람하는 대기자의 시선을 가로막지 않도록 안전 구역(10)의 벽 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단말기(16)는 스크린 야구 경기장 밖의 운영 구역(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16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wall side of the safety zone 10 so as not to obstruct the line of sight of the waiter watching the screen baseball while waiting in the safety zone 10. Alternatively, terminal 16 may be provided in an operating area (not shown) outside the screen baseball stadium.

게임 구역(20)은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구역이다. 안전 구역(10)에서 대기하던 사용자는 출입문(12a)을 통해 게임 구역(20)으로 진입할 수 있다.The game zone 20 is a zone where screen baseball is played. The user waiting in the safety zone 10 may enter the game zone 20 through the door 12a.

게임 구역(20)에는 토출 신호 장치(22), 스크린(24), 스크린 홀(24a), 센서(26a, 26b), 야구공 수집부(28) 및 영상부(14)가 위치된다.In the game zone 20, 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the screen 24, the screen hole 24a, the sensors 26a and 26b, the baseball collecting unit 28 and the image unit 14 are located.

토출 신호 장치(22)는 피칭 머신(32)에서 공이 토출되도록 사용자가 토출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토출 신호 장치(22)를 발로 밟아 토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토출 신호 장치(22)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토출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is a device in which a user inputs a discharge signal so that a ball is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The user can step on 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to input the discharge signal. Alternatively, 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may be formed by a user pressing a hand to input the discharge signal.

사용자가 토출 신호 장치(22)에 토출 신호를 입력하면, 토출 신호가 피칭 머신(32)에 전달되어 공이 토출된다. 토출 신호가 피칭 머신(32)에 전달되어 공이 토출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user inputs a discharge signal to 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the dischar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to discharge the bal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in which the dischar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to discharge the ball will be omitted.

스크린(24)은 후술될 영상부(14)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가 투사되는 부분이다. 스크린(24)은 후술될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후 스크린(24)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히 강하면서도, 동시에 연질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reen 24 is a portion where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mage unit 14 to be described later is projected. The screen 2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sufficiently strong and sof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hit by the user and not damaged even when the screen 24 is impacted.

스크린(24)의 중앙에는 스크린 홀(24a)이 형성된다. 스크린 홀(24a)은 구멍으로 형성되며, 스크린(24)의 후측에 위치된 후술될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이 스크린(24)을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크린 홀(24a)의 직경은 토출된 공의 진로가 방해받지 않도록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reen hole 24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24. The screen hole 24a is formed as a hole, and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creen 24 can pass through the screen 24. The diameter of the screen hole 24a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so that the path of the discharged ball is not disturbed.

센서(26a, 26b)는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후, 공의 위치와 속도를 감지한다. The sensors 26a and 26b sense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ball after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is hit by the user.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26a, 26b)는 게임 구역(20)의 중앙으로부터 토출 신호 장치(22)에 인접하게 바닥에 위치된 막대 형상의 센서(26a) 및 스크린(24)의 상측에 위치된 카메라 형상의 센서(26b)로 구비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nsors 26a, 26b are located above the screen 24 and the rod-shaped sensor 26a located at the bottom adjacent to 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from the center of the game zone 20. Camera-shaped sensor 26b.

센서(26a, 26b)는 사용자가 타격한 공의 위치와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의 센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개수 및 위치에도 제한이 없다. The sensors 26a and 26b may be formed of any type of sensor as long as the user can sense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ball hit by the user, and the number and location are not limited.

야구공 수집부(28)는 사용자에게 타격된 공이 수집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야구공 수집부(28)는 주변 바닥보다 약간 하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타격된 공은 스크린(24)에 충돌한 후 굴러서 야구공 수집부(28)를 통해 게임 구역(20)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The baseball collecting unit 28 is a portion where the ball hit by the user is collected. For this purpose, the baseball collecting unit 28 is formed to be recessed slightly below the surrounding bottom. Thus, the ball hit by the user may hit the screen 24 and roll out of the game zone 20 through the baseball collector 28.

영상부(14)는 스크린(24)에 투사되는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영상부(14)는 게임 구역(20)에 진입한 사용자에 의해 영상 정보가 가려지지 않도록 충분히 높게 안전망(12) 상측에 위치된다. The image unit 14 is a portion in which image information projected on the screen 24 is output. The imaging unit 14 is located above the safety net 12 high enough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not obscured by the user entering the game zone 20.

영상부(14)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야구 경기에서 타석에 진입한 타자의 시점으로 스크린 야구를 진행할 수 있다.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mage unit 14, the user can proceed to the screen baseball to the time of the batter enters the bat at the actual baseball game.

또한, 스크린 야구가 피칭 모드(투수 모드)로 진행될 경우, 사용자는 실제 야구 경기에서 마운드에 위치한 투수의 시점으로 스크린 야구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screen baseball proceeds to the pitching mode (pitcher mode), the user can proceed to the screen baseball to the pitcher's point of view in the mound in the actual baseball g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피칭 구역(30)은 스크린(24)의 후측에 형성되며, 공이 토출되는 피칭 머신(32)이 위치되는 구역이다. 피칭 구역(30)과 게임 구역(20)은 스크린(24)에 의해 구획된다.The pitching zone 30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screen 24 and is the zone where the pitching machine 32 through which the ball is discharged is located. Pitching zone 30 and game zone 20 are partitioned by screen 24.

피칭 머신(32)은 피칭 구역(30)의 중앙에 위치하며, 실제 투수가 공을 피칭하듯이 공을 토출한다. 사용자가 토출 신호 장치(22)에 토출 신호를 입력하면, 토출 신호가 피칭 머신(32)에 전달되어 공이 토출된다.The pitching machine 32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itching zone 30 and discharges the ball as if the actual pitcher pitched the ball. When the user inputs a discharge signal to the discharge signal device 22, the dischar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to discharge the ball.

피칭 머신(32)은 공을 토출하기 위해 어떤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피칭 머신(32)의 토출구의 직경은 공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되, 스크린(24)에 형성된 스크린 홀(24a)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tching machine 32 may be formed in any structure for discharging balls. However,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pitching machine 32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it is preferably formed below the diameter of the screen hole 24a formed in the screen 24.

피칭 머신(32)은 회전 가능한 휠 구조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휠 구조체(미도시)의 회전 속도의 변경에 의해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구속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휠 구조체(미도시)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변경에 의해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로케이션이 변경될 수 있다.Pitching machine 32 may include a rotatable wheel structure (not shown). The restraint of the balls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structure (not shown).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wheel structure (not shown) and the ground.

피칭 머신(32)이 회전 가능한 휠 구조체(미도시)를 두 개 이상 포함할 경우, 상술한 공의 구속 및 로케이션 외에도 공의 구질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즉, 각 휠 구조체(미도시)의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변경되어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구질이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pitching machine 32 includes two or more rotatable wheel structures (not shown), the pitch of the ball may also be changed in addition to the restraint and location of the ball described above. That is, any one or more of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of each wheel structure (not shown) may be changed differently so that the pitch of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may be changed.

또한, 도시된 실시 예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후술될 공 이송 장치(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 이송 장치(34)는 피칭 머신(32)에 인접하도록 피칭 구역(3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may include a ball transfer device 34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ball transfer device 34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pitching zone 30 to be adjacent to the pitching machine 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2. 공 이송 장치(34)의 설명2. Description of Ball Feeding Device 34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이송 장치(34)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상측",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Hereinafter, the ball transfer device 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ront", "rear", "left", "right", "upper", and "lower" will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coordinate system shown in FIG.

공 이송 장치(34)는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을 공급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 이송 장치(34)는 본체(100), 공 유입부(200), 공 파지부(300), 궤도 순환부(400), 공 배출부(500), 동력부(6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The ball transfer device 34 supplies a ball discharged from the pitching machine 32. 2 to 4, the ball transfer device 34 includes a main body 100, a ball inlet 200, a ball gripping unit 300, an orbital circulation unit 400, a ball discharge unit 500, and a power source. The unit 600 and the control unit 800 are included.

(1) 본체(100)의 설명(1) Description of the main body 100

본체(100)는 공 이송 장치(34)의 외형을 형성하며, 후술될 공 파지부(300), 궤도 순환부(400) 및 동력부(600)가 수용된다. 본체(100)에는 공 유입부(200) 및 공 배출부(500)가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체(100)의 일 측면(130)에는 제어부(800)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100 forms an external shape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and accommodates the ball gripping part 300,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and the power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ball inlet 200 and the ball outlet 500 is connected to the body 100 so that the ball can communica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is formed on one side 130 of the main body 100.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체(100)는 전면(110), 후면(120), 양 측면(130), 저면(140) 및 상면(150)을 포함하는 직육각형으로 형성되나, 본체(1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a front surface 110, a rear surface 120, both side surfaces 130, a bottom surface 140, and an upper surface 150, but is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전면(110)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전면 커버부(112)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면(110)을 개방하지 않고도 본체(100) 내부의 궤도 순환부(400)의 작동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110 has a front cover portion 112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operates inside the main body 100 without opening the front surface 110.

후면(120)에는 본체(100)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면 커버부(122)가 형성된다. 공 이송 장치(34) 내부 정비가 요구될 경우, 후면 커버부(122)를 개방하여 공 이송 장치(34)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The rear cover 120 is formed with a rear cover part 122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When the internal maintenance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is required, the rear cover 122 may be opened to access the inside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측면(130)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측면 커버부(132)가 존재한다. 따라서, 측면(130)을 개방하지 않고도 본체(100) 내부의 궤도 순환부(400)의 작동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side surface 130 has a side cover portion 132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inside the main body 100 operates without opening the side surface 130.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130)의 일 측에는 후술될 공 유입부(200)가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 유입부(200)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ll inle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ide 130 so as to communicate the ball. The position of the ball inlet 200 is changeable.

또한, 측면(130)의 일 측에는 후술될 제어부(800)가 형성되며, 제어부(800)의 위치 또한 변경 가능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ide 130 is formed with a controller 800 to be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800 can also be changed.

저면(140)은 저면 개구부(142), 저면 공간부(144), 지지부(146)를 포함한다.The bottom 140 includes a bottom opening 142, a bottom space 144, and a support 146.

저면 개구부(142)는 후술될 바와 같이, 공 파지부(300) 등에서 이탈하여 낙하한 공들이 공 이송 장치(34) 의 내측 하부에 쌓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bottom opening 142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alls dropped out of the ball holding part 300 and the lik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accumulat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저면 공간부(144)는 저면 개구부(142)를 통해 배출되는 공이 공 이송 장치(3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저면 공간부(144)는 지면과 공 이송 장치(34)의 저면(140) 사이의 공간이다. 저면 공간부(144)는 공이 배출될 수 있도록, 공의 직경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space portion 144 forms a space through which the ball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pening 14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In other words, the bottom space 144 is a spa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bottom 140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so that the ball can be discharged.

지지부(146)는 공 이송 장치(34)를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146)는 좌우로 길게 저면(14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형성된다. 지지부(146)가 공 이송 장치(34)를 지지함으로써, 저면 공간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146 supports the ball transfer device 3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146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ttom face 140 to the left and right. As the support 146 supports the ball transfer device 34,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may be formed.

상면(150)은 후술할 공 파지부(300)가 통과할 수 있는 상면 개구부(152)를 포함한다.The upper surface 150 includes an upper surface opening 152 through which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상면(150)의 일 측에는 후술될 공 배출부(500)가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150, the ball discharge portion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ball communica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2) 공 (2) balls 유입부(200)의Of inlet 200 설명 Explanation

공 유입부(200)는 공 이송 장치(34)를 거쳐 피칭 머신(32)에 공급될 공이 공급되는 통로이다. 이를 위해, 공 유입부(200)는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ball inlet 20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all to be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is supplied via the ball transfer device 34. To this end, the ball inlet 200 is connected to the ball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100).

공 유입부(200)는 공급 장치 연결부(210), 공 유입부 몸체(220) 및 본체 연결부(230)를 포함한다.The ball inlet 200 includes a supply device connection 210, a ball inlet body 220 and a body connection 230.

공급 장치 연결부(210)는 공 이송 장치(34)와 연결된 별도의 공 공급 장치(미도시)에서 공이 공급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공급 장치 연결부(210)는 공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공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device connection portion 210 forms an inlet through which the ball is supplied in a separate ball supply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ball transport device 34. The supply device connection portion 210 is formed as a space through which the ball can pass, and may have various shapes, bu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all.

공 유입부 몸체(220)는 공급 장치 연결부(210)에서 유입된 공이 본체(100) 내부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공 유입부 몸체(220)는 상측 및 양 측에 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공이 이동할 때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ball inlet body 220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all introduced from the supply device connection 210 is moved into the body 100. Ball inlet body 220 includes a guide formed in the upper side and both sides to prevent the ball from moving out when moving.

유입된 공이 후술될 본체 연결부(230)를 향해 별도의 외력 없이도 자연스럽게 굴러갈 수 있도록, 공 유입부 몸체(220)는 어느 정도 경사를 형성하며 본체(10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The ball inlet body 220 is preferably inclined to some extent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introduced ball can naturally roll toward the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without a separate external force.

본체 연결부(230)는 공 유입부(200)와 본체(100)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체 연결부(230)는 공이 소통 가능하도록 본체(100)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 연결부(230)에는 후술될 공 파지부(300)가 통과하면서, 공 유입부(200)의 공들이 하나씩 공 파지부(300)에 수용되어 후술될 공 배출부(500)로 이동된다.Body connection portion 230 is a portion in which the ball inlet 200 and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Body connecting portion 230 forms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body 100 so that the ball can communicate. As the ball hold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part 230, the balls of the ball inlet part 200 are accommodated in the ball holding part 300 one by one and moved to the ball discharge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본체 연결부(230)에는 유입 돌출부(232)가 형성된다(도 6 참조). 후술될 바와 같이, 유입 돌출부(232)는 공 파지부(300)의 전방 개구부(314)에 맞추어진다. An inflow protrusion 232 is formed in the body connection portion 230 (see FIG. 6).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let protrusion 232 is fitted to the front opening 314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유입 돌출부(232)는 공 유입부(200)로부터 후술될 궤도 순환부(400)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공 파지부(300)가 지나가지 않을 때에도 유입 돌출부(232)에 의해 공의 임의 낙하가 방지될 수 있다.The inflow protrusion 232 may be formed to reach the orbital circul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ball inlet 200. That is, even whe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does not pass, the inflow protrusion 232 may prevent any drop of the ball.

따라서, 공 유입부(200)의 공은 유입 돌출부(232)에 의해 본체 연결부(2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공 파지부(300)에 수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ball of the ball inlet 20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230 by the inlet protrusion 232,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3) 공 (3) balls 파지부(300)의Grip part 300 설명 Explana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공 파지부(300)는 공 유입부(200)에서 공급된 공을 후술될 공 배출부(500)에 이동시키기 위해 공을 수용한다.5 to 7, the ball gripping unit 300 accommodates the ball to move the ball supplied from the ball inlet 200 to the ball dischar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공 파지부(300)는 전방 측부(310), 후방 측부(320), 측부(330), 하측부(340) 및 상측부(350)를 포함한다.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ncludes a front side 310, a rear side 320, a side 330, a lower side 340, and an upper side 350.

전방 측부(310)는 전방 펜스부(312) 및 전방 개구부(314)를 포함한다.The front side 310 includes a front fence portion 312 and a front opening 314.

전방 펜스부(312)는 공 파지부(300)의 하측부(340)로부터 상측부(35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방 펜스부(312)는 공 파지부(300)에 수용된 공이 공 파지부(300)의 전방 측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ront fence portion 3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34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toward the upper portion 350. The front fence part 312 prevents the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gripping part 300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to the front side of the ball gripping part 300.

전방 개구부(314)는 공 파지부(300)의 전방 펜스부(3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공 파지부(300)는 공 유입부(200)의 본체 연결부(230)를 통과하며 공을 공급받는다. 이 때, 전방 개구부(314)는 공 파지부(300)가 유입 돌출부(232)를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front opening 314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fence portion 312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passes through the body connection portion 230 of the ball inlet 200 receives the ball. At this time, the front opening 314 forms a space through which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can pass through the inflow protrusion 232.

후방 측부(320)는 후술될 궤도 순환부(400)에 연결된다. The rear side 320 is connected to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측부(330)에는 측면 펜스부(320)가 형성되어, 공 파지부(300)에 수용된 공이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Side fence portion 320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330, to prevent the ball receiv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to be separated to the side.

하측부(340)에는 하측 개구부(344)가 형성된다. 하측 개구부(344)는 전방 개구부(314)에 연장되어, 공 파지부(300)가 유입 돌출부(232)를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lower opening 34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340. The lower opening 344 extends to the front opening 314 to provide a space for the empty gripping portion 300 to pass through the inflow protrusion 232.

상측부(350)는 후술될 공 배출부(500)로 공이 이탈될 수 있도록 개구부로 형성된다.The upper portion 350 is formed as an opening so that the ball can be separated to the ball discharge portion 500 to be described later.

공 파지부(300)는 후술될 궤도 순환부(400)에 연결되어, 궤도 순환부(400)의 움직임에 따라 공 유입부(200)에서 공 배출부(500)까지 공을 운반한다.The ball gripp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ransports the ball from the ball inlet 200 to the ball discharge unit 5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4) 궤도 (4) orbit 순환부(400)의Of the circulation unit 400 설명 Explanation

궤도 순환부(400)는 공 유입부(200)에서 공급된 공이 공 파지부(300)에 수용되면, 공 파지부(300)를 공 배출부(500)까지 이동시킨다.When the ball supplied from the ball inlet part 200 is accommodated in the ball grip part 300, the track circulation part 400 moves the ball grip part 300 to the ball discharge part 500.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 유입부(200)는 본체(100)의 하측에 형성되고, 공 배출부(500)는 본체의 상측에 형성된다. 공 유입부(200) 및 공 배출부(500)의 위치에 따라 궤도 순환부(400)는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을 왕복하도록 형성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ll inlet 2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the ball outlet 5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The orbital circulation part 400 is formed to reciprocat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ball inlet 200 and the ball outlet 500.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궤도 순환부(400)는 체인 형태의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구비된다. 궤도 순환부(40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해진 구간을 왕복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is provided as a conveyor system in the form of a chain. The shape of the orbital circulation unit 4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for reciprocating a predetermined section.

궤도 순환부(400)에는 공 파지부(300)의 후방 측부(32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rear side portion 32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rack circulation portion 400.

(5) 공 (5) balls 배출부(500)의Discharge part 500 설명 Explanation

공 배출부(500)는 공 유입부(200)에서 공급된 공이 공 파지부(300)에 수용되어 궤도 순환부(400)에 의해 운반된 후, 피칭 머신(32)에 공급되기 위해 배출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공 배출부(500)는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ball discharge part 500 is a part which is discharged to be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after the ball supplied from the ball inlet 200 is accommodat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s transported by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to be. To this end, the ball discharge portion 500 is connected to the ball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100).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공 배출부(500)는 본체(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공 배출부(50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피칭 머신(32)에 공을 공급할 수 있다면 어떤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8 to 10, the ball discharge unit 500 is located above the main body 100, and the position of the ball discharge unit 500 is not limited thereto, provided that the ball can be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It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공 배출부(500)는 배출 개구부(510), 배출 펜스부(520), 배출구(530)를 포함한다.The ball discharge part 500 includes a discharge opening part 510, a discharge fence part 520, and a discharge hole 530.

배출 개구부(510)는 공 파지부(300)에 수용되어 궤도 순환부(400)를 통해 이동된 공이 공 배출부(500)에 유입되는 공간이다. 공 파지부(300)는 배출 개구부(510)를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 파지부(300)에 형성된 전방 개구부(314) 및 하측 개구부(344)가 배출 개구부(510)에 형성된 배출 돌출부(514)를 통과하게 된다.The discharge opening 510 is a space accommodated in the ball holding part 300 and the ball moved through the orbital circulation part 400 flows into the ball discharge part 500.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510. More specifically, the front opening 314 and the lower opening 344 form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pass through the discharge protrusion 514 formed in the discharge opening 510.

배출 펜스부(520)는 배출 개구부(510)의 상측 일 면을 형성하여 공 배출부(500)로 유입된 공이 공 배출부(5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야구공의 경우 탄성이 크기 때문에 공 파지부(300)에서 공급된 공이 배출 개구부(510)의 바닥 면과 충돌한 후 공 배출부(50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The discharge fence part 520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opening 510 to prevent the ball introduced into the ball discharge part 500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ball discharge part 500. In detail, in the case of a baseball ball, the ball supplied from the ball gripping part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all discharge part 500 after collid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opening part 510.

이 때 배출 펜스부(520)는 공이 튀어나가는 위치에 설치되어, 공이 배출 펜스부(520)와 충돌한 후, 배출 개구부(510)로 다시 돌아갈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fence unit 52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ball is protruding, so that the ball collides with the discharge fence unit 520, and then can return to the discharge opening 510 again.

배출구(530)는 공 배출부(500)에 공급된 공이 피칭 머신(32)에 공급되기 위해 배출되는 부분이다. 배출구(530)와 피칭 머신(32) 사이에는 공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별도의 이동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The outlet 530 is a portion where the ball supplied to the ball outlet 500 is discharged to be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A separate moving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let 530 and the pitching machine 32 to form a path of movement of the ball.

배출 개구부(510)에 유입된 공이 배출구(530)를 향해 별도의 외력 없이도 자연스럽게 굴러갈 수 있도록, 공 배출부(500)는 어느 정도 경사를 형성하며 본체(10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The ball outlet 500 is preferably inclined to some extent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ball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opening 510 may naturally roll toward the outlet 530 without a separate external force.

(6) 동력부(600)의 설명(6) Description of the power unit 60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측에는 동력부(600)가 구비되어, 궤도 순환부(400)가 순환할 수 있는 동력을 공급한다. 동력부(600)는 모터(610), 풀리(620), 벨트(630)를 포함한다.11 and 12, the power unit 600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00, and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supplies power capable of circulating. The power unit 600 includes a motor 610, a pulley 620, and a belt 630.

모터(610)는 궤도 순환부(400)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공급한다. 모터(6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후술할 제어부(800)에 의해 인가된다. The motor 610 supplies power to the orbital circulation unit 400 to rotate. Power for driving the motor 610 is applied by the controller 800 to be described later.

풀리(620)는 궤도 순환부(400)에 연결되어, 모터(610)로부터 공급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궤도 순환부(400)를 회전시킨다.The pulley 620 is connected to the orbital circulation 400, and rotates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otor 610 to rotate the orbital circulation 400.

벨트(630)는 모터(610)에 의해 공급된 동력을 풀리(620)에 전달한다.The belt 630 transmits the power supplied by the motor 610 to the pulley 620.

동력부(600)는 상술한 구성 외에도, 동력을 생산하고 이를 궤도 순환부(400)에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ower unit 600 may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capable of producing power and supplying it to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7) 제어부(800)의 설명(7) Description of the Control Part 800

제어부(800)는 공 이송 장치(34)의 동력 등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800)는 본체(100)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제어부(80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troller 800 controls various matters such as power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The controller 8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800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800)는 모터(6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0 may apply or block power for driving the motor 610.

또한, 제어부(800)는 모터(6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궤도 순환부(4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공 이송 장치(34)로부터 피칭 머신(32)에 공이 공급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00 may control the speed at which the ball is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from the ball transfer device 34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orbital circulation unit 400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610. have.

3. 경사 부재(700)의 설명3. Description of the inclined member 7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이송 장치(34)는 본체(100) 내부에 임의로 낙하된 공을 배출하기 위한 경사 부재(700)를 더 포함한다.Ball transfer device 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member 700 for discharging the ball dropped arbitrarily inside the main body 100.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 부재(7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clined member 7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경사 부재(700)는 본체(100)의 저면 공간부(144)에 위치하며, 경사면 부재(710), 승강 부재(720), 받침 부재(730)를 포함한다.The inclined member 700 is positioned in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of the main body 100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member 710, a lifting member 720, and a support member 730.

경사면 부재(710)는 본체(100)의 저면 개구부(142)를 통해 배출된 공(공 파지부(300) 등에서 임의로 이탈된 공)이 굴러 내려갈 수 있는 면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경사면 부재(710)는 면으로 형성된다.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provides a surface through which the ball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pening 142 of the main body 100 (the ball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etc.) may roll d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is formed in a plane.

다른 실시 예에서, 경사면 부재(710)는 복수의 막대 부재로 형성되어 공이 굴러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경사면 부재(7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저면 개구부(142)에서 배출된 공이 굴러 내려갈 수 있는 여타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od members to provide a space for the ball to roll down, and the shape of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opening 142. It can also be formed into other structures that allow the ball to roll down.

승강 부재(720)는 경사 부재(7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경사면 부재(7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경사 부재(7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승강 부재(720)는 경사면 부재(71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경사면 부재(71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The elevating member 720 adjusts the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by raising or lowering the inclined member 700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member 7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levating member 7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and is form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by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대안적으로, 승강 부재(720)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경사면 부재(71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elevating member 720 may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받침 부재(730)는 승강 부재(720)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된 경사면 부재(710)를 지지한다. 따라서, 승강 부재(720)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된 경사 부재(700)는 받침 부재(730)에 의해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 730 supports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whose inclination angle is adjusted by the elevating member 720. Therefore, the inclined member 700 whose inclination angle is adjusted by the elevating member 720 may maintain the inclined angle by the support member 730.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경사 부재(700)는 본체(100)와 별도로 구비되어 본체(100)의 저면 공간부(144)에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경사 부재(700)는 본체(100)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clined member 7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00 and positioned in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of the main body 100. Alternatively, the inclined member 7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100.

경사 부재(700)는 본체(100)의 저면 공간부(144) 내에서 어디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본체(100)의 저면 개구부(142)를 통해 배출된 공과 바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저면 개구부(142)의 위치에 맞추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ined member 700 may be located anywhere in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of the main body 10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bottom opening 142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ll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pening 142 of the main body 100.

4. 공 이송 장치(34)에 공이 유입된 후 배출되는 과정의 설명4.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discharged after the ball is introduced into the ball transfer device (34)

(1) 별도의 임의 이탈이 없는 경우의 설명(1) Explanation when there is no separate deviation

먼저, 별도의 공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공 유입부(200)의 공급 장치 연결부(210)를 통해 공이 공급된다. 공급된 공은 공 유입부 몸체(220)를 통과하여 본체 연결부(230)를 향해 굴러간다. 이 때, 공 유입부 몸체(220)는 일정한 경사를 형성하며 본체(100)와 결합되므로,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공은 자연스럽게 굴러갈 수 있다.First, a ball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device connecting portion 210 of the ball inlet 200 from a separate ball supply device (not shown). The supplied ball passes through the ball inlet body 220 and rolls toward the body connection 230. At this time, since the ball inlet body 220 forms a constant inclination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e ball may naturally roll without applying an external force.

본체 연결부(230)에 도달한 공은 유입 돌출부(232)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The ball reaching the body connection 230 remains in the standby state without being released by the inflow protrusion 232.

궤도 순환부(400)의 이동에 의해 상측으로 공 파지부(300)가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은 공 파지부(300)의 상측부(35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공 파지부(300)에 수용된다. 또한, 전방 개구부(314) 및 하측 개구부(344)로 인해 공 파지부(300)는 유입 돌출부(232)에 걸리지 않고 계속 이동한다.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moves upward by the movement of the orbital circulation portion 4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ll is receiv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35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n addition, the front opening 314 and the lower opening 344 keep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moving without being caught by the inflow protrusion 232.

궤도 순환부(400)는 공 파지부(300)를 본체(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측풀리(410)까지 운반한다. The track circulation part 400 carries the ball gripping part 300 to the upper pulley 410 locat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상측 풀리(410)에 의해 궤도 순환부(400)의 이동 방향이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경된다.By the upper pulley 410,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is changed from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궤도 순환부(400)의 이동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공 파지부(300)는 상측 풀리(410)를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공 파지부(300)의 상측부(350)은 개구부로 형성되므로, 공 파지부(300)에 수용되어 있던 공은 공 배출부(500)로 이동된다.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rbital circulation unit 400 is changed, the ball gripping unit 300 has a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upper pulley 410.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portion 35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s formed as an opening, the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s moved to the ball discharge portion 500.

이 때, 배출 개구부(510)에 형성된 배출 돌출부(514)에 의해 공이 임의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At this time, the ball is prevented from falling arbitrarily by the discharge protrusion 514 formed in the discharge opening 510.

공이 배출된 공 파지부(300)는 궤도 순환부(400)의 이동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공 파지부(300)에는 전방 개구부(314) 및 하측 개구부(344)가 형성된 바, 공 파지부(300)는 배출 돌출부(514)에 걸리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한다.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from which the ball is discharged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ck circulation unit 400.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has a front opening portion 314 and a lower opening portion 344 formed therein, and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moves downwar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discharge protrusion 514.

배출 개구부(510)에 진입한 공이 탄성에 의해 튕길 경우를 가정하면, 양측으로 튕기는 공은 배출 개구부(510)의 측면(512)에 의해 다시 튕겨져 배출 개구부(5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측으로 튕기는 공은 배출 펜스부(520)에 의해 다시 튕겨져 배출 개구부(5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Assuming that the ball entering the discharge opening 510 is bounced by elasticity, the ball bounced to both sides is bounced back by the side 512 of the discharge opening 510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opening 510. In addition, the ball bounced upward is bounced back by the discharge fence unit 520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opening 510.

공 배출부(500)는 경사를 형성하며 본체(100)에 연결되므로, 별도의 외력 없이도 배출 개구부(510)에 유입된 공은 자연스럽게 배출구(530)를 향해 굴러가게 된다. 배출구(530)에서 배출된 공은 별도의 이동 수단(미도시)을 통해 피칭 머신(32)에 공급된다.Since the ball outlet 500 is inclined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he ball introduced into the outlet opening 510 naturally rolls toward the outlet 530 without any external force. The ball discharged from the outlet 530 is supplied to the pitching machine 32 through a separate moving means (not shown).

(2) 임의 이탈이 존재하는 경우의 설명(2) Description when random deviation exists

공 유입부(200), 공 파지부(300) 및 공 배출부(500)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은 공의 이동 경로 및 각 구성의 작동은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 공 유입부(200), 공 파지부(300) 및 공 배출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공이 임의 이탈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movement paths of the balls and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at are not randomly separated from the ball inlet part 200, the ball gripping part 300, and the ball outlet part 500 are as described in (1).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ball is randomly separate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ball inlet part 200, the ball gripping part 300, and the ball discharge part 500.

이탈된 공은 자유 낙하하여 본체(100)의 저면(140)에 모이게 된다. 저면(140)에는 저면 개구부(142)가 형성되므로, 공은 저면 개구부(142)를 통해 본체(100)에서 빠져 나가게 된다. 이를 위해, 저면(140)은 저면 개구부(14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opped ball is free fall and collects on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main body 100. Since the bottom opening 14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40, the ball exits from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bottom opening 142. To this end, the bottom surface 14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opening 142.

저면 개구부(142)를 통과한 공은 저면 공간부(144)에 위치하는 경사 부재(700)에 이르게 된다. 경사 부재(700)의 경사면 부재(710)를 따라 굴러 내려간 공은 저면 공간부(144)의 외부로 굴러 나가게 된다.The ball passing through the bottom opening 142 reaches the inclined member 700 located in the bottom space 144. The ball rolled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member 710 of the inclined member 700 is rolled out of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따라서, 별도의 장치나 외력의 작용 없이도 공 유입부(200), 공 파지부(300) 및 공 배출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임의 이탈된 공이 자연스럽게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므로, 임의 이탈된 공에 의한 공 이송 장치(34)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ll randomly separate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ball inlet part 200, the ball gripping part 300, and the ball outlet part 500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without the action of a separate device or external force. Malfunction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due to the separated ball can be prevented.

또한, 낙하한 공들은 자연스럽게 공 이송 장치(34)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낙하한 공을 회수하기 위해 공 이송 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스크린 야구 진행의 중단 없이도 공을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pped balls ar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ball transfer device 34, it is not necessary to stop the ball transfer device to retrieve the dropped ball can recover the ball without interrupting the progress of the screen baseball hav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0 : 안전 구역
12 : 안전망
12a : 출입문
14 : 영상부
16 : 단말기
20 : 게임 구역
22 : 토출 신호 장치
24 : 스크린
24a : 스크린 홀
26a, 26b : 센서
28 : 야구공 수집부
30 : 피칭 구역
32 : 피칭 머신
34 : 공 이송 장치
100 : 본체
110 : 전면
112 : 전면 커버부
120 : 후면
122 : 후면 커버부
130 : 측면
132 : 측면 커버부
140 : 저면
142 : 저면 개구부
144 : 저면 공간부
146 : 지지부
150 : 상면
152 : 상면 개구부
200 : 공 유입부
210 : 공급 장치 연결부
220 : 공 유입부 몸체
230 : 본체 연결부
232 : 유입 돌출부
300 : 공 파지부
310 : 전방 측부
312 : 전방 펜스부
314 : 전방 개구부
320 : 후방 측부
330 : 측부
332 : 측방 펜스부
340 : 하측부
344 : 하측 개구부
350 : 상측부
400 : 궤도 순환부
410 : 상측 풀리
420 : 하측 풀리
500 : 공 배출부
510 : 배출 개구부
512 : 측면
514 : 배출 돌출부
520 : 배출 펜스부
530 : 배출구
600 : 동력부
610 : 모터
620 : 풀리
630 : 벨트
700 : 경사 부재
710 : 경사면 부재
720 : 승강 부재
730 : 받침 부재
800 : 제어부
10: safe area
12: safety net
12a: door
14: video unit
16: terminal
20: game zone
22: discharge signal device
24: screen
24a: screen hole
26a, 26b: sensor
28: baseball collection
30: pitching area
32: pitching machine
34: ball feeder
100: main body
110: front
112: front cover
120: rear
122: rear cover
130: side
132: side cover
140: bottom
142: bottom opening
144: bottom space
146 support
150: upper surface
152: top opening
200: ball inlet
210: supply unit connection
220: ball inlet body
230: body connection
232: inflow protrusion
300: ball holding part
310: front side
312: front fence part
314: front opening
320: rear side
330: side
332: side fence
340: lower part
344: lower opening
350: upper side
400: orbital circulation
410: upper pulley
420: lower pulley
500: ball outlet
510: discharge opening
512: side
514: discharge protrusion
520: discharge fence unit
530: outlet
600: power unit
610: motor
620: pulley
630: Belt
700: inclined member
710: inclined surface member
720: lifting member
730 support member
800: control unit

Claims (8)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230)를 포함하는 공 유입부(200); 및
상기 본체 연결부(230)를 통과하는 공 파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는 경사 부재(700)가 위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저면(140)은 공의 직경 이상의 거리만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저면 공간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 부재(700)는 상기 저면 공간부(144)에 위치되며,
상기 저면(140)에는 저면 개구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경사 부재(700)로 공이 이동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Main body 100;
A ball inlet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all, and including a main body connecting part 23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It comprises a ball gripping portion 300 passing through the body connection portion 230,
The inclined member 700 is positioned below the main body 100,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main body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distanc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to form a bottom space portion 144,
The inclined member 700 is located in the bottom space portion 144,
A bottom opening 142 is formed in the bottom 140 to allow the ball to move from the body 100 to the inclined member 700.
Ball fee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재(700)는 승강 부재(7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부재(720)에 의한 상기 경사 부재(7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경사 부재(700)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member 700 includes a lifting member 720,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member 700 may be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inclined member 700 by the elevating member 720.
Ball fee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 파지부(300)의 전방 측부(310)에는 전방 펜스부(312)가 형성되는,
공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fence portion 31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31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Ball fee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펜스부(312)는 상기 공 파지부(300)의 하측부(340)로부터 상측부(35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인,
공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fence portion 312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350 from the lower portion 34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Ball fee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 파지부(300)의 측부(330)에는 측방 펜스부(332)가 형성되는,
공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fence portion 330 of the ball gripping portion 300 is formed with a side fence portion 332,
Ball fee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공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 파지부(300)가 통과하는 배출 개구부(510)를 포함하는 공 배출부(500); 및
상기 공 배출부(5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결합되는 배출 펜스부(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펜스부(520)는 상기 공 배출부(500)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공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ll discharge part 5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all, and including a discharge opening 510 through which the ball grip part 300 passes; And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fence unit 520 is coupl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ll discharge unit 500,
The discharge fence unit 520 forms one side of the ball discharge unit 500,
Ball feeder.
제1항에 따른 공 이송 장치(34)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으로서,
대기자가 위치하는 안전 구역(10);
상기 안전 구역(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게임 구역(20); 및
피칭 머신(32)이 위치하는 피칭 구역(3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구역(10)과 상기 게임 구역(20)은 안전망(12)으로 구획되고, 상기 게임 구역(20)과 상기 피칭 구역(30)은 스크린(24)으로 구획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A screen baseball system comprising the ball transfer device 34 according to claim 1,
A safety zone 10 in which the waiter is located;
A game zone 20 located at one side of the safety zone 10 where screen baseball is played; And
A pitching zone 30 in which the pitching machine 32 is located,
The safety zone 10 and the game zone 20 are partitioned by a safety net 12, and the game zone 20 and the pitching zone 30 are partitioned by a screen 24,
Screen baseball system.
KR1020170144729A 2017-11-01 2017-11-01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Expired - Fee Related KR1020166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29A KR102016695B1 (en) 2017-11-01 2017-11-01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29A KR102016695B1 (en) 2017-11-01 2017-11-01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67A KR20190049167A (en) 2019-05-09
KR102016695B1 true KR102016695B1 (en) 2019-09-02

Family

ID=6654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2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6695B1 (en) 2017-11-01 2017-11-01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874B1 (en) * 2020-02-03 2022-09-05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Automatic table tennis exercise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918A (en) 2002-05-24 2003-12-02 Kinki Kuresuko:Kk Ball feeding apparatus for pitching machine
JP3114187U (en) 2005-06-29 2005-09-29 イズテック株式会社 Batting machine
KR101326245B1 (en) 2012-04-23 2013-11-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raining playing tennis
KR200470337Y1 (en) * 2013-10-11 2014-01-02 구한주 Tennis Serve Trainning Device for Beginner
JP2014030682A (en) 2012-08-03 2014-02-20 Yoshio Yokoyama Golf ball transfer device
JP2014217468A (en) 2013-05-02 2014-11-20 有限会社ワタカ螺子製作所 Toss batting device
KR101709154B1 (en) * 2016-09-07 2017-02-23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Screen baseball system comprising a screen shutter
JP2017131620A (en) 2016-01-27 2017-08-03 クラウドゲート コープ.Cloudgate Corp. Ball feeding device
KR200484615Y1 (en) 2016-09-08 2017-09-29 김병진 Baseball pitching machine for reco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87Y1 (en) * 1994-02-28 1997-01-24 대우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leveling device
KR101041526B1 (en) 2008-12-24 2011-06-16 주식회사 포스코 Falling object recovery device
KR101037425B1 (en) 2009-01-30 2011-05-30 (주)옥산아이엠티 Conveying device and vertical conveyor including the same
KR101788573B1 (en) * 2014-03-19 2017-10-20 서윤만 Device and method for withdrawal golf ball
KR101632414B1 (en) * 2014-09-12 2016-06-22 (주)문우아트 Golf ball sorting machine
KR20170104095A (en) * 2016-03-04 2017-09-14 서정윤 Ball pitc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918A (en) 2002-05-24 2003-12-02 Kinki Kuresuko:Kk Ball feeding apparatus for pitching machine
JP3114187U (en) 2005-06-29 2005-09-29 イズテック株式会社 Batting machine
KR101326245B1 (en) 2012-04-23 2013-11-1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raining playing tennis
JP2014030682A (en) 2012-08-03 2014-02-20 Yoshio Yokoyama Golf ball transfer device
JP2014217468A (en) 2013-05-02 2014-11-20 有限会社ワタカ螺子製作所 Toss batting device
KR200470337Y1 (en) * 2013-10-11 2014-01-02 구한주 Tennis Serve Trainning Device for Beginner
JP2017131620A (en) 2016-01-27 2017-08-03 クラウドゲート コープ.Cloudgate Corp. Ball feeding device
KR101709154B1 (en) * 2016-09-07 2017-02-23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Screen baseball system comprising a screen shutter
KR200484615Y1 (en) 2016-09-08 2017-09-29 김병진 Baseball pitching machine for reco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67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320B2 (en) Automated batting practice device
EP3246075B1 (en) Ball game training apparatus
KR200484615Y1 (en) Baseball pitching machine for recovery device
CN1181712A (en) game device
KR101622890B1 (en) basketball practice device
KR102016695B1 (en) A ball transfer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ball dropped in the main body
KR101864393B1 (en) Entangling protection arrangement system for feeding ball of pitching machines and entangling protection arrangement method
US4974843A (en)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KR102498644B1 (en) Unmanned robotic system for tennis lessons and practice
CN107226319A (en) A kind of grain transporter for being convenient for the adjustment of grain feeding position
CN106239138A (en) A kind of Automated assembly device
KR102025395B1 (en) A ball trans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31569B1 (en) a game machine
CN108820279A (en) A kind of fruit grade choosing and case weighing device and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KR102014310B1 (en) Ball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ment that prevent of pinching for hard-bal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012231B2 (en) Pachinko Island
KR200497193Y1 (en) Grain separator for pet food
JP2008212876A (en) Vegetables sorting apparatus
JP3873143B2 (en) Ball polishing equipment for pachinko machines
US20250032878A1 (en) Ball Return System
KR102355087B1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JP2020062630A (en) Rice polishing equipment
KR102014311B1 (en) Ball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ment that prevent of pinching for soft-bal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234874B2 (en) rice milling equipment
KR20240173000A (en) Ping pong ball recovery apparatus and unmanned ping po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