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6347B1 -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347B1
KR102016347B1 KR1020130021489A KR20130021489A KR102016347B1 KR 102016347 B1 KR102016347 B1 KR 102016347B1 KR 1020130021489 A KR1020130021489 A KR 1020130021489A KR 20130021489 A KR20130021489 A KR 20130021489A KR 102016347 B1 KR102016347 B1 KR 10201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server
wfd
upnp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648A (ko
Inventor
맹제영
박성진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752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57145B1/en
Priority to US14/178,872 priority patent/US9832271B2/en
Priority to JP2015556877A priority patent/JP6356155B2/ja
Priority to PCT/KR2014/001136 priority patent/WO2014126378A1/en
Priority to CN201480008500.8A priority patent/CN105009674B/zh
Publication of KR201401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모바일 폰을 조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연결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디커버리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디바이스 디커버리 과정 중, 상대방 측에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관련 모듈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은,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교환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근거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CLIENT AND SERVER}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였던 엔진, 축, 바퀴 등의 기계적인 장치들 뿐만 아니라 IT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들을 세밀하게 제어하는 차내 전자장치들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기 및 전자장비의 수와 복잡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 전장분야에서도 특히 헤드 유닛은 가장 중요한 장치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헤드 유닛은 주로 차량의 앞좌석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차내 에어컨, 히터 등의 온도조절장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후방카메라 디스플레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통합된 종합제어 장치이다.
최근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상기 헤드 유닛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사용자 핸들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넓은 의미에서 이 또한 헤드 유닛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운전을 시작하기 전, 운전 중, 운전을 끝내는 시점에 이르기까지 헤드 유닛을 통해 다양한 차내 장치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러한 헤드 유닛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쉽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간소하며 직관적이다.
최근에 급격하게 확산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은 이와 양상이 다르다. 스마트폰은 사용자 UI를 눈으로 확인하고, 손을 사용하여 조작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눈으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 또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조작이 가능하나, 차량 운전 중에 스마트폰을 조작하게 될 경우에는 운전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모바일 폰을 조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연결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디커버리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디바이스 디커버리 과정 중, 상대방 측에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관련 모듈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은,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교환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근거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모바일 폰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WFD를 자동차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WFD를 자동차 환경에 적용할 때 연결시간 및 소요되는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WFD(Wi-Fi Direct)의 구조도;
도 2는 WFD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WFD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WFD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WFD Sink Device 및 WFD Source Device간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WFD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 기재될 휴대폰, 모바일 폰, 스마트 폰은 휴대 가능한 폰이고, wi-fi, 3G, LTE 등으로 접속 가능한 폰이고, 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는 폰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휴대폰, 모바일 폰, 스마트 폰을 혼용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 중에 안전하게 모바일 폰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운전 중의 안전을 위해 특화된 UI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을 사용하여 휴대폰을 조작하는 것이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사용과, 운전자의 안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유닛과 휴대폰간 네트워크 연결(예컨대, 유선, 무선)를 제공하고, 휴대폰의 기능을 헤드 유닛을 통해 제어하며, 휴대폰의 UI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미러링(Mirroring)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WFD(Wi-Fi Direct)의 구조도이다.
WFD는 WFD Source(100)와 WFD Sink Device(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WFD Source Device(100)의 Display에서 보여지는 화면과, 재생되는 audio content를 실시간으로 WFD Sink device(120)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예컨대 WFD Source Device(100)를 휴대폰으로, WFD Sink Device(120)를 TV로 가정할 경우에, 휴대폰을 통해 보고 있던 UI 또는 영화를 TV와 같은 대화면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WFD Source Device(100) 또는 WFD Sink Device(120)를 통하여 UI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WFD Sink Device(120)를 통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은 WFD Sink Device(120)에서 WFD Source Device(100)로 전달된다.
도 2는 WFD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최초 WFD Device Discovery 과정(201)을 통하여, 상대방 장치에서 WFD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WFD Service Discovery(203) 과정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WFD connection Setup 과정(205)을 통하여, IP(Internet Protocol)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채널을 설정하고, 이후 WFD Capability Negotiation 과정(207)을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한다. 이후 WFD 세션을 수립한 이후에(209), WFD Sink Device(120)가 WFD Source Device(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UIBC(User Input Back Channel)을 수립한다.(211) 이후 데이터 전송시 채널 보호를 위하여 Link Content Protection 과정(213)을 거친 후에, WFD Source Device(100)의 Content를 WFD Sink Device(120)로 전송하게 된다.(215, 217)
WFD는 Source Device(100)의 Display 화면을 Sink Device(120)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이나, 주로 댁내의 휴대폰의 컨텐트를 TV와 같은 대화면 Display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자동차에 적용하기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자동차의 헤드 유닛 관련 규제에 의하여, 규제에 맞지 않은 특정 Application은 Mirroring 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2. WFD Source Device의 하드웨어로 구현된 버튼은 Display 외부에 존재하므로, WFD Sink Device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동작(e.g. Terminate application, Change application layer-foreground, background)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3. WFD Sink Device에서 WFD Source Device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공용채널이 필요한데 현재는 이러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데이터의 일 예로는 하기 <표 1>과 같다.
데이터의 일 예 내용
자동차의 Status 현재 공기압, 고장 유무 등 진단(Diagnostics 정보)
GPS 데이터 자동차의 고성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한 정보전달
4. 자동차에서 헤드 유닛을 통해 휴대폰으로 통화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WFD Sink Device에서 WFD Source Device로 음성을 보낼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한데 현재는 이러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술인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적용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UPnP 기술을 적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장벽을 제거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WFD 구조도이다.
도 3에서 임의로 WFD Sink Device(320) 및 WFD Source Device(300)로 표기하였으나, 이는 언제든지 적당한 이름으로 변경될 수 있다.(예컨대, Mirrolink Client 또는 Mirrorlink Server)
UPnP TmServer CP(322)는 WFD Sink Device(320) 내부에 존재하며, Wi-Fi Display Sink Module(324)과는 별도로 존재한다. UPnP TmServer CP(322)는 Wi-Fi Display Sink Module(324)과는 별도의 Wi-Fi P2P Connection을 사용하여, WFD Source Device(300) 내의 UPnP TmServer(302)를 발견하고 제어할 수 있다. Wi-Fi Display Sink Module(324) 및 WFD Display source Module(304)는 Wi-Fi P2P Connection(328), Wi-Fi P2P Connection(308)를 각각 사용하고, UPnP TmServer CP(322) 및 UPnP TmServer(302)는 Wi-Fi P2P Connection(326), Wi-Fi P2P Connection(306)를 각각 사용한다.
또한, WFD 모듈들(예컨대, Wi-Fi Display Sink Module(324)와 WFD Display source Module(304))과 UPnP 모듈들(예컨대, UPnP TmServer CP(322), UPnP TmServer(302))은 완벽하게 독립적인 프로세스로 동작하므로 서로 간에 어떠한 정보도 주고 받지 않는다.
UPnP TmServer CP(322)는 UPnP TmServer(302)로부터 Application List를 수신하며, 상기 Application List를 참조하여, 특정 Application을 실행 또는 중지시킬 수 있으며, Application Status(forground running or background running)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WFD Source Device(300) 내의 CDB(Common Data Bus), BT(Bluetooth) 및 기타 Local Application(310)을 실행 또는 중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WFD Sink Device(320) 내부에 있는 BT(320), CDB(330) 모듈 역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음성 및 데이터 채널을 생성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부차적으로 Local Application(310)에는 RTP Server/Client가 포함되며, UPnP TmServer CP(322)는 WFD Source Device(300) 내부의 RTP Server/Client와 WFD Sink Device(320)의 RTP Server/Client를 제어하여, BT를 사용하지 않는 Audio 채널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BT를 사용한 Audio 채널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WFD와 UPnP 각각 별도로 동작한다. 각각의 프로세스는 WFD 및 UPnP TmServer에서 정의된 동작으로 따르게 된다. 위의 동작에서 UPnP는 패킷 전송을 위하여 Wifi P2P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WFD에서 사용하고 있는 Wifi P2P의 형식과 일치하지 않아, 복수의 MAC/PHY layer를 구동하여 별도로 동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요컨대, 기존 WFD Sink Device와 WFD Source Device 내부에 UPnP TmServer를 통합하여, 기존기술의 문제점에서 제시하였던, Application Filtering 문제, 하드웨어로 구현된 버튼의 제어 불가, 데이터 및 음성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WFD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UPnP TmServer CP(522)는 WFD Sink Device(520) 내부에 존재하며, Wi-Fi Display Sink Module(524)과는 별도로 존재한다.
그러나 UPnP TmServer CP(522)는 Wi-Fi Display Sink Module(524)와는 동일한 Wi-Fi P2P Connection을 사용하여, WFD Source Device(500) 내의 UPnP TmServer(502)를 Wi-Fi Display Sink Module(524)과 Wi-Fi Display Source Module(504) 사이에서 주고받는 RTSP 메세지를 사용하여 발견한다.
발견 이후의 프로세스는 일반 UPnP 방식과 동일하다. 이렇게 UPnP 프로세스의 일부를 RTSP를 사용하여 대체할 경우에,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UPnP DA(Device Architecture)에서 정의된 Addressing 및 Discovery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UPnP에서 별도로 진행하고 있는 상기 과정들은 이미 WFD에서 수행된 과정이다. 따라서 UPnP 프로세스를 상기 프로세스로 대체함으로서 불필요한 중복을 막고, 두 장치의 연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Description 과정에서 device description을 수신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XML을 파싱하는 시간 및 프로세싱 리소스 역시, 절약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01 과정은 WFD Device를 발견하는 과정으로, WFD에서는 IE(Information Element)를 통하여, 장치의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Device 정보들이 교환된다. IE는 SE(Sub Element)들로 다시 상세하게 나누어지게 되는데, 각각의 SE들은 Subelement ID로 구분되게 된다. 예컨대, Subelement ID가 1인 경우는 WFD Device Information을 나타내게 되고, 상기 ID가 2인 경우는 WFD Audio Format 즉 WFD Device가 지원하는 audio 포맷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WFD에서는 총 11개의 Subelement ID를 기 정의하였다.
본 발명의 도 5에서는 UpnP 관련 Module들을 정의하였으며, 상기 Module들은 기존 WFD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WFD Device들은 별도의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Module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601 과정에서 상대방 장치가 상기 모듈들(e.g Upnp TmServer CP 등)을 포함하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새로운 Device Information 정보를 추가하였다. Subelement ID 의 값은 11이며, 구체적인 format은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다.
Field Size(octets) Value Description
Subelement ID 1 11 WFD 추가된 본 발명의 장치들을 나타내는 Device 정보들을 포함하는 Subelement를 나태는 Identifier
Length 2 6 이후 정보들의 길이
WFD UPnP Device Information 6 표 3에서 정의된 데이터의 값
Bits Name Interpretation
0 WFD UPnP Device type 0b0 : TmServerDevice
0b1 : TmServerDevice CP
47:1 Reserved Set to Zero
상기 정보를 주고받고, Subelement ID가 11의 값을 갖는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서, WFD Device들은 발견된 장치가, 기존 WFD Device인지, 본 발명에서 추가된 모듈들을 가지고 있는 장치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207 과정에서는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된 프로세스(613, 615, 623, 625)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 2> 및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예시를 적어 놓은 것이며, 이와 유사하게 다바이스의 특징(예컨대, 제조사, 모델명, 제조년도 등의 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 비트부터 47 비트까지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603 과정 내지 611 과정은 WFD Source Device(500)와 WFD Sink Device(520) 간의 WFD Session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203 과정 내지 211 과정의 WFD 기술 설명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611 과정을 마친 상태에서 WFD Source Device와 WFD Sink Device는 RTSP Sesison이 수립되어 있으며, UFD Sink Device의 화면을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 사용자 입력을 WFD Source Device로 전달할 수 있는 UIBC 채널 역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613 과정 이후의 해칭으로 표기된 615, 623, 625 과정은 기존 UPnP의 Service Description 송수신 및 Action Control 과정과 동일하며,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에서 정의한 Mirrorlink 표준의 TmServerDevice의 서비스를 재사용할 수 있다.
615 과정 이후의 흰색으로 표기된 617, 619, 621 과정은 도 2의 213 과정 내지 217 과정과 동일하다.
도 6에서 613 과정은 WFD Sink Device가 RTSP에서 정의된 GET_PARAMETER Method를 사용하여, WFD Source Device의 Device 정보들을 제공받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세부과정으로 따른다.
상기 프로세스를 대체하기 위하여 도 5에서 각각의 모듈들은 도 7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WFD Sink Device 및 WFD Soruce Device간 동작 흐름도이다.
UPnP TmServer CP는 701 과정에서 Wi-Fi Display Sink Module로 WFD Source Device의 Device 정보를 요청한다.
703 과정에서, 상기 요청을 받은 Wi-Fi Display Sink Module는 RTSP를 사용하여 Wi-Fi Display Source Module에게 상기 추가정보들을 요청한다.
705 과정에서 상기 요청을 받은 Wi-Fi Display Source Module은 이를 UPnP TmServer에게 재요청하고 이를 수신한다.
707 과정에서 Wi-Fi Display Source Module는 이를 RTSP 형식으로 변환한다
709 과정에서 Wi-Fi Display Source Module는 상기 변환된 정보를 RTSP response에 포함시켜 Wi-Fi Display Sink Module로 전송한다.
711 과정에서 UPnP TmServer CP는 Wi-Fi Display Sink Module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정보를 바탕으로 UPnP Control Process를 수행한다.
UPnP TmServer CP는 UPnP TmServer로부터 Application List를 수신하며, 상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특정 Application을 실행 또는 중지시킬 수 있으며, Application Status(forground running or background running)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추가정보 및 상기 정보를 RTSP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예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제시한 정보 이외에도 기존 WFD Device Discover, Service Discovery, Capability Negotiation 과정에서 제공하지 않는 Device 정보들은 상기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WFD Device들 간에 교환될 수 있다.
1. Bluetooth MAC address
WFD는 WiFi를 사용하여, WFD Source Device의 영상과 음성을 WFD Sink Device로 전송하는 기술이므로, WFD Sink Device에서 WFD Source Device로 음성이 전달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BT에서 정의된 HFP를 사용하여 음성 채널을 전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Bluetooth MAC address가 필요하며, 이를 613 과정에서 전송할 수 있다.
RTSP Blutooth MAC address data format
wfd-upnp-BT-MAC-address = 12*12HEXDIG; CRLF
2. Service list
a)SCPDURL
b)ControlURL
c)EventSubURL
RTSP Service List data format
wfd-upnp-service-list = "none" / TmApplicationServer SP TmClientProfile SP Tm NotificationServer CRLF
TmApplicationServer = "none" / SCPDURL SP ControlURL SP EnventSubURL
SCPDURL = "none" / ("http:// source-ip-address/SCPD/")
ControlURL = "none" / ("http:// source-ip-address/Control/")
EventSubURL = "none" / ("http:// source-ip-address/EventSub/")
source-ip-address = IPADDRESS
TmClientProfile = "none" / SCPDURL SP ControlURL SP EnventSubURL
TmNotificationServer = "none" / SCPDURL SP ControlURL SP EnventSubURL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환된 정보를 바탕으로, UPnP TmServer CP는 WFD Source Device 내의 UPnP TmServer를 UPnP Action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CDB, BT 및 기타 Local Application을 실행 또는 중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WFD Sink Device 내부에 있는 BT, CDP 모듈 역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음성 및 데이터 채널을 생성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부차적으로 Local Application에는 RTP Server/Client가 포함되며, UPnP TmServer CP는 WFD Source Device 내부의 RTP Server/Client와 WFD Sink Device의 RTP Server/Client를 제어하여, BT를 사용하지 않는 Audio 채널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BT를 사용한 Audio 채널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요컨대, 기존 WFD Sink Device 와 WFD Source Device내부에 UPnP TmServer를 통합하고 일부 중복 프로세스를 제거하고 신규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서, 기존기술의 문제점에서 제시하였던, Application Filtering 문제, 하드웨어로 구현된 버튼의 제어불가, 데이터 및 음성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들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613 과정을 통하여 주고 받았던 정보들을, 801 과정의 IE(Information Element) 내의 Sub Element(ID=11)의 payload를 통하여 보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본 발명에서는 제시한 정보 이외에도 기존 WFD Device Discover, Service Discovery, Capability Negotiation 과정에서 제공하지 않는 Device 정보들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제시된 방법과 같이 WFD IE 정보를 통하여 WFD Device들 간에 교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WFD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제3 실시 예와 유사하지만, 401 과정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며, 기존 WFD 프로세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UPnP 프로세스 중 SSDP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세스 역시 그대로 사용하여 기존 기술의 재사용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역시 차이를 보인다.
Adderessing, Device Discovery(SSDP), Description(Device), Description(Service)로 이어지는 UPnP DA의 과정 중에서, Device Discovery 과정을 WFD에서 제공하는 Device Discovery와 병합하여,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Device Discovery 프로세스를 제거함으로서, 전체 셋업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Wi-fi Connection setup 과정 이후에 진행되는 UPnP Device Discovery 과정의 순서를 최초의 WFD Device Discovery 과정으로 앞당겨, 사용자에게 해당 기기가 ML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903 과정~911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공지할 수 있어, 상기 903 과정~911 과정을 진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WFD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성도와 매우 유사하나 실제 동작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SSDP 정보를 WFD Device Discovery 과정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기술적인 문제점들이 있다.
첫 번째, WFD Frame에 UPnP에서 사용하는 SSDP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WFA(Wifi Association)에서는 WFD 기술의 확장을 위하여 Reserve한 Field들은 정의하였으나, 외부단체가 WFA의 승인없이 이를 임의로 사용하게 된다면, 앞으로 WFA가 WFD를 신규버전으로 업데이트할 때 충돌이 생기게 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로, WFD Frame은 Layer2에서 교환되는 정보로, 일반적으로 bit 단위로 메세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bit의 값에 따라 의미가 결정된다. 따라서 Frame의 크기가 상위 Layer Protocol(http 등)의 패킷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Frame을 주고 받는 빈도수는 빈번하다. 따라서 WFD Frame의 크기가 변경될 경우,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Operation에 상위 Layer protocol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SSDP를 통해 교환되는 메세지는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텍스트 정보들을 그대로 WFD Frame에 넣게 될 경우, 메세지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될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WFD의 Frame Format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추가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901 과정에서 주고받게 되는 ML Frame의 Format을 정의하였다. 901 과정에서 WFD Source Device와 WFD Sink Device는 서로를 발견하기 위하여 Data Frame들을 교환하게 되는데, 구체적인 Format은 IEEE 801.11 에 정의되어 있다.
Figure 112013017822626-pat00001
<표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IE Frame Format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Format은 802.11에서 정의한 Vendor specific IE(Information Element)의 Frame format을 변경한 것이다.
기존 기술에 따르면 WFA에서는 상기 Frame format에서 IEEE로부터 WFA를 위한 OUI를 할당받아, WFA를 위한 IE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며, WFD를 위하여 OUI Type을 정의하였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WFA와 WFD를 위한 Frame Format을 ML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한 용도로 확장할 경우, 일반적으로 WFD에서 정의한 Reserved Field를 사용하게 된다. 만약 WFD에서 상기 Reserved Field를 확장하게 될 경우, 상기 확장된 WFD를 따르는 제품과 본 발명에 의거하여 생산된 제품과 충돌을 일으키게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새롭게 OUI를 정의하고, 이를 IEEE로부터 할당받아, CCC와 ML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위에서 언급한 충돌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OUI Type은 ML의 버전이 업데이트 됨에 따라, 값이 달라지게 되며, 십진수로 변환 시 십의 자리는 주버전 번호를 나타내고, 즉 소수점 이전의 자리를 나타내고, 일의 자리는 보조버전 번호 즉 소수점 이후의 수를 나타내게 된다.
ML Subelements Field는 상기 IE의 subelements를 나타내는 Field이며, Subelement 별로 표현되는 데이터가 상이하며 이는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다.
Figure 112013017822626-pat00002
<표 5>는 Subelement의 Format을 나타낸 표이며, Subelement ID로 Subelement의 데이터 값을 분류하게 된다.
Figure 112013017822626-pat00003
<표 6>은 Subelement의 ID의 구체적 값과 의미를 나타낸다. 추가적인 확장을 위해 Reserved Field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7822626-pat00004
<표 7>은 Subelement의 ID의 값이 0인 경우, 즉 UPnP Device Information을 나타내는 Subelement의 Format을 나타낸 표이다. 실제 Information은 <표 8>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13017822626-pat00005
<표 8>은 UPnP Device Information Subelement의 값을 통해, UPnP DA에서 SSDP를 통해 주고받는 값을 표현한다. SSDP에서 교환하는 데이터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장치가 지원하는 Device ID 및 Service ID와, UPnP Device Description Document를 가져오기 위한 URL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제 4 실시 예에 따라 WFD Sink Device 와 WFD Source Device 간에 주고받는 메세지의 포맷을 <표 4>에서 <표 8>에서 정의하였다.
본 발명에서 901 과정이 UPnP Device Discovery 과정을 온전히 대체하기 위해서는, Device Discovery 과정으로 주고받는 Device Description Document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이 필요하다. 그러나 WFD Device Discovery 과정에서 WFD Sink Device와 WFD Source Device는 아직 IP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IP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Port 정보만을 가져온 후 이후 IP가 할당된 후에 IP와 상기 Port 정보를 결합하여 URL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SSDP를 통하여 Device 정보를 주고 받을 경우에는 상기 Discovery 정보를 수신하는 것 자체가 상대방 UPnP Device 장치가 구동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를 주고받는 주체가 UPnP TmServer Module이 아니라 WFD Sink/Source Module이므로, 반드시 정보의 교환이 UPnP TmServer 또는 UPnP TmServer CP의 동작한다는 것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927 과정에서 UPnP Module을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URL을 생성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927 과정에서는 상기 901 과정을 통해 교환한 ML UPnP Device Information을 바탕으로 도 10의 UPnP TmServer 와 TmServerCP 모듈을 구동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WFD Sink Device의 경우, 상대방 장치에서 UPnP TmServer를 제공할 경우 UPnP TmServer CP 모듈을 구동하고, WFD Source Device의 경우 상대방 장치가 UPnP TmServer CP를 구현할 경우 UPnP TmServer를 구동한다. 정책에 따라 상기 UPnP 모듈을 항시 구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항시 구동할 경우 Resource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수반한다.
927 과정은 WFD Sink Device와 WFD Source Device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WFD Sink Device의 927 과정의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1. 901 과정을 통해 상대방 WFD Source Device에 UPnP TmServer 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2. 내부적으로 WFD UPnP TmServer CP를 구동한다.
3. WFD Sink Module 또는 WFD Sind Device는 905 과정, 즉 IP를 할당받고, TCP Connection을 맺고 RTSP Session을 수립하기 위한 과정을 통해 상대방의 RTSP Server의 IP를 이미 알고 있다.
4. 상기 RTSP Server의 IP와 901과정으로 알게된 Port number 를 결합하여 다음과 같은 URL을 생성한다. "http://IP address of RTSP:Port number by 901 과정/"
5. 상기 URL를 UPnP TmServer CP에 전달한다.
6. UPnP TmServer CP는 상기 URL을 통해 Device Description을 가져오고, 이후 프로세스는 일반적인 ML의 UPnP Process와 동일하다.
WFD Source Device의 927 과정의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1. 901 과정에서 상대방 WFD Source Device에 UPnP TmServer CP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2. 내부적으로 WFD UPnP TmServer를 구동한다.
3. 이후 프로세스는 일반적인 ML의 UPnP Process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WFD를 자동차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WFD를 자동차 환경에 적용할 때 연결시간 및 소요되는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4)

  1. 서버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를 발견(discovery)하는 과정;
    상기 서버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클라이언트와 접속하는 과정; 및
    상기 접속을 통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 서비스를 나타내는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 OUI 타입, 서브엘리먼트(subelement) ID, TmApplication 서버 지원가능능력, TmClientProfile 지원가능능력, TmNotification 서버 지원가능능력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요청된 UPnP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IP(internet protocol), 상기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통해 획득된 포트 넘버, 및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중 적어도 둘을결합하여 생성되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서버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엘리먼트 ID는 미러링크 UPnP-관련 정보의 포함을 나타내는,
    서버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6.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상기 서버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IP(internet protocol)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서버와 접속하는 과정; 및
    상기 접속을 통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 서비스를 나타내는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 OUI 타입, 서브엘리먼트(subelement) ID, TmApplication 서버 지원가능능력, TmClientProfile 지원가능능력, TmNotification 서버 지원가능능력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UPnP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scription) 정보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IP(internet protocol), 상기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절차를 통해 획득된 포트 넘버, 및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중 적어도 둘을 결합하여 생성되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엘리먼트 ID는 미러링크 UPnP-관련 정보의 포함을 나타내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11. 클라이언트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의 장치로서,
    상기 서버의 장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12.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장치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장치는 청구항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이언트의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21489A 2013-02-12 2013-02-27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01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52084.5A EP2957145B1 (en) 2013-02-12 2014-02-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between client and server
US14/178,872 US9832271B2 (en) 2013-02-12 2014-02-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between client and server
JP2015556877A JP6356155B2 (ja) 2013-02-12 2014-02-12 クライアントとサーバとの間の接続方法及び装置
PCT/KR2014/001136 WO2014126378A1 (en) 2013-02-12 2014-02-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between client and server
CN201480008500.8A CN105009674B (zh) 2013-02-12 2014-02-12 用于客户端和服务器之间的连接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5070 2013-02-12
KR1020130015070 2013-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648A KR20140101648A (ko) 2014-08-20
KR102016347B1 true KR102016347B1 (ko) 2019-08-30

Family

ID=5174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89A Active KR102016347B1 (ko) 2013-02-12 2013-02-27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32271B2 (ko)
EP (1) EP2957145B1 (ko)
JP (1) JP6356155B2 (ko)
KR (1) KR102016347B1 (ko)
CN (1) CN105009674B (ko)
WO (1) WO2014126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0288A1 (en) * 2014-05-28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gnostic display for wi-fi display
US9641960B2 (en) 2014-11-12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MirrorLink with wireless serial bus
KR102281341B1 (ko) * 2015-01-26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594785B2 (en) * 2016-03-11 2020-03-17 Intel Corporation Transitioning from an infrastructure based wireless connection to a peer to peer (P2P) wireless connection
US10826820B2 (en) * 2017-05-09 2020-11-03 Cisco Technology, Inc. Routing network traffic based on DNS
CN111405042B (zh) * 2020-03-16 2022-05-10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发现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12058591B2 (en) * 2021-10-29 2024-08-06 Google Llc Automated wireless connection for operating system projection in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9806A1 (en) * 2009-12-22 201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in wi-fi direct network
WO2012115385A2 (en) * 2011-02-21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niversal plug and play service based on wi-fi direct connection in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068B2 (en) * 1999-06-1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XML-based template language for devices and services
KR100440583B1 (ko) * 2002-05-16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인터넷에 의한 댁내망의 UPnP장치 관리제어 장치및 방법
US20040073609A1 (en) * 2002-07-03 2004-04-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output system
US20040249906A1 (en) * 2003-03-19 2004-12-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tilizing DHCP protocol
KR100567824B1 (ko) * 2003-11-10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기능의 중복을 피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시스템 및 그 방법
JP4154364B2 (ja) * 2004-04-22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知方法
KR100617732B1 (ko) 2004-10-2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광고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JP4645164B2 (ja) * 2004-11-12 2011-03-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型プラグアンドプレイに対応したネットワーク装置の制御
JP4804364B2 (ja) * 2005-01-13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機器および通信機器
US7805140B2 (en) * 2005-02-18 2010-09-28 Cisco Technology, Inc. Pre-emptive roaming mechanism allowing for enhanced QoS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US20080077650A1 (en) * 2006-08-29 2008-03-27 Jared Matthew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 home networked device and a storage system
KR101478621B1 (ko) * 2008-01-15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에 다중으로 원격 접속 서비스를제공하는 UPnP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5058B1 (ko) * 2008-01-17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원격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제3의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192848A1 (en) 2008-01-30 2009-07-30 Gerald Rea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force assessment
US20090304019A1 (en) * 2008-03-03 2009-12-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multicast traffice in a upnp network
US8255497B2 (en) * 2008-11-03 2012-08-28 Lincoln Global, Inc. Method of discovery and communication with industrial equipment
KR101066451B1 (ko) * 2009-10-06 2011-09-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UPnP기반의 UPnP 컨트롤 포인트, UPnP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접속 방법
KR101732057B1 (ko) 2009-11-02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US8725855B2 (en) * 2010-06-11 2014-05-13 Schneider Electric USA, Inc. Device commissioning and replacement
JP2012038032A (ja) * 2010-08-05 2012-02-23 Sony Corp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8462734B2 (en) * 2010-10-20 2013-06-11 Nokia Corporation Wireless docking with out-of-band initiation
US20130003624A1 (en) * 2011-01-21 2013-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KR20120113642A (ko) * 2011-04-05 2012-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유닛과 모바일 장치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144094B2 (en) * 2012-10-2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US20140132504A1 (en) * 2012-11-12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9806A1 (en) * 2009-12-22 2011-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in wi-fi direct network
WO2012115385A2 (en) * 2011-02-21 201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niversal plug and play service based on wi-fi direct connection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9627A1 (en) 2014-08-14
KR20140101648A (ko) 2014-08-20
JP2016513391A (ja) 2016-05-12
CN105009674A (zh) 2015-10-28
JP6356155B2 (ja) 2018-07-11
CN105009674B (zh) 2018-11-16
EP2957145A1 (en) 2015-12-23
US9832271B2 (en) 2017-11-28
EP2957145B1 (en) 2020-06-10
EP2957145A4 (en) 2016-09-28
WO2014126378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347B1 (ko)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TWI533740B (zh) 經由點對點鏈結存取的分享網路
CN107637123B (zh) 信息传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621627B2 (en) Dynamically launching a server-based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JP6548445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85231A1 (en) Dockee-centric wireless docking
EP3550787B1 (en) Device connection method and terminal
EP2933982A1 (en) Media stream transfer method and user equipment
EP3228144A1 (en) Discovery and management of synchronous audio or video streaming service to multiple sinks in wireless display system
US20200125346A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CN111694625B (zh) 一种车盒向车机投屏的方法和设备
CN108810611A (zh) 多媒体融合终端启动过程的控制系统及方法
US20160028870A1 (e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interworking between a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the mobile terminal
JP2015026917A (ja) 通信装置
KR20120001924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주변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774464B2 (en) Automatic syncML client profile creation for new servers
KR101868153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048990A1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30178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utside network service based on advertisment viewing
KR102791343B1 (ko) 차량 내 시스템에 로그인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19011328A1 (zh) 无线接入方法和装置
CN108307534A (zh) 一种设备间建立连接的方法及装置
TW201541952A (zh) 於區域網路中設定操作權限之方法及操作權限設定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