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112B1 -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6112B1 KR102016112B1 KR1020190005412A KR20190005412A KR102016112B1 KR 102016112 B1 KR102016112 B1 KR 102016112B1 KR 1020190005412 A KR1020190005412 A KR 1020190005412A KR 20190005412 A KR20190005412 A KR 20190005412A KR 102016112 B1 KR102016112 B1 KR 102016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 terminal
- beamforming
- signal
- prior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5—Selecting relay station antenna mode, e.g. selecting omnidirectional -, directional beams, selecting polariz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 H04W72/1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포밍 경로에 존재하는 단말 유무를 고려하고, 단말의 우선 순위를 토대로 빔포밍 경로를 제어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제 1 단말기로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릴레이 AP, 및 제 1 릴레이 AP로부터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 2 단말기로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제 2 릴레이 AP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form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relays considering a terminal presence in a beamforming path and controlling the beamforming path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terminal.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lay AP connected to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a WLAN signal to a first terminal, and a WLAN signal to a second terminal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LAN signal from a first relay AP. And a second relay AP for performing the relay.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중 릴레이 환경 하에서 단말기로 최대 전송률의 무선랜 서비스를 만족하도록 릴레이 AP의 빔포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데이터 특성에 따라 단말로 송신하는 데이터의 전송률이 최대가 되도록 빔포밍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a multi-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beamforming of a relay AP to satisfy a WLAN service of a maximum data rate to a terminal in a multi-relay environm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form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relays capable of determining the form of beamforming such that the transmission rate of data transmitted to a terminal is maximized according to data characteristics to be serviced in a WLAN.
옥외에서 IEEE802.11ax 무선랜 서비스를 할 경우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빔 포밍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릴레이 노드들이 가상의 MIMO 시스템을 형성하여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음으로써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특히, 빔포밍 기법을 이용한 기법은 주파수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간섭원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협력 릴레이 빔포밍 기법은, 간섭원이 존재할 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In the case of IEEE802.11ax wireless LAN service outdoors,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performance is deteriorated, and beamforming is performed to overcome this problem.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lay nodes located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may form a virtual MIMO system to obtain a spatial diversity gain to improve frequency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technique using the beamforming technique can improve the frequency efficiency to the maximum,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 existing cooperative relay beamforming technique which does not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source has a problem in that performance is degraded when an interference source exists, and studies to improve it have been continued.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110892호에서는 간섭원이 존재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음으로써 주파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섭원의 영향을 반영해 낮은 오버헤드 및 복잡도로 구현될 수 있는 분산적 협력 릴레이 빔포밍 방법을 제시하였다. As an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10892 discloses low overheads b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an interference source to further improve frequency efficiency by obtaining a spatial diversity gai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interference source exists. A distributed cooperative relay beamforming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complexity is presented.
그러나 이 경우에도 빔포밍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대한 간섭이 고려되지 않아 단말기로 간섭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interference with the terminal existing on the beamforming path is not considered, which may cause interference with th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빔포밍 경로에 존재하는 단말 유무를 고려한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erminal existing in a beamforming path.
본 발명은 단말의 우선 순위를 토대로 빔포밍 경로를 제어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to control a beamforming path based on a priority of a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제 1 단말기로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릴레이 AP 및 제 1 릴레이 AP로부터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 2 단말기로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제 2 릴레이 AP를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a multi-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WLAN signal from a first relay AP and a first relay AP to transmit and receive a WLAN signal to a first terminal. It may include a second relay AP for performing a relay.
여기서, 제 1 릴레이 AP 또는 제 2 릴레이 AP는 무선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무선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신호 품질 측정부, 및 신호 품질을 토대로 릴레이 AP의 주파수 및 빔포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is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LAN signal,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signal qual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ransceiver, and the signal quality of the relay AP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frequency and beamforming.
또한, 신호 품질은 신호 대 잡음비, 수신 레벨, 및 채널 품질 지시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quality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a signal to noise ratio, a reception level, and a channel quality indicator.
여기서, 제어부는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빔포밍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eamforming by setting the priorit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a terminal whose signal qualit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제 1 릴레이 AP는 무선랜 신호의 수신 단말 수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빔포밍, 및 유니캐스트 빔포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lay AP may perform any one of broadcast, multicast beamforming, and unicast beamform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eiving terminals of the WLAN signal.
여기서, 제어부는 제 1 릴레이 AP가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제 1 단말기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 보다 낮은 경우 제 2 경로를 제거하지 않고,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 보다 높을 경우, 제 2 경로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when the first relay AP performs beamforming on the first terminal i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the controller does not remove the second path when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If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path may be removed.
또한, 제어부는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주파수 채널 또는 서브 밴드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requency channel or the subband by setting the priorit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a terminal whose signal qualit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여기서, 서브 밴드는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대해 주파수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subbands may be used by dividing frequencies for one frequency channel.
또한, 제어는 신호대 잡음비가 일정 값 이상인 주파수 채널 또는 서브 밴드에 대해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ay give higher priority to a frequency channel or subband whose signal-to-noise ratio is above a certain valu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은 제 1 릴레이 AP에서 제 1 단말기로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릴레이 AP 중계 단계 및 제 2 릴레이 AP에서 제 2 단말기로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제 2 릴레이 AP 중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beamforming control method for multiple relays includes a first relay AP relaying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LAN signal from a first relay AP to a first terminal, and a WLAN signal from a second relay AP to a second terminal. A second relay AP relay step of performing a relay may include.
여기서, 제 1 릴레이 AP는 무선랜 신호의 수신 단말 수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빔포밍, 및 유니캐스트 빔포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relay AP may perform any one of broadcast, multicast beamforming, and unicast beamform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eiving terminals of the WLAN signal.
또한, 제 1 릴레이 AP 또는 제 2 릴레이 AP는 무선 송수신부에서 무선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신호 품질 측정부에서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제 1 릴레이 AP 또는 제 2 릴레이 AP의 주파수 및 빔포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LAN signal in the wireless transceiver, and measures the signal quality in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during the frequency and beamforming of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At least one can be controlled.
여기서, 신호 품질은 신호 대 잡음비, 수신 레벨, 및 채널 품질 지시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ignal qual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gnal-to-noise ratio, a reception level, and a channel quality indicator.
또한, 제어는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빔포밍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ay control the beamforming by setting the priorit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a terminal whose signal qualit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여기서, 제어는 제 1 릴레이 AP가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제 1 단말기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 보다 낮은 경우 제 2 경로를 제거하지 않고,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 보다 높을 경우, 제 2 경로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does not remove the second path when the first relay AP beamforming the first terminal i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when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lower than the first terminal, If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path may be removed.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빔포밍 경로에 존재하는 단말 유무를 고려한 장점이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a multipl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a terminal exists in a beamforming path.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단말의 우선 순위를 토대로 빔포밍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beamforming path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릴레이 AP 또는 제 2 릴레이 AP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릴레이 AP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릴레이 AP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 1 릴레이 AP 또는 제 2 릴레이 AP가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과 서브 밴드를 나타낸 파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first relay AP or a second relay AP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first relay AP of FIG. 1 performs beamforming.
FIG. 4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first relay AP of FIG. 1 performs beamforming.
FIG. 5 is a waveform illustrating frequency channels and subbands used by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of FIG. 1.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amforming control method for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a multipl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 도면, 및 파형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5 are detailed block diagrams, drawings, and waveforms for explaining FIG. 1 in detail.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100)에 접속되어 제 1 단말기(400)로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릴레이 AP(200) 및 제 1 릴레이 AP(200)로부터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 2 단말기(500)로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제 2 릴레이 AP(30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a multi-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여기서, 제 1 릴레이 AP(200)는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릴레이 AP(300)로 빔포밍을 수행하며, 제 2 릴레이 AP(300)는 제 2 단말기(500) 및 제 1 릴레이 AP(200)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relay AP 200 beamforming to the
이때, 빔포밍을 위한 데이터의 우선 순위 또는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의 우선 순위에 따라 빔포밍 패턴을 최적화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amforming patter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data for beamforming or the priority of the
도 2는 도 1의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는 무선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630), 무선 송수신부(630)에서 수신한 신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신호 품질 측정부(610), 및 신호 품질을 토대로 릴레이 AP(600)의 주파수 및 빔포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신호 품질은 신호 대 잡음비, 수신 레벨, 및 채널 품질 지시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quality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a signal to noise ratio, a reception level, and a channel quality indicator.
여기서, 제어부(640)는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빔포밍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즉, 릴레이 AP(600)는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 중 어느 하나로써, 안테나(620) 및 무선 송수신부(630)를 통해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의 무선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 품질 측정부(610)에서 신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relay AP 600 is either the first relay AP 200 or the second relay AP 300. The
이때,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로 신호 품질 정보를 통보하고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가 릴레이 AP(600)로 수행 하는 빔포밍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신호 품질을 높이도록 설정함으로써, 릴레이 AP(6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신호 품질을 올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signal qual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도 3은 도 1의 제 1 릴레이 AP(200)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릴레이 AP(200)는 무선랜 신호의 수신 단말 수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빔포밍, 및 유니캐스트 빔포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3, the
즉, 무선랜 신호의 수신이 필요한 단말 수가 많을 경우 브로드캐스트로 수행하고, 단말 수가 그룹으로 묶여있을 경우 멀티캐스트 빔포밍을 수행하며, 단말 수가 하나일 경우에는 유니캐스트 빔포밍을 수행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rminals that need to receive a wireless LAN signal, broadcast is performed. If the number of terminals is grouped, multicast beamforming is performed. If there is only one terminal, unicast beamforming is performed to perform radio resource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can be obtained.
도 4는 도 1의 제 1 릴레이 AP(200)가 빔포밍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4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640)는 제 1 릴레이 AP(200)가 제 1 경로(910) 및 제 2 경로(920)로 제 1 단말기(810)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810) 보다 낮은 경우 제 2 경로(920)를 제거하지 않고,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810) 보다 높을 경우, 제 2 경로(920)를 제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즉, 제 1 단말기(810)로 송신하는 빔포밍 경로에 존재하는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를 제 1 단말기(810)와 비교하여 제 1 단말기(810)의 우선 순위가 클 경우 제 2 단말기(820)에 간섭을 주더라도 무시할 수 있으나,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810) 보다 클 경우에는 제 2 단말기(820)가 위치하는 경로로 수행하는 빔포밍을 제거하여 제 2 단말기(820)로의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riority of the
도 5는 도 1의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가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930)과 서브 밴드(940)를 나타낸 파형이다. FIG. 5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640)는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주파수 채널(930) 또는 서브 밴드(940)를 제어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5, the
여기서, 서브 밴드(940)는 하나의 주파수 채널(930)에 대해 주파수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제어는 신호대 잡음비가 일정 값 이상인 주파수 채널(930) 또는 서브 밴드(940)에 대해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ay give higher priority to the
즉, 신호 품질이 열악한 단말에 대해 신호대 잡음비가 좋은 주파수 채널(930) 또는 서브 밴드(940)를 우선 적용함으로써,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by first apply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amforming control method for multiple rel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은 제 1 릴레이 AP(200)에서 제 1 단말기(400)로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100) 및 제 2 릴레이 AP(300)에서 제 2 단말기(500)로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beamforming control method of the multiple relay is a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LAN signal from the
여기서, 제 1 릴레이 AP(200)는 무선랜 신호의 수신 단말 수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빔포밍, 및 유니캐스트 빔포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는 무선 송수신부(630)에서 무선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신호 품질 측정부(610)에서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의 주파수 및 빔포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신호 품질은 신호 대 잡음비, 수신 레벨, 및 채널 품질 지시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ignal qual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gnal-to-noise ratio, a reception level, and a channel quality indicator.
또한, 제어는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빔포밍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ay control the beamforming by setting the priorit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a terminal whose signal qualit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여기서, 제어는 제 1 릴레이 AP(200)가 제 1 경로(910) 및 제 2 경로(920)로 제 1 단말기(810)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810) 보다 낮은 경우 제 2 경로(920)를 제거하지 않고,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810) 보다 높을 경우, 제 2 경로(920)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is the priority of the
즉, 제 1 릴레이 AP(200)는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릴레이 AP(300)로 빔포밍을 수행하며, 제 2 릴레이 AP(300)는 제 2 단말기(500) 및 제 1 릴레이 AP(200)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때, 빔포밍을 위한 데이터의 우선 순위 또는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의 우선 순위에 따라 빔포밍 패턴을 최적화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eamforming patter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data for beamforming or the priority of the
또한, 릴레이 AP(600)는 제 1 릴레이 AP(200) 또는 제 2 릴레이 AP(300) 중 어느 하나로써, 안테나(620) 및 무선 송수신부(630)를 통해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의 무선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 품질 측정부(610)에서 신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로 신호 품질 정보를 통보하고 제 1 릴레이 AP(200), 제 2 릴레이 AP(300), 제 1 단말기(400), 및 제 2 단말기(500)가 릴레이 AP(600)로 수행하는 빔포밍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신호 품질을 높이도록 설정함으로써, 릴레이 AP(60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신호 품질을 올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ignal qual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한편, 무선랜 신호의 수신이 필요한 단말 수가 많을 경우 브로드캐스트로 수행하고, 단말 수가 그룹으로 묶여있을 경우 멀티캐스트 빔포밍을 수행하며, 단말 수가 하나일 경우에는 유니캐스트 빔포밍을 수행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rminals that need to receive a WLAN signal, the broadcast is performed. If the number of terminals is grouped, multicast beamforming is performed. The effect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can be obtained.
또한, 제 1 단말기(810)로 송신하는 빔포밍 경로에 존재하는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를 제 1 단말기(810)와 비교하여 제 1 단말기(810)의 우선 순위가 클 경우 제 2 단말기(820)에 간섭을 주더라도 무시할 수 있으나, 제 2 단말기(820)의 우선 순위가 제 1 단말기(810) 보다 클 경우에는 제 2 단말기(820)가 위치하는 경로로 수행하는 빔포밍을 제거하여 제 2 단말기(820)로의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iority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빔포밍 경로에 존재하는 단말 유무를 고려하는 장점이 있으며, 단말의 우선 순위를 토대로 빔포밍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a multiple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considering whether a terminal exists in the beamforming path, and ha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beamforming path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terminal.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ncludes examples of one or more embodiments. Of course, not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components or methods may be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many further combinations and substitutions of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mbrace all such alter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상기 제 1 릴레이 AP로부터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제 2 단말기로 상기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제 2 릴레이 AP;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릴레이 AP 또는 상기 제 2 릴레이 AP는,
무선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신호 품질 측정부; 및
상기 신호 품질을 토대로 릴레이 AP의 주파수 및 빔포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릴레이 AP가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제 1 단말기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 1 단말기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2 경로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 1 단말기 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 2 경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A first relay AP connected to a network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LAN signal to a first terminal; And
And a second relay AP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WLAN signal from the first relay AP to perform a relay of the WLAN signal to a second terminal.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LAN signal;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measuring signal quality of a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ceiver;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a frequency and beamforming of the relay AP based on the signal quality.
When the first relay AP performs beamforming on the first terminal i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the controller removes the second path when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And, if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removing the second path.
상기 신호 품질은, 신호 대 잡음비, 수신 레벨, 및 채널 품질 지시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ignal quality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ignal-to-noise ratio, a reception level, and a channel quality indica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상기 빔포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beamforming control apparatus for a multiple re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eamforming by setting the priority of the signal qual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제 1 릴레이 AP는, 상기 무선랜 신호의 수신 단말 수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빔포밍, 및 유니캐스트 빔포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relay AP performs one of broadcast, multicast beamforming, and unicast beamform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eiving terminals of the WLA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주파수 채널 또는 서브 밴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 frequency channel or a subband by setting a priorit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a terminal whose signal qualit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서브 밴드는, 하나의 상기 주파수 채널에 대해 주파수를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bband is a beamforming control device for multiple relay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is divided for one frequency channel.
상기 제어는, 신호대 잡음비가 일정 값 이상인 상기 주파수 채널 또는 상기 서브 밴드에 대해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is a beamforming control device for multiple relay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ority is given to the frequency channel or the sub-band having a signal-to-noise ratio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2 릴레이 AP에서 제 2 단말기로 상기 무선랜 신호의 릴레이를 수행하는 제 2 릴레이 AP 중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릴레이 AP 또는 상기 제 2 릴레이 AP는, 무선 송수신부에서 무선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고, 신호 품질 측정부에서 신호 품질을 측정하며,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릴레이 AP 또는 상기 제 2 릴레이 AP의 주파수 및 빔포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릴레이 AP가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로 제 1 단말기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할 경우,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 1 단말기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2 경로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우선 순위가 상기 제 1 단말기 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 2 경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A first relay AP relay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LAN signal from a first relay AP to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relay AP relaying step of relaying the WLAN signal from a second relay AP to a second terminal;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WLAN signal in a wireless transceiver, measures a signal quality in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and controls the first relay AP or the second relay AP in a control unit.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requency and beamforming of
When the first relay AP performs beamforming on the first terminal i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the controller removes the second path when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And if the priority of the second terminal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removing the second path.
상기 제 1 릴레이 AP는, 상기 무선랜 신호의 수신 단말 수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빔포밍, 및 유니캐스트 빔포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relay AP performs any one of broadcast, multicast beamforming, and unicast beamform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eiving terminals of the WLAN signal.
상기 신호 품질은, 신호 대 잡음비, 수신 레벨, 및 채널 품질 지시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gnal quality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ignal to noise ratio, a reception level, and a channel quality indicator.
상기 제어는, 상기 신호 품질이 일정 값 이하의 단말에 대해 우선 순위를 일정 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상기 빔포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릴레이의 빔포밍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is a beamforming control method for a multiple re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eamforming by setting the priority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or a terminal whose signal qualit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412A KR102016112B1 (en) | 2019-01-15 | 2019-01-15 |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
PCT/KR2019/011535 WO2020149487A1 (en) | 2019-01-15 | 2019-09-06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re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412A KR102016112B1 (en) | 2019-01-15 | 2019-01-15 |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6112B1 true KR102016112B1 (en) | 2019-08-30 |
Family
ID=6777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541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6112B1 (en) | 2019-01-15 | 2019-01-15 |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6112B1 (en) |
WO (1) | WO202014948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49487A1 (en) * | 2019-01-15 | 2020-07-23 | 넥서스텍(주)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rela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8471A (en) * | 2012-09-28 | 2015-05-28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Method for wifi beamforming, feedback, and sounding (wibeam) |
KR20160110892A (en) | 2015-03-12 | 2016-09-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size in communication system |
WO2016173669A1 (en) * | 2015-04-30 | 2016-11-03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Rf beamforming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
KR20170062452A (en) * | 2014-09-19 | 2017-06-07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le access point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4888B1 (en) * | 2010-02-16 | 2017-08-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wideband high frequenc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WO2015105358A1 (en) * | 2014-01-09 | 2015-07-16 | (주)휴맥스 홀딩스 |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
KR102016112B1 (en) * | 2019-01-15 | 2019-08-30 | 넥서스텍(주) |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
-
2019
- 2019-01-15 KR KR1020190005412A patent/KR10201611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9-09-06 WO PCT/KR2019/011535 patent/WO202014948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8471A (en) * | 2012-09-28 | 2015-05-28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Method for wifi beamforming, feedback, and sounding (wibeam) |
KR20170062452A (en) * | 2014-09-19 | 2017-06-07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le access points |
KR20160110892A (en) | 2015-03-12 | 2016-09-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size in communication system |
WO2016173669A1 (en) * | 2015-04-30 | 2016-11-03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Rf beamforming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49487A1 (en) * | 2019-01-15 | 2020-07-23 | 넥서스텍(주)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forming of multi-re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49487A1 (en) | 2020-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88665B2 (en) |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design for cellular time division duplex (TDD) mmWave systems | |
EP347949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beamforming diversity | |
US2020039603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E-Specific Beam Management for High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 |
US9344178B2 (en) | Method of aiding uplink beamforming transmission | |
US20170251484A1 (en) | Radio with interference measurement during a blanking interval | |
EP383290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ub-space selection | |
US20230033208A1 (en) | Selection of decoding level at signal forwarding devices | |
US10708868B2 (en) | Evaluation performance between a network node and a radio head | |
US8849209B2 (en) |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lective spectrum assignment and related methods | |
JP2014526837A (en) | Beam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3001936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90043496A (en) |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for Implicit MU-MIMO | |
WO201802857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e-specific beam management for high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220082870A (en) | Spatial multiplexing by a single transmitter in a wideband channel | |
KR20150134520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for interference alignment in a mu-mimo interference broadcasting channel and method thereof | |
EP3322105A1 (en) | Beam training method and device for multi-user scenario | |
KR2008001306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EP3298708B1 (en) | Validation sub-system for telecommunication system | |
KR101790498B1 (en) | Full-duplex wireless backhaul system using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
KR102016112B1 (en) | Beamform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for multiple relay communication | |
WO2017147971A1 (en) | Frame structure to support long distance transmission | |
CN102801454B (en) | Beam form-endowing method and device | |
US20220369120A1 (en) |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JP4832459B2 (en) | Radio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control method | |
KR102181020B1 (en) | Base station device and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raff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