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719B1 -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 Google Patents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4719B1 KR102014719B1 KR1020170145728A KR20170145728A KR102014719B1 KR 102014719 B1 KR102014719 B1 KR 102014719B1 KR 1020170145728 A KR1020170145728 A KR 1020170145728A KR 20170145728 A KR20170145728 A KR 20170145728A KR 102014719 B1 KR102014719 B1 KR 102014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ower
- power consumption
- voltage
-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600 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 H02J2007/00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는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기기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와, 상기 전류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lif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load having a constant power consumption in a discharge mode, a current measuring unit measuring a curren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device, and a voltage of the battery. Voltage measurement unit, a power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and the data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and the power measurement unit in real time to monitor the data measured based on tim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ttery monitoring unit for controlling to store and display the measured data on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수명을 예측하여 경고하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for predicting and warning the battery life.
주로 납축전지로 구성되는 산업용 배터리는 비상 전원용 기기(UPS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전동 지게차와 굴삭기 등에 사용되는 특수 장비용 배터리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Industrial batteries, which consist mainly of lead-acid batteries, have been used in a limited number of devices for emergency power supply (UPS, etc.). In recent years, the growth of the battery market for special equipment used in electric forklifts and excavators is growing.
또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과 함께 늘어난 모바일 데이터 처리용 소형 무선 기지국이 증가함에 따라 기지국에 사용되는 산업용 배터리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s the number of small wireless base stations for mobile data processing increases, the demand for industrial batteries used in the base stations is greatly increasing.
또한, 차세대 녹색성장의 중심에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도 납축전지, 리튬전지로 구성된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태양광과 풍력 산업은 물론 Smart Grid 사업에도 전력저장용 납축전지가 사용되고 있어 납축전지 시장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In addition, batteries consisting of lead acid batteries and lithium batteries are used in hybrid cars, which are at the center of next-generation green growth, and lead acid batteries market continues to grow as lead storage batteries are used in the solar power and wind power industries as well as the Smart Grid business. It is expected to do.
납축전지 또는 리튬전지로 구성된 배터리, 즉 2차 전지 시장의 확대에 따라 국내외 기업들이 전기자동차, 전기스쿠터 등을 비롯해 태양열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탑재되는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관련 기술 및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that is, batteries composed of lead acid or lithium batteries, technologies related to battery management systems (BMS) installed in electric vehicles, electric scooters, solar energy storage devices, etc. Product development is active.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사용한지 2 ~ 3년이 지나면 사용 지속시간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어, 한 번 충전으로 5시간을 사용하던 배터리를 2시간 정도마다 충전해야 하고, 사용시간이 줄어든 배터리는 결국 폐기 처분하게 된다.After two to three years of normal use, the battery lasts less than half, requiring a battery that lasts five hours on a single charge to recharge every two hours. do.
리튬전지 또는 납축전지로 이루어진 배터리는 안정적인 전압 출력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과충전/과방전시 배터리 수명이 급격히 단축된다. 특히 과방전 상태가 지속될 경우 배터리 수명에 치명적이다.Batteries made of lithium batteries or lead acid batteries have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stable voltage output, but the battery life is dramatically shortened during overcharge / over discharge. In particular, if the over-discharge state persists, it is fatal to the battery life.
특히,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안정성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으므로, 배터리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충전용 직류전원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life of the battery may be shortened depending on the stability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er, a technology for stably controlling the charging D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charger is required.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장치는, 다수의 배터리팩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과 방전을 진행한다. In general battery chargers,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perform charging and discharging.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 할 경우 충전하는 전류가 높아야 하며, 충전하는 시간도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할 경우 완전충전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Therefore, when charging multiple batteries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current must be high, and the charging time also takes a long time to fully charge when charging with a constant current.
특히, 과방전이 진행된 다수의 배터리를 완전충전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충전 후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때까지 대기 시간이 길어져 배터리의 전원을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과방전시에는 완전충전까지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 배터리의 사이클도 단축시켜서 교체주기가 단축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fully charge a plurality of batteries that have been over-discharged, there is a case where the standby time becomes long until the battery can be supplied with power after charging, and thus the battery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overdischarge, not only does it take longer to fully charge, but also shortens the cycle of the entire battery, thereby shortening the replacement cycle.
또한, 직렬타입 충전방식은 충전과 방전이 분리되어서 충방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 즉 충전이 완료된 후에 스위치를 동작하여 방전을 할 수 있는 구성이며, 일부 배터리를 선택하여 개별적으로 충방전을 진행할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serial charging method,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separated so that charging and discharging canno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after the charge is completed, the switch can be discharged by operating the switch, and some batteries cannot be selected and individually discharged.
한편, 다수의 배터리를 관리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을 미리 파악하여 적정시점에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해야 연속적인 장비운영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managing a large number of batterie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life of the battery in advance and replace it with a new battery at an appropriate time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continuous operation of the equipment.
하지만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납축전지의 전해액의 농도를 파악하여 수명을 예측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배터리의 스펙에 명시된 수명을 고려하여 교체주기를 결정하므로 배터리 불량을 초기에 발견하기 힘들고 체계적인 관리가 힘든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ttery management system us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life of the lead-acid battery by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cycle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specified in the battery specification. It has a hard disadvant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grasping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Wh) by time under a constant discharge condition and the degree of a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It provides a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that can be identified.
또한, 복수의 배터리 각각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방전완료전압 및 완전충전전압을 기준으로 각 배터리가 충전모드 또는 방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that senses the volt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in real time and controls each battery to operate in the charging mode or the discharge mode based on the discharge completion voltage and the full charge voltag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기기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와, 상기 전류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load having a constant power consumption in the discharge mode, and the current measurement to measure the curren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device And a voltage measuring unit measuring a voltage of the battery, a power measuring unit measuring a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and data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the voltage measuring unit, and the power measuring unit in real time. A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battery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and monitoring and storing measured data based on time and displaying the measured data on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1일 동안의 소비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 소비 전력량보다 더 큰 제2 기준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거나, 예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추가 전력량을 부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nitoring un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o output a warning from a time point when the power consumption for one day exceeds a preset first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power consumption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lock the battery discharge from the time exceeding, or to give an additional amount of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reserve amount of power.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의 기준 성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기간까지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부하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로서 저장하며, 상기 기준기간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nitoring un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grasping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of the newly installed battery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eriod, changes in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under a constant discharge condition generated by the load The value ΔV is identified by time and stored as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and after the reference period, the change rat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Wh is determined by time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and the change rate i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aging degree of the battery i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의 기준 성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기간까지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부하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로서 저장하되, 상기 기준기간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nitoring un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grasping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of the newly installed battery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eriod, changes in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under a constant discharge condition generated by the load The value ΔV is determined for each time, and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relative to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and the power use time relative to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re calculated and stored as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Even after the reference period,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compared to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and the power usage time of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and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of the battery. Characterize the degree of aging.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상기 기준기간 이후의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질 때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nitoring un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hang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time compared to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nd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fter the reference period, and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In contrast, when all have a performance of 50% or l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 first replacement necessary state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battery.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을 추가로 산출하고, 상기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 상태에서,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2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nitoring un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alculates a change rate of the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relative to the power use time and a chang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compared to the power use time, and in the state determined as the first replacement necessary state. When the chang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exceeds twice the change rate of the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ary replacement need condition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battery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Battery lif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a constant discharge condition to determine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Wh) over time and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have.
따라서 전해액 측정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배터리와 부하기기 사이의 전류와, 배터리의 전압과,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a separate equipment such as an electrolyte meter is not required, and the age of the battery can be determined by grasping the curren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device,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각각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방전완료전압 및 완전충전전압을 기준으로 각 배터리가 충전모드 또는 방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장치의 동작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detects the volt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battery to operate in the charging mode or discharge mode on the basis of the discharge completion voltage and the full charge volt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battery and to ensure the operation continuity of the device operating by using the battery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다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상세한 구성도
도 6은 도 4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제1 순서도
도 7은 도 4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제2 순서도1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3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of the battery
4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6 is a first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attery
FIG. 7 is a second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attery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The batter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태양 전지판(10)과, 충전기(20)와,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와, 복수의 배터리(40), 전류 측정부(100), 전압 측정부(200), 전력량 측정부(300) 및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batter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the main operation of the battery
우선, 복수의 배터리(40), 전류 측정부(100), 전압 측정부(200), 전력량 측정부(300) 및 배터리 모니터링부(400)에 대한 연결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며, 태양 전지판(10)과, 충전기(20)와,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First,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가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온도 감지부가 더 포함될 경우,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측정된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suming that the temperature is constant,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배터리(40)는 방전모드에서 일정한 소비전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기기(50)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여기에서 배터리(40)는 충전할 수 있는 납충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부하기기는 모터, 가정용 전자기기, 산업용 전자기기, 휴대용 장치, 기지국 장치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전류 측정부(100)는 배터리(40)와 부하기기(50)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고, 전압 측정부(200)는 배터리(40)의 전압을 측정한다. 또한, 전력량 측정부(300)는 배터리(40)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한다.The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전류 측정부(100), 전압 측정부(200) 및 전력량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우선,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1일 동안의 소비 전력량(Wh)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소비 전력량(Wh)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First, the
다음으로,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제1 기준 소비 전력량(Wh)보다 더 큰 제2 기준 소비 전력량(Wh)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거나, 예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추가 전력량을 부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Next, the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40)의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를 소정의 기준기간(STD)까지 파악하여 성능지표를 파악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기준기간(STD)은 새로운 배터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시점으로부터 10일 이내의 기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주일 정도가 가장 적합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부하기기(50)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로서 저장한다.That is, the
이때 부하기기(50)의 소비전력(W)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즉,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부하기기(50)의 소비전력(W)을 고려하여 설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부하기기(50)가 소모하는 소비전력(W)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그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15%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정의한다. 또한, 배터리 전압의 변화는 방전종지전압 직전까지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W of the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새로운 배터리가 장착되고 성능지표를 파악한 후, 즉 기준기간(STD)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한다.The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40)의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를 소정의 기준기간(STD)까지 파악함에 있어서,That is, the
부하기기(50)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로서 저장한다. 참고적으로,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소비 전력량(Wh)을 산출하여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신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Under the constant discharge conditions generated by the
이때,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기준기간(STD)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한다. 이때 7일 내지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기준기간(STD) 이후의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의 변화율이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질 때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다.The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진다는 것은 배터리(40)가 노후화 되어 소정의 기준기간(일주일) 동안 파악한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에 비해 50% 미만의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기준은 60% 이하의 성능저하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5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The performance of 50% or less in comparison to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STD_DATA) is less than 50% of the performance performance (STD_DATA) that the
한편,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을 추가로 산출할 수 있다. - 소정의 기준기간(STD) 동안의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를 기준으로 변화율을 산출함 - 이때 7일 내지 10일 정도의 기간 동안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 상태에서,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배터리(40)의 노후화에 따른 2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즉,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한다는 것은,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이 급격하게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일을 많이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여 배터리의 노후화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consumption W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is more than twice the change rate of the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which means that the power consumption Wh decrease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You can do that, which means you don't really do a lot of work, so you can estimate battery aging.
즉,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는 1차 교체 필요상태가 발생한 상태에서도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2차 교체 필요상태가 추가로 발생할 경우는 배터리 노후화 상태가 매우 심각하다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f the battery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니터링부(400)에서 산출한 데이터와, 전류 측정부(100), 전압 측정부(200) 및 전력량 측정부(30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the data calculated by the
또한, 표시장치는 부하기기(50)가 사용한 일일 소비 전력량(Wh), 누적 소비 전력량, 초과 소비 전력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daily power consumption Wh,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the excess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used by the
또한, 표시장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400)에서 산출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40)의 성능하락 수치를 기준 성능데이터(STD_DATA)와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 단위로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data calculated b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1일 사용할 소비전력량을 설정하여 과소비전력 발생시 차단하거나 경고한다. 즉, 배터리 용량은 사용하는 소비전력을 고려하여 설계하므로 과소비가 발생시 배터리의 과방전이 발생되며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일 소비전력을 설정하여 전력사용을 설계값에 맞춰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일일 소비전력량을 계측한다. 즉, 배터리로 사용되는 소비전력으로 전력사용량을 파악하며 누적사용량까지 표시하여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배터리의 충방전 전압 및 전류를 상시 측정하여 부하사용시 소비전력량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동을 감시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배터리 방전 시간을 측정 (전력 사용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즉,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배터리 장시간 사용시의 변화량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일한 방전조건에서 초기 설치된 배터리의 방전시간과 장시간 사용한 배터리의 방전시간을 비교하여 초기 소요시간대비 변화량을 측정한다. In addition,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 전압과 시간을 비교하고, 설계에 따른 일일 소비할 수 있는 전력량을 설정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1. 초기 설치시 배터리 전압Check
2. 초기 소비전력 발생시 배터리 전압Check
3. 배터리 전압변동폭 기록(기준값)
4. 전력사용량(일) 기록 (기준값)
=>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전압 변동폭 기록(기준값) A. Initial (installation) Power Consumption & Battery Voltage Variation Check-(Standard Period: Example 7 days)-
1.Check battery voltage at initial installation
2. Check battery voltage at initial power consumption
3. Record the voltage variation of battery (reference value)
4. Record power consumption (day) (reference value)
=> Battery voltage fluctuation record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reference value)
1. 일일 배터리 전압Check
2. 일일 소비전력 발생시 배터리 전압Check
3. 일일 배터리 전압변동폭 기록
4. 일일 전력사용량 기록
=> 일일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전압 변동폭 기록 B. Power Consumption & Battery Voltage Variation after Time Check-(Standard Period: Yes 7 days)-
1. Daily Battery Voltage Check
2. Check battery voltage when daily power consumption occurs
3. Daily record of battery voltage variation
4. Daily power consumption record
=> Record battery voltage fluctuation according to daily power consumption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A"를 기준으로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 전압 변동폭을 기준값(100%)로 "B"와 같이 시간이 경과되면서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 전압 변동폭을 "A" 의 기준값대비 소비전력에 따른 배터리 변화폭을 나타내어 초기 설치시 100%대비 변화량을 대비하여 시간이 경과되면서 %의 변화량을 표시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예측하도록 한다.Referring to Table 1 and Table 2, the variation in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based on "A" is the reference value (100%) as time "B" as time goes by. It shows the change of battery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and it shows the change of% as time passes for the change compared to 100% at the initial installation to predict the life of the battery.
이와 같이 일일 소비전력량과 누적 소비전력량을 관리하여 시스템의 전력사용 효과를 파악하며, 이에 배터리 전압의 변동량을 일일 관리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예측, 관리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ily power consumption and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can be managed to understand the power usage effect of the system, and the daily change of the battery voltage can be managed to predict and manage the life of the battery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air.
상술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battery
1차 : 소비 전력량 대비 전압변동폭 1st: Voltage fluctuation compared to power consumption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1) Standard: Initial value is set as average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installation (eg 7 days)
2) 기준 설정완료 후 변동폭에 따른 변화량값 측정2) Measurement of change amount according to fluctuation range after completion of standard setting
- 소비전력량에 따른 전압 변동폭의 변화량을 기준값대비 비교 연산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voltage fluctuation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 배터리 저전압 설정까지 전압폭을 기준으로 비교함-Comparison based on voltage width up to battery low voltage setting
- 소비전력량대비 전압변화폭이 50%이하일 경우 전압변동폭이 동일 소비전력량 사용대비 커지므로 배터리 방전이 크므로 배터리의 수명 단축이 예상됨.-If the voltage variation is less than 50% of the power consumption, the voltage variation is greater than the use of the same power consumption.
2차 : 전력소비 시간(방전시간) - 전압변동폭 비교 Secondary: Power Consumption Time (Discharge Time)-Comparison of Voltage Variation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 1) Standard: Initial value is set as average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installation (eg 7 days)
2) 전력소비시간 2) Power consumption time
- 1V 방전시 소비전력사용시간을 비교하여 기준시간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동폭과 소비전력 사용시간의 변화폭을 비교하여 표시-Compares the change in battery voltage and the change in power consumption when compared to the reference time.
- 기준대비 전압변화폭이 50%이하일 경우 전압변동폭이 전력사용 시간대비 커지므로 빠른 시간내에 방전이 되므로 배터리의 수명 단축이 예상됨.-If the voltage variation is less than 50% compared to the standard, the voltage variation is larger than the power usage time, so the battery life is expected to be shortened because it discharges quickly.
3차 : 소비전력량 대비 전압변동폭과 시간_전압변동폭을 비교하여 동일하게 50%이하로 발생시3rd: When voltage fluctuation and time_voltage fluctuate compared to power consumption
- 배터리의 수명은 기준대비 50%의 이하의 배터리 수명단축이 예상되어 배터리 교체 시기나 수명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경고한다.-Battery life is expected to shorten battery life by less than 50% of standard, warning that can analyze factors that may affect battery replacement time or lifespan.
4차 : 이상 전류나 과전류 사용에 의한 방전 시간 경고4th: Discharge time warning by using abnormal current or over current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1) Standard: Initial value is set as average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installation (eg 7 days)
2) 시간과 전류를 비교하여 시간기준으로 기준값과 비교하여 1보다 클 경우 과전류 사용에 따른 사용시간 단축 영향에 대한 경고 (점검 사항이나 부하 사용 점검필요)2) Warning of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use time due to overcurrent when the time is greater than 1 by comparing the current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based on time (check points or load use check required)
5차 : 전류에 대한 시간과 전류_시간_전력량 비교하여 경고5th: Warn by comparing time against current and current_time_power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Change rate of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compared to power usage time and change rate of power consumption amount (Wh) compared to power usage time>
1) 기준 : 설치 후 초기 일정기간 (예 7일간) 평균데이터로 기준값 설정1) Standard: Initial value is set as average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installation (eg 7 days)
2) 상기 연산값을 상호 비교하여 2배이상 차이가 발생시(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배터리의 과방전이나 배터리 교체, 유지, 보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2) When the difference is more than doubl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values with each other (when the chang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exceeds twice the change rate of the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Over discharge or battery replacement, maintenance and repair should be checked.
최종적으로 3차 결과와 5차 결과가 동시에 경고시 배터리 수명이 50% 이하로 감소되어 교체시기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Finally, when the 3rd and 5th results are simultaneously alerted, the battery life is reduced to 50% or less,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placement time.
도 4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다른 구성도이다.4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태양 전지판(10)과, 충전기(20)와,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와, 복수의 배터리(40), 전류 측정부(100), 전압 측정부(200), 전력량 측정부(300) 및 배터리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batter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the main operation of the battery
전류 측정부(100), 전압 측정부(200), 전력량 측정부(300) 및 배터리 모니터링부(4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태양 전지판(10)과, 충전기(20)와,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와, 복수의 배터리(40)에 상세한 구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복수의 배터리(40) 각각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방전완료전압 및 완전충전전압을 기준으로 각 배터리가 충전모드 또는 방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multi charge /
충전기(20)는 태양 전지판(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전전력을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4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The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우선충전모드에서 복수의 배터리(4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배터리만을 급속충전한다.The multi charge /
또한,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모든 배터리의 사용이 중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후, 복수의 배터리(40)와의 연결을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multi charge /
또한,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복수의 배터리(40) 중 방전완료전압 이하인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완전충전전압에 도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방전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동작을 실행한다.In addition, the multi charge /
여기에서 방전완료전압(Low Battery Voltage, LBV)은 배터리가 충전을 시작해야하는 기준전압으로 정의되고, 완전충전전압(High Battery Voltage, HBV)은 배터리가 완전충전되어 방전(배터리 전원사용)을 할 수 있는 전압으로 정의된다.Here, the low battery voltage (LBV) is defined as the reference voltage at which the battery should start charging, and the high battery voltage (HBV) is the battery that is fully charged to discharge (use battery power). Is defined as the voltage present.
도 5는 도 4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상세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제1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4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제2 순서도이다.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ttery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attery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의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전압 감지부(31)와, 충전제어신호 생성부(32)와, 배터리 선택부(33)와, 방전 선택부(34)와, 충방전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ulti charge /
전력사용이 증가하거나 태양광발전설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40)팩을 사용하게 되는데, 다수의 배터리팩(40)들의 구성은 직렬과 병렬 연결된다. Increasing power usage or us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40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packs 4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다수의 배터리팩(40)들을 채널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충전기(20)로 다수의 배터리팩(40)을 순차적으로 충전을 하거나, 선택적으로 전체 배터리팩(40)을 동시에 병렬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By dividing the plurality of battery packs 40 by channel, one
또한 방전은 설정전압(HBV)까지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팩이 우선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다수의 배터리팩들이 동시에 방전되지 않고 완전충전이 될 수 있도록 배터리팩의 채널들을 구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ing causes the battery pack that is fully charged to the set voltage (HBV) to be prioritized to distinguish channels of the battery pack so that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can be fully charged without being simultaneously discharged.
분리된 다수의 배터리팩 채널들 중 한 개의 채널만 우선 방전이 되며, 나머지 채널들은 충전중이거나 완전충전이 완료된 경우에 방전을 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방전중인 배터리팩 채널이 설정된 전압(LBV)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충전모드로 전환되며, 동시에 충전완료된 후 방전 대기상태인 다른 채널로 전환되어 방전이 진행되도록 한다. Only one channel of the plurality of separated battery pack channels is discharged first, and the remaining channels are switched to a standby state capable of discharging when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or fully charged. When the battery pack channel being discharged reaches the set voltage LBV, the battery pack channel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harging mode, and at the same time,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battery pack channel is discharged to another channel that is in the standby state for discharging.
전압 감지부(31)는 과방전과 과충전시의 전압의 설정 - 방전완료전압(Low Battery Voltage, LBV) 또는 완전충전전압(High Battery Voltage, HBV) - 이 가능하며, 설정전압으로 확인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전압 감지부(31)는 전압을 표시하며, 과방전시 경고나 발광소자(LED)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충전제어신호 생성부(32)는 전압 감지부(31)의 감지결과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40)의 충전진행을 순차적으로 제어할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charging
즉, 방전완료전압(Low Battery Voltage, LBV)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감지하면, 충전될 배터리팩 채널부에 충전을 개시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방전이 될 수 있도록 대기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방전완료전압(Low Battery Voltage, LBV)의 도달신호가 순차적으로 감지되면 동시에 충전을 하거나, 채널별로 순차적으로 충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at is, when detecting a low battery voltage (LBV) signal is reached, the battery pack is charged to the channel part to be charged, and when the charge is complete, the control signal to switch to the standby state to be discharged Outputs At this time, when the arrival signal of the low battery voltage (LBV) is sequentially detected, the controller simultaneously charges or outputs a control signal to sequentially control charging for each channel.
배터리 선택부(33)는 다수의 배터리팩 채널을 자동/수동으로 충전과 방전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이며, 수동으로 전환시 임의로 충방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팩 일부채널의 이상이 발생시(배터리 수명완료 등) 수동으로 차단하여 전체 장치의 오동작으로 방지하거나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배터리 선택부(33)는 자동모드에서는 전압 감지부(31) 및 충전제어신호 생성부(32)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The
방전 선택부(34)는 배터리팩 각 채널들이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채널별로 방전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완전충전된 상태의 배터리팩 채널은 방전될 수 있도록 대기상태에 있으며, 현재 방전중이 배터리팩 채널이 방전완료전압(Low Battery Voltage, LBV)에 도달되면, 대기 중인 배터리팩 채널이 순차적으로 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과방전에 의한 차단후 완전충전된 대기상태의 배터리를 선택하여 계속해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과방전으로 충전상태에 전환되면 자체 절전모드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충방전 제어부(35)는 각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충전기(20)의 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특정 노드와 접촉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진행한다.The charge /
본 발명의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1)는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을 연장하여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비용도 기존 대비 배터리팩 전체 교체에 따른 비용상승과 일부교체시 배터리의 용량차이에 의한 기능 상쇄가 발생할 수 있는 사항을 배터리팩 채널별로 교체시기를 구분할 수 있고, 구분된 채널에 의한 성능저하에 의한 용량의 변화도 감소하여 배터리의 사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Battery
참고적으로, 충전기(20)는 태양 전지판(10)에 저장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용 직류전원을 생성할 수도 있고,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고주파로 스위칭하여 충전용 직류전원을 생성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충전기(20)가 고전압의 교류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입력단에 베리스터(varistor) 및 퓨즈, 전자기 노이즈 필터, 과전류 제한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특히, 정류회로의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는 많은 열을 방출하므로, 히트싱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정류회로의 소자가 과열될 경우 전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정류회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충전기(20)에 포함된 소자, 특히 정류회로의 소자의 온도값을 토대로 최대 전류값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transistors and diodes of the rectifier circuit emit a lot of heat, heat sinks can be attached. In addition, when the element of the rectifier circuit is overheated, the amount of current may increase sharply and the rectifier circuit may be damaged, so that the maximum current value is limite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element included in the
즉, 충전기(20)는 생성하는 충전용 직류전원의 최대 전류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내부소자의 온도값을 토대로 출력될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을 조절한다. That is, the
충전기(20)는 내부소자의 온도값이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생성할 수 있는 최대 전류량(정격 전류)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내부소자의 온도값이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온도 증가에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는 최대 전류량(정격 전류)을 점차 감소시키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The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더미 배터리 셀이 충전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충전기(20)는 디버그 모드 또는 모니터링 모드에서 충전용 직류전원을 더미 배터리 셀에 공급하여 충전한다. 즉, 충전기(20)는 더미 배터리 셀이 충전되는 동안 충전용 직류전원의 변화량을 감지하고, 그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충전용 직류전원의 최대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ummy battery cell may be arranged to check the charging performance. The
즉, 충전기(20)는 디버그 모드 또는 모니터링 모드에서 외부의 배터리가 연결되지 않더라도, 내장된 더미 배터리 셀을 이용하여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충전기(20)는 더미 배터리 셀을 충전할 때, 최대 전류량을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충전용 직류전원(전압, 전류)의 시간당 변화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결과를 기록한다.The
만약, 충전용 직류전원이 상승할 때 변화량이 기준 오차값 보다 클 경우, 충전기(20)는 기준 오차값을 초과하기 직전의 전류량을 최대 전류량으로서 설정한다.If the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error value when the charging DC power supply rises, the
참고적으로, 충전기(20)는 더미 배터리 셀의 충전/방전을 최소 10회 이상 반복 진행하면서, 충전용 직류전원의 변화량이 3회 이상 기준 오차값을 초과했을 경우에만 최대 전류량을 제한하도록 설정된다.For reference, the
또한, 충전기(20)는 충전용 직류전원의 전류 상승구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후, 동일한 구간에서 충전용 직류전원의 변화량이 3회 이상 기준 오차값을 초과했을 경우에만 최대 전류량을 제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0 ~ 1A 상승구간(제1 구간), 1 ~ 2A 상승구간(제2 구간), 2 ~ 3A 상승구간(제3 구간), 3 ~ 4A 상승구간(제4 구간)으로 구분한 후 충전용 직류전원의 변화량을 감시할 수 있는데, 제3 구간에서 3회 이상 기준 오차값이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실제 배터리를 충전할 때는 제2 구간의 전류량이 충전용 직류전원의 최대 전류량으로 설정된다.For example, after dividing into 0 ~ 1A ascending section (first section), 1 ~ 2A ascending section (second section), 2 ~ 3A ascending section (third section), 3 ~ 4A ascending section (fourth secti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harging DC power can be monitored. If the reference error value is exceed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third section, when the actual battery is charged, the amount of current in the second section is the maximum current of the charging DC power supply. Is set.
한편, 더미 배터리 셀은, 충전기(20) 및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에 비상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더미 배터리 셀에 충전된 전원은 무정전 전원공급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ummy battery cell may be configured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예를 들면, 외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작 중에 갑자기 정전 등으로 외부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더미 배터리 셀은 충전기(20) 및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에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 배터리를 소정의 시간동안 더 충전한 후 충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xternal AC power supply is suddenly cut off due to a power failure while charging an external battery, the dummy battery cell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충전기(20) 및 멀티 충방전 제어부(30)에는 더미 배터리 셀의 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으므로, 정전 이후 외부 교류전원이 다시 공급될 경우, 충전기(20) 및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정전 직전의 충전상태를 고려하여 다시 충전동작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Since the power of the dummy battery cell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참고적으로, 충전기(20) 및 멀티 충방전 제어부(30)는 능동소음제거부(Active Noise Control)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 또는 충전한 후 대기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주파 가청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즉, 능동소음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가청 주파수 구간(사람의 가청주파수)에 해당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한 후, 노이즈가 발생할 경우 그 영역의 음파를 상쇄시키는 제어음을 발생시켜서 소음을 차단한다.That is, the active noise controller detects whether a noise corresponding to a preset audible frequency section (a human audible frequency) occurs and generates a control sound that cancels sound waves in the region when the noise occurs to block the noi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Battery lif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a constant discharge condition to determine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Wh) over time and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have.
따라서 전해액 측정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배터리와 부하기기 사이의 전류와, 배터리의 전압과,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시간별로 파악하여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a separate equipment such as an electrolyte meter is not required, and the age of the battery can be determined by grasping the curren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device,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각각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방전완료전압 및 완전충전전압을 기준으로 각 배터리가 충전모드 또는 방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장치의 동작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detects the volt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battery to operate in the charging mode or discharge mode on the basis of the discharge completion voltage and the full charge volt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battery and to ensure the operation continuity of the device operating by using the battery power.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태양 전지판
20 : 충전기
30 : 멀티 충방전 제어부
40 : 배터리
100 : 전류 측정부
200 : 전압 측정부
300 : 전력량 측정부
400 : 배터리 모니터링부10 solar panel
20: charger
30: multi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40: battery
100: current measuring unit
200: voltage measuring unit
300: power measurement unit
400: battery monitoring unit
Claims (6)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기기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의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력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새롭게 장착된 배터리의 기준 성능데이터를 소정의 기준기간까지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부하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한 방전조건에서 소비 전력량(Wh)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을 시간별로 파악하고,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로서 저장하되, 상기 기준기간 이후에도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와 비교하면서 그 변화율의 차이를 토대로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함에 있어서, 상기 기준기간 이후의 소비 전력량(Wh) 대비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과, 배터리 전압의 변화값(ΔV) 대비 전력사용시간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성능데이터에 대비하여 모두 50% 이하의 성능을 가질 때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과,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을 추가로 산출하고, 상기 1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한 상태에서, 전력사용시간 대비 소비 전력량(Wh)의 변화율이, 전력사용시간 대비 방전 전류량(mAh)의 변화율의 2배수를 초과할 때, 상기 배터리의 노후화에 따른 2차 교체 필요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load having a constant power consumption in a discharge mode;
A current measuring unit measuring a current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device;
A voltage measuring unit measuring a voltage of the battery;
A power amount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battery; And
The battery monitoring unit receives data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the voltage measuring unit and the power measuring unit in real time, monitors and stores the measured data based on time, and displays the measured data on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monitoring unit, in grasping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of the newly installed battery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eriod, determines a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Wh under a constant discharge condition generated by the load. It is determined by time and calculates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compared to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and the power usage time compared to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nd stores it as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but consumes the power after the reference period. (Wh) calculates the change value of the battery voltage (ΔV) and the power use time compared to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and compare with the reference performance data, and determine the degree of a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The power consumption time of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compared to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after the reference period and the change value ΔV of the battery voltage When you have a ratio, the performance of both 50% or less to prepare for the performance data based on a determination by the primary replacement require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battery,
The battery monitoring unit further calculates a change rate of the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with respect to the power use time and a chang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Wh) with respect to the power use time, and determines that the first replacement state is necessary, compared to the power use time. When the chang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Wh) is more than twice the change rate of the discharge current amount (mAh) compared to the power usage time, the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be the secondary replacement necessary state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battery .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부는,1일 동안의 소비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 소비 전력량보다 더 큰 제2 기준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거나, 예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추가 전력량을 부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명 관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monitoring unit controls to output a warning from a time point when the power consumption for one day exceeds a preset first reference power consumption, and from a time when the second reference power consumption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s exceeded.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or to provide an additional amount of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reserve amount of pow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728A KR102014719B1 (en) | 2017-11-03 | 2017-11-03 |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728A KR102014719B1 (en) | 2017-11-03 | 2017-11-03 |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0386A KR20190050386A (en) | 2019-05-13 |
KR102014719B1 true KR102014719B1 (en) | 2019-08-27 |
Family
ID=6658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5728A Active KR102014719B1 (en) | 2017-11-03 | 2017-11-03 |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471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6414B1 (en) * | 2019-08-09 | 2025-04-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managemnet method |
KR102353853B1 (en) * | 2019-12-04 | 2022-01-20 |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 Sensor board with battery life management |
JP7211354B2 (en) * | 2019-12-25 | 2023-01-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THIUM-ION BATTERY |
KR102597670B1 (en) * | 2020-06-09 | 2023-11-02 | 박아름 |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life expectancy of a used battery pack |
KR102637176B1 (en) * | 2020-12-28 | 2024-02-14 | 차기룡 |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measurement integrated sensor board applied to smart farm house |
CN113131583A (en) * | 2021-04-25 | 2021-07-16 | 桂林航天工业学院 | Single-point early warning and centralized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safety |
CN114389334B (en) * | 2021-12-20 | 2024-05-31 |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 Notebook charger for prolonging service life of battery |
KR20250010435A (en) * | 2023-07-12 | 2025-01-2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7533A (en) * | 2006-01-12 | 2007-07-26 | Sanyo Electric Co Ltd | Judging technique for length of life of batter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3725A (en) * | 1997-03-13 | 1998-09-25 | Omron Corp | Method and equipment for measuring battery state |
KR20140051881A (en) | 2014-04-04 | 2014-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using battery's state of health and method thereof |
KR20170075327A (en) * | 2015-12-23 | 2017-07-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2017
- 2017-11-03 KR KR1020170145728A patent/KR1020147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7533A (en) * | 2006-01-12 | 2007-07-26 | Sanyo Electric Co Ltd | Judging technique for length of life of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0386A (en) | 2019-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4719B1 (en) | Battery life management device | |
JP5583781B2 (en) | Power management system | |
KR102415122B1 (en) | Battery system | |
EP3204998B1 (en) |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 |
JP6329755B2 (en) |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energy storage system | |
US11063447B2 (en) |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same | |
US20130187465A1 (en) | Power management system | |
US20130147433A1 (en) |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status of a battery pack and related smart battery device | |
JPWO2012050014A1 (en) | Power management system | |
KR20130066283A (en) | Simulation device of battery system | |
JP2013160582A (en) | Battery pack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battery pack system | |
KR20210036053A (en) | Abnormal condition detection system using battery voltage data | |
JP5553622B2 (en) |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CN113178926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alance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communication base station | |
JP2012088086A (en) | Power management system | |
KR200455333Y1 (en) |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monitoring integrated system | |
KR102020044B1 (en) |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ximum capacity charging in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
WO2012049973A1 (en) | Power management system | |
US12009683B2 (en) | Standby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 |
JP7004524B2 (en) | Batteries control system and battery control method | |
KR20210059500A (en) |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nd Lifetime Management Device of Solar Power | |
KR20210019845A (en) |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nd Lifetime Management Device of Solar Power | |
KR101815230B1 (en) | solar battery charge-discharge control device | |
EP4207537A1 (en) | Method and battery module with state of health determination | |
KR20090132901A (en) | Uninterruptible voltage device charging voltage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