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4408B1 -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08B1
KR102014408B1 KR1020170122086A KR20170122086A KR102014408B1 KR 102014408 B1 KR102014408 B1 KR 102014408B1 KR 1020170122086 A KR1020170122086 A KR 1020170122086A KR 20170122086 A KR20170122086 A KR 20170122086A KR 102014408 B1 KR102014408 B1 KR 10201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user
image
digit
inte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77A (ko
Inventor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젝트사공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젝트사공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젝트사공구
Priority to KR102017012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미지를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이용할 이미지를 선택 받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N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 N개에 각각 대응시키는 단계와;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의 위치 및 순서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image touch password}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사진 등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이미지들은 기록용ㆍ감상용으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의 기능적인 면, 즉 단말기의 잠금장치나 사용자 인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등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진 이미지는 구성 자체가 경계가 명확한 점이나 선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정확한 경계 라인이 없는 연결면으로 이어지면서 구현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특정 부위의 특정 픽셀을 정확히 지정할 수가 없고, 고해상도 사진 이미지에는 수백만개의 무수히 많은 픽셀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 픽셀을 지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이후에 동일한 특정 픽셀의 위치를 정확히 다시 재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진에서 관심 포인트(POI, Point Of Interest; 사진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부분 지점)로 설정할 수 있는 영역이 생각보다 적은 것이 최대의 약점이며, 또한 사진에 드러나는 관심 포인트를 누구나 거의 동일하게 예측하기 때문에 추측공격에 취약하고 보안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증은 언제 어디서나 아무 제약 없이 자주 사용하는 특성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과 함께 보안 강화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주위 노출에 강하다는 지문, 정맥, 안면, 홍채 등 생체정보를 이용한 패스워드가 최근 채용되고 있으나 새로운 기술의 검증과 인식 오류, 사용자의 부적응, 신체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 등 여러 가지 기술상 문제와 보급에 따른 경제적, 현실적 문제로 아직까지도 텍스트를 이용한 패스워드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쇼핑, 모바일 뱅킹 등의 확산과 함께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패스워드에 숫자와 문자의 혼합 사용, 긴 패스워드(모바일뱅킹의 PIN번호는 여섯 자) 사용 권장, 주기적인 비밀번호 교체, 랜덤 가상키보드 입력방식 채용 등 보안 강화를 위한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편의성을 무시한 이러한 발상과 제공자 위주의 안이한 대안은 문자 사용 패스워드의 근본적인 문제인 입력시의 주위 노출 및 추측 공격에 의한 취약점을 해결하기 보다는 사용자에게 떠넘기는 상황이어서 사용자의 불편과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암호의 속성상 패스워드가 길어지고 어려워질수록 보안성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는 보안성을 높이는 것과 비례해 편리성(간편성)도 함께 높여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가장 친숙하고 쉽게 느끼는 콘텐츠인 이미지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패스워드의 보안성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이용할 이미지를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N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상기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 N개에 각각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의 위치 및 순서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포인트 대응 단계는, 상기 N 자릿수의 비밀번호 입력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상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면 터치 순서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포인트 대응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N 자릿수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표시한 N개의 설정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 상의 소정 영역에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N개의 설정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 상에서 원하는 관심 포인트로 이동시키면 이동 순서에 따라 각 관심 포인트와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입력할 수 있는 후보들을 표시한 설정 아이콘들을 상기 이미지 상의 소정 영역에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아이콘들 중 N개를 상기 이미지의 관심 포인트로 이동시키면, 상기 설정 아이콘들의 이동 순서, 이동된 관심 포인트 및 이동된 설정 아이콘들이 표시하고 있는 비밀번호 후보를 참조하여, N자리의 비밀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방법은, 상기 N자리의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N개의 관심 포인트 이전 또는 이후에 터치될 수 있는 랜덤 터치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랜덤 터치 사용 여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방법은, 인증 서버로 상기 생성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중에서 상기 N자리의 비밀번호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패스워드 입력 화면, N자리의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아닌 경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맞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터치하는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이고 상기 비밀번호의 자리 순서대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인증 시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방법에서, 랜덤 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임의의 포인트를 추가로 터치하더라도 상기 인증 시도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방법은,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에 비밀번호 값을 랜덤하게 매치함으써 생성되는 N자리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하나 이상의 이미지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N자리의 비밀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인증 정보 생성부 및 인증 요청시, 상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이고 상기 비밀번호의 자리 순서대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시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기억이나 경험, 느낌과 같은 감성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인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가장 많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숫자나 문자를 이용한 패스워드의 근원적이며 치명적인 문제점인 패스워드 입력시의 주위 노출 및 이로 인한 유출과 추측공격을 막아 보안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를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때문에 패스워드 입력 장면이 노출되어도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회용 비밀번호(OTP: One-Time Password)를 추출해 사용할 경우, 텍스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나 입력 오류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해킹을 사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패스워드 시스템이나 체계는 그대로 사용하고 비밀번호 입력용 시스템(디바이스용)을 제공하여 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만을 새로운 입력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이나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새로 바꾸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은 물론 캐릭터 등 친숙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꾸미고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단말기의 잠금화면을 개성있고 독창적으로 꾸밀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게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게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회용 비밀번호(OTP)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1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능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은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부(12, 13)를 구비하며, 저장부는 기능적으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사진 저장부(12)와 사용자의 인증 정보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저장하기 위한 인증정보 저장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N자리의 비밀번호, 그리고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로 칭하기로 한다. 인증을 시도하는 사용자는 많은 이미지들 중에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정확히 선택하고 해당 이미지 상에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기설정된 순서대로 터치하여야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키보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이미지 상의 소정 포인트들을 사용자 자신이 설정한 순서대로 터치함으로써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인증 정보로 생성하고 저장하며, 사용자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정확히 입력하였는지 판단함으로써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에 성공할 경우 잠금 해제 등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구체적으로, 사진 저장부(12)에 저장된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사용자가 입력한 N자리의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를 위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인증정보 저장부(13)에 저장하는 인증 정보 생성부(11) 및 사용자의 인증 요청시,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가 선택되면,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가 기설정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이고 비밀번호의 자리 순서대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시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처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사진 저장부(12), 인증정보 저장부(13), 인증정보 생성부(11) 및 인증 처리부(14)가 하나의 시스템(10)에 포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시스템(10)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 탑 등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기 위해 로그인하거나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인증 절차 즉, 패스워드 설정 및 패스워드 입력에 따른 인증 처리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과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절차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일부 기능이 서버측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게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20에서, 사용자가 사진 저장부(12)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이를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되는 이미지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림, 캐릭터, 만화, 도면, 지도, 타이포그래픽, 광고, 랜더링과 같은 그래픽 이미지나 입체 영상, 홀로그램 등의 영상 데이터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 내 사진 저장 폴더에서 불러올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 받거나, 스캔하거나, 드로잉하거나, 직접 촬영한 이미지 등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의 사진 보관함에서 이미지들을 불러와 화면에 표시하고 이들 중 하나를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3자는 이 이미지들 중 어느 것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되는지 구분할 수가 없기 때문에 패스워드의 예측과 해킹이 어렵다.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보유한 이미지들 중에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특성 중 하나인 인지 정보 및 지식 정보를 이용하는 결과가 되므로 기억하기가 쉽고 보안성도 강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패스워드 설정을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에는 해당 이미지를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해당 이미지 상에서 설정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해당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에 제공될 것이다.
단계 S2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N자리의 비밀번호가 입력될 것이다.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는 숫자 외에도 문자, 특수문자, 기호, 아이콘, 컬러, 무늬, 사진, 그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의 설정 개수는 기존의 금융거래시 사용되는 비밀번호 4자리 숫자에서부터 모바일뱅킹용 핀번호 6자리, 인터넷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숫자ㆍ문자 혼합사용 8자 등 1자리 이상의 비밀번호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1자리의 비밀번호는 추측 공격에 매우 취약해 일반적인 패스워드로는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어린아이들의 사용 제한을 위해 일시적인 잠금이 필요하지만 빠른 사용이 필요한 스마트 냉장고, 가전제품의 도어 안전 잠금장치 등에는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노출에 취약한 2~4자리의 비밀번호를 사용할 경우에는 아래에서 기술되는 "랜덤 터치"와 "퀵 슬라이딩 패스"를 함께 사용하면 즉각적인 빠른 사용이 가능해 편리하면서도 주위 노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단계 S22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관심 포인트를 할당하여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N 자릿수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사용자가 이미지 상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면 터치 순서에 따라 입력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시킨다.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는 인증 시도시 비밀번호의 입력 위치가 되는 포인트로서, 이미지 상의 어느 한 픽셀, 관심 포인트 설정시 이용되는 설정 아이콘이나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의 중심에 위치한 픽셀, 또는 설정 아이콘이 배치되는 영역이나 터치 범위의 영역 즉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단계 S23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로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의 위치 및 순서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각 관심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해당 픽셀 또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좌표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의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 및 설정 완료 아이콘 등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의 설정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에서 사라지고 원래의 사진 이미지만 남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과 터치 패스워드 입력 위치를 제3의 관찰자가 알아보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이 사용자 단말의 잠금 해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생성되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가 인증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는 저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는 사용자 단말이 잠금 해제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이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인증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예: 모바일 뱅킹, 모바일 결제의 인증, 인터넷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N자리의 비밀번호를 인증 서버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비밀번호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나, 인증 서버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비밀번호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지원하지 않고 기존의 비밀번호 인증만 지원하는 인증 서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추후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패스워드를 입력 받을 때는 사용자 단말에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선택하고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는 이미지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N자리의 비밀번호만을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할 것이다. 서버는 N자리의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인증을 처리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 시스템과 통신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자 인증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현관문의 디지털 도어락, 네트워크에 연결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무인금융자동화기기, 키오스크(Kiosk) 및 민원서류발급기 등 자동화기기의 사용자 인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사용자 단말과 인증 서버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비밀번호를 각각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때는 사용자 단말에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선택하고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는 이미지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이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정한 다음,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해 인증 서버로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비밀번호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인증 서버로 전달되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비밀번호는 인증 서버에 기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므로 인증은 성공으로 처리된다. 이 변형예 또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지원하지 않고 기존의 비밀번호 인증만 지원하는 인증 서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인증 서버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지원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되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 비밀번호 그리고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들의 좌표 및 순서 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정보가 인증 서버로 전송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추후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사용자 단말에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선택하고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여 이미지 터치 입력 방식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터치한 관심 포인트의 좌표 정보와 순서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것이다. 인증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할당된 관심 포인트를 정확히 순서대로 터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인증 성공 처리를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곰 캐릭터에서 비밀번호 "2 4 0 9"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입력 위치인 관심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해서 곰 이미지의 왼쪽 눈(31), 오른쪽 귀(32), 오른쪽 앞발(33), 배꼽(34)에 해당하는 관심 포인트를 순서대로 터치한다.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한 포인트 지정이 완료되면, 해당 이미지의 식별 정보, 비밀 번호 "2 4 0 9", 4개의 관심 포인트(31, 32, 33, 34)의 위치 정보 및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가 생성되어 저장될 것이다.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설정된 관심 포인트는 추후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비밀번호 입력 위치가 된다. 즉, 도 3의 예와 같이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가 생성되는 경우, 추후에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에서 4개의 관심 포인트(31, 32, 33, 34)를 차례로 터치하면 비밀번호 "2 4 0 9"를 정확히 입력한 것으로 본다.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설정의 또 다른 예로써, 1개의 관심 포인트에 비밀번호를 중복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밀번호 "2 4 0 9"를 설정한 후 곰 캐릭터의 왼쪽 눈을 연속 두 번 터치할 경우, 첫 번째 비밀번호 "2"와 두 번째 비밀번호 "4", 두 개의 비밀번호가 하나의 관심 포인트에 설정되는 것이다. 이후 오른쪽 귀를 두 번 연속 터치하면 곰 캐릭터의 귀에 세 번째와 네 번째 비밀번호인 "0"과 "9"가 설정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시 곰 캐릭터의 눈과 귀, 두 곳의 관심포인트만을 터치하지만 비밀번호는 "2 4"와 "0 9" 네 자리 수가 입력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곰 캐릭터의 왼쪽 눈을 연속 세 번 터치하여 3자리의 비밀번호 "2 4 0"을 설정하고 오른쪽 귀에 나머지 한 자리("9")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6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핀번호의 경우에도 사용자 의도대로 두 개나 세 개의 단축 패스워드에 여러개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긴 비밀번호를 간단하게 줄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주위 노출과 해킹 때문에 복잡해지고 길어지는 비밀번호를 짧게 단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단축 패스워드"로 사용자 편의성을 우선시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길어질수록 발생빈도가 많아지는 비밀번호 입력오류도 막아 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짧고 간단한 단축 패스워드는 입력시 주위 노출이나 염탐에 의한 해킹에 취약할 수 있으나 랜덤 터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안전한 장소에서는 단 두 번의 간단한 터치 입력으로 사용자 인증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불안한 장소에서는 두 번의 실제 터치 패스워드 전, 후에 무작위의 랜덤 터치를 여러번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의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주위노출을 막을 수가 있게 된다.
현재 사용되는 패스워드 시스템에는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끼더라도 이를 방어하거나 회피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장치가 없기 때문에 단말기 입력화면을 가리거나 패스워드 사용을 억제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용자 불안감이 커지게 된다.
하지만 랜덤 터치와 단축 패스워드를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주위 환경에 맞게 패스워드의 터치 수를 가감하여 짧게 혹은 길게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과 보안성 강화를 사용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랜덤 터치의 횟수는 1개 이상 N개까지 사용이 가능하지만, 무작위 추측 공격을 감안하면 8개 이하의 사용으로 제한함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밀번호 각 자리에 따른 비밀번호 설정 아이콘을 제공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N자리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표시한 N개의 설정 아이콘을 이미지 상의 소정 영역에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N개의 설정 아이콘을 이미지 상에서 원하는 관심 포인트로 이동시키면 이동 순서에 따라 각 관심 포인트와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대응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들을 브라우징하다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하기를 원하는 이미지(40)를 선택하면, (b)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키보드(41)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키보드(41)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비밀번호의 자릿수에 따라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42)이 생성되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2 4 0 9"라는 4자리의 비밀번호를 키보드(41)에서 입력하였으므로, '2', '4', '0', '9'가 표시된 4개의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42)이 하단에 생성되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저장하기 위한 완료 아이콘(43)도 제공됨을 알 수 있다.
도 4의 (c)와 같이 사용자가 각각의 설정 아이콘(42)을 자신이 입력 위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 상의 소정 위치(45-1, 45-2, 45-3, 45-4)로 이동시킨 후 완료 아이콘(43)을 터치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부합하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d)와 같이 이미지(40) 위에 표시되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화면에서 제거될 것이다.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42)의 이동에는 터치나 드래그 같은 입력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입력 방법에 의한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40)의 위치(45-1, 45-2, 45-3, 45-4)를 터치하면 터치한 순서에 따라 '2', '4', '0', '9'에 해당하는 설정 아이콘들이 차례대로 이동될 것이다. 드래그 입력 방법에 의한 경우, 사용자가 각 설정 아이콘(42)을 드래그앤드롭한 위치가 해당 자리의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가 될 것이다.
이 예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는 이미지(40)에 대한 정보, 비밀번호 "2 4 0 9", 비밀번호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한편, 관심 포인트로 지정하려는 영역이 작거나 한 부분에 몰려 있어서 설정 아이콘이 잘 올려지지 않는 경우는 해당 이미지를 확대하고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회전하여 이미지를 트리밍한 후 원하는 위치에 관심 포인트를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자릿수 보다 많은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을 이미지 상에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4자리의 비밀번호 "2 4 0 9"를 설정하였는데 (a)와 같이 10개의 관심 포인트 후보를 생성하여 해당 포인트 각각에 원모양의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을 배치하고,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들 중에서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한 순서대로 비밀번호의 각 자리 '2', '4', '0', '9'가 해당 관심 포인트에 설정된다.
예컨대, 이미지의 오른쪽 귀에 배치된 설정 아이콘(50)을 사용자가 2번째로 터치한 경우, 비밀번호의 두번째 자리 '4'가 해당 설정 아이콘(50)에 표시되며, '4'에는 이미지의 오른쪽 귀 부분에 해당하는 관심 포인트가 할당된다.
사용자가 후보 관심 포인트 이외의 포인트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원하는 포인트 근처의 설정 아이콘을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앤드롭하여 이동할 수 있다.
후보 관심 포인트는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가 식별하기 쉽고 비밀번호 입력 위치로 기억하기 쉬운 부분, 즉 사용자가 선택할만한 유의미한 지점을 판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을 촬영한 사진이나 캐릭터를 포함하는 이미지인 경우, 눈, 코, 입, 손, 발, 배꼽 등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좌표를 관심 포인트 후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관심 포인트로 설정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외의 후보 관심 포인트에는 기설정한 비밀번호 이외의 숫자를 랜덤 배치할 수도 있다. 이는 패스워드에 사용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숫자들을 기설정된 패스워드와 함께 후보 관심 포인트에 배치해 놓음으로써 해킹에 의해 입력화면을 탈취당하게 될 경우, 실제 패스워드의 예측을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일측에 배치된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 집합을 이용하여 비밀번호의 입력 및 관심 포인트 할당을 동시에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입력할 수 있는 후보들을 표시한 설정 아이콘들을 패스워드 입력 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설정 아이콘들 중 N개를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관심 포인트로 이동시키면, 설정 아이콘들의 이동 순서, 이동된 관심 포인트 및 이동된 설정 아이콘들이 표시하고 있는 비밀번호 후보를 참조하여, N자리의 비밀번호를 결정하고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 역시 결정하게 된다.
이때에도 한곳의 관심 포인트에 한 개 이상의 설정 아이콘을 중복 배치함으로써 단축 패스워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4개의 비밀번호를 네 곳의 관심 포인트에 하나씩 설정할 수도 있지만, 두 개나 세 개의 관심 포인트로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대신 입력 가능한 비밀번호를 표시한 비밀번호 설정 아이콘들의 집합(60)이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6의 (b)와 같이 설정 아이콘들(60) 중에서 원하는 설정 아이콘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이동 순서와 위치에 따라 비밀번호와 관심 포인트가 설정된다. 비밀번호와 관심 포인트가 모두 설정되고 나면 도 6의 (c)와 같이 패스워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화면에서 제거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스워드 입력 화면 외에 더미 이미지(Dummy Image)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의 전후에 하나 이상의 더미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더미 이미지는 인증 시도 화면에서 브라우징할 수 있는 이미지들 중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설정이 없는 이미지를 말하며, 실제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를 타인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위장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의 잠금 화면에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더미 이미지로 설정된 이미지(들)도 제공되며, 결과적으로 앨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원하는 이미지(72)를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하여 비밀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설정하고, 복수의 다른 이미지(71, 73, 74, 75)를 더미 이미지로 설정하였다.
장치의 잠금 화면에서 사용자가 더미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서와 동일한 진동이나 음향 효과를 출력함으로써 타인이 실제 패스워드 입력 화면과의 구별을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창을 통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랜덤 터치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키패드(82)와 이 입력 키패드(82)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를 보여주는 비밀번호 입력창(81)이 제공된다.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이미지(80) 상에서 원하는 포인트를 비밀번호 자릿수 만큼 터치하면, 터치의 순서대로 각 자리의 비밀번호가 터치 지점에 생성되는 관심 포인트에 설정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의 각 자리가 표기된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이 각 관심 포인트에 표시될 것이다.
한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전 또는 후에 랜덤 터치(Random Touch)를 사용할 수 있는데, 랜덤 터치의 사용 여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사용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랜덤 터치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인증 정보 저장부(13)에 저장될 것이다.
랜덤 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임의의 포인트를 추가로 터치하더라도 인증 시도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이 경우 랜덤 터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갯수일 수 있으며 임의의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도 8에서 실제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로 설정된 관심 포인트는 '2', '4', '0, '9'가 표시된 관심 포인트(83)이며, 'x'가 표시된 포인트(84)는 랜덤 터치 포인트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게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90에서는,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기설정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정보를 획득한다.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될 이미지에 대한 정보, N자리의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단계 S91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가 기설정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95로 진행되어,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한다. 인증 실패에 대한 처리는 단말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거나 이미지 브라우징 모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맞는 경우는 단계 S92로 진행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수신된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 상에서 터치하는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를 획득한다.
단계 S93에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이고 비밀번호의 자리 순서대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관심 포인트들이 정확히 터치되었고 터치의 순서도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순서대로 된 경우는, 단계 S94로 진행하여 인증 시도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한다. 예컨대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거나 로그인을 허락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기설정된 관심 포인트들이 정확히 터치되지 않았거나 터치의 순서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순서와 다른 경우는, 단계 S95로 진행하여 인증 시도가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밀번호 "2 4 0 9"의 각 자리에 대응하여 이미지(100)의 코(101), 오른쪽 눈(102), 입술(103), 턱(104)의 순서로 관심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으며,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들 관심 포인트를 차례대로 터치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잠금이 해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관심 포인트들(101, 102, 103, 104)을 차례로 입력하면 비밀번호 "2 4 0 9"가 입력된 것으로 보아 인증에 성공하게 되며, 비밀번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타인이 입력 장면을 주시해 보아도 비밀번호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일반적인 패스워드 입력 화면은 패스워드 입력 버튼에서부터 패스워드 입력창까지 모양이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패스워드 입력 장면을 타인이 바로 알아볼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는 타인이 입력 장면을 보더라도 사진을 보는 것인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인지 알아챌 수가 없고, 패스워드 입력 위치에 숫자나 문자 등의 특별한 표식이 없기 때문에 주위 노출로부터 패스워드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패스워드 입력임을 알아챈다 해도 화면 상에 숫자나 문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가 없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랜덤 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 사용자의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랜덤 터치는 '무작위'를 뜻하는 랜덤이란 말 그대로 사용자가 이미지 상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실제 패스워드의 관심 포인트를 위장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위치를 즉흥적으로 무작위 터치하여 생성해낸 아무 의미 없는 터치 입력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곰 캐릭터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4자리의 비밀번호에 대응하여 왼쪽 눈(111), 오른쪽 귀(112), 오른쪽 손(113), 배꼽(114)의 순서대로 관심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다. 'X'로 표시된 포인트들(115~118)은 기설정된 관심 포인트가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터치한 랜덤 터치 포인트의 예이다.
랜덤 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111~114)를 순서대로 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임의의 포인트(115~118)를 추가로 터치하더라도 인증 시도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예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1과 같이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때, 곰 캐릭터(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축소하거나 상하좌우로 이동 배치하여 화면상에 표출할 경우, 비밀번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관심 포인트의 위치 좌표값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위치로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키로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미지의 배치 위치 변경은 사용 횟수나 시간에 따라 랜덤 변경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워치에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되는 캐릭터 이미지에서 3개의 관심 포인트를 기설정된 비밀번호 순서대로 터치하여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스마트워치의 잠금 해제가 수행될 것이다.
캐릭터 이미지가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나 IoT(Internet of Things) 적용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확장성이 커져 제품 디자인이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것은 물론 디바이스 처음 진입시 표출되는 잠금 화면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광고 및 홍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표시 화면이 작아 기능 작동의 제한이 많은 기기에서는 작은 디스플레이 공간 때문에 10개가 넘는 비밀번호의 키버튼을 사용하기가 어렵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사용할 경우 사용하는 비밀번호의 개수만큼만 화면을 터치 또는 스와이핑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외적인 한계를 뛰어넘어 편리한 사용과 함께 보안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입력시 퀵 슬라이딩 패스(Quick Sliding Pass)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입력시 관심 포인트 설정 위치를 각각 터치할 수도 있지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포인트 설정 아이콘의 순서에 따라 스와이프(Swype)하여 빠르게 설정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스와이프 동작으로 패턴을 입력함으로써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방법을 퀵 슬라이딩 패스라 한다. 퀵 슬라이딩 패스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 내에 자릿수가 많은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거나 입력 위치가 제각각 떨어져 위치해 있거나 입력화면이 작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퀵 슬라이딩 패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 13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의해 터치되는 궤도 내에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로 설정된 관심 포인트가 순서에 맞게 포함되어 있다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한편, 스와이프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경우, 기존의 패턴 패스워드는 터치 포인트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스워드를 교체할 경우 익숙한 패턴을 버리고 새롭게 패턴을 만들어서 사용해야 하지만,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사용되는 캐릭터 이미지를 다른 것으로 바꾸면 관심 포인트인 눈, 코, 입, 손, 발 등의 터치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패턴의 형태도 바뀌므로 일부러 새로운 패턴을 만들지 않고 이전에 사용하던 비밀번호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그대로 쓰더라도 패턴 패스워드가 새로 교체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패스워드 교체를 쉽게 할 수 있고 새로운 캐릭터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패턴 교체를 자연스럽게 유도해 낼 수 있다. 이때, 새로 바뀌는 캐릭터 이미지의 관심 포인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가 새로운 캐릭터에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다시 재설정할 수도 있다.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다른 캐릭터 이미지로 바뀌면, 기존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포함되는 비밀번호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수정함으로써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변경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패턴 패스워드는 패턴을 그리기 위한 도트 표시가 화면상에 항시 표출되어 있기 때문에 패턴 입력 장면이 주위에 노출될 경우 타인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패턴을 이어주는 표시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을뿐더러 패턴을 만들어주는 관심 포인트의 요소나 위치가 사용자마다 각각 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 외에 타인은 따라 할 수가 없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변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설정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의 위치를 보여주기 전에 사용자 본인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설정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특정 위치(140)를 본인 인증용으로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잊어버린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의 본인 인증용 특정 위치(140)를 소정의 횟수(예: 5번)만큼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길게 터치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로 설정된 관심 포인트들에 기설정된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용자 자신이 설정했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기억해 내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기설정된 비밀번호에 할당된 관심 포인트를 알려줄 때, 도 14의 (a)와 같이 관심 포인트에 표시되는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에는 비밀번호를 표시하지 않으며, 기설정한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 외에 다른 포인트에도 설정 아이콘이 랜덤 배치되어 함께 보여지게 된다. 사용자는 도 14의 (a) 화면을 통해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들 중에서 자신이 설정한 관심 포인트의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 및 관심 포인트를 즉시 찾아낼 수 있지만, 타인은 어느 것이 실제 기설정된 아이콘인지를 알 수가 없을 것이다. 사용자가 도 14의 (a) 화면에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정확히 입력하면 (b)와 같이 비밀번호를 해당 설정 아이콘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회용 패스워드(OTP)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일회용 패스워드의 생성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로 설정된 관심 포인트들을 순서대로 터치하면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비밀번호 값을 시간이나 횟수 등에 따라 랜덤으로 바꾸어 생성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에 비밀번호 값을 랜덤하게 매치함으써 생성되는 N자리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인증 서버로 전송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밀번호는 "2 4 0 9"로 설정되었으며 'A', 'B', 'C', 'D'로 표시된 패스워드 설정 아이콘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설정시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포인트를 나타낸다. 즉, 패스워드 입력시 사용자는 코, 오른쪽 눈, 입, 턱의 순서로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면 된다.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마다 터치 포인트와 숫자의 매칭을 변경함으로써 일회용 비밀번호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설정 후 패스워드를 최초로 입력할 때는 일회용 패스워드로 "6 3 8 5"를 생성하지만 다음번 패스워드 입력시에는 "4 8 3 1"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일회용 비밀번호는 인증 서버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로 설정한 관심 포인트들을 동일 순서로 터치할 뿐이지만 서버로 전송되는 비밀번호는 매번 랜덤하게 생성되는 비밀번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사용자 단말에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이용할 이미지를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N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상기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 N개에 각각 대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의 위치 및 순서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상기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 N개에 각각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관심 포인트 N개에 대해 각 자리의 비밀번호가 할당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포인트 대응 단계는,
    상기 N 자릿수의 비밀번호 입력 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상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면 터치 순서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포인트 대응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N 자릿수의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표시한 N개의 설정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 상의 소정 영역에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N개의 설정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 상에서 원하는 관심 포인트로 이동시키면 이동 순서에 따라 각 관심 포인트와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입력할 수 있는 후보들을 표시한 설정 아이콘들을 상기 이미지 상의 소정 영역에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아이콘들 중 N개를 상기 이미지의 관심 포인트로 이동시키면, 상기 설정 아이콘들의 이동 순서, 이동된 관심 포인트 및 이동된 설정 아이콘들이 표시하고 있는 비밀번호 후보를 참조하여, N자리의 비밀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자리의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N개의 관심 포인트 이전 또는 이후에 터치될 수 있는 랜덤 터치의 사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랜덤 터치 사용 여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중에서 상기 N자리의 비밀번호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시도시, 패스워드 입력 화면, N자리의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아닌 경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맞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터치하는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이고 상기 비밀번호의 자리 순서대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인증 시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를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관심 포인트 N개에 각각 대응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랜덤 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를 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임의의 포인트를 추가로 터치하더라도 상기 인증 시도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에 비밀번호 값을 랜덤하게 매치함으로써 생성되는 N자리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시도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하나 이상의 이미지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선택된 이미지, N자리의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인증 정보 생성부 및 인증 요청시, 상기 패스워드 입력 화면으로 설정된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터치한 포인트들의 위치와 순서가 상기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에 설정된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관심 포인트이고 상기 비밀번호의 자리 순서대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시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상의 관심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심 포인트 N개에 대해 각 자리의 비밀번호가 할당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0170122086A 2017-09-21 2017-09-21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tive KR10201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86A KR102014408B1 (ko) 2017-09-21 2017-09-21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86A KR102014408B1 (ko) 2017-09-21 2017-09-21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77A KR20190033377A (ko) 2019-03-29
KR102014408B1 true KR102014408B1 (ko) 2019-10-21

Family

ID=6589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86A Active KR102014408B1 (ko) 2017-09-21 2017-09-21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322B (zh) * 2020-06-17 2023-09-2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应用的登录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
KR102302791B1 (ko) * 2021-03-31 2021-09-15 (주)엔오원 디바이스 사용자 확인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13868633A (zh) * 2021-09-30 2021-12-31 元心信息科技集团有限公司 登录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72B1 (ko) * 2012-11-23 2013-11-19 주식회사 애드웹커뮤니케이션 실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566A (ko) * 2011-12-22 2013-07-3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캡챠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7735A (ko) * 2013-10-25 2015-05-06 모지도코화이어코리아 유한회사 이미지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72B1 (ko) * 2012-11-23 2013-11-19 주식회사 애드웹커뮤니케이션 실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77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555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064104B2 (en) Graphical authentication
US9430144B1 (en) Unlocking electronic devices with touchscreen input gestures
KR101885836B1 (ko) 이미지 패스워드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366127A1 (en) Touchscreen security user input interface
KR102014408B1 (ko) 이미지 터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won et al. SteganoPIN: Two-faced human–machine interface for practical enforcement of PIN entry security
WO2019165976A1 (zh) 一种密码输入方法和装置
JP7021790B2 (ja) 構造化された記憶済みデータへのアクセスの提供
KR20190017315A (ko) 이미지 터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50047735A (ko) 이미지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20170155635A1 (en) Password Generation System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US10263972B1 (en) Authenticating by labeling
KR101954271B1 (ko) 이미지 스와이핑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00776A (ko) 터치 및 슬라이딩을 이용한 제스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33818A (ko) 픽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493973B2 (ja) 文字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00774A (ko) 슬라이딩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14955A (ko) 캐릭터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증 및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033697A (ko) 그래픽 터치 패스워드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407441B1 (en) Adding entropy to key generation on a mobile device
KR20180132530A (ko) 픽처 슬라이딩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42163A (ko) 제스처를 이용한 터치 패스워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83421B1 (ko)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141813A (ko) 터치 및 슬라이딩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