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591B1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591B1 KR102013591B1 KR1020180139519A KR20180139519A KR102013591B1 KR 102013591 B1 KR102013591 B1 KR 102013591B1 KR 1020180139519 A KR1020180139519 A KR 1020180139519A KR 20180139519 A KR20180139519 A KR 20180139519A KR 102013591 B1 KR102013591 B1 KR 102013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optical fiber
- wire
- smart
- fiber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강연선을 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의 구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를 강연선 진행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의 구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의 구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2: 광섬유 센서
3: 측선
4: 기존 심선
10: 꼬임해제용 회전장치
11: 회전 링
12: 고정 링
20: 심선 제거용 보빈
30: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
40: 측선 재꼬임 가이드부재
100: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200: 스마트 강연선
300: 기성 강연선
Claims (5)
-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이 중심에 위치하여 내장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측선들이 꼬여 있는 구조의 스마트 강연선을 제작하는 장치로서,
원주를 따라 회전하며 기성 강연선의 측선이 각각 관통하게 되는 측선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회전 링의 회전에 의해 기성 강연선의 측선 꼬임을 해제하는 꼬임해제용 회전장치;
꼬임해제용 회전장치의 내측에 위치하여 기성 강연선의 기존 심선을 감아주는 심선 제거용 보빈;
심선 제거용 보빈의 후방에 위치하며,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후방의 중심 위치로 공급하는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 및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의 후방에 배치되어, 측선 통과공을 관통한 측선들이 모여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과 함께 통과하면서 측선들이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의 외주에 배치되게 만드는 측선 재꼬임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기성 강연선을 후방으로 연속 진행시키면, 회전 링의 회전에 의해 측선의 꼬임을 일시적으로 풀어서 기존 심선을 노출시켜서 심선 제거용 보빈에 감아서 제거하고,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으로부터 풀어내어 기존 심선이 존재하던 위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배치하면서, 풀어져있던 측선을 모아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의 주변에 위치시킴으로써, 측선의 자체적인 꼬임 복원력에 의해 측선이 다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감싸서 자동적으로 꼬이게 되어 스마트 강연선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강연선의 제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꼬임해제용 회전장치에는, 원형 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 링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 링이 구비되어 있는데;
고정 링은 기성 강연선이 진행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회전 링은 고정 링의 원주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강연선의 제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측선 재꼬임 가이드부재는 후방으로 가면서 단면이 축소되어 넓은 입구와 상대적으로 좁은 출구를 가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강연선의 제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심선 제거용 보빈과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이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의 위치가 위,아래로 변화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에는 절곡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관절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마트 강연선이 제조됨에 따라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에 감겨 있던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이 줄어들어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에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이 감겨있는 부분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여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이 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이 변화될 때, 연결부재의 관절부를 중심으로 한 절곡 회전에 의해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의 위치가 조정되어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의 후방 공급 방향을 기성 강연선의 진행방향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강연선의 제작장치.
-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이 중심에 위치하여 내장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측선들이 꼬여 있는 구조의 스마트 강연선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스마트 강연선의 제작장치를 이용하는데,
기성 강연선의 단부 꼬임을 풀어서 측선을 꼬임해제용 회전장치의 회전 링에 형성된 측선 통과공에 각각 관통시킨 상태로 기성 강연선을 공급하면서 회전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기성 강연선의 꼬임을 해제하여 기존 심선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측선을 분리시키는 단계;
꼬임해제용 회전장치의 내측에 위치한 심선 제거용 보빈에, 기성 강연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던 기존 심선을 감아서 제거하는 것과 병행하여, 심선 제거용 보빈의 후방에 위치하는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으로부터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풀어내어 기존 심선이 진행해온 방향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후방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회전 링의 측선 통과공을 관통한 측선들과 새로 공급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 공급용 보빈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선 재꼬임 가이드부재에 모두 관통시켜서, 측선들이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의 외주를 배치되고 측선의 자체적인 꼬임 복원력에 의해 측선이 다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감싸서 자동적으로 꼬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어서, 기존 심선이 제거되고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이 중앙에 위치한 채로 측선이 다시 꼬여 있는 상태의 스마트 강연선을 제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강연선의 제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9519A KR102013591B1 (ko) | 2018-11-14 | 2018-11-14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9519A KR102013591B1 (ko) | 2018-11-14 | 2018-11-14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3591B1 true KR102013591B1 (ko) | 2019-08-23 |
Family
ID=6776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9519A Active KR102013591B1 (ko) | 2018-11-14 | 2018-11-14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359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4901B1 (ko) * | 1992-11-13 | 1996-10-21 | 구로사와 겐세쓰 가부시끼가이샤 | Pc강연선의 녹방지 피막형성가공법 및 동 방법을 실시하는 녹방지 피막형성가공장치 |
JPH09253776A (ja) * | 1996-03-26 | 1997-09-30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撚癖付き素線の再撚り装置 |
KR101394988B1 (ko) | 2012-11-01 | 2014-05-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강재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KR101406036B1 (ko) | 2012-11-01 | 2014-06-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KR101471909B1 (ko) | 2013-07-22 | 2014-12-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섬유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 |
-
2018
- 2018-11-14 KR KR1020180139519A patent/KR10201359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4901B1 (ko) * | 1992-11-13 | 1996-10-21 | 구로사와 겐세쓰 가부시끼가이샤 | Pc강연선의 녹방지 피막형성가공법 및 동 방법을 실시하는 녹방지 피막형성가공장치 |
JPH09253776A (ja) * | 1996-03-26 | 1997-09-30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撚癖付き素線の再撚り装置 |
KR101394988B1 (ko) | 2012-11-01 | 2014-05-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강재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KR101406036B1 (ko) | 2012-11-01 | 2014-06-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KR101471909B1 (ko) | 2013-07-22 | 2014-12-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섬유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50380B1 (en) | Sz winding machine | |
US4620412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optical fibers in helical grooves of a cable core | |
JP2020112644A (ja) |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ケーブルコアの製造方法 | |
KR860006814A (ko) | 토로이달 트랜스포머용 저압권선 제조장치 및 방법 | |
KR20150117961A (ko) | 전선의 도체 스트랜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 |
KR102013591B1 (ko)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
CN114890245A (zh) | 一种裸铜线存放用成捆收卷装置 | |
CN108988102B (zh) | 用于加工线缆的方法和装置 | |
CN116031794A (zh) | 一种电力设备放线安装辅助装置 | |
JPS6092031A (ja) | 金属ケーブルの製造方法 | |
JP6244586B2 (ja) | 撚線製造方法及び撚線機 | |
CN211283286U (zh) | 一种能够收卷的线束 | |
CN103744150B (zh) | 一种层绞式光缆扎纱剥离方法及装置 | |
CN213737979U (zh) | 一种光纤导线自动卷线装置 | |
JPS6245532B2 (ko) | ||
RU113428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яжки кабеля (варианты) | |
JPH0569408B2 (ko) | ||
KR102187537B1 (ko) | 케이블 피복장치 | |
JPS5930438A (ja) | 撚線の製造方法 | |
US3154905A (en) | Cable conductor replacement apparatus | |
JP4675763B2 (ja) | 撚線機 | |
JPS5842479Y2 (ja) | 線条体二度撚集合装置 | |
JPS59635B2 (ja) | スチ−ルコ−ドノ セイゾウホウホウ | |
CN1095853A (zh) | 制造电话电缆的设备和方法 | |
JP2012123214A (ja) | 光ケーブルの製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