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3350B1 -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350B1
KR102013350B1 KR1020170139116A KR20170139116A KR102013350B1 KR 102013350 B1 KR102013350 B1 KR 102013350B1 KR 1020170139116 A KR1020170139116 A KR 1020170139116A KR 20170139116 A KR20170139116 A KR 20170139116A KR 102013350 B1 KR102013350 B1 KR 10201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groove
tensile
compression module
insulatio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032A (ko
Inventor
안병권
유영종
안상희
송창근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정양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정양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정양에스지
Priority to KR102017013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04B1/0038Anch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ld bri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79Means preventing cold bridging at the junction of an exterior wall with an interior wall or a 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중앙에 진공 단열재를 내장하여 단열 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제1단열몸체의 내면에 제1단턱돌기와 제1단턱홈을 형성하고, 제2단열몸체의 내면에도 제2단턱돌기와 제2단턱홈을 형성하며, 제2단열몸체가 제1단열몸체와 대칭을 이루어 결합하고, 결합된 제1단열몸체와 제2단열몸체의 사이에 진공단열재를 위치하되, 심재는 제1단턱홈과 제2단턱홈 사이에 위치하고, 외피재는 제1단턱돌기와 제2단턱돌기에 의해 눌려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단열몸체, 제2단열몸체 및 진공단열재에 의해 외벽체에서 돌출되는 슬래브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선형 열교의 발생을 더욱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Blocking Thermal Bridge Insulation with Vacuum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중앙에 진공 단열재를 내장하여 단열 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또는 내외부가 관통되는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의 경우 외벽체와 외벽체에서 돌출된 슬래브의 경계에 열교(Heat Bridge)를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설치된다.
그러나 건축물의 외벽체로부터 돌출된 발코니와 같은 슬래브는 외기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기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발생이나 실내 에너지의 손실을 유발한다.
이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외벽체의 경계에 열교 차단 단열재를 설치하여, 슬래브를 통한 결로 발생이나 실내 에너지의 손실을 줄여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구조 보강재인 철근이 외벽체와 연속해서 배치됨에 따라 열 차단 효과를 철근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하여 외부로 많은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2800호에는 단열재 내부에 설치되는 인장 철근을 불연속 배치하여 열교 현상을 방지하고, 경사형 전단근이 수직하중에 대해 전단 저항하도록 하며, 압축하중을 충분히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압축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인장 철근의 양단부가 매립되는 인장 슬리브에 인장 철근의 양단부 외주연 전체가 밀착됨으로써 인장 철근의 열교 현상이 인장 슬리브에 의해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사형 전단근은 고착제에 의해 불연속 배치된 인장 철근의 양단을 이어줌으로써 전단근에 의해 인장 철근의 열교 현상이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원기둥형태로 형성된 압축 모듈의 압축 강도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발코니 또는 내외부가 관통되는 캔틸레버 구조체에서 외벽체와 외벽체에서 돌출되는 슬래브의 경계에 단열재를 구성하여 열 손실이나 열 유입을 줄여주고, 단열재 내부에 트러스 구조의 압축 모듈을 내장하여 압축 강도가 뛰어나며, 단열재에 불연속 구조로 배치되는 인장 철근의 콘크리트 타설 시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단 철근을 압축 모듈에 연결하여 불연속 구조로 배치하여 전단 철근에 의한 열 손실이나 열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교 차단 단열재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인장 철근과 압축 모듈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단열재 전체가 EPS 등으로 이루어짐에도, 단열재 자체의 단열 효과가 약한 문제가 있는 바, 단열재에 진공단열재를 내장하여 단열 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를 안출하게 되었다.
KR 10-1462800 B1 KR 10-2016-0004481 A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중앙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여 외벽체와 외벽체에서 돌출되는 슬래브 경계에서의 단열 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재 내부에 위치한 진공 단열재의 외피재 부분을 단열재를 돌출시켜 덮어주어, 단열재에서 외피재가 위치한 부위의 단열 효과를 높여주면서, 진공 단열재를 단열재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 철근이 설치되는 위치 상부와 압축 모듈이 설치되는 위치 하부에 발포콘크리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부터 단열재를 보호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를 내장한 열교 차단 단열재의 상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상부고정몸체와 하부고정몸체를 통하여 진공단열재가 이동되지 않으면서 작업이 용이한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홈과 홀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하부에서 압축모듈이 삽입되는 제1압축모듈홈(130)이 없는 내면 둘레에 제1단턱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돌기(140)의 내부 영역에 제1단턱홈(150)이 형성된 제1단열몸체(1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대칭을 이루어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홈과 홀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하부에서 압축모듈이 삽입되는 제2압축모듈홈(230)이 없는 내면 둘레에 제2단턱돌기(2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턱돌기(240)의 내부 영역에 제2단턱홈(250)이 형성된 제2단열몸체(2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과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내면 사이에서 상기 제1단턱홈(150)과 상기 제2단턱홈(250)의 사이에 심재(310)가 위치하고, 상기 제1단턱돌기(140)와 상기 제2단턱돌기(240)의 사이에 외피재(320)가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진공단열재(3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를 수용하며 고정하는 상부고정몸체(500); 상기 제1압축모듈홈(130)과 상기 제2압축모듈홈(230)에 삽입되는 압축모듈(6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를 수용하며 고정하는 하부고정몸체(800);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단열몸체(100)는 상부에 복수의 제1인장철근홈(11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측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전단철근홀(12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전단철근홀(120)의 하부마다 제1압축모듈홈(130)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제2단열몸체(200)는 상부에 복수의 제2인장철근홈(21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측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2전단철근홀(22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전단철근홀(220)의 하부마다 제2압축모듈홈(230)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과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인장철근(400); 상기 압축모듈(600)은 양 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서 시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전단철근지지돌기(610)가 구비되며, 상기 전단철근지지돌기(610)의 끝단에서 시작되어 상기 인장철근(400)을 향하도록 절곡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인장철근(400)과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단철근(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전단철근홀(120)과 상기 제2전단철근홀(220)은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되, 상기 대각선 방향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부에 일렬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과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부절삭부(330)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렬로 상기 제1전단철근홀(120)과 상기 제2전단철근홀(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하부절삭부(34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피재(320)는 상기 상부절삭부(330)와 하부절삭부(340)에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고정몸체(500)는 하부에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외부 일측까지 연장되는 상부고정대(5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대(510)의 하부측에는 일렬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 및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인장철근(400)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인장철근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대(5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과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인장철근관통홀(520)을 제외한 면적에 상부단열재(550)가 설치되고, 상부에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에는 상부발포콘크리트(5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고정몸체(800)는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외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하부고정대(8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대(810)의 상부측에 일렬로 상기 제1압축모듈홈(130) 및 상기 제2압축모듈홈(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압축모듈(600)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압축모듈홀(820)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에는 하부발포콘크리트(8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에 제1단턱돌기(140)와 제1단턱홈(150)을 형성하고, 제2단열몸체(200)의 내면에도 제2단턱돌기(240)와 제2단턱홈(250)을 형성하며, 제2단열몸체(200)가 제1단열몸체(100)와 대칭을 이루어 결합하고, 결합된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사이에 진공단열재(300)를 위치하되, 심재(310)는 제1단턱홈(150)과 제2단턱홈(250) 사이에 위치하고, 외피재(320)는 제1단턱돌기(140)와 제2단턱돌기(240)에 의해 눌려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단열몸체(100), 제2단열몸체(200) 및 진공단열재(300)에 의해 외벽체(10)에서 돌출되는 슬래브(30)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선형 열교의 발생을 더욱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몸체(500)의 상부고정대(510)와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몸체(800)의 하부고정대(810)로 결합된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하부를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고정몸체(500)의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에 상부발포콘크리트(540)를 설치하고,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고정대(810)의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에 하부발포콘크리트(840)를 설치하여,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를 화재로부터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뒤집어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에서 제1단열몸체(100), 제2단열몸체(200) 및 진공단열재(300)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가 적용된 구조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뒤집어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에서 제1단열몸체(100), 제2단열몸체(200) 및 진공단열재(300) 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단열몸체(100)는 후술할 제2단열몸체(200)와 결합되어 외벽체와 외벽체에서 돌출된 슬래브의 경계에 열교(Heat Bridge)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제1단열몸체(100)의 앞뒤 폭과 좌우 길이 및 두께는 설치되는 외벽체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제1단열몸체(100)의 재질은 EPS(Expanded Polystyrene), XPS(Extruded Polystylene), EVA(Ethylene VinylAcetate), EPP(Expanded Polyprop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단열몸체(100)의 상부에는 일렬로 복수의 제1인장철근홈(110)이 형성된다. 제1인장철근홈(110)은 장방형으로 파여지고, 후술할 상부단열재(550)가 설치된다.
제1단열몸체(100)의 하부측 내외면에는 일렬로 복수의 제1전단철근홀(120)이 하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전단철근홀(120)은 후술할 전단철근(700)이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1전단철근홀(1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시작되는 것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시작되는 것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1단열몸체(100)의 하부에는 일렬로 복수의 제1압축모듈홈(130)이 형성된다. 제1압축모듈홈(130)은 각각의 제1전단철근홀(1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1압축모듈홈(130)은 후술할 압축모듈(600)의 단면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제1압축모듈홈(130)은 아랫면에서 윗면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나, 장방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에서 좌우측,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1전단철근홀(120)의 둘레 그리고 제1압축모듈홈(130)이 형성된 제1단열몸체(100)의 하부 전체에 걸쳐서 제1단턱돌기(140)가 형성된다. 제1단턱돌기(140)는 제1단열몸체(100)와 동일한 재질의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후술할 진공단열재(300)의 외피재(320)를 가압해주면서, 외피재(320) 부분의 단열이 취약한 부분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단턱돌기(140)는 1Cm 내외의 넓이를 가지며, 두께는 외피재(320)에 맞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1단턱돌기(140)의 두께는 진공단열재(300)의 심재(310)의 두께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에서 제1단턱돌기(140)를 제외한 전체 영역은 제1단턱홈(150)이 형성된다. 제1단턱홈(150)은 상대적으로 돌출된 제1단턱돌기(140)에 의해 형성되는 홈으로 진공단열재(300)의 심재(310)가 안착된다.
제2단열몸체(200)는 제1단열몸체(100)와 결합되어 외벽체와 외벽체에서 돌출된 슬래브의 경계에 열교(Heat Bridge)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블럭 형태로 형성된다. 제2단열몸체(200)의 앞뒤 폭과 좌우 길이 및 두께는 설치되는 외벽체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제2단열몸체(200)의 재질도 EPS(Expanded Polystyrene), XPS(Extruded Polystylene), EVA(Ethylene VinylAcetate), EPP(Expanded Polyprop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단열몸체(200)의 재질은 제1단열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단열몸체(200)는 전체적으로 내면을 기준으로 제1단열몸체(100)에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단열몸체(200)는 제1단열몸체(100)와 상하좌우가 나란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단열몸체(200)의 제2단턱돌기(240)와 제1단열몸체(100)의 제1단턱돌기(140)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에도 일렬로 복수의 제2인장철근홈(210)이 형성된다. 제2인장철근홈(210)은 장방형으로 파여지고, 후술할 상부단열재(550)가 설치된다. 제2단열몸체(200)와 제1단열몸체(100)가 결합하게 되면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이 하나로 이어지게 된다.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측 내외면에는 일렬로 복수의 제2전단철근홀(220)이 하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2전단철근홀(220)은 후술할 전단철근(700)이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2전단철근홀(2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시작되는 것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시작되는 것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때 제2전단철근홀(220)이 높은 위치에서 시작되었다면, 제1전단철근홀(120)은 낮은 위치에서 시작되게 된다. 그래서 제2단열몸체(200)와 제1단열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전단철근홀(220)과 제1전단철근홀(120)은 하나의 대각선으로 이어지게 된다.
아울러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에는 일렬로 복수의 제2압축모듈홈(230)이 형성된다. 제2압축모듈홈(230)은 각각의 제2전단철근홀(2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2압축모듈홈(230)은 후술할 압축모듈(600)의 단면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제2압축모듈홈(230)도 제1압축모듈홈(130)과 동일하게 아랫면에서 윗면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나, 장방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압축모듈홈(230)도 제2단열몸체(200)과 제1단열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제2단열몸체(200)의 내면에서 좌우측, 제2인장철근홈(210)과 제2전단철근홀(220)의 둘레 그리고 제2압축모듈홈(230)이 형성된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 전체에 걸쳐서 제2단턱돌기(240)가 형성된다. 제2단턱돌기(240)는 제2단열몸체(200)와 동일한 재질의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후술할 진공단열재(300)의 외피재(320)를 가압해주면서, 외피재(320) 부분의 단열이 취약한 부분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단턱돌기(240)는 제1단턱돌기(140)와 함께 진공단열재(300)의 외피재(320)를 가압해주게 된다.
이때 제2단턱돌기(240)도 1Cm 내외의 넓이를 가지며, 두께는 외피재(320)에 맞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2단턱돌기(240)의 두께는 진공단열재(300)의 심재(310)의 두께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단열몸체(200)의 내면에서 제2단턱돌기(240)를 제외한 전체 영역은 제2단턱홈(250)이 형성된다. 제2단턱홈(250)은 상대적으로 돌출된 제2단턱돌기(240)에 의해 형성되는 홈으로 진공단열재(300)의 심재(310)가 안착된다.
제2단열몸체(200)와 제1단열몸체(100)가 결합되면 제2단턱돌기(240)와 제1단턱돌기(140)가 서로 일치하게 되고, 제2단턱홈(250)과 제1단턱홈(150)이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단턱홈(250)과 제1단턱홈(150)의 사이에는 진공단열재(300)의 심재(310)가 위치하고, 제2단턱돌기(240)와 제1단턱돌기(140)의 사이에는 외피재(320)가 위치하게 된다.
진공단열재(30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단열 효과를 한층 높여 주는 것으로,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에서 발생하는 선형 열교에 의한 건물의 열손실을 막아준다.
진공단열재(300)는 내부에 진공단열재(300)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고형재 역할을 하는 다공성의 심재(310)가 내장되며, 외부에 심재(310)의 외부 전체를 감싸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도록 외피재(320)로 밀봉형성된다.
심재(310)는 흄드실리카, 글라스울, 우레탄 폼 등이 사용되며, 외피재(320)는 알루미늄이 코팅된 다층 필름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재 등이 사용된다.
심재(310)를 외피재(320)로 감싸도록 한 후 중첩 부위를 히트 실링(Heat Sealing)하고, 내부의 공기를 빼내 외피재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밀봉해준다.
한편, 진공단열재(300)는 상부에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이 형성되는 위치에 인장철근(400)이 지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상부절삭부(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제1전단철근홀(120)과 제2전단철근홀(220)이 형성되는 위치에 전단철근(700)이 지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하부절삭부(340)가 형성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넓이가 넓은 부위는 외피재(320)를 접어서 심재(3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지만, 앞서 설명한 상부절삭부(330)와 하부절삭부(340)는 폭이 좁기 때문에 외피재(320)를 접기가 어렵고, 억지로 접는 경우에 진공단열재(300)의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부절삭부(330)와 하부절삭부(340)의 둘레는 외피재(320)가 1Cm 내외로 펼쳐진 상태가 된다.
진공단열재(300)는 결합된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심재(310) 부분이 제1단턱홈(150)과 제2단턱홈(250)의 사이에 삽입되고, 외피재(320) 부분이 제1단턱돌기(140)와 제2단턱돌기(24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진공단열재(300)에서 외피재(320) 부분의 경우 단열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제1단턱돌기(140)와 제2단턱돌기(240)로 취약한 단열효과를 보강해주게 된다.
인장철근(400)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에 형성된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벽체어서 돌출된 슬래브의 수직하중에 대하여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인장철근(400)은 1개소의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에서 내부 양단에 2개씩 배치된다.
한편, 인장철근(400)은 2개로 이루어져 양단이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장철근(400)이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의 내부에서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에 의하여 슬래브로 인한 열교가 차단되더라도, 인장철근(400)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하여 외벽체의 열량이 슬래브 측으로 손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인장철근(400)에서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결합 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인장슬래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인장슬래브 내부에는 인장철근(400)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착제가 충진된다. 고착제는 초고강도 콘크리트(UHPC)가 사용되어 슬래브의 수직하중에 대하여 높은 저항을 발휘하도록 해준다. 고착제는 서로 이격된 인장철근(400)의 양단 사이에서 인장철근(400) 간에 열전도를 차단해주는 열교 저항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상부고정몸체(50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해준다. 아울러 상부고정몸체(50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를 화재로부터 보호해주는 상부발포콘크리트(540)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고정몸체(500)는 하부에 두 개의 판이 수직으로 세워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간격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 맞게 벌어진 상태로 각진 '∩' 형상을 이루도록 상부고정대(510)가 형성된다.
상부고정대(51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게 된다. 상부고정대(510)에 의해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부고정대(510)에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이 형성된 위치에 인장철근(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장철근관통홀(520)이 복수개 형성된다. 인장철근관통홀(520)은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의 양단에 2개씩 각각 형성된다. 인장철근관통홀(520)은 인장철근(4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부고정대(51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부고정대(510)의 상부에는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가 형성된다. 상부고정대(510)와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는 상부고정대(510)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두 개의 판이 수직으로 세워져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단의 일부가 수평으로 접힌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에는 상부발포콘크리트(540)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수평으로 접히는 부분의 간격은 후술할 상부발포콘크리트(54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상부발포콘크리트(540)는 시멘트에 기포제를 섞어서 발포 및 경화시킨 것으로써,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를 화재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발포콘크리트(54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폭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부발포콘크리트(540)의 두께는 1Cm 내외로 형성된다. 상부발포콘크리트(540)는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부고정대(510)의 내부에는 제1인장철근홈(110)과 제2인장철근홈(210)이 형성된 위치에 상부단열재(550)가 각각 삽입된다. 상부단열재(550)는 제1단열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부단열재(550)의 양단에는 인장철근(4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부단열재관통홀(552)이 형성된다.
압축모듈(600)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측을 앞뒤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압축모듈(600)은 결합된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측에서 좌우 방향 일렬횡대로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게 형성된 제1압축모듈홈(130)과 제2압축모듈홈(230)에 각각 억지끼움 고정된다.
압축모듈(600)은 FRP 계열 또는 EPDM 계열의 강도가 높은 소재가 사용되어, 열전도율이 최소화되면서 충분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압축모듈(600)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측에 위치하면서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압축 강도를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압축모듈(600)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와 연결된 슬래브가 받는 하중에 따라 압축모듈(600)의 개수와 간격이 달라진다.
압축모듈(600)은 선단과 후단이 제1압축모듈홈(130)과 제2압축모듈(600)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모서리가 필렛 처리되고, 첨단이 평탄한 사각뿔 형태로 형성된다. 압축모듈(600)은 사각뿔 형태가 아니라 모서리가 필렛 처리된 직육면체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1압축모듈홈(130)과 제2압축모듈홈(230)은 압축모듈(6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압축모듈(600)의 상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전단철근지지돌기(610)가 형성된다. 전단철근지지돌기(610)는 압축모듈(6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전단철근지지돌기(610)는 후술할 전단철근(70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전단철근지지돌기(610)의 상부에는 경사를 따라 파여진 호 형상으로 전단철근지지홈(620)이 형성된다. 후술할 전단철근(700)이 전단철근지지홈(620)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압축모듈(600)은 제1압축모듈홈(130)과 제2압축모듈홈(230)에 억지끼움 될 때 전단철근지지돌기(610)의 방향이 지그재그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즉 압축모듈(600) 중 제1압축모듈홈(130)과 제2압축모듈홈(230)에서 선단을 기준으로 첫 번째에 위치한 것은 전단철근지지돌기(610)가 오른쪽에서 시작하여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고, 두 번째에 위치한 것은 전단철근지지돌기(610)가 왼쪽에서 시작하여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그래서 압축모듈(600)은 복수개로 제1압축모듈홈(130)과 제2압축모듈홈(230)에 각각 삽입되지만, 전단철근지지돌기(610)의 방향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후술할 전단철근(700)도 엇갈리게 배치되게 되고,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와 연결된 슬래브가 받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해주게 된다.
전단철근(700)은 압축모듈(600)과 외벽체에서 돌출된 슬래브를 연결해주어 압축모듈(600)의 전단 강도를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단철근(700)은 인장철근(400)과 용접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단철근(700)과 인장철근(400)이 서로 연결되어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에 수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전단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전단철근(700)은 시작단이 전술한 전단철근지지돌기(610)와 동일하게 경사진 경사부(710)가 형성되고, 경사부(710)에서 인장철근(400)을 향하도록 절곡부(720)가 형성되며, 끝단은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7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전단철근(700)은 압축모듈(600)의 수량과 대응되도록 복수가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모듈(600)의 전단철근지지돌기(610)의 방향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전단철근(700)도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게 된다.
하부고정몸체(80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해준다. 아울러 하부고정몸체(800)는 압축모듈(600)과 제1단열몸체(100) 및 제2단열몸체(200)를 화재로부터 보호해주는 하부발포콘크리트(840)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부고정몸체(800)는 상부에 두 개의 판이 수직으로 세워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간격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 맞게 벌어진 상태로 각진 '∪' 형상을 이루도록 하부고정대(810)가 형성된다.
하부고정대(81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하부고정대(810)에 의해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는 상부고정대(510)가 고정해주고, 하부는 하부고정대(810)가 고정해줌으로써,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는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하부고정대(810)에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압축모듈(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압축모듈홀(820)이 형성된다. 하부고정대(810)도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하부고정대(810)의 하부에는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가 형성된다. 하부고정대(810)와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는 하부고정대(810)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두 개의 판이 수직으로 세워져 나란하게 배치되되, 하단의 일부가 수평으로 접힌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에는 후술할 하부발포콘크리트(840)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수평으로 접히는 부분의 간격은 하부발포콘크리트(84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하부발포콘크리트(840)는 상부발포콘크리트(540)와 동일하게 시멘트에 기포제를 섞어서 발포 및 경화시킨 것이다. 하부발포콘크리트(840)는 압축모듈(600), 제1단열몸체(100) 및 제2단열몸체(200)를 화재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부발포콘크리트(84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1단열몸체(100)의 폭 및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하부발포콘크리트(840)의 두께는 1Cm 내외로 형성된다. 하부발포콘크리트(840)는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에서 제1단열몸체(100), 제2단열몸체(200) 및 진공단열재(300) 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진공단열재(300)는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단열몸체(200)는 제1단열몸체(100)와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좌우가 일치되도록 결합되게 된다. 즉 제1단열몸체(100)의 제1단턱돌기(140)와 제2단열몸체(200)의 제2단턱돌기(240)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된다.
진공단열재(300)는 심재(310)가 제1단열몸체(100)의 제1단턱홈(150)과 제2단열몸체(200)의 제2단턱홈(250)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외피재(320)는 제1단턱돌기(140)와 제2단턱돌기(24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진공단열재(300)에서 외피재(320) 부분은 심재(310)에 비하여 단열이 취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제1단열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단턱돌기(140)와 제2단열몸체(2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단턱돌기(240)가 취약한 단열 효과를 보완해주게 된다.
한편, 제1단열몸체(100)에서 하부측 내외면를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제1전단철근홀(120)은 위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대각선으로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제2단열몸체(200)에서도 하부측 내외면을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된 제2전단철근홀(220)도 위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대각선으로 관통형성된다.
이때 제1전단철근홀(120)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되었을 때, 제2단열몸체(200)의 제2전단철근홀(220)과 한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과 외면을 번갈아가면서 형성되게 된다. 즉 제1전단철근홀(120)은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에서 시작하거나, 외면에서 시작하도록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아울러 제2전단철근홀(220)의 경우에도 제2단열몸체(200)의 내면에서 시작하거나, 외면에서 시작하도록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가 적용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는 내벽체(20)의 외측에 위치한 외벽체(10)와, 외벽체(10)에서 돌출된 슬래브(30)의 경계에 설치된다.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는 외벽체(10)와 슬래브(30)를 단열해주어 열교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장철근(400)은 외벽체(10)에서 돌출된 슬래브(30)에 삽입되어, 슬래브(30)의 수직하중에 대하여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전단철근(700)은 압축모듈(600)에서 시작되어 대각선으로 경사부(710)가 형성되고, 경사부(710)에서 절곡되는 절곡부(720)가 형성된 후 인장철근(400)과 평행하도록 수평부(7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전단철근(700)의 수평부(730)는 외벽체(10)에서 돌출된 슬래브(30)에 삽입되어, 압축모듈(600)의 전단 강도를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압축모듈(600)은 내벽체(20)의 하중을 분산해주어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압축 강도를 강화해준다.
한편,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에는 상부고정몸체(500)의 상부고정대(510)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측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해주고, 제2단열몸체(2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에는 하부고정몸체(800)의 하부고정대(810)가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측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고정해준다.
나아가 상부고정몸체(500)의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에는 상부발포콘크리트(540)가 설치되고, 하부고정몸체(800)의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에는 하부발포콘크리트(840)가 설치되어 제1단열몸체(100)와 제2단열몸체(200)를 화재로부터 보호해주게 된다.
10 : 외벽체 20 : 내벽체 30 : 슬래브
100 : 제1단열몸체
110 : 제1인장철근홈 120 : 제1전단철근홀
130 : 제1압축모듈홈
140 : 제1단턱돌기 150 : 제1단턱홈
200 : 제2단열몸체
210 : 제2인장철근홈 220 : 제2전단철근홀
230 : 제2압축모듈홈
240 : 제2단턱돌기 250 : 제2단턱홈
300 : 진공단열재
310 : 심재 320 : 외피재 330 : 상부절삭부 340 : 하부절삭부
400 : 인장철근
500 : 상부고정몸체
510 : 상부고정대 520 : 인장철근관통홀 530 : 상부콘크리트설치대
540 : 상부발포콘크리트
550 : 상부단열재 552 : 상부단열재관통홀
600 : 압축모듈
610 : 전단철근지지돌기 620 : 전단철근지지홈
700 : 전단철근
710 : 경사부 720 : 절곡부 730 : 수평부
800 : 하부고정몸체
810 : 하부고정대 820 : 압축모듈홀 830 : 하부콘크리트설치대
840 : 하부발포콘크리트

Claims (8)

  1.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홈과 홀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하부에서 압축모듈이 삽입되는 제1압축모듈홈(130)이 없는 내면 둘레에 제1단턱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돌기(140)의 내부 영역에 제1단턱홈(150)이 형성된 제1단열몸체(1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대칭을 이루어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홈과 홀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하부에서 압축모듈이 삽입되는 제2압축모듈홈(230)이 없는 내면 둘레에 제2단턱돌기(2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턱돌기(240)의 내부 영역에 제2단턱홈(250)이 형성된 제2단열몸체(2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의 내면과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내면 사이에서 상기 제1단턱홈(150)과 상기 제2단턱홈(250)의 사이에 심재(310)가 위치하고, 상기 제1단턱돌기(140)와 상기 제2단턱돌기(240)의 사이에 외피재(320)가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진공단열재(3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를 수용하며 고정하는 상부고정몸체(500);
    상기 제1압축모듈홈(130)과 상기 제2압축모듈홈(230)에 삽입되는 압축모듈(600);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를 수용하며 고정하는 하부고정몸체(800);포함하며;
    상기 제1단열몸체(100)는 상부에 복수의 제1인장철근홈(11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측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전단철근홀(12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전단철근홀(120)의 하부마다 제1압축모듈홈(130)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단열몸체(200)는 상부에 복수의 제2인장철근홈(21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측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2전단철근홀(220)이 일렬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전단철근홀(220)의 하부마다 제2압축모듈홈(230)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몸체(500)는
    하부에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상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외부 일측까지 연장되는 상부고정대(5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대(510)의 하부측에는 일렬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 및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장철근(400)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인장철근관통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대(5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과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인장철근관통홀(520)을 제외한 면적에 상부단열재(550)가 설치되고, 상부에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콘크리트설치대(530)에는 상부발포콘크리트(540)가 설치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과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인장철근(400);
    상기 압축모듈(600)은 양 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서 시작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전단철근지지돌기(610)가 구비되며,
    상기 전단철근지지돌기(610)의 끝단에서 시작되어 상기 인장철근(400)을 향하도록 절곡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인장철근(400)과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단철근(700)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단철근홀(120)과 상기 제2전단철근홀(220)은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되, 상기 대각선 방향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부에 일렬로 상기 제1인장철근홈(110)과 상기 제2인장철근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부절삭부(330)가 형성되고, 하부에 일렬로 상기 제1전단철근홀(120)과 상기 제2전단철근홀(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하부절삭부(340)가 형성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320)는 상기 상부절삭부(330)와 하부절삭부(340)에만 형성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몸체(800)는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하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단열몸체(100)와 상기 제2단열몸체(200)의 외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하부고정대(8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대(810)의 상부측에 일렬로 상기 제1압축모듈홈(130) 및 상기 제2압축모듈홈(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압축모듈(600)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압축모듈홀(820)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콘크리트설치대(830)에는 하부발포콘크리트(840)가 설치되는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KR1020170139116A 2017-10-25 2017-10-25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Active KR10201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16A KR102013350B1 (ko) 2017-10-25 2017-10-25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16A KR102013350B1 (ko) 2017-10-25 2017-10-25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32A KR20190046032A (ko) 2019-05-07
KR102013350B1 true KR102013350B1 (ko) 2019-08-22

Family

ID=6665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116A Active KR102013350B1 (ko) 2017-10-25 2017-10-25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585760A1 (en) * 2024-01-12 2025-07-16 Peikko Group Oy Building element for providing thermal insulation between a building part and a projecting exterior p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928A (ja) * 2005-08-02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建築用部材
KR101630045B1 (ko) * 2014-07-02 2016-06-14 청원화학 주식회사 경사형 전단철근을 갖는 열교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879B (en) * 2012-12-13 2014-12-03 Univ Oxford Brookes A thermal insulation panel
KR101462800B1 (ko) 2013-07-26 2014-11-21 청원화학 주식회사 불연속 철근을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928A (ja) * 2005-08-02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建築用部材
KR101630045B1 (ko) * 2014-07-02 2016-06-14 청원화학 주식회사 경사형 전단철근을 갖는 열교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32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7800C (en) Anchor system for composite panel
US6886301B2 (en) Exterior building cladding having rigid foam layer with drain channels
KR101462800B1 (ko) 불연속 철근을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CA2972146C (en) Joint-sealing tape having predetermined geometry and sealing assembly having such a joint-sealing tape
US7818936B2 (en) Extruded permanent form-work for concrete
US4530191A (en) Isothermic wall with three dimensional framework and process of constructing same
US7908807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system
US8616520B2 (en) Full wall height concrete form strapping and interconnect system
KR101462801B1 (ko)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KR100969244B1 (ko)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KR102013350B1 (ko) 진공 단열재가 내장된 열교 차단 단열재
US20070068111A1 (en) Rib for a wall construction
KR101953064B1 (ko)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090130711A (ko) 건축용 단열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20190142639A (ko) 전단 철근이 압축 부재를 관통하는 열교 차단 단열재
US8640416B2 (en) Sliding and locking energy-efficient wall assembly
JP2010018968A (ja) 建築用真空断熱ボード
US20040107652A1 (en) Reinforced foam building components and structures made therefrom
KR101169904B1 (ko) 단열패널 접합부 및 단열패널 접합부의 형성방법
KR100703169B1 (ko)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KR20120137119A (ko)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 및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의 형성방법
KR20200004587A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KR102480357B1 (ko)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JP2004092343A (ja) 建築用パネル
KR20200007992A (ko) 공장건물의 건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