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3121B1 -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121B1
KR102013121B1 KR1020190039532A KR20190039532A KR102013121B1 KR 102013121 B1 KR102013121 B1 KR 102013121B1 KR 1020190039532 A KR1020190039532 A KR 1020190039532A KR 20190039532 A KR20190039532 A KR 20190039532A KR 102013121 B1 KR102013121 B1 KR 10201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aminate
prepreg
mold
type lami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수
김석래
Original Assignee
(주)웰크론
김천수
김석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크론, 김천수, 김석래 filed Critical (주)웰크론
Priority to KR102019003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8Blades for rotors, stators, fans, turbines or the like, e.g. screw propellers
    • B29L2031/082Blades, e.g. for 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를 형성하고, 프리프레그 복합재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적층공정과,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접합하여 블레이드 적층체를 성형하는 적층체 접합공정과, 블레이드 적층체를 이형필름으로 커버하여 열간 금형에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블레이드 적층체를 접합하는 열간 성형공정과, 열간 성형공정을 통해 성형되는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열간 금형에서 탈형하고,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가공하여 중공부와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가공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열성형을 통해 일체로 접합하여 중량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IRFOIL BLADE OF IMPELLER FOR AIR-CUSHION VEHICLE}
본 발명은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열성형을 통해 일체로 접합하여 중량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부양정은 선체에서 공기를 아래쪽으로 분사하여 선체가 물에 닿지 않고 뜬 상태에서 운행하는 선박으로, 물의 밀도에 의한 저항이 적고 추진기가 없어서 일반 선박이 운행할 수 없는 지형과 수초나 해초가 있는 늪이나 해안, 눈과 진흙, 모래 같은 곳에서도 운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부양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전진 속도와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압력차를 만드는 공기정역학적 선박(ACV)과, 진행 속도로 압력차를 얻는 데 전진속도가 필요한 공기동역학적 지면효과식기계(GEM)로 구별된다.
최근에는 공기부양정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군용, 유람선, 레저보트 등으로 수요 및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의 공기부양정은 크게 추진용 프로펠러와 공기 압축용 임펠러(Lift Pan), 스커트(Skirt) 등으로 구성된다. 추진용 프로펠러와 공기 압축용 임펠러가 회전하면 대량의 공기가 배 아래쪽으로 들어가 수면 사이에 공기층(Air Cushion)이 생겨 선체를 띄우는 방식이다. 선체 아래에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스커트가 있어 공기층을 유지하기 위한 차단막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기 압축용 임펠러는 디스크와, 이 디스크의 양측에 위치하는 슈라우드와, 디스크와 슈라우드 사이에 결합되는 익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는, 공기의 이송을 위한 익형 블레이드가 금속에 의해 제작되므로, 그 무게가 무거워 연료비 등과 같은 운용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물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됨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1492373호(등록일:2015.02.04)에는 "공기 부양정"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42473호(공개일:2018.04.26)에는 "공기부양정 기능을 겸비한 에어제트 추진방식의 선박 및 그 구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열성형을 통해 일체로 접합하여 익형 블레이드를 제작하므로, 중량을 현저하게 줄이고,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복합재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적층공정과,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접합하여 블레이드 적층체를 성형하는 적층체 접합공정과, 상기 블레이드 적층체를 이형필름으로 커버하여 열간 금형에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블레이드 적층체를 접합하는 열간 성형공정과, 상기 열간 성형공정을 통해 성형되는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상기 열간 금형에서 탈형하고, 상기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가공하여 중공부와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가공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적층체 접합공정은, 예비금형의 상형 및 하형에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하고 가압하여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프레그 적층공정은, 상기 프리프레그 복합패드의 두께가 1.5mm 내지 2.5mm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복합패드의 단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보조 마감부재를 더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간 성형공정은, 상기 열간 금형의 조건을 145도 ~ 155도씨의 온도와 70 ~ 100 kg/㎠의 압력을 유지시키면서 열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임펠러에 사용되는 익형 블레이드를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를 적층하고, 이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열간 성형하여 일체로 접합하므로, 알루미늄인 금속 소재와 비교하여 중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익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적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적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간 성형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익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적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적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층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간 성형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익형 블레이드(10)는 탄소 복합소재에 의해 유선형으로 성형되며, 무게의 감소를 위한 중공부(11)가 형성되고, 볼트를 통해 임펠러의 프레임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홈부(13)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부(13)에는 볼트의 체결을 위한 너트가 인서트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복합소재에 의해 제작되는 익형 블레이드(10)는 공기 부양선용 프로펠러에 사용되며, 금속소재인 알루미늄과 비교하여 중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물에 의해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익형 블레이드(10)를 제조하기 위한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를 적층하는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과, 프리프레그 적층체(3, 5)를 예비금형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접합하는 적층체 접합공정(S20)과, 예비접합된 프리프레그 적층체(3, 5)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복합 익형 블레이드(9)를 성형하는 열간 성형공정(S30)과, 복합 익형 블레이드(9)를 MCT 또는 CNC 등과 같은 가공머신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블레이드 가공공정(S40)을 포함한다.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은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각각 형성한다.
이때,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는 특정 크기로 절단된 카본 또는 유리섬유 시트에 강화섬유 에폭시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가 함침되어 그 두께(T)가 1.5mm 내지 2.5mm로 형성된다. 또한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는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의 일단부가 리딩 에지(Leading Edge)를 형성하고 타단부가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은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를 3K 평직(PLAIN) 탄소 섬유시트와 일방향 탄소섬유 시트(UD)를 접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3K 평직(PLAIN) 탄소 섬유시트의 두께보다 일방향 탄소섬유 시트(UD)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접합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은 3K 평직 탄소 섬유시트와 일방향 탄소섬유 시트(UD)를 적층하고, 프레스에서 진공압축 열간 성형하여 일체로 접합한다.
또한,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 10장을 적층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3)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 7장을 적층하여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하프익형 적층체(3)를 10장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를 적층하여 형성하고,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7장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를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작을 위한 복합 익형 블레이드(9)의 크기에 따라 적층하는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더하여,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은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제1하프익형 적층체(3) 및 제2하프익형 적층체(5)의 단차부에 보조 마감부재(1a)를 더 적층하여 단차부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프리프레그 적층공정(S10)에서 사용되는 보조 마감부재(1a)는 단차부에 의한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면에 경사면(1b)이 형성되며, 경사면(1b)이 외측을 향하도록 제1하프익형 적층체(3) 및 제2하프익형 적층체(5)의 단착부에 적층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마감부재(1a)는 실리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층체 접합공정(S20)은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상호 결합하여 블레이드 적층체(7)를 형성한다. 적층체 접합공정(S20)을 통해 블레이드 적층체(7)를 형성하는 것은 블레이드 적층체(7)의 적층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운반이나 취급시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 및 보조 마감부재(1a)가 분리되거나 그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적층체 접합공정(S20)은 예비금형을 이용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가압하여 접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적층체 접합공정(S20)은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 중 어느 하나를 예비금형의 상형 및 하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삽입하고,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 중 다른 하나를 상형 및 하형 중 다른 하나의 금형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이 각각 삽입되는 상형과 하형을 결합하고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가압하여 긴밀하게 접합한다. 이때,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은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에 에폭시수지가 함침되어 있어 탄소섬유와 접합력에 의해 긴밀하게 접합되어 블레이드 적층체(7)의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열간 성형공정(S30)은 적층체 접합공정(S20)을 통해 접합된 블레이드 적층체(7)를 이형필름으로 커버하고 열간 금형에 삽입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여 블레이드 적층체(7)를 열압착한다. 이를 통해 복합 익형 블레이드(9)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간 성형공정(S30)은 열간 금형의 온도를 145도 ~ 155도씨로 유지시키면서 70 ~ 100kg/㎠의 압력으로 블레이드 적층체를 가압하여 열간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열간 성형 시간은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진행한다.
그리고 열간 성형공정(S30)이 완료되면 열간 금형을 냉각한 후, 복합 익형 블레이드(9)를 탈형한다.
블레이드 가공공정(S40)은 열간 금형에서 탈형한 복합 익형 블레이드(9)의 무게를 더 줄이고, 다른 부품과의 결합을 위하여 중공부(11)와 결합홈부(13)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블레이드 가공공정(S40)에서는 결합홈부(13)에 금속에 의해 형성되는 너트를 인서트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가공공정(S40)에서는 복합 익형 블레이드(9)를 MCT 또는 CNC 등과 같은 가공머신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복합패드(1)를 이용하여 복합 익형 블레이드(9)를 제조하므로, 무게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예비금형을 이용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3)와 제2하프익형 적층체(5)를 긴밀하게 접합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 적층체(7)의 분리를 방지하고,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프리프레그 복합패드 3 : 제1하프익형 적층체
5 : 제2하프익형 적층체 7 : 블레이드 적층체
1a : 보조 마감부재 1b : 경사면
9 : 복합 익형 블레이드 10 : 익형 블레이드
11 : 중공부 13 : 결합홈부

Claims (3)

  1.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1하프익형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적층하여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적층공정;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접합하여 블레이드 적층체를 성형하는 적층체 접합공정; 상기 블레이드 적층체를 이형필름으로 커버하여 열간 금형에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블레이드 적층체를 접합하는 열간 성형공정; 및 상기 열간 성형공정을 통해 성형되는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상기 열간 금형에서 탈형하고, 상기 복합 익형 블레이드를 가공하여 중공부와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가공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 접합공정은, 예비금형의 상형 및 하형에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상형과 하형을 결합하고 가압하여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를 접합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적층공정은, 상기 프리프레그 복합패드의 두께가 1.5mm 내지 2.5mm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제1하프익형 적층체와 상기 제2하프익형 적층체의 단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보조 마감부재를 적층하고,
    상기 열간 성형공정은, 상기 열간 금형의 조건을 145도 ~ 155도씨의 온도와 70 ~ 100 kg/㎠의 압력을 유지시키면서 열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39532A 2019-04-04 2019-04-04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Active KR10201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32A KR102013121B1 (ko) 2019-04-04 2019-04-04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32A KR102013121B1 (ko) 2019-04-04 2019-04-04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21B1 true KR102013121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32A Active KR102013121B1 (ko) 2019-04-04 2019-04-04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3236A (zh) * 2019-11-25 2020-02-2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碳纤维复合材料中空叶片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799A (en) * 1988-11-21 1990-11-1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Blower fan blade
JP2011042170A (ja) * 2009-08-20 2011-03-03 Siemens Ag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及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10132648A (ko) * 2010-06-03 2011-12-09 김병하 유연 프로펠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9457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지에스엠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799A (en) * 1988-11-21 1990-11-1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Blower fan blade
JP2011042170A (ja) * 2009-08-20 2011-03-03 Siemens Ag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及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10132648A (ko) * 2010-06-03 2011-12-09 김병하 유연 프로펠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9457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지에스엠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3236A (zh) * 2019-11-25 2020-02-2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碳纤维复合材料中空叶片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310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molded thermal plastic polymer components
CA2372386C (en) Tri-sponson boat hull and method of making boat hulls
EP2676787B1 (en) Composite hat stiffen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205150216U (zh) 一种小型无人机的泡沫夹芯机翼
US9096021B2 (en) Method and shaping device for producing a composite fiber component for air and space travel
US20070013109A1 (en) Boat hul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173789B2 (en) Cellular core composite leading and trailing edges
EP2746042B1 (en) Methods for fabricating stabilized honeycomb core composite laminate structures
US10391722B1 (en) Method of producing aerofoils
CN104773283A (zh) 单片式复合分叉小翼
GB2548947A (en) Composite structures with stiffen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9822949B (zh) 一种火箭用轻质夹芯结构长排罩的制备方法
KR102013121B1 (ko)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US20130154154A1 (en) Composite structures having cored members
CN109501312A (zh) 一种模块化设计的复合材料模具及其使用方法
JP3769194B2 (ja) 複合材サンドイッチ構造体及びその補修方法
CN109398501A (zh) 一种电动汽车用复合材料集成式中后地板及其制备方法
EP2731788B1 (en) Masterless layup mandrel tool
KR102004977B1 (ko)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 제조방법
KR200427330Y1 (ko) 선박용 방향타
KR102191264B1 (ko)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CN113696509A (zh) 一种超混杂面板/三维编织中空夹层复合材料的一体化成型方法
US10434731B2 (en) Composite structures having embedded mechanical features
CN114536809A (zh) 一种复合材料无人艇艇体成型方法
CN111016211A (zh) 轻量化异形结构无人机雷达罩及其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