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690B1 -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2690B1 KR102012690B1 KR1020147000536A KR20147000536A KR102012690B1 KR 102012690 B1 KR102012690 B1 KR 102012690B1 KR 1020147000536 A KR1020147000536 A KR 1020147000536A KR 20147000536 A KR20147000536 A KR 20147000536A KR 102012690 B1 KR102012690 B1 KR 102012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na
- pna probe
- probe
- detection
- dn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41—In situ hybrid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PNA-PNA 및 PNA-DNA의 상대적 결합력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을 이용한 표적 뉴클레오티드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a)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을 이용한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검출방법 중 제1 PNA 프로브를 검출용 프로브로 사용한 경우.
(b)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을 이용한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검출방법 중 제 2 PNA 프로브를 검출용 프로브로 사용한 경우.
도 4는 프로브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
(a) 제 1 프로브와 제 2 프로브를 혼합한 직후 수행한 PCR 결과.
(b) 제 1 프로브와 제 2 프로브를 혼합한 상태로 6개월 간 상온보관 후 수행한 PCR 결과.
도 5는 이중 형광 표지를 통한 형광 세기 증가를 나타내는 도면.
(a) 형광표지되지 않은 제 2 프로브와 제 1 프로브를 혼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b) 형광표지된 제 2 프로브와 제 1 프로브를 혼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한 실시예 8과 관련하여, 와파린 단일염기서열변이 검출 민감도 확인 및 정량법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PCR을 수행한 결과 및 검량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한 실시예 9와 관련하여, ITS유전자 검출 민감도 확인 및 정량법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PCR을 수행한 결과 및 검량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DNA 프로브를 이용한 PCR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a) D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와파린 대사관련 유전자 CYP2C9 430 유전자의 야생형과 단일 염기서열 변이체를 이용한 PCR 결과 (○는 야생형 유전자 검출선이고, ×는 단일염기서열변이체의 검출선을 의미).
(b) D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와파린 대사관련 유전자 VKORC1 3730 유전자의 야생형과 단일 염기서열 변이체를 이용한 PCR 결과 (○는 야생형 유전자 검출선이고, ×는 단일염기서열변이체의 검출선을 의미).
(c)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와파린 대사관련 유전자 CYP2C9 430 유전자의 야생형과 단일 염기서열 변이체를 이용한 PCR 결과 (○는 야생형 유전자 검출선이고, 직선은 단일염기서열변이체의 검출선을 의미).
(d)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와파린 대사관련 유전자 VKORC1 3730 유전자의 야생형과 단일염기서열변이체를 이용한 PCR 결과 (○는 야생형 유전자 검출선이고, 직선은 단일염기서열변이체의 검출선을 의미).
도 9는 서로 다른 형광으로 표지된 PNA 프로브를 이용하여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과 비결핵항산균(Non - 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을 각각 특이적으로 동시에 검출한 PCR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는 결핵균의 검출선이고, △는 비결핵항산균의 검출선을 의미).
도 10은 제 2 프로브에 의한 단일 염기서열 변이체에 대한 용융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오른쪽 봉우리는 야생형의 용융온도를 나타내고, 왼쪽 봉우리는 단일 염기서열 변이체의 용융온도를 의미).
Claims (22)
- 표적 뉴클레오티드와 상보 결합하는 제 1 PNA 프로브 및 상기 제 1 PNA 프로브와 평행 결합을 이루는 제 2 PNA 프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는 하나 이상의 말단에 물성조절 부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는 리포터 물질(reporter molecule) 및 소광물질(quencher molecule)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물질 또는 소광물질은 PNA 말단에 직접 결합되거나, PNA 말단에 연결된 물성조절 부위를 통해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물질은 플루오레신(fluorescein), 플루오레신 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 오레곤 그린(Oregon green), 알렉사 플루오로(Alexa Fluor), FAM, JOE, ROX, HEX, 텍사스 레드(Texas Red), TET, TRITC, TAMRA, 시아닌(Cyanine) 계열 염료 및 씨아디카르보시아닌(thiadicarbocyanine) 염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광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물질은 답실(Dabcyl), TAMRA, Eclipse, DDQ, QSY,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블랙홀 퀸처(Black Hole Quencher), Qxl,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 FQ, 아이오와 블랙 RQ, IRDye QC-1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NA 프로브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물성조절 부위는 친수성 잔기, 소수성 잔기, 이온성 잔기 및 수소 결합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물성조절 부위는 이온성 잔기로서, 양전하, 음전하 또는 쯔비터 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NA 프로브는 두 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리포터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표적 뉴클레오티드와 상보 결합하는 제 1 PNA 프로브 및 상기 제 1 PNA 프로브와 평행 결합을 이루는 제 2 PNA 프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료내의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존재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의 검출 방법.
- 표적 뉴클레오티드와 상보 결합하는 제 1 PNA 프로브 및 상기 제 1 PNA 프로브와 평행 결합을 이루는 제 2 PNA 프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료내의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돌연변이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돌연변이 검출 방법.
- 표적 뉴클레오티드와 상보 결합하는 제 1 PNA 프로브 및 상기 제 1 PNA 프로브와 평행 결합을 이루는 제 2 PNA 프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료내의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정량적 검출 방법.
- 삭제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는 리포터 물질 및 소광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는 PNA와 리포터 물질 또는 소광 물질 사이에 물성조절 부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물질 또는 소광물질은 PNA 말단에 직접 결합되거나, PNA 말단에 연결된 물성조절 부위를 통해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터 물질은 플루오레신(fluorescein), 플루오레신 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 오레곤 그린(Oregon green), 알렉사 플루오로(Alexa Fluor), FAM, JOE, ROX, HEX, 텍사스 레드(Texas Red), TET, TRITC, TAMRA, 시아닌(Cyanine) 계열 염료 및 씨아디카르보시아닌(thiadicarbocyanine) 염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광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물질은 답실(Dabcyl), TAMRA, Eclipse, DDQ, QSY,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블랙홀 퀸처(Black Hole Quencher), Qxl,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 FQ, 아이오와 블랙 RQ, IRDye QC-1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물성조절 부위는 친수성 잔기, 소수성 잔기, 이온성 잔기 및 수소 결합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PNA 프로브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물성조절 부위는 이온성 잔기로서, 양전하, 음전하 또는 쯔비터 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NA 프로브는 두 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리포터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내의 표적 뉴클레오티드의 검출은 형광동소보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68667 | 2011-07-12 | ||
KR1020110068667 | 2011-07-12 | ||
PCT/KR2012/005458 WO2013009070A2 (ko) | 2011-07-12 | 2012-07-10 |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3945A KR20140053945A (ko) | 2014-05-08 |
KR102012690B1 true KR102012690B1 (ko) | 2019-08-21 |
Family
ID=4750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0536A Active KR102012690B1 (ko) | 2011-07-12 | 2012-07-10 |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2690B1 (ko) |
WO (1) | WO2013009070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8454B1 (ko) * | 2012-08-28 | 2019-08-08 | 주식회사 파나진 | 평행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c형 간염바이러스(hcv) 유전자형 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별방법 |
EP3126511B1 (en) | 2014-04-04 | 2019-06-19 | Panagene Inc. | Melting curve analysis using pna probe, method and kit for analyzing nucleotide polymorphism using melting curve analysis |
WO2016122198A1 (ko) * | 2015-01-30 | 2016-08-04 |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 PNA 프로브를 이용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의 임계 사이클(Ct)에 따른 핵산 검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WO2018030789A1 (ko) * | 2016-08-09 | 2018-02-15 | 주식회사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 | 세포투과성이 향상된 펩티드 핵산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KR20200045212A (ko) * | 2018-10-22 | 2020-05-04 | (주)바이오니아 | 옥타민 또는 옥타민 유도체가 결합된 프로브 및 이의 용도 |
EP4284945B1 (en) * | 2021-01-26 | 2024-10-23 | 10X Genomics, Inc. | Nucleic acid analog probes for in situ analysi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45539A1 (en) | 1996-05-31 | 1997-12-04 | Mikael Kubista | Probe for analysis of nucleic acids |
US6432642B1 (en) | 1999-01-15 | 2002-08-13 | Pe Corporation (Ny) | Binary probe and clamp composition and methods for a target hybridization detection |
KR100537979B1 (en) | 1999-12-21 | 2005-12-21 | Ingeneus Corp | Fluorescent intensity assay for duplex and triplex nucleic acid hybridization in solution utilizing fluorescent intercalator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22018A2 (en) * | 1997-10-27 | 1999-05-06 | Boston Probes, Inc. | Methods, kits and compositions pertaining to pna molecular beacons |
-
2012
- 2012-07-10 WO PCT/KR2012/005458 patent/WO2013009070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7-10 KR KR1020147000536A patent/KR10201269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45539A1 (en) | 1996-05-31 | 1997-12-04 | Mikael Kubista | Probe for analysis of nucleic acids |
US6432642B1 (en) | 1999-01-15 | 2002-08-13 | Pe Corporation (Ny) | Binary probe and clamp composition and methods for a target hybridization detection |
KR100537979B1 (en) | 1999-12-21 | 2005-12-21 | Ingeneus Corp | Fluorescent intensity assay for duplex and triplex nucleic acid hybridization in solution utilizing fluorescent intercalators |
Non-Patent Citations (10)
Title |
---|
Analytical Biochemistry (2007) 362:145-147 |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009) 25:803-808* |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04) 12:694-700 |
JACS (2002) 124(6):1097-1103 |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2003) 69(9):5673-5678 |
Nucleic Acids Research (2007) 35(7):e53 |
Nucleic Acids Research (2008) 36(5):1464-1471* |
Organic & Biomolecular Chemistry (2009) 7:5078-5083 |
PNAS (2002) 99(9):5953-5958 |
The FASEB Journal (2000) 14:1041-106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09070A2 (ko) | 2013-01-17 |
KR20140053945A (ko) | 2014-05-08 |
WO2013009070A9 (ko) | 2013-05-16 |
WO2013009070A3 (ko) | 2013-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08283A (ko) | 평행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실시간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결핵균 및 비결핵 항산균의 동시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 |
KR102012690B1 (ko) | 평행 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 | |
US8969047B2 (en) | Solid support assay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non-standard bases | |
US8008019B2 (en) | Use of dual-tags for the evaluation of genomic variable repeat regions | |
AU2012374566B2 (en) | Polymerase chain reaction detection system using oligonucleotides comprising a phosphorothioate group | |
EP1716257B8 (en) | New primers and probes for the detection of parvovirus b19 | |
US20140017689A1 (en) | Method for detecting nucleic acids | |
JP2002519073A (ja) | 分子トーチ(torch) | |
JP2009502161A (ja) | リコンビナーゼポリメラーゼ増幅を多重化するための方法 | |
JP4481656B2 (ja) | 3’→5’エキソヌクレアーゼ耐性クエンチャードメインを含むfet標識オリゴヌクレオチド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組成物 | |
JP4297966B2 (ja) | 標識ヌクレオチドを利用することによる核酸の新規測定方法 | |
JP2008541703A (ja) | Mollicutesを検出するためのPNAプローブ | |
EP3039160B1 (en) | Oligonucleotides comprising a secondary structure and uses thereof | |
US10072288B2 (en) | Detect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using overlapped primer and melting probe | |
AU2015239394A1 (en) | Fluorescent labeled single-stranded nucleic acid and use thereof | |
CN105051212A (zh) | 聚合酶链式反应检测系统 | |
JPWO2018221240A1 (ja) | 核酸測定用新規蛍光消光プローブ | |
KR20010042167A (ko) | 검출 복합체에 관한 방법, 키트 및 조성물 | |
KR102008454B1 (ko) | 평행결합 구조의 이중 혼성화 pna 프로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c형 간염바이러스(hcv) 유전자형 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별방법 | |
Kim et al. | Easy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origin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with a dual-labelled PNA-probe-based melting curve analysis | |
van Pelt-Verkuil et al. | Primers and Probes | |
JP4276897B2 (ja) | 標識ヌクレオチドを利用することによる核酸の新規測定方法 | |
Chen et al. | Imaging RNA in living cells with molecular beacons: current perspectives and challenges | |
US20110136105A1 (en) | Methods of quantifying nucleic acids | |
US10760116B2 (en) | Analysis kit, analyzer, and methods for analyzing template nucleic acid or target subst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1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