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928B1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1928B1 KR102011928B1 KR1020160121613A KR20160121613A KR102011928B1 KR 102011928 B1 KR102011928 B1 KR 102011928B1 KR 1020160121613 A KR1020160121613 A KR 1020160121613A KR 20160121613 A KR20160121613 A KR 20160121613A KR 102011928 B1 KR102011928 B1 KR 102011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magnetic wave
- conductive pattern
- resin
- composition
-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온도 증가/주파수 감소에 따른 고분자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탄성 모듈러스의 변화 경향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전자기파 흡수성 무기 첨가제 | 무기 첨가제 함량(중량부) | 전자기파 흡수 보조제 | 보조제 함량 (중량부) |
|
비교예 1 (PC 수지 자체) |
- | 0 | - | 0 |
비교예 2 | Cu2(OH)PO4 | 4 | - | 0 |
비교예 3 | Cu2(OH)PO4 | 4 | TiO2 | 6 |
실시예 1 | CuSn2(PO4)3 | 5 | - | 0 |
실시예 2 | CuSn2(PO4)3 | 5 | TiO2 | 5 |
실시예 3 | Cu3P2O8 | 5 | - | 0 |
실시예 4 | Cu3P2O8 | 3 | TiO2 | 8 |
충격강도 (IZOD, 1/8", J/cm) |
Wc1 (Hz) |
Wc2 (Hz) |
A | ISO 2409 class (등급) |
|
비교예 1 (PC 수지 자체) |
7.0 | 0.151 | 0.151 | 0 | class 5 |
비교예 2 | 6.3 | 0.247 | 0.522 | 1.113 | class 0 |
비교예 3 | 5.8 | 0.231 | 0.378 | 0.636 | class 0 |
실시예 1 | 6.8 | 0.168 | 0.204 | 0.214 | class 0 |
실시예 2 | 6.5 | 0.178 | 0.224 | 0.258 | class 0 |
실시예 3 | 7.2 | 0.190 | 0.191 | 0.006 | class 0 |
실시예 4 | 6.8 | 0.170 | 0.264 | 0.552 | class 0 |
Claims (12)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 및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를 흡수하는 전자기파 흡수성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고,
190℃의 온도에서 레오미터(rheometer)를 사용하여, 상기 무기 첨가제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에 대해, 주파수(frequency)에 따른 손실 모듈러스 (G"; loss modulus) 및 저장 모듈러스 (G'; storage modulus)를 측정하였을 때,
상기 주파수 변화에 따른 손실 모듈러스 (G"; loss modulus) 및 저장 모듈러스 (G'; storage modulus)의 곡선에서, 고무 평탄 영역(Rubbery Plateau Region)과, 말단 영역 (Terminal Region) 사이의 교차점으로 정의되는 교차 주파수(crossover frequency; Wc1)가 0.1 내지 0.23Hz 이고,
상기 무기 첨가제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를 270℃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하고 190℃의 온도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190℃의 온도에서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열처리 후 교차 주파수(crossover frequency after heat treatment; Wc2)를 측정하였을 때,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열처리 후 교차 주파수 변화율 (A)이 0.6 이하이고,
상기 전자기파 흡수성 무기 첨가제는 CuSn2(PO4)3, CuI, CuCl, CuBr, CuF, AgI 및 Cu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도전성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며,
카본블랙, 송연, 유연, 램프블랙, 채널블랙, 파네스블랙, 아세틸렌블랙 및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자기파 흡수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파 흡수 보조제는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식 1]
열처리 후 교차 주파수 변화율 (A) = (Wc2 -Wc1)/Wc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는 상기 열처리 후 교차 주파수(crossover frequency after heat treatment; Wc2)가 0.1 내지 0.3Hz인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를 포함한 고분자 수지는 4.0 J/cm 이상의 충격 강도를 갖는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ABS 수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1000nm 내지 12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전자기파가 1 내지 20W의 평균 파워로 조사되고, 상기 레이저 전자기파의 조사 영역에 도금이 진행되어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열 안정제, UV 안정제, 난연제, 항산화제, 무기 충전제, 색 첨가제 및 기능성 보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로 더 포함하는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을 수지 제품으로 성형하거나, 다른 제품에 도포하여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제품 또는 수지층의 소정 영역에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파의 조사 영역을 도금하여 도전성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조사 단계에서 1000nm 내지 12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전자기파가 1 내지 20W의 평균 파워로 조사되는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613A KR102011928B1 (ko) | 2016-09-22 | 2016-09-22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613A KR102011928B1 (ko) | 2016-09-22 | 2016-09-22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413A KR20180032413A (ko) | 2018-03-30 |
KR102011928B1 true KR102011928B1 (ko) | 2019-08-19 |
Family
ID=6190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613A Active KR102011928B1 (ko) | 2016-09-22 | 2016-09-22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192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70968B2 (ja) * | 1995-07-28 | 2006-04-26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レーザーによる回路形成方法 |
KR101574736B1 (ko) * | 2013-04-26 | 2015-12-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JP6134073B2 (ja) * | 2014-04-16 | 2017-05-24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導電性パターン形成用組成物、これを用いた導電性パターン形成方法と、導電性パターンを有する樹脂構造体 |
KR101698524B1 (ko) * | 2014-09-17 | 2017-01-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KR101722744B1 (ko) * | 2014-10-23 | 2017-04-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KR101895510B1 (ko) * | 2015-01-26 | 2018-09-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
2016
- 2016-09-22 KR KR1020160121613A patent/KR102011928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413A (ko) | 201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2744B1 (ko)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
EP3699234B1 (en) |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injection molded product manufactured from same | |
EP2935431B1 (en) | Thermoplastic composition | |
JP6423418B2 (ja) | Ldsプラスチック用添加剤 | |
EP2958112B1 (en) | Composition for forming conductive pattern,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pattern using same, and resin structure having conductive pattern | |
EP3042980A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ing-layer-equipped resin molded article | |
DE102014008963A1 (de) | Additiv für LDS-Kunststoffe | |
KR20150077238A (ko) | 전자파 차폐용 코팅 조성물 | |
WO2020196112A1 (ja) | 無電解めっき下地膜 | |
KR102011928B1 (ko) | 전자기파 조사에 의한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 | |
CN106605272B (zh) | 用于形成导电图案的组合物和具有导电图案的树脂结构 | |
KR101895510B1 (ko) |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
EP3016110A1 (en) | Composition for forming conductive pattern,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pattern by using same, and resin structure having conductive pattern | |
KR101924257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EP3139388B1 (en) | Composition for conductive pattern formation, conductive pattern formation method using same, and resin structure having conductive pattern | |
JP4329814B2 (ja) | 難燃性の改良された樹脂組成物、電子部品および難燃性の改良方法 | |
EP3154066B1 (en) | Composition for forming conductive pattern and resin structure having conductive pattern | |
KR101771664B1 (ko) |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 |
KR101771857B1 (ko) | 공액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열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75418B1 (ko) | Emi 차폐용 emc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차폐장치 | |
KR20160056275A (ko) |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및 도전성 패턴을 가지는 수지 구조체 | |
JP2005187551A (ja) | 高誘電性樹脂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