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310B1 - variable motion type frame assembly for panel having curvature - Google Patents
variable motion type frame assembly for panel having curva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1310B1 KR102011310B1 KR1020180158478A KR20180158478A KR102011310B1 KR 102011310 B1 KR102011310 B1 KR 102011310B1 KR 1020180158478 A KR1020180158478 A KR 1020180158478A KR 20180158478 A KR20180158478 A KR 20180158478A KR 102011310 B1 KR102011310 B1 KR 102011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vature
- frame
- panel
- coupled
- bas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27 Ge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158 Lampy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aluminum germanium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0 silicone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slightly bowed or folded pan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는: 곡률을 갖는 하지 부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어 하지 부재의 외측에 이격 되게 시공되는 외측 마감패널; 상기 하지 부재과 상기 외측 마감패널의 사이에서 상부는 상기 외측 마감패널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하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지 부재의 외측 표면을 따라 서로 분리되게 연결되어 상기 하지 부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서로 이어지게 구비된 복수의 분할 프레임;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들이 서로 이어져 연결되는 상태가 고정되도록 각각의 분할 프레임 측면에 회동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 연결링크; 및,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들이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 마감패널과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형상유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곡선형으로 휘어진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비정형의 벽체마감패널이 하지에 의해 이격 설치되어 마감되도록 할 때에 하지와 벽체마감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이 동일한 곡률로 휘어지는 가변형으로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곡선형으로 휘어진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finishing panel provided to have a curvature equal to that of a base member having a curvature and spaced apart from an outer side of the base member;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outer finishing panel, an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finishing panel and a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member, and connec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lower member. A plurality of divided frame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frame connecting link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each divided frame such that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ixed; And a shape maintaining cov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finishing panel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the elastic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as a whole so that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have one curvature. It is done.
Accordingly, when the irregular wall finishing panels having curvatures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s of the curved curved building are spaced apart and finished by the lower legs, the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legs and the wall finishing panels has the same curvature. By providing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made the exterior construction of the curved curved curved buil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형으로 휘어진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비정형의 벽체마감패널이 하지에 의해 이격 설치되어 마감되도록 할 때에 하지와 벽체마감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이 동일한 곡률로 휘어지는 가변형으로 마련되어 곡선형으로 휘어진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atypical wall finishing panel having a corresponding curvature is spaced apart by a lower part and is finished from the outer wall of a curved curved building. And a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wall finishing panel and the variable curvature having the same curvature, the panel has a curable frame assembly having a curvature that enables the exterior construction of a curved curved curved building to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구조는 구성 재료, 시공 방식, 구조 형식 등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In general, the structure of a building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structure type.
예를 들면, 구성 재료에 따라 목재 구조, 벽돌 구조, 대부분의 대형 건축물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시멘트 블록과 모르타르로 내력벽을 쌓아 구성함과 더불어 블록 내부공간에 철근과 모르타르로 보강한 시멘트 블록 구조, 거푸집 속에 철근을 조립하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식으로 구성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pplied to timber structures, brick structures, and most large building structures depending on the materials of construction, and it is made of cement blocks and mortar with bearing walls, and cement block structures and formwork reinforced with reinforcing bars and mortar in the interior space of blocks. It can be classified in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at assembles reinforcing bars in the inside and pours concrete therebetween.
그리고, 근래에는 형강이나 강판으로 제작된 부재를 짜맞추어 만든 구조로서 부재 접합에 용접, 리벳, 볼트를 사용한 철골 구조와, 내화, 내구, 내진 성능을 위해 철골과 철근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는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 structure made by joining members made of section steel or steel sheets, steel structures using welding, rivets, and bolts for joining members, and steel / reinforced steels and steel reinforcing steels used together for fire, durability, and seismic performance Concrete structures are being applied.
또한, 시공 방식에 따라 조적식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처럼 구조체 제작에 물이 필요한 구조로서 단위작업에 한계치가 있고 경화에 일정기간이 소요되는 습식 구조, 목재 구조 및 철골 구조처럼 규격화된 부재를 조립 시공하는 것으로서 물과 부재의 건조를 위한 시간이 필요 없어 공기단축이 가능한 건식 구조, 구조체 시공을 위한 부재를 현장에서 제작, 가공, 조립, 설치하는 구조로서 넓은 면적의 현장면적을 필요로 하는 현장 구조, 아울러 공장에서 부재를 제작 및 가공하고 현장에서는 조립 및 설치하는 구조로서 대량생산에 따른 시공비 절감과 균일한 품질확보, 공기단축이 가능한 조립 구조가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 it is a structure that requires water for the fabrication of structures, such as masonry structures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has assembled the standardized members such as wet structures, wood structures, and steel structures, which have a limit in unit work and require a certain time for hardening. It is a dry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ir without the time for drying the water and the member, and the structure that manufactures, processes, assembles and installs the membe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n the field. In addition, as a structure to manufacture and process members in the factory, and assembly and installation in the field, there is an assembly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ensure uniform quality, and shorten the air according to mass production.
또한, 구조 형식에 따라 기둥과 보, 바닥으로 구성되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철골 구조 등에 사용하는 라멘 구조, 곡판 구조, 곡률반경에 비해 얇은 곡면의 판부재를 이용하여 곡면 내응력으로 장스판을 처리하는 방식의 셀 구조, 단일부재를 입체적으로 조합한 입체 트러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구조적인 안정감과 개구부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면서 경제성이 뛰어나 대,소규모에 상관없이 넓고 다양하게 사용하며 기복이 풍부한 형태로 곡면의 독특함을 살릴 수 있는 디자인, 그리고 강한 임팩트로 시각 효과가 높은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는 막 구조(air dome)가 있다.In addition, it consists of columns, beams, and floor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type, and uses a plate member with a curved surface that is thinner than the ramen structure, curved structure, and curvature radius used in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structures to handle long spans. Cell structure of type, three-dimensional truss space frame structure that combines a single member in three dimensions, structural stability and opening features can be freely made, and excellent economical efficiency, wide and diverse use regardless of large and small, and rich shape There is a design that can make use of the uniqueness of the curved surface, and an air dome that can build a high visual effect structure with strong impact.
보통 막 구조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테마형 건축물은 일반 건물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조형적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반딧불이 축제나 나비 축제 등과 같은 각종 테마로 연중 행사를 개최하는 전시관, 특정 주제의 박물관, 예술회관, 문화회관, 카페, 레스토랑, 놀이시설인 테마파크, 유원지 등지에 적용되는 복잡한 외부 형상을 가지는 테마형 건축물을 의미한다.Various theme-type buildings, usually in the form of membrane structures, are not only ordinary buildings but also exhibition halls that hold annual events with various themes such as firefly festivals and butterfly festivals, which are today's formative buildings, museums of specific themes, art halls, It refers to a theme-type building with complex exterior shapes applied to cultural halls, cafes, restaurants, amusement parks, amusement parks, etc.
그러나, 복잡하고 다양한 외부 형상을 가지는 테마형 건축물의 경우, 완성된 건축물의 예술성에 비해 거푸집 형성이나 내/외장재 시공시의 건축비가 일반 건축물에 비해 매우 높아서 일반 건축주가 그러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데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용되고, 건축 공기의 장기화, 건축기술의 한계 등의 이유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테마형 건축물을 건축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However, in the case of themed buildings with complex and diverse external shapes, the construction cost of form formation or interior / exterior constructi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eneral buildings, compared to the artistic properties of the finished buildings, which is very difficult for the general owner to build such buildings. It is very difficult to construct such themed buildings because of the cost and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due to the prolongation of construction air and the limita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최근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처에서 기이한 외부 형상을 가지는 각종 테마형 건축물의 건축요구가 날로 높아지는 가운데,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부합하면서 건축이 용이하고 건축비 상승을 야기하지 않는 공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demands of various themed buildings having strange exterior shapes in Korea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are increasing day by day, and construction methods that meet the standards required by the Building Code and are easy to build and do not cause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are urgently required.
한편, 건축물의 외장 공사시에 벽체마감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마감처리 공법 중 건식 공법은 건축물과 벽체마감패널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개재하여 벽체마감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서, 크게 오픈 조인트(open joint)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방식과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방식으로 나뉘어 시공되며,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nishing method of fixing the wall finishing panel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uring the exterior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 dry method uses the wall finishing panel through a separate fixing device made of metal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wall finishing panel. It is fixedly attached to the structure, and is divided into a method of forming an open joint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a closed joint structure. The construction time is short, the convenience of work and the advantages of construction are high. It is a widely used method.
금속재 프레임을 바탕 틀로 사용하는 건식 벽체의 공사 순서는 1) 설계된 패턴을 고려하여 금속재 프레임을 벽체에 가로 및 세로로 배치하여 용접 또는 볼트조립 방법으로 설치하고(이때 금속재 패스너(fastener)를 이용하여 구조체에 고정); 2) 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격자넣기 방법으로 삽입 및 설치한 다음; 3) 공장에서 제작된 마감패널을 각각의 줄눈 위치에 스크류 또는 전용 브래킷으로 고정 및 부착하고; 4) 줄눈 부위는 실리콘 실런트로 코킹(closed-joint system)하거나 줄눈을 코킹하지 않고 노출(open-joint system)시키는 경우에는 마감패널을 부착하기 전 프레임과 마감재 사이에 금속재 박판이나 방수전용 천을 이용하여 방수처리를 한 후 내외장 패널 설치 공사가 진행된다.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drywall using metal frame as a base frame is 1) Placing the metal fram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wall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ed pattern and installing it by welding or bolting method (in this case, using a metal fastener Fixed to); 2) inserting and installing insulation between the frames by lattice method; 3) fix and attach the factory-made finish panel with screws or dedicated brackets at each joint position; 4) When jointing is closed-joint system with silicone sealant or open-joint system without caulking joint, use metal sheet or waterproof cloth between frame and finish before attaching finishing panel. After waterproofing, interior and exterior panel installation work is in progress.
콘크리트 구조벽체가 있는 경우에는 벽체에 단열재를 먼저 부착하고 금속재 프레임을 위 1)호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 후 위 3)~4)와 같이 시공한다. 이때 금속재 프레임을 벽체에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해 패스너 부위는 단열재를 떼어내고 패스너를 설치한 후 우레탄 폼을 충진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한다. If there is a concrete structural wall, the insulation is first attached to the wall and the metal frame is installed in the same way as above 1), and then constructed as above 3) ~ 4). In this case, in order to fix and install the metal frame on the wall, the fastener portion is removed from the insulation and the fastener is installed, and then the urethane foam is filled to secure the insulation performance.
금속재 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격자 넣기 방식으로 삽입 및 설치하는 방법은 열전도율이 일반적인 단열재에 비해 약 1000배 높은 금속재 프레임으로 인하여 단열선이 단절되므로 완벽한 단열을 이룰 수 없고, 이 금속재 프레임을 통해 열에너지가 전도되어 에너지 손실이 상당하게 발생 된다. 벽체에 단열재를 먼저 부착하고 금속재 프레임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 패스너 부위로 열에너지가 전도되고, 패스너 주위에 단열재를 떼어내고 우레탄 폼으로 충진한 부위 또한 본래의 단열재와 같은 단열성능 발휘가 어려워 열교(thermal bridge)의 통로가 되고 이곳으로 에너지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에서는 패널의 마감 치수(줄눈 나누기 치수)에 따른 각 파이프 구조틀 간격의 크고 작음에 비례하여 현저한 열 손실과 내부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정의 대부분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며 이때에 작업자들이 직접 각 파이프를 절단 및 가공하는 공정과 용접을 하는 공정에서 절단기에 신체의 일부가 손상당하거나 감전사고와 화재의 위험이 매우 높아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The method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frames by lattice method cannot achieve perfect insulation because the insulation wire is disconnected due to the metal frame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100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heat insulator, and thermal energy is conducted through the metal frame. As a result, significant energy losses occur. Even when attaching the insulation to the wall first and installing the metal frame, the heat energy is conducted to the metal fastener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parts removed with the urethane foam around the fasteners are also difficult to exhibit the sam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s the original insulation. It becomes a passage of thermal brid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energy loss occurs here. In such a building, significant heat loss and condensation occur in proportion to the large and small spacing of each pip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nish dimension of the panel (joint dividing dimension). In addition, most of the processes are performed on-site. At this time, the worker cuts and processes each pipe, and in the welding process, a part of the body is damaged by the cutter or there is a high risk of electric shock and fire. It happens often.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용 프레임 조립체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374995호(2003년02월21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frame assembly for a pa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4995 (registered on February 21, 20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용 프레임 조립체는 곡률이 없이 수직으로 반듯한 외벽 면에 단순히 시공되는 정형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 면이 곡면 형태로 휘어진 경우에는 이를 쉽게 적용하기가 곤란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anel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cluding an orthogonal panel that is simply constructed on an outer wall surface that is vertically straight without curvature, it is difficult to apply it when the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is curved in a curved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done.
또한, 마감 패널을 곡면 형태로 휘어진 외벽 면에 대응되게 굽힘 가공하더라도 마감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쉽게 굽힘 가공하기 어려우며 이를 현장에서 일일이 용접을 하거나 다수의 절개 홈을 형성하여 별도로 휨 가공을 해야하는 등 시공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이와 함께 비용도 증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finishing panel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curved outer wall surface, the frame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is difficult to be easily bent and welded at the site or formed a plurality of cut grooves to bend separately. This is tricky and time consuming and can also increase costs.
본 발명의 목적은, 곡선형으로 휘어진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비정형의 벽체마감패널이 하지에 의해 이격 설치되어 마감되도록 할 때에 하지와 벽체마감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이 동일한 곡률로 휘어지는 가변형으로 마련되어 곡선형으로 휘어진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wall finishing panel is the same curvature when the irregular wall finishing panel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outer wall of the curved building to be spaced apart by the lower surface It is to provide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that can be provided in a variable form to be curved to enable the exterior construction of a curved building bent in a quick and easy man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는: 곡률을 갖는 하지 부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어 하지 부재의 외측에 이격 되게 시공되는 외측 마감패널; 상기 하지 부재과 상기 외측 마감패널의 사이에서 상부는 상기 외측 마감패널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하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지 부재의 외측 표면을 따라 서로 분리되게 연결되어 상기 하지 부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서로 이어지게 구비된 복수의 분할 프레임;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들이 서로 이어져 연결되는 상태가 고정되도록 각각의 분할 프레임 측면에 회동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 연결링크; 및,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들이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 마감패널과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형상유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includes: an outer finishing panel provided to have a curvature equal to that of a base member having a curvature and spaced apart from an outer side of the base member;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outer finishing panel, an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finishing panel and a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member, and connec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lower member. A plurality of divided frame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frame connecting link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each divided frame such that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ixed; And a shape maintaining cov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finishing panel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the elastic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as a whole so that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have one curvature. It is done.
여기서, 상기 분할 프레임은 횡 단면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간격 프레임에 의해 상기 하지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되게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vided frame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 to be coupled to the base member by a spacing fram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분할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덮도록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자투리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rim panel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divided frames.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형으로 휘어진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비정형의 벽체마감패널이 하지에 의해 이격 설치되어 마감되도록 할 때에 하지와 벽체마감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이 동일한 곡률로 휘어지는 가변형으로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곡선형으로 휘어진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wall finishing panel is the same curvature when the irregular wall finishing panel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outer wall of the curved curved building to be spaced apart and installed by the lower leg. By providing the flexible to be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the exterior construction of the curved curved bent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의 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A” of FIG.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B” of FIG. 3.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을 갖는 하지 부재(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어 하지 부재(10)의 외측에 이격 되게 시공되는 외측 마감패널(100)과, 하지 부재(10) 및 외측 마감패널(100)의 사이에서 상부는 외측 마감패널(100)에 결합되고 하부는 하지 부재(10)에 결합되며 하지 부재(10)의 외측 표면을 따라 서로 분리되게 연결되어 하지 부재(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θ)로 서로 이어지게 구비된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과,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이 서로 이어져 연결되는 상태가 고정되도록 각각의 분할 프레임(200) 측면에 회동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 연결링크(300)와,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이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어 외측 마감패널(100) 및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의 사이에 개재된 형상유지 커버(400)를 포함한다. The variable frame assembly for panels with curv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휘어진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곡률(θ)을 갖는 비정형의 벽체마감패널이 하지에 의해 이격 설치되어 마감되도록 할 때에 하지와 벽체마감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이 동일한 곡률(θ)로 휘어지는 가변형으로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곡선형으로 휘어진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when the atypical wall finishing panel having a curvature θ corresponding thereto is install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curved curved building so as to be spaced apart and finished by the lower limb, By providing a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a variable curvature with the same curvature θ,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the exterior construction of the curved curved curved building. have.
외측 마감패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게르마늄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의 벽체 마감판으로서, 곡선형으로 휘어진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되게 곡률을 갖는 하지 부재(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굽힘 가공되어 분할 프레임(200)의 외측, 즉 상부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분할 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단면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간격 프레임(500)에 의해 하지 부재(10)에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되게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이에 따라, 외측 마감패널(100)들 사이가 클로즈드 조인트 구조로 설치되더라도 별도의 실리콘 코킹 작업이 생략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후 실리콘 코킹 부위에서 오염이 발생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잦은 청소나 재시공될 필요없이 최소한의 유지보수만으로도 건축물의 외관이 항상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when the
이때, 외측 마감패널(100)은 분할 프레임(200)의 상부에 볼트나 스크류, 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20)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할 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횡 단면상 대략 ‘ㄷ’자를 시계방향으로 엎어 놓은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하단부에는 간격 프레임(500)의 후술할 물림부(5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된 형상으로 걸림부(210)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간격 프레임(500)의 물림부(510)에 분할 프레임(200)의 걸림부(210)가 슬라이딩 레일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하지 부재(10)의 상부에 시공되는 분할 프레임(200)의 시공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cking
좀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10)의 각 단부에는 보강 돌부(220)가 돌출 연장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에 따라, 보강 돌부(220)에 의해 분할 프레임(200)의 구조적 강도가 더욱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프레임 연결링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에 의해 분할 프레임(200)의 측면에 회동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3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측면 상 하지 부재(10)의 외측 표면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이 프레임 연결링크(300)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이 하지 부재(10)의 곡률(θ)에 대응되게 하지 부재(10)의 곡률(θ)을 따라서 가변형으로 휘어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i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링크(300)는 분할 프레임(200)의 외측 측면뿐만 아니라 좌우 한 쌍으로 마주보는 분할 프레임(200)의 내측 측면에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형상유지 커버(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의 상부를 한꺼번에 덮도록 분할 프레임(2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횡 단면상 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체결부재(20)에 의해 분할 프레임(2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2 and 3, the
이에 따라, 복수의 분할 프레임(200)들이 하지 부재(10)의 곡률(θ)을 따라서 휘어져 연결된 상태가 형상유지 커버(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공 완료 후 외측 마감패널(100)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도 형상유지 커버(400)에 의해 완충 및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plit frames 200 are bent and connected along the curvature θ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형상유지 커버(400)의 내측 측면에는 후술할 자투리 패널(600)의 양단부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패널 수용부(4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both ends of the
이에 따라, 패널 수용부(410)에 자투리 패널(600)의 양단부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횡 단면상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분할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마감하는 자투리 패널(600)이 용이하게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allowing both ends of the
간격 프레임(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단면상 대략 ‘ㄴ’자의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에는 대략 ‘ㅜ’자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물림부(510)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 부재(10)의 전방에 평평한 상태로 접촉되는 부분은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3,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간격 프레임(500)은 하지 부재(10)의 외측, 즉 상부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간격 프레임(500)은 좌우에 한 쌍의 물림부(510)가 돌출되는 형태로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구비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는 좌우 한 쌍의 분할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덮도록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자투리 패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에 따라, 외측 마감패널(100)들 사이의 이격된 틈새가 자투리 패널(600)에 의해 어느 정도 후방 내측에서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실리콘 코킹 작업이 없이도 건축물의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하게 마감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후술할 실링부(700)가 마련된 부분이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고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우수가 침입하거나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간격 프레임(500)과 하지 부재(10)가 서로 결합된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성과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allowing the gap between the
본 발명에 따른 자투리 패널(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마감패널(100)과 마찬가지로 평평한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 마감패널(100)과 동일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간격 프레임(500)이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하지 부재(1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체결수단들을 완전히 가리도록 실리콘으로 메워진 실링부(700)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portion of the pair of spaced
이에 따라, 한 쌍의 분할 프레임(200)의 사이에서 자투리 패널(600)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내측 부분이 실링부(700)로 메워지게 됨으로써, 한 쌍의 간격 프레임(500)이 하지 부재(10)에 설치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한 쌍의 분할 프레임(200)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서의 방수성과 기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n inner portion of the pair of di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 마감패널(100)이 클로즈드 조인트 구조로 건물 외벽에 시공되더라도 자투리 패널(600)에 의해 가려지고 실링부(700)에 의해 메워지는 방수층이 후방으로 숨겨져 외관상으로는 오픈 구조로 시공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에 의해 간격 프레임(500)이 하지 부재(10)에 결합되는 부분과 실링부(700)의 사이에는 백업재(800)가 미리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backing
백업재(800)로는 본드 브레이커(bond breaker)로서 판형 테프론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이에 따라, 백업재(800)에 의해 간격 프레임(500)이 설치된 상태가 어느 정도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링부(700)가 메워져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간격 프레임(500)이 하지 부재(10)에 체결된 상태가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되며 간격 프레임(500)의 시공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aling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aspec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외측 마감패널 200 : 분할 프레임
300 : 프레임 연결링크 400 : 형상유지 커버
500 : 간격 프레임 600 : 자투리 패널 100: outer finish panel 200: split frame
300: frame link 400: shape retaining cover
500: interval frame 600: rim panel
Claims (3)
상기 하지 부재과 상기 외측 마감패널의 사이에서 상부는 상기 외측 마감패널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하지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지 부재의 외측 표면을 따라 서로 분리되게 연결되어 상기 하지 부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서로 이어지게 구비된 복수의 분할 프레임;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들이 서로 이어져 연결되는 상태가 고정되도록 각각의 분할 프레임 측면에 회동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 연결링크; 및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들이 하나의 곡률을 이루도록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 마감패널과 상기 복수의 분할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형상유지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프레임은 횡 단면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간격 프레임에 의해 상기 하지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되게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분할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덮도록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자투리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프레임은 금속재질로 횡 단면상 ‘ㄷ’자를 시계방향으로 엎어 놓은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간격 프레임의 물림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된 형상으로 걸림부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간격 프레임이 체결수단에 의해 하지 부재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체결수단들을 완전히 가리도록 실리콘으로 메워진 실링부가 마련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간격 프레임이 하지 부재에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실링부의 사이에는 백업재가 미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
An outer finishing panel provided to have a curvature equal to that of a base member having a curvature and spaced apart from an outer side of the base member;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outer finishing panel, an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finishing panel and a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member, and connec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lower member. A plurality of divided frame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frame connecting link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each divided frame such that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ixed; And
A shape maintaining cov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finishing panel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the elastic material cover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so that the plurality of divided frames have one curvature;
Including,
The divided frame is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the base member by a pair of interval frame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It further comprises a border panel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divided frames,
The dividing fram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form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 'c' is laid in a clockwise direction on a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each of the lower end portions thereof has a recessed shape that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ite of the spacing frame. Extended,
A portion of the pair of spacing frames coupled to the base member by the fasten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filled with silicon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fastening means.
The variable frame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curvature, characterized in that a backup material is provided in advance between the portion of the spacer frame is coupled to the base member by the fastening means and the seal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478A KR102011310B1 (en) | 2018-12-10 | 2018-12-10 | variable motion type frame assembly for panel having curva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478A KR102011310B1 (en) | 2018-12-10 | 2018-12-10 | variable motion type frame assembly for panel having curva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1310B1 true KR102011310B1 (en) | 2019-08-14 |
Family
ID=6762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8478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1310B1 (en) | 2018-12-10 | 2018-12-10 | variable motion type frame assembly for panel having curva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131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4700B1 (en) * | 2020-06-22 | 2021-02-1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Variable side formwork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4995B1 (en) | 2000-11-11 | 2003-03-04 | 정용주 | Open-joint structure of an external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20040075176A (en) * | 2003-02-20 | 2004-08-27 |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 A subframe for assambling the inner-outer panel and panel system |
KR20090010498U (en) * | 2008-04-11 | 2009-10-15 | 주식회사 유 창 | Combined structure of circular column |
KR101342706B1 (en) * | 2012-06-27 | 2013-12-16 |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 Coner member of framework buiding for exterior panels |
KR101751722B1 (en) * | 2016-12-16 | 2017-06-29 | 주식회사 쿱에코하우징 | Fixing structure of exterior panel for building |
KR101790928B1 (en) * | 2017-04-27 | 2017-10-26 |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 Surface and point control method for curved surface of building with external irregular curvature |
-
2018
- 2018-12-10 KR KR1020180158478A patent/KR1020113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4995B1 (en) | 2000-11-11 | 2003-03-04 | 정용주 | Open-joint structure of an external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20040075176A (en) * | 2003-02-20 | 2004-08-27 |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 A subframe for assambling the inner-outer panel and panel system |
KR20090010498U (en) * | 2008-04-11 | 2009-10-15 | 주식회사 유 창 | Combined structure of circular column |
KR101342706B1 (en) * | 2012-06-27 | 2013-12-16 |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 Coner member of framework buiding for exterior panels |
KR101751722B1 (en) * | 2016-12-16 | 2017-06-29 | 주식회사 쿱에코하우징 | Fixing structure of exterior panel for building |
KR101790928B1 (en) * | 2017-04-27 | 2017-10-26 |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 Surface and point control method for curved surface of building with external irregular curva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4700B1 (en) * | 2020-06-22 | 2021-02-1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Variable side formwo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962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inishing a penetration in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 |
US6321496B1 (en) |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 |
US20230358035A1 (en) | Tilt wall comprising a dual gasket assembly | |
US20230358040A1 (en) | Process for making a tilt wall comprising a dual gasket assembly | |
KR20150060107A (en) | Adiabatic concret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 |
KR102011310B1 (en) | variable motion type frame assembly for panel having curvature | |
KR20090081056A (en) | Fasteners for External Panel Assembly | |
KR101614937B1 (en) |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finishing panel | |
KR100792243B1 (en) | Structural Composite Lightweight Panel | |
JP2002339473A (en) | Panel with outside heat insulating bracket | |
KR100968018B1 (en) | Exterior panel fastener for round pipe frame | |
JP5319401B2 (en) | Column base protection structure | |
KR101611453B1 (en) | Finishing system of construction beam | |
JPH10331306A (en) | External heat insulating steel structure building, its execution method, and building material | |
KR102173559B1 (en) |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for this same | |
KR100555320B1 (en) | Open joint type exterior wall panel and exterio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20127012A (en) | building wall finish assembly for curved surface | |
JP6190002B2 (en) | Composit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anel | |
JP4004056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insulated prestressed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body | |
JP2000120212A (en) | Placed concrete wall and its construction | |
JP5951949B2 (en) | Composit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anel | |
KR101473099B1 (en) | Fixing Structure of Panel for External of Building | |
JP7074534B2 (en) | Wall structure of temporary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653239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aseismic reinforcing wall | |
KR101674833B1 (en) | Set build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with composite light weight panel fo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