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031B1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1031B1 KR102011031B1 KR1020130108874A KR20130108874A KR102011031B1 KR 102011031 B1 KR102011031 B1 KR 102011031B1 KR 1020130108874 A KR1020130108874 A KR 1020130108874A KR 20130108874 A KR20130108874 A KR 20130108874A KR 102011031 B1 KR102011031 B1 KR 1020110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case
- fixture
- air conditioning
- portions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의 입출구 파이프 고정용 고정구를 공조케이스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고정구의 오조립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구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케이스부들이 형합되어 구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냉매를 도입시키고 배출시키는 입출구 파이프 및, 상기 입출구 파이프를 상기 상,하부케이스부들의 형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하부케이스부의 형합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들 사이의 형합부에 고정적으로 조립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부의 형합 과정에서 상기 고정구가 오조립될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들의 형합을 제한하여 상기 고정구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or to recognize the misassembly of the fixtur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inlet and outlet pipe fixing fixture of the evaporator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so that the misassembly of the fixture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It aims to do i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conditioning case formed by combining upper and lower case parts,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air inside the air-conditioning case, an inlet and outlet pipe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refrigerant into the evaporator, and And a fixture for fixing the inlet and outlet pipes to the fitting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wherein the fixtures are fixedly assembled to the fitting portion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are joined.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hen the fastener is misassembled in the matching process of the upper and lower case, there is provided a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misassembly of the fastener by limiting the fitting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입출구 파이프 고정용 고정구를 공조케이스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고정구의 오조립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구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the misalignment of the fixtur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astener for the inlet and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misassembly of the fixture is fundamental It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at can be prevented by.
자동차에는 차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10)를 포함하며, 증발기(10)는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한다.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car to cool and heat a cabin. This air conditioning apparatus, as shown in Figure 1, includes an
그리고 증발기(10)는, 냉매의 도입과 배출을 위한 입출구 파이프(12)를 구비하며, 이들 입출구 파이프(12)는,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서 관통구멍(2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The
한편, 입출구 파이프(12)는, 고정구(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20)의 관통구멍(22)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
고정구(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20)의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形合部)(24a, 26a)에 설치되는 것으로, 좌,우몸체부(32, 34)와, 좌,우몸체부(32, 34)를 하나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35) 및, 입출구 파이프(12)가 각각 끼워져 지지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구멍(36)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좌,우몸체부(32, 34)는, 서로 형합됨에 따라 하나의 고정구(30)로 조립되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조립홈(38)을 갖추고 있다.The left and
조립홈(38)은, 공조케이스(20)의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가 형합될 시에,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 각각에 반쪽씩 형성되는 관통구멍(22)의 둘레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조립홈(38)은, 고정구(30)를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4a, 26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assembling
체결부(35)는, 좌측 몸체부(32)에 형성되는 좌측 체결부(35a)와, 우측 몸체부(34)에 형성되는 우측 체결부(35b)로 구성되는데, 이들 좌,우측 체결부(35a, 35b)는, 좌,우몸체부(32, 34)를 하나로 조립함에 따라 서로 형합된다. 이렇게 형합된 좌,우측 체결부(35a, 35b)를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체결함으로써, 좌,우몸체부(32, 34)를 하나의 고정구(30)로 체결한다. The fasten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를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4a, 26a)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오조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불량제품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3,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즉, 고정구(30)는,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분이 조립홈(38)에 정확히 끼워져 결합되어야만,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에 정조립된다. 그러나, 상,하부케이스부(24, 26)를 형합하는 과정에서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 중, 어느 한 부분이 고정구(30)의 조립홈(38)에 정확하게 끼워져 결합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에 따라, 고정구(30)가 오조립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특히, 고정구(30)에 공조케이스(20)를 고정함에 있어 진동저감을 위해 고정구(30)는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50)와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구조를 갖고 체결부(35)를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를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위가 공조케이스(20)의 내측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오조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Particularly, in fixing the
더군다나, 고정구(30)가 오조립된 상태라도 상,하부케이스부(24, 26)가 형합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의 조립홈(38)에 결합되지 못한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6a)가 고정구(30)의 체결부(35)에 걸쳐지면서 지지되었을 경우에는, 고정구(30)가 오조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하부케이스부(24, 26)가 정확하게 형합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고정구(30)의 오조립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even when the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고정구(30)가 오조립된 채 공조장치가 제조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불량제품이 양산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conditioner is manufactured whil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정구의 오조립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구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configuration is to enable the operator to recognize the misassembly of the fixture,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misassembly of the fixture inherently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하부케이스부들이 형합되어 구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냉매를 도입시키고 배출시키는 입출구 파이프 및, 상기 입출구 파이프를 상기 상,하부케이스부들의 형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하부케이스부의 형합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들 사이의 형합부에 고정적으로 조립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부의 형합 과정에서 상기 고정구가 오조립될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들의 형합을 제한하여 상기 고정구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case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introduces a refrigerant into the evaporator and discharged And a fixture for fixing the inlet and outlet pipe and the inlet and outlet pipe to the fitting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wherein the fixtur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are joined togethe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ixedly assembled to the mating portion, when the fastener is misassembled in the matching process of the upper case, lower case, by limiting the mating of the upper case, the lower case part to prevent misassembly of the fix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ssembly preventing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조립홈과 체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은, 상기 상,하부케이스부의 형합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의 형합부가 조립되며, 상기 오조립방지수단은, 상기 체결부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간섭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astener is composed of an assembling groove and a fastening portion, the assembling groove,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are assembled, the fitting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are assembled, and the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And an interference rib protruding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fasten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고정구를 오조립하면, 공조케이스의 형합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작업자에게 고정구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ssembly is incorrectly assembled, the structure of the air-conditioning case is impossi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operator whether or not the assembly of the fixture.
또한, 작업자에게 고정구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고정구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operator whether or not the assembly of the fix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the original assembly of the fixtur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증발기와 입출구 파이프와 고정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입출구 파이프의 고정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입출구 파이프의 고정구가 오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주요 특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주요 특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오조립방지수단이 고정구의 오조립을 방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오조립방지수단이 고정구의 오조립을 방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오조립방지수단이 고정구의 정조립을 허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오조립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evaporator and inlet and outlet pipes and fixtures in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xture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in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ture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is incorrectly assembl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featur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featur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of the fastener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isassembly of the fastener;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of the fastener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isassembly of the fastener,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of the fastener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ast assembly of the fastener;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First, before looking at the featur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reference to FIGS.
공조장치는, 증발기(10)를 포함하며, 증발기(10)는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한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es an
그리고 증발기(10)는, 냉매의 도입과 배출을 위한 입출구 파이프(12)를 구비하며, 이들 입출구 파이프(12)는,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서 관통구멍(2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The
한편, 입출구 파이프(12)는, 고정구(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20)의 관통구멍(22)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let /
고정구(30)는, 공조케이스(20)의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4a, 26a)에 설치되며, 좌,우몸체부(32, 34)와, 좌,우몸체부(32, 34)를 하나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35) 및, 입출구 파이프(12)가 각각 끼워져 지지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구멍(36)을 구비한다. The
좌,우몸체부(32, 34)는, 서로 형합됨에 따라 하나의 고정구(30)로 조립되며,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의 조립홈(38)을 갖추고 있다.The left and
조립홈(38)은, 공조케이스(20)의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가 형합될 시에,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부분이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구(30)를 상부케이스부(24)와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4a, 26a)에 고정시킨다.The assembling
체결부(35)는, 좌측 몸체부(32)의 좌측 체결부(35a)와, 우측 몸체부(34)의 우측 체결부(35b)로 구성되고, 이들 좌,우측 체결부(35a, 35b)는, 좌,우몸체부(32, 34)를 하나로 조립함에 따라 서로 형합되며, 이렇게 형합된 좌,우측 체결부(35a, 35b)를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체결하면, 좌,우몸체부(32, 34)는 하나의 고정구(30)로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부(35)는, 공조케이스(20)의 내측부분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The fasten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feature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에 고정구(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고정구(30)가 오조립될 시에, 이를 방지하는 오조립방지수단(40)을 구비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and FIG. 5,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오조립방지수단(40)은,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에 대응되는 고정구(30)의 부분들 중, 조립홈(38)을 제외한 부분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간섭리브(Rib)(42)를 포함한다.The
간섭리브(42)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를 고정구(30)의 조립홈(38)이 아닌 다른부분에 조립하였을 시에,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와 간섭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따라서,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을 방해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하부케이스부(24, 26)가 형합되지 못하게 한다. 그 결과, 작업자에게 고정구(30)가 오조립되었음을 인지시켜준다. 이에 따라, 고정구(3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Therefore, the upper and
한편, 간섭리브(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를 고정구(30)의 조립홈(38)에 정확하게 조립하였을 시에는,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와 간섭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을 허용한다. 이로써, 작업자에게 고정구(30)가 정조립되었음을 인지시켜준다. Therefore, the upper and
이러한 구성의 간섭리브(42)는,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홈(38)을 제외한 고정구(30)의 부분들 중, 고정구(30)의 최하측부분 또는 최상측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특히, 고정구(30)의 최하측부분 또는 최상측부분으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를 향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formed toward the
이는, 간섭리브(42)가, 고정구(30)의 최하측부분 또는 최상측부분에 형성되어야만, 상부케이스부(24)의 형합부(24a) 상단 또는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6a) 하단과 간섭되면서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간섭리브(42)가, 고정구(30)의 체결부(35)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체결부(35)의 최하측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6a)가 고정구(30)의 조립홈(38)에 결합되지 못하였을 시에, 주로 고정구(30)의 체결부(35)에 걸쳐지면서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고정구(30)의 체결부(35)에 지지된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6a)와 간섭리브(42)가 서로 간섭되면서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고정구(3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한편, 경우에 따라, 간섭리브(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의 최하측부분과 최상측부분, 두 군데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ure 9, the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부(26)의 형합부(26a)가 고정구(30)의 조립홈(38)에 결합되지 못하였을 시에도,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을 제한하여 고정구(3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even when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부(24)의 형합부(24a)가 고정구(30)의 조립홈(38)에 결합되지 못하였을 시에도,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을 제한하여 고정구(3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even when the fitting portion (24a) of the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고정구(30)가 팽창밸브 연결용 조인트 플랜지(50)가 간격(t)을 두고 이격되게 구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 8,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따라서, 고정구(30)와 조인트 플랜지(50) 사이에 절연 공간부분이 형성되게 한다. 이로써, 고정구(30)와 조인트 플랜지(5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한다.Thus, an insulating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조인트 플랜지(50)에 전달된 진동이 고정구(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조인트 플랜지(50)에는 압축기의 진동이 직접적 전달되어 많은 진동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진동이 고정구(30)로 전달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o preven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이로써, 조인트 플랜지(50)에 전달된 압축기의 진동이, 고정구(30)를 통해 공조케이스(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기의 진동과 소음이 공조케이스(20)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Thereby, the vibration of the compressor transmitted to the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구(30)를 오조립하면, 공조케이스(20)의 형합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작업자가 고정구(30)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ixing
또한, 작업자가 고정구(30)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므로, 고정구(3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불량제품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assembly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증발기 12: 입출구 파이프(Pipe)
20: 공조케이스(Case) 22: 관통구멍
24: 상부케이스부 24a: 상부케이스부의 형합부
26: 하부케이스부 26a: 하부케이스부의 형합부
30: 고정구 32: 좌측 몸체부
34: 우측 몸체부 35: 체결부
36: 지지구멍 38: 조립홈
40: 오조립방지수단 42: 간섭리브
50: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10: evaporator 12: inlet and outlet pipe
20: Air Conditioning Case (Case) 22: Through Hole
24:
26:
30: fixture 32: left body
34: right body part 35: fastening part
36: support hole 38: assembly groove
40: misassembly prevention means 42: interference rib
50: Joint Flange
Claims (5)
상기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 과정에서 상기 고정구(30)가 오조립될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24, 26)들의 형합을 제한하여 상기 고정구(30)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30)는, 조립홈(38)과 체결부(3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홈(38)은, 상기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 시에, 상기 상,하부케이스부(24, 26)의 형합부(24a, 26a)가 조립되며, 상기 체결부(35)는, 상기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오조립방지수단(40)은, 상기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체결부(35)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부터 상기 상,하부케이스부(24, 26)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간섭리브(Rib)(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An air conditioner case 20 formed by combining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and 26, an evaporator 10 for cooling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20, and a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10, Inlet and outlet pipe 12 for discharging, and the fastener 30 for fixing the inlet and outlet pipe 12 to the fitting portion (24a, 26a)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26), the fastener (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30 is fixedly assembled to the matching parts 24a and 26a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and 26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and 26 are joined together.
When the fastener 30 is misassembled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and 26, the fitting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and 26 is restricted to prevent misalignment of the fastener 30. A misassembly prevention means 40 for preventing assembly;
The fixture 30 is composed of an assembly groove 38 and the fastening portion 35,
In the assembly groove 38,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24 and 26 are assembled, the fitting portions 24a and 26a of the upper and lower case portions 24 and 26 are assembled, and the fastening portion 35 is locat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The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40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case parts 24 and 26 from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35 position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terference rib (Rib) (42).
상기 간섭리브(42)는,
상기 체결부(35)의 최하측부분 또는 최상측부분으로부터 상기 상,하부케이스부(24, 2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ference ribs 42,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lower case portion (24, 26) from the lowermost portion or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35).
상기 고정구(30)는,
팽창밸브 연결용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50)와 일정간격(t)을 두고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fixture 30,
An expansion valve connection joint flange (Joint Flange) 50 and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8874A KR102011031B1 (en) | 2013-09-11 | 2013-09-11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8874A KR102011031B1 (en) | 2013-09-11 | 2013-09-11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890A KR20150029890A (en) | 2015-03-19 |
KR102011031B1 true KR102011031B1 (en) | 2019-08-14 |
Family
ID=5302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8874A Active KR102011031B1 (en) | 2013-09-11 | 2013-09-11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103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6128B1 (en) | 2010-06-01 | 2012-12-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Pipe fixing member of evaporator for automotive vehicl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7103U (en) * | 1981-03-11 | 1982-09-16 | ||
KR101363233B1 (en) * | 2007-07-10 | 2014-02-12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KR101450597B1 (en) * | 2011-12-14 | 2014-10-14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13
- 2013-09-11 KR KR1020130108874A patent/KR1020110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6128B1 (en) | 2010-06-01 | 2012-12-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Pipe fixing member of evaporator for automotive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890A (en) | 2015-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51962B1 (en) | Cockpit module assembly including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US8096017B2 (en) | Grommet for metal stud | |
US9061566B2 (en) | HVAC case having equalized sealing force tongue and groove joint | |
US7377554B2 (en) | Seal structur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 |
US20140073232A1 (en) | Laterally Assembled Vehicle Duct Joint | |
KR102011031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JP6106459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US20150097369A1 (en) | Duct connection system | |
WO2019181180A1 (en) |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piping support mechanism | |
JP2002172924A (en) | Case connecting structure | |
KR101216128B1 (en) | Pipe fixing member of evaporator for automotive vehicles | |
WO2019044352A1 (en) | Suppor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
US11215199B2 (en) | Fan unit having a plurality of damping elements arranged between air guide tube and fan grate | |
KR101198104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KR102026192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JPH06106956A (en) | Connecting part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duct for automobile | |
JP2005306367A (en) | Hvac unit housing assembly | |
KR20100029881A (en) | Blower for vehicles | |
KR101620223B1 (en) | Coupling structue of evaporator pipe and expansion valve for vehicle | |
KR200379931Y1 (en) | Damper connecting structure | |
KR101587562B1 (en) |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 |
KR101692272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JP5573492B2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 |
KR20160134220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JPH10309924A (en) | Automobil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