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0035B1 -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 Google Patents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035B1
KR102010035B1 KR1020170055779A KR20170055779A KR102010035B1 KR 102010035 B1 KR102010035 B1 KR 102010035B1 KR 1020170055779 A KR1020170055779 A KR 1020170055779A KR 20170055779 A KR20170055779 A KR 20170055779A KR 102010035 B1 KR102010035 B1 KR 10201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user
unit
smart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1274A (en
Inventor
한정태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17005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035B1/en
Publication of KR2018012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2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0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어 홈 유도 기능을 갖는 주차 유도 장치를 개시한다.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장을 향해 들어오는 차량을 식별하는 입차 식별부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하는 주차 면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입차 식별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것으로 식별되었을 때 상기 주차면 관리부의 주차면 관리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게 이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우선적으로 찾는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arking guidance device having a near home guidance function. 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includes an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whether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is full or empty due to a vehicle park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a parking induction unit for inducing the vehicle to be parked on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when the vehicle is identified as entering the parking lot by the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It includes. The parking guidance unit preferentially searches for a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a near area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guided to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Description

니어 홈 유도 기능을 갖는 주차 유도 장치{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ance function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본 발명은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의 주차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또는 자동으로 지정된 니어 영역에 빈 주차 면이 존재할 경우에 그에 따른 니어 영역으로 사용자의 차량을 우선적으로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guidance device for a public building or a multi-family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guidance device for preferentially guiding a user's vehicle to a near area when an empty parking surface exists in a user or an automatically designated near area. will be.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이 마련될 수 있다. 공공 건물은 백화점이나 마트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뿐만 아니라 구청이나 정부 청사 등과 같은 관공서 건물도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주택은 2가구 이상의 세대가 형성된 집합 건물, 빌라, 연립, 빌라, 또는 타운 하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ublic buildings or apartment houses may be provided with parking lots for parking vehicles. Public buildings can include not only commercial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marts, but also public office buildings such as ward offices and government buildings. A common house may include a group building, a villa, a townhouse, a villa, or a town house in which two or more households are formed.

통상적으로 주차 유도 장치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할 때 진입된 차량을 빈 주차 면으로 안내한다.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장의 주차 면들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혹은 차량이 비어 있는지를 감지부나 카메라를 통해 미리 인식한다. Typicall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guides the entered vehicle to the empty parking surfac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parking guidance device recognizes in advanc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of the parking lot or whether the vehicle is empty through a sensor or a camera.

주차 유도 장치가 차량을 주차 유도 램프를 이용하여 유도할 경우에도, 종종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는 유도된 주차 면에 주차를 하기 전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차 영역에 주차를 시도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차 유도 램프가 유도하는 주차 면에 주차를 함이 없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차 영역 예를 들어 니어 영역 또는 니어 홈에 대응되는 주차 면에 주차를 하기를 원한다. Even whe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guides the vehicle using the parking guidance lamp, the user who drives the vehicle often tends to attempt to park in the user's preferred parking area before parking on the guided parking surface. For example, the user wants to park in a park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red parking area, for example, near area or near home, without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led by the parking guidance lamp.

공동주택 112동 911호에 사는 사용자가 지하 주차장의 1번 게이트를 통해 해당 세대로 올라가려는 경우에 사용자는 1번 게이트 근방에 있는 주차 면들(예 1~30번 주차 면)이 니어 홈 영역이 될 수 있다. If a user living in apartment 112, 911, wants to go up to the household through gate 1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user will be near home area (eg parking lots 1-30). Can be.

또 다른 경우에, 공동주택 112동 911호에 사는 사용자가 지하 주차장의 1번 게이트를 통해 해당 세대로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선호되는 환경이 제공되거나 전기 충전 부스가 설치된 4번 게이트 근방에 있는 주차 면들(예 80~90번 주차 면)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니어 홈 영역이 될 수 있다. In another case, even if a user living in apartment 112, 911 goes up to the household through gate 1 of the underground car park, parking surfaces near gate 4, where the preferred environment is provided or where an electric charging booth is installed (eg Parking surface 80 ~ 90) can be near home area by user setting.

한편, 백화점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에서는 매장으로 올라가는 승강기 탑승 게이트 근방에 있는 주차 면들(예 20~60번 주차 면)이 니어 영역이 될 수 있다. Meanwhile, in a commercial building such as a department store, parking surfaces near the elevator boarding gate that goes up to a store (eg, parking surfaces 20 to 60) may be near areas.

차량 유도 장치가 빈 주차 면으로 주차를 유도하더라도, 차량의 사용자는 니어 영역으로의 주차를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인 주차 유도가 제공되기 어렵다. Even if the vehicle guidance apparatus guides parking to the empty parking surface, a more efficient and optimal parking guidance is difficult to provide because the user of the vehicle can try to park to the near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또는 자동으로 지정된 니어 영역에 빈 주차 면이 존재할 경우에 그에 따른 니어 영역으로 사용자의 차량을 우선적으로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preferentially guides the user's vehicle to the near area when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user or automatically designated near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니어 영역 및 노말 영역 순으로 유도할 수 있는 주차 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can guide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n the order of the near area and the normal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니어 영역으로 주차 유도를 하고 주차 위치 확인 및 주차유도 램프 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주차 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can guide the parking to the near area by using a smart phone,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and parking induction lamp off contro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장을 향해 들어오는 차량을 식별하는 입차 식별부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하는 주차 면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입차 식별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것으로 식별되었을 때 상기 주차면 관리부의 주차면 관리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게 이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우선적으로 찾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a parking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each of the parking surface in the parking lot is due to the vehicle is parked or empty Includes a parking surface manager that manages the site. In addi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a parking induction unit for inducing the vehicle to be parked on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when the vehicle is identified as entering the parking lot by the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It includes. The parking guidance unit preferentially searches for a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a near area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guided to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자동으로 지정된 니어 영역으로 주차 유도가 수행되므로 주차 유도가 사용자 편의 중심으로 제공된다. 또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주차 유도 및 주차 위치 확인이 융합적으로 편리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arking guidance is performed to a user or an automatically designated near area, parking guidance is provided as a user convenience cente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arking guidance and parking location confirmation is performed conveniently by using a smart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니어 영역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설정 니어 영역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적용되는 주차장의 주차 면들 및 만공차 유도 램프의 점등/점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폰 및 안내 표시판을 이용한 주차 유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11에 적용되는 주차 면 관리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주차 유도와 연동 가능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cloud system including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parking terminal in FIG. 1.
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smartphone in FIG. 1.
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position communication signal of the smart phone of FIG. 1.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parking position communication modes of the smart phone of FIG. 1.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ar region in a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near area in a parking l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lighting / flashing of parking surfaces and a parking lot induction lamp of a parking lot applied to FIGS. 6 and 7.
9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parking guidance using a smart phone and a gui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the parking guidan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parking guidanc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table applied to FIG. 11.
13 is a flowchart of providing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that can be linked with the parking guid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terminal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2.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any intention other than to provid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ny element or line is connected to the target element block,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meaning indirectly connected to the target element block through some other element.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given in each drawing represen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possible. In some drawing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and lines is only shown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and other elements or circuit blocks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주차 유도 동작, 블루투스 모듈(또는 장치)나 차번 인식 장치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may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and the general operation of parking guidance, specific operations and functions of a Bluetooth module (or device) or a next time identification device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cloud system including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유도 장치는 차번 인식부(150),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 주차 면 관리부(200), 주차 유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arking in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a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200, and a parking inducing unit 400.

차번 인식부(150)나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주차장을 향해 들어오는 차량을 식별하는 입차 식별부에 대응될 수 있다. 차번 인식부(150)는 차량(1)이 들어올 때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무선신호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신호 리더기는 상기 차량(1)의 이용자의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0)일 수 있다. 무선신호 리더기는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받아 상기 차량(1)의 차량 번호 또는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or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may correspond to an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may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when the vehicle 1 enters. The parking terminal (eg, 101) of the parking terminal group 100 may include a wireless signal reader. The radio signal reader can communicate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of the vehicle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example 10). The wireless signal reader may obtain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1 or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y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10.

상기 스마트 폰(10)은 라인(L5)을 통해 통신망(8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mart phone 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80 through a line (L5).

상기 통신망(80)은 라인(L6)을 통해 웹서버(3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주차 유도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80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web server 300 through the line (L6). The web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parking guide 400.

상기 통신망(80)은 라인(L7)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80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cloud server 600 through a line L7.

주차 면 관리부(200)는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한다.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200 manages whether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is full or empty due to the parked vehicle.

주차 유도부(400)는 상기 주차 면 관리부(200)와 연결된다. 주차 유도부(400)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올 때 상기 주차면 관리부(200)의 주차면 관리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을 유도한다. 주차 유도부(400)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 따른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우선적으로 찾는다. Parking guidance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20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guides the vehicle to be parked on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200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first searches for a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ear home area according to the us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guided to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주차 유도부(400)는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 따른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찾았을 때,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으로 상기 차량을 우선적으로 유도한다. 주차 유도부 (400)는 니어 홈 주차 유도를 위해 니어 홈 안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finds a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ear home area according to the user of the vehicle,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first guides the vehicle to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ear home area. The parking guide 400 may include a near home guide 410 for inducing near home parking.

도 1에서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는 라인(L2)을 통해 스마트 폰 그룹(50)과 연결될 수 있다. 안내 표시판(280)은 주차장의 진입구에서 니어 홈 주차 유도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표시판(280)은 주차 유도부(400)에 포함될 수 있다. In FIG. 1, only the entrance beacon device 250 may be connected with the smart phone group 50 via the line L2. The guide display panel 280 may guide near home parking guidance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guide display panel 280 may be included in the parking guide unit 400.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FIG.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parking terminal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블루투스 모듈(1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120), 통화 회로(130), 통신부(140), 코덱(150), 및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includes a Bluetooth module 110, a microcontroller unit (MCU) 120, a call circu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codec 150, and an emergency bell button input unit ( 160).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무선신호 리더기에 포함될 수 있다.The Bluetooth module 110 may be included in a wireless signal reader.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도 1의 라인(L3)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이하 편의상 블루투스 신호)를 상기 스마트 폰(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도 1의 라인(L4)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이하 편의상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라인들(L3,L4)은 무선통신 라인(또는 무선통신 채널)일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transmi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luetooth signal for convenience) to the smart phone 10 through the line L3 of FIG. 1.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receiv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luetooth signal) from the smart phone 10 through the line L4 of FIG. 1. The lines L3 and L4 may be wireless communication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256 Kb 메모리 및 32-bit ARM CPU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be equipped with a 256 Kb memory and a 32-bit ARM CPU.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support Bluetooth 4.0 to communicate in the 2.4Ghz frequency band.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HBT2X3N".

블루투스 모듈(110)이 주차장 단말기의 ID가 들어 있는 블루투스 신호(예: 비콘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폰(10)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 내에서의 블루투스 장치는 활성화 상태로 되어 있다. When the Bluetooth module 110 transmits a Bluetooth signal (eg, beacon signal) containing the ID of the parking lot terminal, the smart phone (example 10) receives the transmitted beacon signal within the reach of the beac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10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of Android 4.3 or higher. In addition, the Bluetooth device in the smartphone 10 is in an activated state.

또한, 상기 스마트 폰(10)에는 비콘 SDK가 내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설치된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이 마스터로서 역할을 할 경우에 도 2의 블루투스 모듈(110)은 슬레이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국, 블루투스 모듈(110)은 비콘 출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hone 10 is installed a service application (or app) with a beacon SDK built-in. Therefore, when the smart phone 10 serves as a master, the Bluetooth module 110 of FIG. 2 may serve as a slave. As a result,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serve as a beacon output device.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과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동일한 케이스(170)내에 수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라인(L10)을 통해 MCU(120)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L10)은 UART 통신 라인일 수 있다. 상기 MCU(120)는 라인(L20)을 통해 통화 회로(130) 및 통신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L20)은 통신 버스일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110 and the emergency bell button input unit 16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ame case 17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luetooth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MCU 120 through a line (L10). The line L10 may be a UART communication line. The MCU 120 is connected to the call circu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rough a line L20. The line L20 may be a communication bus.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비상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버튼은 주차장에 있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해 누르는 버튼이다. 상기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MCU(120)는 비상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MCU(120)는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는 비상 발생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MCU(120)는 "ATmega128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Emergency bell button input unit 160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The emergency button is a button that a user in the parking lot presses to inform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the MCU 120 may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by receiving an input of the emergency button.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MCU 120 may output an emergency occurrence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occurre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MCU 120 may be implemented using "ATmega128L".

도 1에서의 주차 유도부(400)는 상기 비상 발생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CCTV 제어기로 인가할 수 있다. CCTV 제어기는 아파트 단지의 중앙 방재실에 위치될 수 있다. CCTV 제어기는 상기 비상 발생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주차장 내에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구역에 대해 CCTV 카메라들에 의한 집중 추적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Parking guidance unit 400 in Figure 1 may apply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CTV controller not shown. The CCTV controller can be located in the central disaster room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CCTV controller controls the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mergency occurrence signal. Therefore, intensive tracking monitoring by CCTV cameras is performed for the area where the parking terminal 101 i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도 2의 통화 회로(130)는 도 1의 주차 유도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화 회로(130)는 음성 통신 및/또는 화상 통신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call circuit 130 of FIG. 2 may be connected to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of FIG. 1. The call circuit 130 may provide voice communication and / or video communication to a user.

통신부는(140)는 도 1의 주차 유도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TCP/IC 통신을 통해 상기 주차 유도부(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W3150A+"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parking guide unit 400 of FIG. 1.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through TCP / IC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implemented using "W3150A +".

한편, 코덱(150)은 상기 MCU(120)와 연결되고, 통신 신호들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코덱(150)은 "VS1053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dec 150 is connected to the MCU 120 and performs encoding and decoding on communication signals. The codec 150 may be implemented using "VS1053B".

도 3은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smartphone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예 10)은 블루투스 모듈(2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220), 센서부(230), 배터리(240), 및 버튼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mart phone (Example 10)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210, a microcontroller unit (MCU) 220, a sensor unit 230, a battery 240, and a button input unit 260. .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이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2.4Ghz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송신 전용의 단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동작을 모두 행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210 may transmit a user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e Bluetooth module 210 may support 2.4Ghz Bluetooth 4.0.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odule 210 may perform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transmission only.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odule 210 may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at performs b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도 2의 블루투스 모듈(11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로 상기 차량(1)의 차량 번호 또는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Bluetooth module 110 of FIG. 2. The Bluetooth module 210 may provide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1 or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Bluetooth module 110.

도 3의 스마트 폰(10)은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된 이후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블루투스 모듈(예 110)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들을 수신하여 주차위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10 of FIG. 3 may perform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by receiving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module (eg 110) of the parking terminal group 100 after the start time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스마트 폰(10)의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된 이후에 스마트 폰의 ID가 포함되어 있는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블루투스 모듈(110)은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210 of the smart phone 10 may transmit a beacon signal including the ID of the smart phone as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fter the start time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Therefore, the Bluetooth module 110 of FIG. 2 may receive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module 210 within the reach of the beacon signal.

도 3에서 센서부(23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의 감지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In FIG. 3,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may also include a function of detecting gravity acceleration.

가속도 센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 예컨대 움직임, 보행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임의의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를 감지한다. 결국, 가속도 센서는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를 출력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user, such as movement or walking.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increase / decrease ratio of speed for linear movement in any direction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user. As a result,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s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applied to the object.

감지 범위가 x,y,z축 방향인 3축 가속도 센서는 3차원 공간에서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중력 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가속도에 기반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될 수 있다. 지구중력은 수직방향으로 중력가속도 1G이다. 따라서 중력 가속도의 감지에 의해 물체의 기울어진 상태 및 지면 방향이 감지된다. 결국, 중력 가속도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차량 하차를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 3-axis acceleration sensor with a sensing range of x, y, and z directions can measure acceleration in three-dimensional space. That is, the movement of the object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bject and the acceleration in each direction based on the gravity acceleration. Earth's gravity is 1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tilted state of the object and the ground direction are detected by the detection of the acceleration of gravity. As a result, gravity acceleration can be used to detect the vehicle getting off of the smartphone user.

지자기 센서(Geomagnetic)는 지구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지자기센서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각을 탐지한다. 3축 지자기센서는 자기장의 세기를 X,Y,Z 방향으로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센서들의 출력 벡터 합이 계산되면 물체의 이동 방향이 측정된다. Geomagnetic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of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earth. Geomagnetic sensors can be used to detect a bearing like a compass. Geomagnetic sensors are used to det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martphone user. Geomagnetic sensors use the Earth's magnetic field to detect azimuth. The three-axis geomagnetic sensor includes sensors that detec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X, Y, and Z directions. Once the output vector sum of the sensors is calculate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 is measured.

자이로 센서는 물체의 회전관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한 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도의 값을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면 물체(여기서는 스마트 폰)이 좌우로 움직이는지 상하로 움직이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물체가 운동할 때 코리올리의 힘이 발생하는데, 이 코리올리 힘에 대한 공식을 이용하여 관성계에 작용하는 각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자이로는 그 정확도가 10~100 deg/hr 급으로 센서 신호 처리를 잘하게 되면 1deg/hr급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1deg/hr급은 아무런 입력이 없을 때 1시간 동안 자세가 1도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이로 센서의 정밀성 보상은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Gyro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inertia of an object. The gyro sensor is an angular velocity sensor that detects a value of an angle of rotation of an object in unit time with respect to one axis. The gyro sensor can detect whether an object (here, a smartphone) moves left or right or up or down. When an object moves, Coriolis forces are generated. Using this formula, Coriolis forces can be used to detect the angular velocity acting on the inertial system. In general,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gyro accuracy is 10 ~ 100 deg / hr, if the sensor signal processing well can be used as 1deg / hr. The 1deg / hr class means that the posture changes by 1 degree for 1 hour when there is no input. Precision compensation of the gyro sensor may be implemen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스마트 폰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를 행한 후에 차량에서 하차하여 보행을 시작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걸음 주기는 사용자가 걷는 동안 동일한 발에 대하여 발생하는 두 개의 연속된 동일 이벤트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걸음 주기는 발이 지면에 접촉할 때인 디딤 단계(stance phase)와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다음 걸음으로 진전하는 선회 단계(swing phase)의 두 단계로 구성된다. 디딤 단계의 시작 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힐 스트라이크(heel strike)라고 하며, 선회 단계의 시작 시(또는 디딤 단계의 종료 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힐 오프(heel off)라고 한다.After parking the vehicle, the smart phone user may get off the vehicle and start walking. The walking cycle of a smartphone user is defined as the time interval between two consecutive identical events that occur for the same foot while the user walks. The walking cycle consists of two phases: the step phase, when the foot contacts the ground, and the swing phase, where the foot moves off the ground and moves on to the next step. An event that occurs at the start of a stepping step is called a heel strike, and an event that occurs at the start of a turning step (or at the end of a stepping step) is called a heel off.

논리적으로, 사용자 몸의 중력 방향 가속도는 사용자의 걸음 주기 중 힐 스트라이크에서 극대(local max)고, 힐 오프에서 극소(local min)다. 즉, 한쪽 발이 지면에 접촉해 있는 동안 사용자가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디디면(힐 스트라이크)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대가 된다. 이후, 지면을 디딘 다른 쪽 발이 지면에 접촉해 있는 동안 한쪽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힐 오프)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소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달릴 때에도 유사하게 발생한다. 즉, 한쪽 발이 공중에 떠있는 동안 사용자가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디디면(힐 스트라이크),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대가 된다. 이후, 공중에 떠있던 한쪽 발이 땅에 닿기 전에 지면을 디딘 다른 쪽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힐 오프)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소가 된다.Logically,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user's body is local max at heel strike and local min at heel off during the user's walking cycle. In other words, if one user touches the ground while the other foo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heel strike),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maximal. Then, if one foot falls off the ground (heel off) while the other foot hits the grou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minimal. This phenomenon occurs similarly when the user runs. In other words, if the user steps down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heel strike) while one foot is in the air,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maximal. Then, if one foot in the air touches the ground and the other foot falls off the ground (heel off),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becomes minimal.

결과적으로, 중력 방향 가속도가 극대가 되기 직전 및 중력 방향 가속도가 극소가 된 직후의 인접한 두 포인트 쌍이 하나의 걸음에 대응한다. 그에 따라, 중력 방향 가속도의 연속된 극대-극소 피크 쌍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검음 시작과 걸음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중력 방향 가속도에 대한 1차원 시퀀스의 극대-극소 피크를 기초로 사용자의 걸음 수를 판단하는 과정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As a result, two adjacent pairs of points immediately before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cceleration becomes maximum and immediately after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cceleration become minimal correspond to one step. Accordingly, the use of consecutive maximum-minimum peak pairs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may determine the user's start of blackness and the number of steps. Therefore,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based on the maximum-minimum peak of the one-dimensional sequence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acceleration.

연속된 극대-극소 피크를 탐색하는 방법의 예시는 발명자 권용진에 의해 발명되어 2016년 09월 21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6-0109712의 제목 "만보계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하에 개시된다. An example of a method for searching for a continuous maximum-minimum peak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9712, which was invented by the inventor Kwon Yong-jin and published on September 21, 2016,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providing a pedometer function. Terminal ".

상기 센서부(230)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일 때, 이동감지 신호를 활동 정보로서 MCU(220)로 인가한다. The sensor unit 230 applies a movement detection signal to the MCU 220 as activity information when the smartphone user is in a walking state after getting off the vehicle.

MCU(220)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의 센서값(또는 측정값),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 지자기 센서의 센서값에 근거하여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MCU(220)는 자이로 센서의 센서값으로부터 스마트 폰 사용자 또는 스마트 폰의 상하좌우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은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 파악에 이용된다. 지자기 센서의 센서값은 스마트 폰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이동 거리의 파악은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 및 RSSI를 이용하여 더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다.The MCU 220 may calculate, for example,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smart phone user based on the sensor value (or measured value) of the gyro sensor, the sensor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ensor value of the geomagnetic sensor. The MCU 220 may grasp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smart phone user or the smart phone from the sensor value of the gyro sensor. The sensor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o determine the moving distance over time. The sensor value of the geomagnetic sensor is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martphone user moves. The grasp of the travel distance can be more accurately calculated using the sensor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SSI.

MCU(220)는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주차 후 활동정보 즉, 상기 이동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를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MCU(220)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일정거리 이동을 하였을 때 시점을 소급하여 이동의 최초 시작 점을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보계의 운영의 경우에 사용자가 3걸음 정도를 이동하기까지는 디스플레이 상에는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4걸음 이동한 순간에 만보계는 숫자 "4"를 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일정거리 감지한 다음에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에 대한 결정이 소급 적용될 수 있다. The MCU 220 may determine when the activity information after parking of the user, that is,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nsor unit as a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Meanwhile, the MCU 220 may retroactively determine the first starting point of the movemen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when the smart phone user moves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the pedometer, no indication is made on the display until the user moves about three steps. Then at the moment the user moved 4 steps the pedometer displays the number "4". Similar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tecting a user's walking at a certain distance, a determination about a starting point of parking location recognition may be retroactively applied.

또한, MCU(220)는 걸음 검출 기법, 보폭 추정 기법, 또는 진행 방향 추정 기법을 이용한 보행 항법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CU 220 may determine a start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by using a walking navigation algorithm using a step detection technique, a stride length estimation technique, or a progress direction estimation technique.

MCU(220)는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되면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MCU(220)는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되면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함이 없이도,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주차위치 인식을 위한 유효한 신호로서 취급할 수 있다. 결국, MCU(220)는 스마트 폰(10)을 소지한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를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스마트 폰(10)에 내장된 센서부(23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들을 분석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The MCU 220 may transmit a user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hen a start time of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rt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the MCU 220 transmit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as a valid signal for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without transmit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Can handle As a result, the MCU 220 may determine whe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user having the smart phone 10 is detected as a start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user may be detected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s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230 embedded in the smart phone 10.

버튼 입력부(260)는 스마트 폰(10)의 각종 제어 동작 예를 들어 셋, 리셋, 온, 또는 오프 등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button input unit 260 may be used to control various control operations of the smart phone 10, for example, set, reset, on, or off.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10)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position communication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구간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가능 구간을 나타내고,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OFF 구간을 나타낸다. 블루투스 모듈의 OFF 구간에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동작 오프 상태로 되므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는 비콘 신호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고, ⓔ는 비콘 신호의 전송 대기 구간을 나타낸다. ⓕ는 비콘 신호의 전송 주기를 가리킨다. 따라서,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무효임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4, section ⓐ represents a reception possible section of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phone, and ⓑ represents a reception OFF section of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phone. In the OFF period of the Bluetooth module,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 phone is turned off and does not receive a beacon signal. Ⓓ represents a transmission section of the beacon signal, ⓔ represents a transmission waiting section of the beacon signal. Ⓕ indicate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beacon signal. Thus, k indicates that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is valid, and k indicates that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is invalid.

파형 ①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수신 주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다. ②는 수신 구간의 중간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③은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④는 수신 구간의 시작 초기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파형 ⑤ 는 수신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②,③, 및 ④의 경우에 비콘 신호는 스마트 폰으로 유효하게 제공된다. 한편, ⑤ 의 경우에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가 유효로 취급될 수 있다. The waveform ① show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Bluetooth reception cycle of the smartphone. ② shows the case where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in the middle of the receiving section. ③ shows the case where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at the end of the reception interval. ④ shows the case where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at the beginning of the reception section, and waveform ⑤ shows the case where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at the start of the reception section. In the case of ②, ③, and ④, the beacon signal is effectively provided to the smartphone. Meanwhile, in the case of ⑤, the beacon signal received at the end of the reception period may be treated as valid.

도 4의 수신 타이밍은 스마트 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 혹은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reception timing of FIG. 4 may be implemented by setting or changing an application program mounted on the smart phone.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은 제1,2,3 모드들로 나뉠 수 있다. 제1 모드는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110)의 온 주기가 짧다. 예컨대 제1 모드의 온 주기는 1/10 초 이고, 제2 모드의 온 주기는 1/5 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적다.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110)의 온 주기가 길다. 예컨대 제3 모드의 온 주기는 1/2초이다. 따라서, 제3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많다. 제3 모드에서는 정보 개시가 이루어진다. 정보 개시는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parking position communication modes of the smart phone of FIG. 1. Referring to FIG. 5, parking position communication modes may be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modes. In the first mode, the ON period of the Bluetooth module 110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e. For example, the on period of the first mode may be 1/10 second, and the on period of the second mode may be 1/5 second.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mode is less than that of the second mode. In the third mode, the on period of the Bluetooth module 110 is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e. For example, the on period of the third mode is 1/2 second.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hird mod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mode. In the third mode, the information is started. Information disclosure may mean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10.

도 5의 경우에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이 3가지의 모드들로 나뉘어져 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of Figure 5, the parking position communication modes are divided into three modes,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10)은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시작 시점이 결정되면 스마트 폰(10)은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폰(10)은 주차위치 인식을 직접 혹은 간접으로 수행하는 소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phone 10 may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When the start time is determined, the smart phone 10 may transmi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Finally, the smart phone 10 may function as an element that directly or indirectly recognizes a parking position.

또한, 스마트 폰(10)은 도 1의 주차장 단말기(예 101)가 입차 식별부로서 기능하도록 주차장 단말기(예 101)와 통신한다. 즉, 주차장 단말기(101)는 스마트 폰(10)과의 통신을 통해 차량(1)의 차량 번호 또는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phone 10 communicates with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so that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of FIG. 1 functions as a parking lot identification unit. That is, the parking lot terminal 101 may obtain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1 or the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니어 영역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ar region in a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주차장(202)은 입출입구(302)를 기준으로 니어 영역(204)과 노말 영역(206)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주차 면의 개수가 예를 들어 150개인 경우에 1번 내지 30번 주차 면은 상기 니어 영역(204)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31번 내지 150번 주차 면은 상기 노말 영역(206)에 포함될 수 있다. 니어 영역(204)은 입출입구(302)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며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parking lot 202 may be divided into a near region 204 and a normal region 206 based on the entrance and exit 302. When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is 150, for example, parking surfaces 1 to 30 may be included in the near area 204. Meanwhile, parking surfaces 31 to 150 may be included in the normal area 206. The near area 204 is set based on the entrance and exit 302 and may vary according to circumstance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설정 니어 영역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near area in a parking l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주차장(202)은 입출입구(302)와는 무관하게 설정 니어 영역(204)과 노말 영역(206)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주차 면의 개수가 예를 들어 150개인 경우에 12번 내지 25번 주차 면은 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설정 니어 영역(204)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1번 내지 11번과 26번 내지 150번 주차 면은 상기 노말 영역(206)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니어 영역(204)은 입출입구(302)와는 무관하게 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를 가진 경우 충전 커넥터가 12번 내지 25번 주차 면에 설치되었다면, 12번 내지 25번 주차 면이 설정 니어 영역(204)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arking lot 202 may be divided into a set near area 204 and a normal area 206 regardless of the entrance and exit 302. When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is 150, for example, parking lots 12 to 25 may be determined as the setting near area 204 by the user's setting. Meanwhile, parking surfaces 1 to 11 and 26 to 150 may be included in the normal area 206. The setting near area 204 may be designated by the user's setting regardless of the entrance and exit 302.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i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parking surfaces 12 to 25, the parking surfaces 12 to 25 may be the set near area 204.

도 8은 도 6 및 도 7에 적용되는 주차장의 주차 면들 및 만공차 유도 램프의 점등/점멸 예시도이다. FIG.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lighting / flashing of parking surfaces and a parking lot induction lamp of a parking lot applied to FIGS. 6 and 7.

도 8을 참조하면, 주차장(202)에는 복수의 주차 면(PA1-PA12)이 구획되어 있고, 3개 단위의 주차 면마다 주차 위치 식별부(예 B1B1)가 설치된다. 복수의 주차 위치 식별부(B1A1-B1A3, B1B1-B1B3)는 주차장 내의 주차 위치를 식별시키는 좌표 역할을 한다. 복수의 주차 위치 식별부(B1A1-B1A3, B1B1-B1B3)마다 혹은 일부에는 도 1의 주차장 단말기(예 10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101)는 주차 위치의 운영을 위한 고유한 단말 ID를 가진다.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A1-PA12 are partitioned in the parking lot 202, and a parking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Example B1B1) is provided for each parking unit of three units. The plurality of parking position identification units B1A1-B1A3 and B1B1-B1B3 serve as coordinates for identifying parking positions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terminal (Example 101) of FIG. 1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position identification units B1A1-B1A3 and B1B1-B1B3 or part of them. Therefore, the parking lot terminal 101 has a unique terminal ID for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도 8에서는 예를 들어 주차장(202) 내에서 두 주차 면(PA5,PA6)만이 차량(MC1)이 주차되지 않은 상태로 비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 주차 면(PA5,PA6)이 니어 영역 혹은 니어 홈 영역에 속해 있다고 하면, 제1 카메라(CA1)의 근방에 설치된 만공차 유도램프가 니어 주차 유도를 위해 점등 혹은 점멸된다. In FIG. 8, for example, only two parking surfaces PA5 and PA6 in the parking lot 202 are empty without the vehicle MC1 being parked. In this case, if the two parking surfaces PA5 and PA6 belong to the near area or the near home area, the man-vehicle induction lamp installed near the first camera CA1 is turned on or blinks to induce near parking.

만공차 유도램프는 상기 주차 유도부에 포함될 수 있다. 만공차 유도램프는 니어 주차 유도를 위해 노말 만공차 유도와는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말 주차 유도 시에 공차가 녹색으로 표시되는 경우라면, 니어 주차 유도 시에 공차는 주황색이나 노랑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색상의 표시는 발광 다이오드의 고유 발광 색상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Manhole car induction lamp may be included in the parking guide. Manhole car guide lamps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than normal manhole car guides for near parking guidance. For example, if the tolerance is displayed in green when inducing normal parking, the tolerance may be displayed in orange or yellow when inducing near parking. The display of color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inherent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제1 카메라(CA1)는 제2 카메라(CA2)와 함께 레이스 웨이(R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들(CA1,CA2)은 상기 주차장(202)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하는 주차 면 관리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CA1 may be installed on the raceway RA together with the second camera CA2.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CA1 and CA2 may function as a parking surface manager that manages whether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202 is full or empty due to a vehicle parked previously.

상기 제1 카메라(CA1)는 6개의 주차 면들(PA1-PA6)의 만공차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한편, 제2 카메라(CA2)는 또 다른 6개의 주차 면들(PA7-PA12)의 만공차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주차 면 관리를 수행 시에는 각 주차 면 에 대응 설치되는 센서부가 제거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CA1 monitors whether the six parking surfaces PA1-PA6 have empty cars. Meanwhile, the second camera CA2 monitors whether the six parking surfaces PA7-PA12 have empty cars. When performing parking plane management using cameras, the sensor unit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plane may be removed.

주차 유도부는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게 이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PA5 또는 PA6)을 주차 면 관리부를 통해 우선적으로 찾는다.The parking guidance unit preferentially finds a parking surface PA5 or PA6 corresponding to a near area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guides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o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

만약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이 없을 경우에는 통상의 노말 주차 유도가 수행될 수 있다. 노말 주차 유도는 주차장 내의 빈 주차 면으로 차량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If there is no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ear area, normal normal parking guidance may be performed. Normal parking guidance means to guide a vehicle to an empty parking surface within a parking lo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폰 및 안내 표시판을 이용한 주차 유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9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parking guidance using a smart phone and a guid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이용자는 스마트 폰(10)의 화면을 통해 니어 영역 혹은 니어 홈 영역의 주차 유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10)에는 주차장의 맵이 표시되고 주차 유도를 위한 유도 경로가 나타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vehicle user may receive a parking guidance service of a near area or a near home area through a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In this case, the map of the parking lot is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10, and an induction route for parking guidance may be displayed.

또한, 차량 이용자는 안내 표시판(280)을 통해 니어 영역 혹은 니어 홈 영역에 대한 주차 유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안내 표시판(280)의 화면(282)에는 주차 상태가 표시되고 만공차 유도 램프(284)의 점등/점멸 상황도 나타나 있다. 따라서, 차량 이용자는 니어 영역 혹은 니어 홈 영역으로 우선적으로 주차를 하기 위해 차량을 몰고 갈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user may receive a parking guidance service for the near area or the near home area through the guide display board 280. The parking state is displayed on the screen 282 of the guide display panel 280, and the lighting / flashing state of the manhole vehicle induction lamp 284 is also shown. Therefore, the vehicle user can drive the vehicle to preferentially park to the near area or the near home area.

차량 이용자가 주차장에 진입하면, 주차면 관리부(200)의 제1 카메라(CA1)의 근방에 설치된 만공차 유도 램프(284)의 색상도 니어 영역 혹은 니어 홈 영역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차량 이용자는 만공차 유도 램프(284)의 색상을 확인하면서 빈 주차 면에 주차를 시도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user enters the parking lot, the color of the man-vehicle guidance lamp 284 provided near the first camera CA1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r 200 indicates that the near area or the near home area exists. Accordingly, the vehicle user may attempt to park on the empty parking surface while checking the color of the manhole vehicle induction lamp 284.

주차의 완료 시에 만공차 유도 램프(284)는 오프되거나 만차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표시된다. Upon completion of parking, the full vehicle guidance ramp 284 is turned off or displayed in a color indicating fullness.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10 is a flowchart of the parking guidan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S61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차량 진입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차량 진입의 체크는 차번 인식부(150),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 혹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로부터 차량 진입 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operation S61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hecks whether vehicle entry exists. The vehicle entry check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a vehicle entry signal from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the entrance beacon device 250, or the parking lot terminal (eg, 101).

동작 S62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차량 번호를 획득한다. 차량 번호의 획득은 차번 인식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번호의 획득은 주차장 단말기(101)로부터 제공되는 고객 정보/거주 정보 혹은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operation S620, the parking guide part 400 obtains a vehicle number. Acquisition of the vehicle number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vehicle numb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Acquisition of the vehicle number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customer information / resident information or vehicle numb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arking lot terminal 101.

동작 S63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니어 영역 대상 차량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주차 유도부(400)는 상기 차량 번호 혹은 거주 정보에 기반하여 입차되는 차량이 니어 영역 주차 유도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차량인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주차 유도부(400)는 도 12와 같은 주차 면 관리 테이블을 운영할 수 있다. In operation S63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a near area target vehicle.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may check whether the vehicle that is entered is a vehicle that is subject to a near area parking guidance service based on the vehicle number or residence information. The parking guide unit 400 may operate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table as shown in FIG. 12.

동작 S64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진입 차량에 대응되는 이용자 정보를 서치한다. 주차 유도부(400)는 주차 면 관리 테이블을 통해 이용자 정보(통상적으로 운전자 정보)를 서치한다. In operation S64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searches for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y vehicle.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searches for user information (usually driver information) through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table.

동작 S65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니어 영역 주차 면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니어 영역 주차 면의 존재 여부는 주차 면 관리부(200)를 통해 주차 면 만공차 정보를 수신함에 의해 확인된다. In operation S650, the parking induction part 400 checks whether a near area parking surface exists. The presence of the near area parking surface is confirmed by receiving parking surface full vehicle information through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200.

니어 영역 주차 면이 존재하면, 동작 S66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만공차 유도 램프를 니어 영역 유도 모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8의 카메라(CA1)의 근방에 설치된 만공차 유도 램프는 니어 영역 주차 유도를 표시하는 색상을 표시한다. If the near area parking surface exists, in operation S660, the parking induction part 400 controls the man-vehicle induction lamp to the near area induction mode. Accordingly, the manhole difference induction lamp installed near the camera CA1 of FIG. 8 displays a color indicating near area parking induction.

한편, 니어 영역 주차 면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작 S67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만공차 유도램프를 노말 유도 모드로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near area parking surface does not exist, in operation S67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ontrols the man-vehicle guidance lamp in the normal induction mode.

동작 S68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주차 완료가 수행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주차 완료의 수행은 스마트 폰(10)을 매개체로 한 주차 위치 인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operation S680,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checks whether parking completion has been performed. Performing the parking completion can be achieved by parking location recognition via the smart phone (10).

주차 완료가 수행된 경우, 동작 S69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만공차 유도램프가 주차 완료 상태의 컬러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주차 완료 상태의 컬러는 빨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주차 완료 상태에서는 만공차 유도 램프가 오프될 수 있다. When parking completion is performed, in operation S69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ontrols the man-vehicle guidance lamp to display the color of the parking completion state. In this case, the color of the parking completion state may be displayed in red. In another case, the parking vehicle induction lamp may be turned off in the parking completion state.

도 10의 니어 영역 제어 서비스는 백화점 등과 같은 공공 건물의 주차 유도에 적합할 수 있다. The near area control service of FIG. 10 may be suitable for inducing parking of public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유도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11 is a flowchart of a parking guidanc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S71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차량 진입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Referring to FIG. 11, in operation S71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hecks whether vehicle entry exists.

동작 S72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신호를 주차장 단말기(10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주차 유도부(400)는 차번 인식부(150)를 통해 차량 번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S720, the parking inducing unit 400 may receiv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smart phone 10 through the parking lot terminal 101. In another case,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may receive vehicl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동작 S73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차번 인식부(150) 혹은 주차장 단말기(101)를 통해 차량 번호를 획득한다. In operation S73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obtains a vehicle number through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150 or the parking lot terminal 101.

동작 S74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니어 홈 대상 차량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In operation S740, the parking guide part 40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a near home object.

동작 S75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진입 차량에 대응되는 공동주택의 동호수 정보를 서치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테이블에는 57마6473 차량에는 112동 507호가 대응되어 있다. In operation S750,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searches for lake number information of the apartment house corresponding to the entry vehicle. For example, 112-507 corresponds to 57-ma6473 vehicle in the table of FIG.

동작 S76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니어 홈 주차 면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In operation S760, the parking guide part 400 checks whether a near home parking surface exists.

니어 홈 주차 면이 존재하면, 동작 S77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만공차 유도램프를 니어 홈 유도 모드로 제어한다. If the near home parking surface exists, in operation S770,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ontrols the man-vehicle induction lamp in the near home induction mode.

니어 홈 주차 면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작 S78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만공차 유도램프를 노말 유도 모드로 제어한다. If the near home parking surface does not exist, in operation S780, the parking induction part 400 controls the man-vehicle induction lamp in the normal induction mode.

동작 S790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주차 완료가 수행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In operation S790, the parking inducing unit 400 checks whether parking completion has been performed.

주차 완료가 수행된 경우, 동작 S792에서, 주차 유도부(400)는 만공차 유도램프가 주차 완료 상태의 컬러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parking completion is performed, in operation S792,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ontrols the man-vehicle guidance lamp to display the color of the parking completion state.

한편, 차량이 주차 완료되었을 때 상기 만공차 유도 램프는 상기 주차 면 관리부의 만공차 관리에 기반하여 오프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 manhole vehicle guidance lamp may be turned off based on the manhole vehicle management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r.

또한, 차량이 주차 완료되었을 때 상기 만공차 유도 램프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의 주차위치 인식에 기반하여 오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 man-vehicle guidance lamp may be turned off based on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of the parking lot terminal 101.

도 12는 도 11에 적용되는 주차 면 관리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12 is an exemplary view of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table applied to FIG. 11.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거주정보 및 주차 면의 영역 설정이 주차 면 관리 테이블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번호 57마6473 차량에 대응되는 거주정보는 112동 507호이다. 상기 차량의 경우에 니어 홈 영역은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니어 홈 영역은 자동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니어 홈 영역에 해당되는 주차 면의 번호는 1번 내지 30번으로 설정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resid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number and the area setting of the parking surface are shown i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table. For example, the resid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ehicle number 57M6473 is 112-507. In the case of the vehicle, since the near home area is not set separately, the near home area may be selected as the automatic mode. Therefore,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near home area is set from 1 to 30.

차량번호 57마6473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경우에 니어 홈 영역 내의 빈 주차 면의 번호는 16번 또는 17번이라면, 니어 홈 주차 유도는 16번 주차 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차량번호 57마6473 차량이 주차된 이후에 출차가 되면 16번 주차 면의 출차 체크 표시는 "0"으로 된다. 출차 체크 표시가 "0"으로 되면 16번 주차 면은 다시 빈 주차 면이 된다. Vehicle number 57M6473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if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near home area is 16 or 17, the near home parking guidance may be directed to the 16 parking surface. If the vehicle is departed after the vehicle has been parked, the withdrawal check mark on parking side 16 becomes "0". When the exit check mark becomes "0", parking side 16 becomes an empty parking side again.

한편, 차량번호 67허1256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경우에 니어 홈 영역 내의 빈 주차 면의 번호는 16번이라면, 니어 홈 주차 유도는 16번 주차 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니어 홈 영역은 112동 510호의 이용자에 의해 12번 내지 25번 주차 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차량번호 57마6473 차량이 주차된 이후에 출차가 되지 않으면 16번 주차 면의 출차 체크 표시는 "X"으로 된다. 출차 체크 표시가 "X"으로 되면 16번 주차 면은 차있는 주차 면으로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number 67H 1256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if the number of the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near home area is 16, the near home parking guidance may be directed to the 16 parking surface. In this case, the near home area is set to parking lots 12 to 25 by the user of 112-510. Vehicle number 57M6473 If the vehicle is not parked after parking, the parking check mark on parking side 16 is "X". When the exit check mark is "X", parking side 16 becomes the full parking side.

또한, 차량번호 32허6162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경우에 니어 홈 영역 내의 빈 주차 면이 없다. 이 경우에는 노말 유도가 수행된다. In addition, there is no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near home area when the vehicle No. 32H6162 enters the parking lot. In this case normal induction is performed.

도 13은 본 발명의 주차 유도와 연동 가능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13 is a flowchart of providing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that can be linked with the parking guid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작 S610에서,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은 스마트 폰(10)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In operation S610, the smart phone (for example 10) checks whether the user of the smart phone 10 is in the vehicle.

동작 S620에서, 스마트 폰(10)은 도 5의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10)은 차량 탑승인 경우에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을 하면, 제2 모드의 온 주기인 1/5 초마다 블루투스 모듈(110)이 턴온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차량 탑승 시에 상기 스마트 폰(1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n operation S620, the smartphone 1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the first mode of FIG. 5 to the second mode. That is, the smart phone 1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for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o the second mode when the vehicle is in the vehicle. As a result, when the smart phone user rides in the vehicle,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be turned on every 1/5 second which is the on cycle of the second mode. The smart phone 10 may operat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smart phone user rides in the vehicle.

차량 탑승의 체크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10)을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스마트 폰(10)이 차량 탑승의 체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차량 탑승의 체크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10)은 GPS 신호 및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도 3의 센서부(230)의 감지신호들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주차를 하려고 주차장에 들어가는 경우에 GPS 신호는 수신되나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수신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의 센서부(230)의 감지신호들을 분석하면 차량 탑승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Checking the vehicle boarding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manually operating the smart phone 10 or the smart phone 10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check operation of the vehicle boarding. In the cas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check-in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smartphone 10 detects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sensor unit 230 of FIG. 3 based on whether the GPS signal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f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are received. Can be analyzed. That is, when entering a parking lot for parking, a GPS signal is received, bu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f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is not received. In addition,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sensor unit 230 of FIG. 3 may detec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동작 S630에서, 스마트 폰(10)은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입구는 공동 주택 예컨대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를 가리킨다. 주차위치 운영 동작의 원활화를 위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장치(250)가 아파트 단지의 입구에도 설치될 수 있다. In operation S630, the smartphone 10 may only check whether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ntrance beacon device 250. The complex entrance here refers to the entrance to a common house such as an apartment complex. A beacon device 250 that transmits a beacon signal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complex to facilitate the parking position operation operation.

차량이 단지 입구를 통과 시에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64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주차장 관련 맵 정보의 확보는 웹서버가 주차장 관련 맵 데이터를 스마트 폰(10)이 받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무관하게 주차장 관련 맵 정보 예컨대 주차장 지도데이터는 다운로딩을 통해 스마트 폰(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If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nly entrance beacon device 250 when the vehicle passes only the entrance, in operation S640, the smartphone 10 may secure parking lot related map information. Securing the parking lot-related map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web server receiving the parking lot-related map data by the smart phone 10. On the other hand, irrespective of this, parking lot-related map information, for example, parking lot map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mart phone 10 through downloading.

동작 S650에서,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는 정보 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드이다. In operation S650, the smartphone 1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the second mode to the third mode. The third mode is a mode in which information disclosure can be performed.

상기 동작들 S610 내지 S650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동작들 S610 내지 S650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The operations S610 to S650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operations S610 to S650 may be omitted as necessary.

동작 S660에서, 스마트 폰(10)은 도 3의 센서부(230)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즉, 스마트 폰(10)은 스마트 폰 사용자가 주차를 행한 후에 보행을 시작하였는 지를 감지한다. In operation S660, the smart phone 10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using the sensor unit 230 of FIG. That is, the smart phone 10 detects whether the smart phone user started walking after parking.

이와 같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로 결정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예컨대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As such,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may be determined whe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user is detected.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user may be detected by analyz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nsor (eg, an acceleration sensor) embedded in the smart phone.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은 주차위치 인식의 수행에 유효한 신호로서 취급된다.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lot terminals 101-105 of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are treated as valid signals for performing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after the start time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동작 S67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찾는다. 스마트 폰(10)은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10)은 스마트 폰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In operation S670, the smartphone 10 searches for a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beacon signals received from the parking lot terminals 101-105. The smartphone 10 may detect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of the beacon signals, and process the detected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by a triangulation algorithm. Accordingly, the smart phone 10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located closest to the smart phone.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 관련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주차장의 맵에 주차위치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차위치의 데이터는 메시지 형태나 텍스트 형태로 스마트 폰(10)내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10 may display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as the parking position on the parking lot related map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parking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map of the parking lot, the user may check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In addition, the parking position data may be stored in the smart phone 10 in the form of a message or text.

웹서버가 도 1에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인식된 주차위치 정보는 스마트 폰(10)에 의해 웹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는 상기 인식된 주차위치 정보를 주차 유도 장치 혹은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엘리베이터 호출 제어기 및/또는 세대의 월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를 행한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누름이 없이도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 행위 자체 만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셈이 된다. 상기 월패드는 각 세대마다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월패드의 모니터 화면에는 상기 주차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web server is installed in FIG. 1,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by the smart phone 10. The web server may transmit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to a parking guidance device or a home network server. The home network server may be connected with an elevator call controller and / or generation wall pad. Accordingly, the parked user can automatically call the elevator without pressing the elevator call button. That is, the user calls the elevator only by the parking behavior of the vehicle itself. The wall pad is installed for each generation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home network server. Therefore,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of the wall pad.

또 다른 예로서, 웹서버가 설치된 경우에 주차 위치를 인식하는 수행 주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작 S670에서, 스마트 폰(10)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달한다. 웹서버는 수신된 비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센 비콘 신호를 찾는다. 웹서버는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서버는 스마트 폰(10)에 가장 근접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주차위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웹서버는 인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스마트 폰(10)으로 3G, 4G, 5G,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web server is installed, the performing agent for recognizing the parking position may vary. That is, in operation S670, the smart phone 10 receives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delivers them to the web server. The web server finds the beacon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received beacon signals. The web server may measure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of the beacon signals, respectively, and process the measured field strength (RSSI) by a triangulation algorithm. Accordingly, the web server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terminal (Example 101) installed closest to the smart phone 10 as the parking position. The web server may transmit the recognized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10 through 3G, 4G, 5G, or Wi-Fi network.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의 설치 구역을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위치를 스마트 폰(10)의 메시지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다. Therefore, the smart phone 10 can display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as a parking position on the map of the said parking lot. In addition, the smart phone 10 may store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parking terminal 101 a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user can know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by checking the message of the smart phone 10.

한편, 웹서버가 없을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과 통신하는 주차 유도부(400)가 주차 위치 인식의 주체로 될 수 있다. 동작 S670에서, 주차된 차량에서 사용자와 함께 하차된 스마트 폰(10)은 도 3의 센서부(230)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일정 주기마다 고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web server, the parking guidance unit 400 communicating with the parking terminal group 100 may be the subject of parking location recognition. In operation S670, the smart phone 10 which is disembarked with the user in the parked vehicle is unique every predetermined perio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0 after determin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using the sensor unit 230 of FIG. 3.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as the user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상기 고유 신호는 상술된 바와 같은 비콘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이 상기 비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서 수신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10)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가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센 전계강도로 수신할 것이다. The unique signal may be in the form of a beacon signal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parking lot terminals 101-105 receive the beacon signal as the user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n this case, the parking terminal (101) located closest to the smart phone 10 will receive the beacon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at the strongest electric field strength.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수신한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주차 유도부(400)로 전송한다. 주차 유도부(400)는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유도부(400)는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 주차 유도부(400)는 인식된 주차 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향해 역으로 전송한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인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스마트 폰(10)으로 인가한다. The parking lot terminals 101-105 transmit beacon signals of the received smart phone 10 to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respectively.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may measure the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of the beacon signals, respectively, and process the measured received field strength (RSSI) by a triangulation algorithm. Accordingly,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that received the strongest beacon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as the parking position.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transmits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back toward the parking terminals 101-105. The parking lot terminals 101-105 apply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10.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상기 설치 구역을 텍스트의 형태로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mart phone 10 can display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parking lot terminal (Example 101) as a parking position on the map of the said parking lot. In addition, the smartphone 10 may store the installation area a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text. As a result, even in this case, the user can check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한편, 스마트 폰(10)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smart phone 10 transmits the user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0 after determin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블루투스 신호를 일단 받은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폰(10)과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간에 양방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다. For example, after the smart phone 10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the smart phone 10 may receive the Bluetooth signal of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and then transmi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two-w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smart phone 10 and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동작 S68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에서 제공되는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인지를 체크한다. 주차장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이거나 수신이 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10)은 주차장을 벗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이면 동작 S690이 실행된다. In operation S680, the smartphone 10 checks whether the beacon signals provided from the parking lot terminal group 100 are below a set reception sensitivity. If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lot are below the set reception sensitivity or are not received, the user's smart phone 10 may be said to be out of the parking lot. As a result, operation S690 is executed when the beacon signals are below the set reception sensitivity.

동작 S690에서, 스마트 폰(10)은 동작 모드를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드에서의 스마트 폰(10)의 배터리 소모는 제3 모드의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In operation S690, the smartphone 1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the third mode to the first mode. Accordingly,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smart phone 10 in the first mode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the third mode.

블루투스 4.0 이상의 통신 스펙의 경우에 저전력 통신이 기본적으로 지원되므로, 상기 모드 전환은 필요한 경우에 한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 모드의 전환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ince the low power communication is basically supported 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specification of Bluetooth 4.0 or higher, the mode switching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only when necessary. Such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is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위와 같은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 위치 인식은 본 발명의 니어 홈 주차 유도와 융합될 수 있다. Parking location recognition using the smart phone as described above may be fused with the near home parking guid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terminal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2.

도 14에서, 주차장 단말기(102)의 구성은, 블루투스 모듈(110)이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로부터 떨어져 설치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다.In FIG. 14, the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terminal 102 is the same as that of FIG. 2 except that the Bluetooth module 110 is installed away from the emergency bell button input unit 160.

블루투스 모듈(110)은 주차장의 설치 구조물 예컨대 천정, 벽면, 또는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181)는 주차장의 천정 아래에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181)는 주차장에 배치된 조명등들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110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parking lot, such as a ceiling, a wall, or a raceway 181. The raceway 181 is installed under the ceiling of the parking lot. The raceway 181 may be installed along the lights disposed in the parking lot.

블루투스 모듈(110)은 주차장 단말기의 ID가 들어 있는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의 블루투스 모듈(210)이 활성화 상태일 때, 스마트 폰(1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transmit a beacon signal containing the ID of the parking lot terminal. The smartphone (example 10) may receive the transmitted beacon signal within the reach of the beacon signal. The smartphone 10 may be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of Android 4.3 or higher. When the Bluetooth module 210 of the smart phone 10 is in an activated state, the Bluetooth module 210 of the smart phone 10 may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module 110.

블루투스 모듈(110)은 무선신호 리더기로서 기능한다. 블루투스 모듈(110)은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받아 상기 차량(1)의 차량 번호 또는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110)을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102)는 입차 식별부의 역할도 한다. The Bluetooth module 110 functions as a wireless signal reader. The Bluetooth module 110 may obtain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1 or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by receiv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10. Therefore, the parking lot terminal 102 including the Bluetooth module 110 also serves as a parking identification unit.

한편,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주차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에 마련된 비상벨이 눌려지면 비상 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bell button input unit 160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parking lot. When the emergency bell provided in the emergency bell button input unit 160 is pressed, an emergency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MCU(120)는 무선으로 송출되는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MCU(120)는 통신부(140)로 비상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The MCU 120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by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The MCU 120 may apply an emergency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4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주차장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210-1),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 제어부(2000), 영상 처리부(3000), 및 통신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parking lot terminal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210-1, first and second camera modules 1100 and 1200, a controller 2000, an image processor 3000, and a communicator 4000. have.

블루투스 모듈(210-1)은 도 14의 블루투스 모듈(110)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10-1)은 도 14의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될 수 있다.The Bluetooth module 210-1 may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Bluetooth module 110 of FIG. 14. The Bluetooth module 210-1 may be installed in the raceway 181 of FIG. 14.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0)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 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110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1200 may be installed in one hous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 modules 1100 and 1200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ize as the camera module mounted in a general smart phone.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스마트 폰의 카메라 모듈보다 더 큰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first and second camera modules 1100 and 1200 may be implemented in a larger size than the camera module of the smart phone.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일반적인 차번 인식용 카메라 모듈이나 CCTV 용 카메라 모듈에 비해 사이즈가 월등히 콤팩트하다.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camera modules 1100 and 1200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uch more compact in size than the general camera recognition camera module or CCTV camera module.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1)은 하나의 부품 단위로 결합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amera modules 1100 and 1200 and the Bluetooth module 210-1 may be combined in one component unit and installed in the raceway 181.

제어부(2000)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0)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을 변환 처리하여 채널별로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0 receives a first image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1100. The controller 2000 receives a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camera module 1200. The controller 2000 may convert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output the first and second images for each channel.

상기 제어부(2000)는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보안 처리 카메라용 프로세서인 "ASC8852A"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0)는 차량번호 인식에 사용되도록 하는 스틸 컷 즉 정지 영상을 상기 제1,2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정지 영상은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0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SC8852A" which is a processor for a high resolution security camera.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0 may extract a still cut, that is, a still image, to be used for vehicle number recogni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he still image may be transmitted through one channel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어부(2000)와 연결된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을 처리하거나 압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30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0. The image processor 3000 may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the still image. The image processor 3000 may process or compress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the still image.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image data transmitted can be increased.

통신부(40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0)에 연결된다. 상기 통신부(40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0)의 이미지 데이터를 라인(I/O)을 통해 수신한다. 통신부(4000)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라인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송라인은 이더넷 통신을 위한 TCP/IP 통신라인일 수 있다. 또한, 전송라인은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00 is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3000. The communication unit 4000 receives image data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3000 through a line I / O. The communication unit 4000 outputs the received image data to the transmission line. Here, the transmission line may be a TCP / IP communication line for Ethernet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line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상기 전송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복수의 채널들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들은 제1 동영상 채널, 제2 동영상 채널, 및 정지영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2채널의 동영상과 1채널의 정지영상이 단일의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annels. For example, the channels may include a first video channel, a second video channel, and a still image channel. That is, two channels of video and one channel of still imag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communication line.

상기 통신부(4000)는 주차 유도부(400) 혹은 공동주택의 홈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00 may communicate with the parking induction unit 400 or the home network server of the apartment house.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1)이 설치되는 레이스 웨이(181)에는 주차위치 인식 이나 주차 유도를 위해 센서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주차 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금속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는 설정된 주차구역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의 유무에 따라 주차 감지신호나 주차 해제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주차 감지신호는 차량이 주차구역에 주차될 때 상기 센서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주차 해제신호는 차량이 주차구역을 벗어날 때 상기 센서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는 사람의 출현을 감지할 수도 있다. The raceway 181 in which the Bluetooth module 210-1 is installe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with a sensor unit for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or parking induction.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for each parking area. The sensor unit may be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a metal detection sensor. The sensor unit may generate a parking detection signal or a parking relea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an object exists in the set parking area. The parking detec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Meanwhile, the parking release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may detect the appearance of a person.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주차 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나 통신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other cases, the detailed control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method or communication devices used for parking guidance may be chang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주차장 단말기 그룹
200: 주차 면 관리부
400: 주차 유도부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parking lot terminal group
200: parking surface management department
400: parking guide

Claims (20)

주차장을 향해 들어오는 차량을 식별하는 입차 식별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하는 주차 면 관리부; 및
상기 입차 식별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것으로 식별되었을 때 상기 주차면 관리부의 주차면 관리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게 이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우선적으로 찾으며,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스마트 폰이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일정 주기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할 때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비콘 신호를 각기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 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을 향해 전송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의 결정은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에 결정되고,
상기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은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 유도부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며,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획득되는 주차 유도 장치.
A parking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whether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is full or empty due to a parked vehicle; And
And a parking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guide the vehicle to be parked on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when the vehicle is identified as entering the parking lot by the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The parking guidance unit preferentially finds a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a near area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guided to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The parking guidance unit, when the smart phone of the user of the vehicle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using a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beac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beacon signal of the smart phone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Receiving each of the parking lot terminal received the beacon signal of the parking lot terminal among the most recognized as a parking position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toward the parking terminal,
The determination of the start time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whe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smart phone,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ear area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parking guidance unit based on the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arking location guidance device of the user is obtained by receiv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terminal from the smar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편의는 상기 이용자의 출구 진출입 편의인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 convenience is an exit entry / exit convenienc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부는 주차 유도를 위해 설정된 색상을 표시하는 만공차 유도 램프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arking guide part comprises a manhole vehicle guide lamp displaying a color set for parking guid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식별부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차번 인식부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comprises a vehicle identification unit that recognizes a vehicle nu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은 공공 건물이나 상업용 건물에 위치된 주차장인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king lot is a parking lot located in a public building or a commercial building. 주차장을 향해 들어오는 차량을 식별하는 입차 식별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하는 주차 면 관리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올 때 상기 주차면 관리부의 주차면 관리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 따른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우선적으로 찾으며,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스마트 폰이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일정 주기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할 때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비콘 신호를 각기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 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을 향해 전송하고,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의 결정은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에 결정되고,
상기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은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 유도부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며,
상기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획득되는 주차 유도 장치.
A parking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whether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is full or empty due to a parked vehicle; And
And a parking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guide the vehicle to be parked on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parking guidance unit preferentially finds a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a near home area according to a us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guided to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The parking guidance unit, when the smart phone of the user of the vehicle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using a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beac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beacon signal of the smart phone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Receiving each of the parking lot terminal received the beacon signal of the parking lot terminal among the most recognized as a parking position and transmit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toward the parking terminal,
The determination of the start time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whe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smart phone,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near home area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parking guidance unit based on the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arking location guidance device of the user is obtained by receiv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terminal from the smart phon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위치 정보는 상기 이용자가 거주하는 공동주택단지의 동이나 동호수 정보인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is a building or lake number information of a multi-family complex in which the user resid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식별부는 상기 차량의 차번을 인식하는 차번 인식부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entrance identification unit comprises a vehicle identification unit that recognizes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부는 니어 홈 주차 유도를 위해 노말 만공차 유도와는 다른 색상을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표시하는 만공차 유도 램프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e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parking guide part comprises a manhole vehicle induction lamp displaying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manhole vehicle induction through a light emitting diode for inducing near home park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 완료되었을 때 상기 만공차 유도 램프는 상기 주차 면 관리부의 만공차 관리에 기반하여 오프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manhole vehicle guidance lamp is turned off based on the manhole vehicle management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r when the vehicle is park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면 관리부는 4개 내지 8개의 주차 면들에 대한 만공차를 각기 관리하는 주차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상기 만공차 유도 램프는 상기 주차 카메라에 인접 설치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includes parking cameras respectively managing four or eight parking surfaces, and the parking vehicle guidance lamp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arking camera.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부는 니어 홈 주차 유도를 위해 노말 만공차 유도와는 다른 색상을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표시하는 만공차 유도 램프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e device of claim 12, wherein the parking guide part comprises a manhole car induction lamp displaying a color different from a normal manhole car induction through a light emitting diode to guide near home parking.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면 관리부는 6개의 주차 면들에 대한 만공차를 각기 관리하는 주차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상기 만공차 유도 램프는 상기 주차 카메라들의 하우징에 일체로 각기 설치되는 주차 유도 장치.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includes parking cameras respectively managing the parking vehicles for the six parking surfaces, and the parking vehicle guidance lamp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parking camera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차장을 향해 들어오는 차량을 식별하는 입차 식별부;
상기 주차장 내의 주차 면들 각각이 기 주차된 차량으로 인해 차 있는 지 비어 있는 지를 관리하는 주차 면 관리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으로 들어올 때 상기 주차면 관리부의 주차면 관리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에서 상기 이용자의 거주 동으로 통하는 출구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주차 면으로 상기 차량을 안내하는 니어 홈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유도부는,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스마트 폰이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일정 주기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할 때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비콘 신호를 각기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 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을 향해 전송하고,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의 결정은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에 결정되며,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거주위치 정보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이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획득되는 주차 유도 장치.
A parking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whether each of the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lot is full or empty due to a parked vehicle; And
And a parking induction unit configured to guide the vehicle to be parked on one of the empty parking surfaces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management unit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The parking guide unit includes a near home guide unit for guiding the vehicle to a parking surface that is located closest to an exit leading to the user's dong among the empty parking surfaces based on the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vehicle,
The parking guidance unit, when the smart phone of the user of the vehicle determine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using a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beacon signal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beacon signal of the smart phone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Receiving each of the parking lot terminal received the beacon signal of the parking lot terminal among the most recognized as a parking position and transmit the recognized parking position toward the parking terminal,
The determination of the start time of the parking position recognition is determined whe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smart phone,
Parking location guidance device of the user of the vehicle is obtained by the parking lot terminals received by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phone.
KR1020170055779A 2017-04-29 2017-04-29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Active KR102010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779A KR102010035B1 (en) 2017-04-29 2017-04-29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779A KR102010035B1 (en) 2017-04-29 2017-04-29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274A KR20180121274A (en) 2018-11-07
KR102010035B1 true KR102010035B1 (en) 2019-08-12

Family

ID=6436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779A Active KR102010035B1 (en) 2017-04-29 2017-04-29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0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15B1 (en) * 2020-02-26 2021-01-27 주식회사 한화건설 Parking position identification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wireless emergency bell device with self-diagnosis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47B1 (en) * 2019-01-17 2021-03-05 현대건설주식회사 Parking guidance camera apparatus having direct guidance function
KR102228950B1 (en) * 2019-09-23 2021-03-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vacant parking space to the optimal route in parking lot with EV charging system
KR102235486B1 (en) * 2019-10-11 2021-04-01 김범준 Customized Parking Location Notification Method through Application
CN112488108B (en) * 2020-12-11 2024-08-13 广州小鹏自动驾驶科技有限公司 Parking space number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191363B (en) * 2021-04-28 2021-11-02 江西科技学院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free parking spaces
CN114397882B (en) * 2021-11-03 2024-02-27 湖北国际物流机场有限公司 Berth guiding method and device of aircraft, medium and unmanned guiding vehicle
CN114267203B (en) * 2021-12-31 2023-05-16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Shared parking system
CN114446083A (en) * 2021-12-31 2022-05-06 珠海华发新科技投资控股有限公司 Intelligent community service system
KR102765150B1 (en) * 2024-05-29 2025-02-07 (주)혜인에스앤에스 Preferred parking zone recognition and parking zone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learning
CN119811131B (en) * 2025-03-13 2025-05-30 深圳智优停科技有限公司 Vehicle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782A (en) * 2005-09-28 2007-04-02 안라연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sensor network
KR101154153B1 (en) * 2010-11-12 2012-06-14 손승남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61058B1 (en) * 2015-01-26 2016-09-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KR101758160B1 (en) * 2015-03-13 2017-07-19 (주)파크인서울 Parking system for guiding an optimal path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15B1 (en) * 2020-02-26 2021-01-27 주식회사 한화건설 Parking position identification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wireless emergency bell device with self-diagnosis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274A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035B1 (en) Parking guidance system having near home guide function
KR101876557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KR20180057802A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lot and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 method
KR102500299B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8582B1 (en) A stick for the blind
CN106981215B (en) A multi-sensor combined automatic parking space guidance method
WO2019011121A1 (en) Vehicle and method for smart recognition vehicle parking management and remote understanding of vehicle attitude
WO2011064332A1 (en) A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using location signals from light sources
KR20130086861A (en) Guide device for blind people using electronic stick and smartphone
KR101796276B1 (en) Pedestrian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for the blind
KR20200025421A (en) Augmented Reality Based Parking Guidance System in Indoor Parking Lot
KR101969638B1 (en) Informing apparatus of parking location recognition without vehicle install device
KR100924994B1 (en)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moving robot using infrared sensor and camera and method thereof
CN109448386B (en) Garage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and positioning navigation method thereof
JP6706406B2 (en) Mobile devices, systems and programs
KR101820215B1 (en) parking inform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015693A (en)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of beacon device, and thereof service method
JP2021082057A (en)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program
KR100776804B1 (en)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terworking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KR20160057886A (en) Location confirmation system of a bicycle using augmented reality
WO2021010292A1 (en) Parking detection sensor, parking position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JP6562225B2 (en) Vehicle position guidance system
KR102177935B1 (en) Apartment house convenience apparatus using a user device
KR20080111637A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 top-down ultrasonic sensor
KR102161380B1 (en) Recognition system for car p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