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809B1 -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 Google Patents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9809B1 KR102009809B1 KR1020150028026A KR20150028026A KR102009809B1 KR 102009809 B1 KR102009809 B1 KR 102009809B1 KR 1020150028026 A KR1020150028026 A KR 1020150028026A KR 20150028026 A KR20150028026 A KR 20150028026A KR 102009809 B1 KR102009809 B1 KR 102009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 beam
- vehicle body
- bumper
- bumper cover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431 Long-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33 fiber-reinforced compos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97 thermoplastic 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47 fine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 B60R2019/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차폭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범퍼 커버; 및 범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 빔을 포함하고, 백 빔은, 범퍼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범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 빔 본체부; 및 백 빔 본체부를 차체에 연결시키는 차체 연결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bumper cover installed at a rear of a vehicle body and form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along a vehicle width; And a back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mper cover, wherein the back beam includes a back beam main body provided under the bumper cov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mper cover; And a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ck beam body portion to the vehicl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사고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beam integrated rear bu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beam integrated rear bumper provided to absorb a shock in a vehicle crash accident.
일반적으로 범퍼는 충돌 시에 차체나 기능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가해방지, 차체의 디자인 향상 등의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bumper protects the vehicle body and the functional part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at the same time plays a role in preventing damage and improving the design of the vehicle body.
이러한 범퍼의 요구 성능으로는, 각 국 법규의 충격 요건을 만족할 것, 넓은 온도영역에 있어서 고 강성, 내 충격성에 우수할 것, 온도에 따른 신축 정도가 낮을 것, 공력 성능이 좋을 것 등이 있다.Such bumper performance is required to satisfy the shock requirements of each country's regulations, high rigidity and impact resistance in a wide temperature range, low expansion and contraction with temperature, and good aerodynamic performance. .
이 중 차량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리어 범퍼의 기본 구성은, 차량 후방 하단 부 전체를 감싸는 범퍼 커버(Bumper cover)와, 범퍼 커버의 후방에 위치되며 외부 충돌로부터 차체를 보호하는 백 빔(Back beam)으로 이루어진다.Among them,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rear bumper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includes a bumper cover that covers the entire lower rear portion of the vehicle, and a back beam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umper cover and protecting the vehicle body from external collision. )
그리고 범퍼 커버와 백 빔 간의 결합은, 백 빔의 양측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 스틸 브래킷(Steel bracket)이 범퍼 커버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And the coupling between the bumper cover and the back beam is made by fastening the steel bracket (Steel bracket) attached by welding to both sides of the back beam and the bumper cove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2911호(2002년 07월 04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리어 범퍼)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52911 (July 04, 2002, titled the invention: rear bumpe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중량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면서도 디자인 자유도 및 품질을 향상시킨 일체형 프론트 범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front bumper that improves design freedom and quality while reducing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는: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차폭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범퍼 커버; 및 상기 범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 빔을 포함하고, 상기 백 빔은, 상기 범퍼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범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 빔 본체부; 및 상기 백 빔 본체부를 상기 차체에 연결시키는 차체 연결부를 포함한다.A rear beam integrated rear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cover installed at a rear of a vehicle body and form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along a vehicle width; And a back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mper cover, wherein the back beam is provided under the bumper cover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mper cover; And a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ck beam body to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백 빔 본체부는, 상기 범퍼 커버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ck beam main body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bumper cover.
또한 상기 백 빔 본체부는, 상기 백 빔 본체부의 형상을 이루는 백 빔 형상부; 및 상기 백 빔 본체부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백 빔 형상부에 결합되는 강성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 beam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back beam shape part forming a shape of the back beam body part; And a rigid reinforcing portion coupled to the back beam shape portion so as to strengthen the rigidity of the back beam body portion.
또한 상기 백 빔 형상부는, 상기 강성강화부보다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강성강화부는, 상기 백 빔 형상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ck beam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etter formability than the rigid reinforcing portion; Preferably, the rigid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back beam shape part.
또한 상기 강성강화부는, 상기 백 빔 형상부에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igid reinforcement portion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back beam portion is injection molded.
또한 상기 차체 연결부는, 상기 백 빔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차체 연결부는, 상기 차체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차체의 패널과 직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body connection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 beam body portion,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s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vehicle body side and is directly coupled to the panel of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차체 연결부는, 상기 백 빔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ehicle body connection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ck beam body portion.
본 발명의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에 따르면, 범퍼 커버와 백 빔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됨으로써, 백 빔의 형상 자유도가 증가되어 저속 충돌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mper cover and the back beam are manufactured to be integrally 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shape freedom of the back beam,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facilitating a design to satisfy the low speed collision performance. .
또한 본 발명은 범퍼 커버와 백 빔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한편, 자체의 강성이 강화되어 범퍼의 꿀렁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범퍼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래틀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bumper cover and the back beam, while its rigidity is enhanced to prevent bumping of the bumper,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bumper's sensitivity, and to reduce rattle noise.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중량이 무거운 스틸 브래킷 없이도 백 빔을 차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후방 부분에 대한 경량화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고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without the heavy steel bracke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as well as to reduce the difficulty of installation work and reduce the lab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beam integrated rear bump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illustrated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을 포함한다.1 and 2, the back beam integrated
범퍼 커버(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차체의 최후방에 위치되도록 범퍼 빔과 백 빔(120)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The
상기와 같은 범퍼 커버(110)는, 차폭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백 빔(120)은, 범퍼 커버(110)의 후방 측에 구비되며, 차량의 후방 충돌 시 변형되면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차량의 후방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차체의 후방의 전역에 걸쳐 고르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백 빔(120)은, 범퍼 커버(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백 빔 본체부(121)와 차체 연결부(125)를 포함한다.The
백 빔 본체부(121)는, 범퍼 커버(110)의 하부 측에 구비되며, 범퍼 커버(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백 빔 본체부(121)는, 범퍼 커버(110)의 사출 성형시 범퍼 커버(110)에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범퍼 커버(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ck beam
본 실시예에서, 백 빔 본체부(121)는 백 빔 형상부(122)와 강성강화부(12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ck
백 빔 형상부(122)는, 백 빔 본체부(121)의 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강성강화부(123)보다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TPO(Thermo Plastic Olefin)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ck
그리고 강성강화부(123)는, 백 빔 본체부(121)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백 빔 형상부(122)에 결합된다. 이러한 강성강화부(123)는, 백 빔 형상부(122)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며, 백 빔 형상부(122)의 사출 성형시 백 빔 형상부(122)에 인서트되어 백 빔 형상부(122)와 함께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례로서, 강성강화부(123)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Long Fiber Thermoplastics; LFT) 재질과 같은 섬유강화복합소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는, 플라스틱 소재에 길이가 긴 섬유를 보강한 정밀화학소재로서, 금속에 근접한 수준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금속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중량이 가벼울 뿐 아니라, 사출 성형이 용이한 특성이 있다.Long-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s a fine chemical material reinforced with long fiber in plastic material. It has a level of rigidity close to metal, and is cheaper and lighter than metal, and easy to injection molding. There is this.
다른 예로서, 강성강화부(123)는 연속섬유 열가소성수지(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s; CFT) 재질과 같은 섬유강화복합소재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연속섬유 열가소성수지는, 플라스틱 소재에 유리섬 또는 탄소섬유 등의 보강섬유를 연속상으로 내장한 복합소재로서,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충격성능이 매우 우수한 특성이 있다.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 resin is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reinforcing fiber such as glass island or carbon fiber is continuously embedded in a plastic material,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rigidity and impact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섬유강화복합소재 재질로 형성되는 강성강화부(123)는, 백 빔 형상부(122)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백 빔 본체부(121)의 강성 강화가 필요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백 빔 형상부(122)에 인서트되어 백 빔 형상부(122)와 함께 사출됨으로써, 백 빔 본체부(121)에서 강성 강화가 필요한 부분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백 빔 형상부(122)에 강성강화부(123)가 인서트되어 사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백 빔 본체부(121)는, 가벼운 중량으로 높은 강성을 가질 뿐 아니라, 강성 강화가 필요한 부분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차체 연결부(125)는, 백 빔 본체부(121)를 차체의 후방에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되, 백 빔 본체부(1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체 연결부(125)는, 백 빔 본체부(12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The vehicle
각각의 차체 연결부(125)는, 백 빔 본체부(121)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차체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차체의 후방에 돌출된 마운팅(10)과 직접 결합된다.Each vehicle
즉 본 실시예의 백 빔(120)은, 별도의 스틸 브래킷을 이용하여 차체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백 빔(120) 자체에 일체로 형성된 차체 연결부(125)를 통해 차체로부터 돌출되는 마운팅(10)과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 차체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스틸 브래킷 없이도 백 빔(120)을 차체에 곧바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후방 부분에 대한 경량화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고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의 제조과정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백 빔(120)이 인서트되도록 범퍼 커버(110)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백 빔(120)은, 범퍼 커버(110)에 결합되는 부분, 즉 범퍼 커버(110)에 인서트되는 부분인 백 빔 본체부(121)와, 백 빔 본체부(121)로부터 차체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백 빔 본체부(121)를 차체에 연결시키는 부분인 차체 연결부(125)로 구분될 수 있다.1 and 2, the rear bumper integrated
이 중 백 빔 본체부(121)는, 백 빔 본체부(121)의 형상을 이루는 백 빔 형상부(122)와, 백 빔 본체부(121)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백 빔 형상부(122)에 결합되는 강성강화부(123)로 구분될 수 있다.Among them, the back
이때 백 빔 형상부(122)는 강성강화부(123)에 비해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으나 가볍고 사출 성형이 용이한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강성강화부(123)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 또는 연속섬유 열가소성수지 등과 같이 강성이 높은 섬유강화복합소재 재질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ack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강성강화부(123)는, 백 빔 형상부(122)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백 빔 본체부(121)의 강성 강화가 필요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백 빔 형상부(122)에 인서트되어 백 빔 형상부(122)와 함께 사출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성형되는 백 빔 본체부(121)는, 상기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강성 강화가 필요한 부분에 강성강화부(123)가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강성강화부(123)의 형성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중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우수한 외관 품질 및 강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The back beam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백 빔 본체부(121)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 과정에서 차체 연결부(125)의 성형도 백 빔 본체부(121)와 일체를 이루도록 함께 이루어지며, 이로써 백 빔(120)의 성형이 완료된다.In the injection process for forming the back
상기와 같이 성형된 백 빔(120)은, 범퍼 커버(11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범퍼 커버(110) 상에서 백 빔(120)이 결합될 위치에 위치되도록 범퍼 커버(110)에 인서트되어 범퍼 커버(110)와 함께 사출됨으로써, 범퍼 커버(110)와 일체로 성형된다.The
이와 같이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이 일체로 형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빔(120)이 범퍼 커버(11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즉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백 빔(120)이 범퍼 커버(110)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범퍼 커버(110)의 외관 디자인 결정시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 사이에 조립 공차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That is, since the
이에 따라 범퍼 커버(110)의 형상을 기존과 같이 유지하면서도 기존에 마련되어 왔던 조립 공차만큼의 공간, 예를 들면 약 5㎜ 이상의 공간이 차체의 백 패널(Back panel)과 범퍼 사이에서 확보될 수 있게 되므로, 백 빔(120)의 형상 자유도가 증가되어 저속 충돌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조립 공차가 없어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한편, 강성강화부(123)를 통해 백 빔(120)의 강성이 강화되어 자체의 강도가 향상되므로, 범퍼의 꿀렁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범퍼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래틀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 beam integrated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연결부(125)를 통해 차체에 돌출된 마운팅(10)과 결합됨으로써 차체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back beam integrated
차체 연결부(125)와 마운팅(10) 간의 결합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진 차체 연결부(125)와 마운팅(10)을 볼트, 또는 리테이너 등을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Coupling between the vehicle
즉 본 실시예의 백 빔(120)은, 별도의 스틸 브래킷을 이용하여 차체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백 빔(120) 자체에 일체로 형성된 차체 연결부(125)를 통해 차체에 돌출된 마운팅(10)과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이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스틸 브래킷 없이도 백 빔(120)을 차량의 차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후방 부분에 대한 경량화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고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됨으로써, 백 빔(120)의 형상 자유도가 증가되어 저속 충돌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 beam-integrated
또한 본 실시예의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범퍼 커버(110)와 백 빔(120)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한편, 자체의 강성이 강화되어 범퍼의 꿀렁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범퍼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래틀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 bumper integrated
또한 본 실시예의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100)는, 중량이 무거운 스틸 브래킷 없이도 백 빔(120)을 차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후방 부분에 대한 경량화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고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 beam integra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t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110 : 범퍼 커버
120 : 백 빔 121 : 백 빔 본체부
122 : 백 빔 형상부 123 : 강성강화부
125 : 차체 연결부100: integrated rear beam rear bumper 110: bumper cover
120: back beam 121: back beam main body
122: back beam shape portion 123: rigid strengthening portion
125: body connection
Claims (7)
상기 범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 빔을 포함하고, 상기 백 빔은,
상기 범퍼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범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 빔 본체부; 및
상기 백 빔 본체부를 상기 차체에 연결시키는 차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빔 본체부는,
상기 백 빔 본체부의 형상을 이루는 백 빔 형상부; 및
상기 백 빔 본체부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백 빔 형상부에 결합되는 강성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A bumper cov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formed to have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vehicle width; And
A back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mper cover, wherein the back beam includes:
A back beam body part provided below the bumper cove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mper cover; And
A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ack beam body portion to the vehicle body;
The back beam body portion,
A back beam shape forming a shape of the back beam body; And
And a rigid reinforcement part coupled to the back beam shape part so that the rigidity of the back beam body part is strengthened.
상기 백 빔 본체부는, 상기 범퍼 커버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 beam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umper cover, the back beam integrated rear bumper.
상기 백 빔 형상부는, 상기 강성강화부보다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강성강화부는, 상기 백 빔 형상부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 beam shape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etter moldability than the rigidity reinforcement portion;
The rigid reinforcement unit is a rear beam integrated bum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back beam portion.
상기 강성강화부는, 상기 백 빔 형상부에 인서트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rigid reinforcement part is inserted into the back beam shape part and injection molded.
상기 차체 연결부는, 상기 백 빔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차체 연결부는, 상기 차체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차체의 패널과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body coupling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 beam body portion;
Each of the vehicle body connecting portions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vehicle body side and is directly coupled to the panel of the vehicle body.
상기 차체 연결부는, 상기 백 빔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vehicle body connectio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 beam body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8026A KR102009809B1 (en) | 2015-02-27 | 2015-02-27 |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8026A KR102009809B1 (en) | 2015-02-27 | 2015-02-27 |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5594A KR20160105594A (en) | 2016-09-07 |
KR102009809B1 true KR102009809B1 (en) | 2019-08-13 |
Family
ID=5694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8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9809B1 (en) | 2015-02-27 | 2015-02-27 |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980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5851B1 (en) * | 2017-03-15 | 2020-06-23 | (주)엘지하우시스 | Bumper back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224431B1 (en) * | 2019-10-31 | 2021-03-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Bumper for vehicle using back-beam having composite material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048B1 (en) * | 2005-11-17 | 2007-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bumper structure of the vehicle |
-
2015
- 2015-02-27 KR KR1020150028026A patent/KR1020098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048B1 (en) * | 2005-11-17 | 2007-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bumper structure of the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5594A (en) | 2016-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8621B1 (en) | Bumper beam for vehicle using plastic composite | |
US7896397B2 (en) | Single piece side-sill-garnish and mudguard | |
JP5772882B2 (en) | Vehicle back door | |
CN110341629B (en) | Unit comprising a combined front bumper beam and front end module of a crash box with a double-section structure | |
KR101766118B1 (en) | Cockpit modlue block assembly | |
KR102009795B1 (en) | Front bumper integrated stiffner | |
US9828030B2 (en) | Integral longitudinal member for motor vehicles | |
KR20120061072A (en) | Bumper back-beam for vehicle | |
KR102009809B1 (en) |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 |
JP6109132B2 (en) | Bumper beam for automobile | |
KR20170073137A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2567277B1 (en) | Structure of side sill for vehicle | |
KR102187577B1 (en) | Beam for bumper | |
KR101666985B1 (en) | Hybrid bumper beam | |
KR101220005B1 (en) | Engine room structure | |
CN111824264B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KR101330236B1 (en) | Front end module for vehicles | |
JP6252354B2 (en) | Vehicle side structure | |
KR102451911B1 (en) | Rear floor panel for vehicle | |
KR101566696B1 (en) | Car bumpers | |
KR20070122293A (en) | Carrier of the front end module | |
KR20200043575A (en) | Fender apron for vehicle | |
KR102294000B1 (en) | bumper of vehicles | |
KR101547278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front side member for vehicle | |
KR102760700B1 (en) | Hybrid cowl cross member with lightweight reinforc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