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9386B1 - 믹서기 - Google Patents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86B1
KR102009386B1 KR1020180129311A KR20180129311A KR102009386B1 KR 102009386 B1 KR102009386 B1 KR 102009386B1 KR 1020180129311 A KR1020180129311 A KR 1020180129311A KR 20180129311 A KR20180129311 A KR 20180129311A KR 102009386 B1 KR102009386 B1 KR 10200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blade
mixing object
grinding blade
mix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CN201811454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893063B/zh
Priority to CN201821999059.6U priority patent/CN210748653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86B1/ko
Priority to PCT/KR2019/011803 priority patent/WO2020055148A1/ko
Priority to JP2021513973A priority patent/JP7309860B2/ja
Priority to PCT/KR2019/011801 priority patent/WO2020055146A1/ko
Priority to CN201980059803.5A priority patent/CN112839553B/zh
Priority to AU2019337282A priority patent/AU2019337282B2/en
Priority to JP2021513979A priority patent/JP7309861B2/ja
Priority to CN201980059638.3A priority patent/CN112714622B/zh
Priority to EP19860208.8A priority patent/EP3851002A4/en
Priority to US17/275,308 priority patent/US12150595B2/en
Priority to EP19859107.5A priority patent/EP3851001B1/en
Priority to EP22169503.4A priority patent/EP4049565A1/en
Priority to US17/275,708 priority patent/US12089787B2/en
Priority to US18/819,401 priority patent/US20240415333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내통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상기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상기 내통구동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믹서기{MIXER}
본 발명은 믹서기로서,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한 믹싱대상물을 분쇄하여 즙을 내는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을 넣는 용기(컵)와 전동기가 내부에 수용된 몸체로 이루어진 전동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는 경질의 내열유리,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로 제작되며, 용기 내의 하부에 스테인리스강의 분쇄칼날이 구동부 상에 맞물리면서 장착된다.
또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기는 고속회전을 함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한 믹싱대상물을 커트 및 분쇄하기 위한 용도와 더불어, 믹싱대상물의 즙을 내는 용도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 믹서기는 분쇄칼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양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믹싱대상물이 방사상으로 밀려남에 따라 분쇄 및 즙을 내는 효과가 현저히 감소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믹싱대상물의 분쇄성능을 향상시키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는,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내통의 회전이 변화되면서 상기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상기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칼날구동부와 내통구동부를 제어 시, 상기 내통구동부의 전원에 대한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을 회전시킨 후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내통구동부와 칼날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과 분쇄칼날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분쇄칼날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칼날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이 각형 또는 굴곡형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의 회전속도는 60rpm 내지 400rpm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믹싱대상물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칼날구동부와 내통구동부 모두 상기 내통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칼날구동부는 상기 내통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구동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된 제1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이 장착된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제2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외통 내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내통이 장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일측의 상기 제2 구동부재와 구동전달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유닛은, 상기 내통에 덮여서 클램핑되며, 상부에 중심돌기가 형성된 내통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믹서본체는, 상기 외통커버에 상기 내통커버의 중심돌기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돌기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본체는, 상기 외통에는 상기 내통의 외부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은,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탈수되도록 측부에 복수 개의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외통은, 상기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과 마주보는 하면에 상기 분쇄칼날이 인입배치되는 하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믹서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내통 내에 진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내통과 연통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연통된 진공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컨트롤러가 내통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불규칙한 유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내통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쌓아 올려지지 않고, 내통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는 분쇄칼날로 다시 되돌아옴에 따라, 분쇄성능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의 불규칙한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내통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유지되는 믹싱대상물을 무너뜨림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에 대한 분쇄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의 돌출부가 내통의 내부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원심력으로 방사상으로 밀려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 측으로 유동시킴에 따라, 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믹서기의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통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믹서기 내에서 내통과 분쇄칼날의 회전방향 및 믹싱대상물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믹서기와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에 의해 믹싱대상물이 분쇄되는 결과를 시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분쇄칼날과 돌출부 사이에 믹싱대상물이 걸려서 분쇄칼날이 정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믹서기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내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믹서기의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통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서본체(100), 내통유닛(200),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 분쇄칼날(120) 및 칼날구동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통(110)은 내부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은 막히고 상부는 개방된 상방개구된 구조이며, 외통커버(14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믹싱대상물은 믹서기의 작동에 의해 분쇄되어 즙을 내기 위한 음식물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분쇄칼날(120)은 외통(110) 내에 배치되며, 회전 시 외통(110) 내의 믹싱대상물을 분쇄하여 액체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회전축(131)과 제1 구동부재(M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131)은 분쇄칼날(120)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 구동부재(M1)는 제1 회전축(13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회전축(131)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분쇄칼날(120)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데, 분쇄칼날(120)과 제1 구동부재(M1)를 연결하여 제1 구동부재(M1)의 회전구동력을 분쇄칼날(120)에 전달하여 제1 구동부재(M1)의 작동 시 분쇄칼날(120)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과 내통구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210)은 외통(110) 내에 배치되며,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돌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과 연결되어 내통(2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분쇄칼날(120)을 회전구동시키는 칼날구동부(130)와는 별도로 마련된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통구동부와 칼날구동부는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구동부는 클러치 등 구동력전달매개체의 활용에 의해 내통을 구동하는 내통구동부 또는 분쇄칼날을 구동하는 칼날구동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칼날구동부(130) 및 내통구동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칼날구동부(130) 및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기존의 믹서기는 분쇄칼날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믹서통 내에서 계속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아울러 믹싱대상물이 믹서통의 내부 측면 측으로 밀려나간 상태로 벽처럼 유지됨으로써, 분쇄칼날로 다시 되돌아오지 않음에 따라, 분쇄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물론, 기존의 믹서기에도 믹서통의 내벽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믹싱대상물에 일정 정도의 와류를 만들지만, 이 또한 규칙적인 패턴을 가진 유동으로 구현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잘 분쇄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내통(210)의 믹싱대상물에 대한 불규칙한 유동을 위해, 컨트롤러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10)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칼날구동부(도 2의 130)와 내통구동부(도 2의 22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에 대한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하여, 전원이 오프인 경우 내통(210)이 무동력 관성 정회전하다가 분쇄칼날(120)에 의한 믹싱대상물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역회전하도록 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는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하여,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을 켰다가 끄는 제어를 반복하는데, 이에 따라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이 켜진 시간에는 내통(210)이 역회전(분쇄칼날(12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이 꺼진 시간에는 내통(210)이 무동력 관성회전하면서 회전속도가 점점 줄어들다가 분쇄칼날(120)에 의한 믹싱대상물의 회전력에 의해 이끌려서 정회전(분쇄칼날(12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통(210)은 컨트롤러가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을 온 하는 경우에만 내통구동부(22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역회전하고, 컨트롤러가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을 오프 하는 경우에는 내통구동부(22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지 않음에 따라 관성회전하다가 믹싱대상물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정회전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직류모터와 스위치회로를 구비하거나, 교류모터와 인버터를 구비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내통구동부(220)의 구동력으로 내통(210)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내통구동부(220)의 스위치회로 또는 인버터가 활용됨으로써,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내통(210)이 역회전될 때 뿐만 아니라 정회전될 때에도 내통구동부(220)으로부터 구동력으로 제공받아서 구동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컨트롤러가 내통(210)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림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쌓아 올려지지 않고, 내통(210)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는 분쇄칼날(120)로 다시 되돌아옴에 따라, 분쇄성능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도록 구성됨으로써,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유지되는 믹싱대상물을 무너뜨림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에 대한 분쇄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믹싱대상물은 믹싱되는 과정에서 분쇄칼날(1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내통(210)의 내부 측면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믹싱대상물의 입자들끼리 힘의 균형(밸런스)을 이루게 되는 경우 더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됨에 따라, 분쇄칼날(120)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더이상 분쇄가 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믹싱대상물 입자들끼리의 힘의 균형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에서 내통(210)의 회전방향이 바뀜에 따라 깨져서 입자들끼리의 힘이 불균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입자들이 다시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유동과정에서 분쇄칼날(12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분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분쇄칼날(120)이 내통(210)의 내부에 위치된 조건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가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돌출부(211)의 형상구조에 의하여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11)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분쇄칼날(1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의 유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쇄칼날(120)이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분쇄칼날(120)이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까지 밀려난 다음 내통(21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이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은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거의 유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이와 같이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돌출부(211)가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면서 내부통의 내부 측면에 닿게 되는 믹싱대상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돌출라인에 부딪히면서 스크류돌출라인의 나선형 구조를 따라 하측으로 내려감으로써,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하게 됨에 따라, 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와 비교대상발명 1, 2을 비교하여, 일정 시간에 따른 분쇄상태를 바탕으로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믹싱대상물로서 마늘을 본 발명의 믹서기와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에서 분쇄한 결과를 시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마늘을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마늘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50%, 15초 경과 시에는 약 8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100%가 분쇄되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대상발명 1의 믹서기는 마늘을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마늘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20%, 15초 경과 시에는 약 3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40%가 분쇄되었다.
또한, 비교대상발명 2의 믹서기는 마늘을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마늘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10%, 15초 경과 시에는 약 3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40%가 분쇄되었다.
그리고, 도 7은 믹싱대상물로서 사과를 본 발명의 믹서기와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에서 분쇄한 결과를 시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사과를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사과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50%, 15초 경과 시에는 약 7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80%가 분쇄되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대상발명 1의 믹서기는 사과를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사과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20%, 15초 경과 시에는 약 3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40%가 분쇄되었다.
또한, 비교대상발명 2의 믹서기는 사과를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사과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10%, 15초 경과 시에는 약 1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10%가 분쇄되었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믹싱대상물로서 셀러리를 본 발명의 믹서기와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에서 분쇄한 결과를 시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셀러리를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셀러리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60%, 15초 경과 시에는 약 8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90%가 분쇄되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대상발명 1의 믹서기는 셀러리를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셀러리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5%, 15초 경과 시에는 약 1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10%가 분쇄되었다.
또한, 비교대상발명 2의 믹서기는 셀러리를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전체의 셀러리 양에서 3초 경과 시에는 약 5%, 15초 경과 시에는 약 10%, 그리고 마지막으로 1분까지 약 10%가 분쇄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정리하면,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을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3초 경과 시에는 믹시대상물의 작은 양에 있어서 분쇄가 이루어지고, 15초 경과 시에는 이에 더하여 믹시대상물의 분쇄량이 조금 더 늘어나지만, 15초부터 마지막으로 1분까지는 믹싱대상물의 분쇄량에 있어서 거의 변화가 없다.
이는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이 15초부터 마지막 1분까지는 밸런스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분쇄가 더이상 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비교대상발명 1, 2의 믹서기에서 믹싱대상물은 믹싱되는 과정에서 분쇄칼날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내통의 내부 측면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믹싱대상물의 입자들끼리 힘의 균형(밸런스)을 이루게 되는 경우 더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됨에 따라, 분쇄칼날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더이상 분쇄가 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을 넣고 분쇄하기 시작한 후, 3초 경과 시에 믹싱대상물의 절반 이상의 분쇄가 이루어지고, 15초 경과 시에도 믹싱대상물의 분쇄량이 계속적으로 늘어나며, 마지막으로 1분까지도 믹싱대상물의 분쇄량이 꾸준히 늘어남으로써 믹싱대상물 거의 대부분의 양에 있어서 분쇄가 이루어지는 높은 분쇄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효과를 구현하는 구성을 다시 한번 더 살펴보면, 본 발명의 믹서기는 컨트롤러가 내통(210)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림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쌓아 올려지지 않고, 내통(210)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는 분쇄칼날(120)로 다시 되돌아옴에 따라, 분쇄성능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믹싱대상물 입자들끼리의 힘의 균형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에서 내통(210)의 회전방향이 바뀜에 따라 깨져서 입자들끼리의 힘이 불균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입자들이 다시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유동과정에서 분쇄칼날(12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분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210)을 회전시킨 후 상기 분쇄칼날(12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내통구동부(220)와 칼날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믹싱대상물에 있어서, 분쇄칼날(120)이 내통(210)보다 큰 회전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만약 분쇄칼날(120)을 내통(210)보다 먼저 회전시키게 되면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에 의하여 상당히 빨리 회전함으로써, 이후 내통(21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에 의하여 역회전되는 것이 빠른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가 빨리 깨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통(210)을 분쇄칼날(120)보다 먼저 역회전시키는데, 이에 따라 내통(210)의 회전력에 의하여 믹싱대상물이 일정 정도 빠른 속도로 역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후 분쇄칼날(120)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을 보다 더 빠른 시간 내에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210)과 분쇄칼날(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내통(210)과 분쇄칼날(120)을 동시에 정지시키도록, 상기 내통구동부(220)와 칼날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칼날(120)에 의해 회전하고 내통(210)에 의해 역회전하는 믹싱대상물이 동시에 순간적으로 회전력을 제공받지 않게 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순간적으로 감속되면서 믹싱대상물의 불규칙한 유동을 더욱더 가중시킴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는 효과가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10) 내부에 가이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믹서기는 작동 시에 먼저 내통(210)이 회전(도면상으로 시계방향)하고, 이후 분쇄칼날(도 9의 120)이 내통(2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도면상으로 반시계방향)하는데, 이때 분쇄칼날(120)은 빠른 회전이 이루어지기 전(작동 초기)에는 회전력이 상당히 작음에 따라, 분쇄칼날(120)과 돌출부(도 9의 211) 사이에 믹싱대상물이 걸리는 경우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즉, 상기 분쇄칼날(120)은 돌출부(211)에 지지된 믹싱대상물에 의해 작동 초기에 막히는 경우, 작동 초기의 작은 회전력에 의하여 믹싱대상물을 분쇄하지 못하고 정지됨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의 분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례로서, 도 9에서 10시 방향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칼날(120)과 돌출부(211) 사이에 믹싱대상물인 당근(C)이 걸림으로써, 분쇄칼날(120)이 칼날구동부(도 2의 130)에 의해 구동력을 계속적으로 제공받더라도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믹서기의 작동 초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믹서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통(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내통(210)은, 분쇄칼날(도 9의 120)과 돌출부(211) 사이에 믹싱대상물이 걸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가이드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12)는 분쇄칼날(120)의 측방향에 위치된 돌출부(211)의 하측 부위에 형성되며, 믹싱대상물을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 가이드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212)는 분쇄칼날(120)과 돌출부(211) 사이의 믹싱대상물을 가이드이동시키기 위해, 내통(210)의 상부가 아닌 내통(210)의 하부에서 분쇄칼날(120)의 측방향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에 의해 밀려서 돌출부(211) 측으로 이동 시 돌출부(211)에 걸리지 않고 가이드부(212)에 만남으로써, 가이드부(212)에 의해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가이드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212)는 돌출부(211)의 하면과 내통(210)의 내부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내통(21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면서 분쇄칼날(120)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면(212a)을 가진다.
만약 상기 슬라이드면(212a)이 분쇄칼날(120)의 회전방향이 아닌, 분쇄칼날(120)의 역회전방향 또는 내통(210)의 역방사방향으로 경사진다면, 분쇄칼날(120)이 회전하면서 믹싱대상물을 밀더라도 믹싱대상물이 슬라이드면(212a)에서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되지 않고, 계속해서 분쇄칼날(120)과 돌출부(211) 사이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슬라이드면(212a)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면서 분쇄칼날(120)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에 의해 밀려서 슬라이드면(212a)에 만남 시 슬라이드면(212a)에서 슬라이드 되어 상기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믹싱대상물이 슬라이드면(212a)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분쇄칼날(120)과 돌출부(211) 사이를 벗어남으로써, 분쇄칼날(120)이 믹싱대상물에 의해 막혀서 정지되지 않고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분쇄칼날(120)에 의한 믹싱대상물의 분쇄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면(212a)에서 내통(210)의 중심 측 테두리는, 비록 도면에서는 굴곡지지 않는 형상을 이루지만,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에 있어서 분쇄칼날(120)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진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면(212a)을 타고 슬라이드되는 믹싱대상물이, 슬라이드면(212a)에서 내통(210)의 중심 측 테두리에서도 걸리지 않고 보다 더 원활하게 슬라이드되어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212)의 슬라이드면(212a)은 내통(210)의 역방사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분쇄칼날(120)의 회전방향으로 20도 내지 40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슬라이드면(212a)의 경사각도가 20도보다 작다면 슬라이드면(212a)이 내통(210)의 역방사방향의 가상선에 가까워짐으로써, 분쇄칼날(120)에 의한 믹싱대상물의 압박방향과 슬라이드면(212a)이 수직에 가까워짐에 따라, 슬라이드면(212a)을 타고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만약 상기 슬라이드면(212a)의 경사각도가 40도보다 크다면 가이드부(212)가 내통(210)의 내부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수용양이 떨어짐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되는 양도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211)는 개선된 실시예로서, 내통(21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내통(210)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면서 내통(210)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통(210)이 분쇄칼날(12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돌출부(211)는 믹싱대상물을 홀딩하는 홀딩력이 더욱 커져서, 믹싱대상물을 역회전시키는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생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돌출부(211)의 경사진 구조는 구체적으로 내통(210)의 회전방향 측에 위치된 돌출부(211)의 면이 경사진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부(211)는 내통(210)의 역방사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내통(210)의 회전방향으로 20도 내지 60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돌출부(211)의 경사각도가 20도보다 작다면 돌출부(211)의 경사면이 내통(210)의 역방사방향의 가상선에 가까워짐으로써, 내통(210)이 분쇄칼날(12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돌출부(211)는 믹싱대상물을 홀딩하는 홀딩력이 약하게 되어, 믹싱대상물에 대한 역회전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만약 상기 돌출부(211)의 경사각도가 60보다 크다면 내통(210)의 내부 측면과 돌출부(211) 사이의 공간이 작아짐으로써 믹싱대상물의 홀딩양이 떨어짐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에 대한 역회전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211)는 내통(2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출부(211)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돌출부(211)는 횡단면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돌출부(211)의 횡단면 형상이 서로 다르면, 돌출부(211)에 의해 발생하는 믹싱대상물의 와류도 서로 다른 불규칙한 유동을 가지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믹서기에 대한 분쇄성능이 높아지게 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돌출부(2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각형 또는 굴곡형 구조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통(210)의 회전속도는 60rpm 내지 400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210)의 회전속도가 400rpm보다 빠르면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 측으로 끌여들어가는 힘이 커짐으로써 믹서기의 분쇄성능이 떨어지는데, 내통(210)의 회전속도가 60rpm 내지 400rpm이 되면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 측으로 끌여들어가는 힘이 크게 줄어듦으로써 믹서기의 분쇄성능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내통(210)의 회전속도가 60rpm보다 느리면,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거의 회전하지 않게 되어 내통(210)이 회전하는 것이 무의미해진다.
한편, 상술된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구조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 모두가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 모두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블럭(150)에 칼날구동부(130)의 제1 구동부재(M1)와 내통구동부(220)의 제2 구동부재(M2)가 내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블럭(150)에 칼날구동부(130)의 제1 구동부재(M1)가 내장되며,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례로서 외통커버(140)에 내통구동부(220)의 제2 구동부재(M2)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의 내부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131), 상기 제1 회전축(131)을 회전시키도록 제1 회전축(131)과 연결된 제1 구동부재(M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이 장착된 회전브라켓(221), 상기 회전브라켓(2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2 회전축(222), 및 상기 제2 회전축(222)을 회전시키도록 제2 회전축(222)과 연결된 제2 구동부재(M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브라켓(221)은 외통(110) 내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부에 내통(2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131)은 제2 회전축(222)의 중공(222a)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222)은 일측의 제2 구동부재(M2)와 구동전달벨트(223)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받침블럭(150)의 상부에는 외통(110)이 안착되어 체결되는 안착대(151)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착대(151)에는 안착대(151)를 관통하는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222)을 롤링지지하는 축베어링(152)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에 덮여서 클램핑되는 내통커버(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내통커버(2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중심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커버(140)에 내통커버(230)의 중심돌기(231)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돌기지지홈(14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210)은 내통구동부(220)에 하부가 연결되어 회전구동함에 따라 상부가 흔들릴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내통(21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내통(210)의 상부에 내통커버(230)를 덮어서 클램핑한 다음, 외통커버(140)의 돌기지지홈(140a)에 내통커버(230)의 중심돌기(231)를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내통(210)의 회전시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내통(210)의 상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통커버(140)의 돌기지지홈(140a)은 외통커버(140)의 하부에 장착된 커버베어링(141)의 내륜 측 중심홀일 수 있다.
나아가, 상술된 돌기지지구조와 함께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에는 내통(210)의 외부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111)는 내통(210)의 외부 측면에서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지지지함으로써 내통(210)의 상부를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탈수되도록 측부에 복수 개의 배수홀(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통(210)은 내부에 믹싱대상물을 넣은 다음, 내통(210) 내부에 배치된 분쇄칼날(120)의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분쇄되면서 동시에, 내통(210)도 회전함으로써 믹싱대상물에 포함된 액체(즙)을 배수홀(210a)을 통해 내통(210)의 외측으로 내보낼 수 있다.
물론, 상기 내통(210)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4(a)에 도시된 내통(210)은 분쇄전용 내통이고, 도 14(b)에 도시된 내통(210)은 탈수전용 내통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칼날(120)의 회전 시 탈수기능이 구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이 형성되지 않는 내통(210)이 활용될 수 있고, 이러한 내통(210)이 활용된 경우에는 상술된 돌출부(211)의 기능인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작용만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후 탈수기능을 원하는 경우 배수홀(210a)이 형성된 내통(210)으로 교체한 후 교체된 내통(210)에 분쇄된 믹싱대상물을 넣은 다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쇄칼날(120)의 분쇄기능을 동시에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내통(210)으로 교체하면 되며, 상기 분쇄칼날(120)의 분쇄기능은 구현시키지 않고 탈수기능만을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210a)만 형성된 내통(210)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때, 상기 내통(210)은 분쇄칼날(120)이 내통(2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외통(110)과 마주보는 하면에 하부홈(210b)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홈(210b)에는 분쇄칼날(120)이 인입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관(112)에는 개폐밸브(112a)가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10) 내에 진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유닛(300)은 내통(210)과 연통된 흡입관(310), 상기 흡입관(310)과 연통된 진공구동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구동부(320)는 진공모터(M3)와 진공펌프(P)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유닛(300)에 의해 분쇄작업과 탈수작업을 포함하는 믹싱작업을 진공하에서 이루도록 함으로써,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하는 믹싱대상물이 산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믹싱작업됨에 따라, 신선하고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는 액체(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을 받치는 받침블럭(150), 외통(110)과 받침블럭(150)을 연결하는 손잡이(160)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진공구동부(320)는 받침블럭(150)에 내장되고, 흡입관(310)은 손잡이(160)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도 6 내지 도 8에 일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는 외통에만 연결되고, 받침블럭은 외통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수직연결부를 구비하며, 이때 내통과 연통되는 흡입관은 수직연결부에 내장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믹서기는 진공유닛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어떠한 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상기 받침블럭(150)은 상술된 칼날구동부(130)의 제1 구동부재(M1), 내통구동부(220)의 제2 구동부재(M2), 진공구동부(320)의 진공모터(M3)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면에는 이러한 제어부의 입력패널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컨트롤러가 내통(210)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불규칙한 유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쌓아 올려지지 않고, 내통(210)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는 분쇄칼날(120)로 다시 되돌아옴에 따라, 분쇄성능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의 불규칙한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유지되는 믹싱대상물을 무너뜨림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에 대한 분쇄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의 돌출부(211)가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원심력으로 방사상으로 밀려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시킴에 따라, 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믹서본체 110 : 외통
111 : 지지롤러 112 : 배출관
112a : 개폐밸브 120 : 분쇄칼날
130 : 칼날구동부 131 : 제1 회전축
M1 : 제1 구동부재 140 : 외통커버
140a : 돌기지지홈 141 : 커버베어링
150 : 받침블럭 151 : 안착대
152 : 축베어링 160 : 손잡이
200 : 내통유닛 210 : 내통
210a : 배수홀 211 : 돌출부
212 : 가이드부 212a : 슬라이드면
210b : 하부홈 220 : 내통구동부
221 : 회전브라켓 222 : 제2 회전축
222a : 중공 M2 : 제2 구동부재
223 : 구동전달벨트 230 : 내통커버
231 : 중심돌기 300 : 진공유닛
310 : 흡입관 320 : 진공구동부
P : 진공펌프 M3 : 진공모터

Claims (20)

  1. 삭제
  2.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내통의 회전이 변화되면서 상기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상기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칼날구동부와 내통구동부를 제어 시, 상기 내통구동부의 전원에 대한 온/오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3. 삭제
  4.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내통의 회전이 변화되면서 상기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상기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을 회전시킨 후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내통구동부와 칼날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과 분쇄칼날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분쇄칼날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칼날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통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이 각형 또는 굴곡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회전속도는 60rpm 내지 4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믹싱대상물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구동부와 내통구동부 모두 상기 내통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칼날구동부는 상기 내통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1.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구동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된 제1 구동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이 장착된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제2 구동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외통 내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내통이 장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의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일측의 상기 제2 구동부재와 구동전달벨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4.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유닛은,
    상기 내통에 덮여서 클램핑되며, 상부에 중심돌기가 형성된 내통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믹서본체는,
    상기 외통커버에 상기 내통커버의 중심돌기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돌기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본체는,
    상기 외통에는 상기 내통의 외부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탈수되도록 측부에 복수 개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과 마주보는 하면에 상기 분쇄칼날이 인입배치되는 하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내통 내에 진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내통과 연통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연통된 진공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KR1020180129311A 2018-09-12 2018-10-26 믹서기 Active KR10200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454345.9A CN110893063B (zh) 2018-09-12 2018-11-30 搅拌机
CN201821999059.6U CN210748653U (zh) 2018-09-12 2018-11-30 搅拌机
US17/275,708 US12089787B2 (en) 2018-09-12 2019-09-11 Blender
JP2021513979A JP7309861B2 (ja) 2018-09-12 2019-09-11 ミキサー機
EP19860208.8A EP3851002A4 (en) 2018-09-12 2019-09-11 MIXER
PCT/KR2019/011801 WO2020055146A1 (ko) 2018-09-12 2019-09-11 믹서기
CN201980059803.5A CN112839553B (zh) 2018-09-12 2019-09-11 搅拌机
AU2019337282A AU2019337282B2 (en) 2018-09-12 2019-09-11 Mixer
PCT/KR2019/011803 WO2020055148A1 (ko) 2018-09-12 2019-09-11 믹서기
CN201980059638.3A CN112714622B (zh) 2018-09-12 2019-09-11 搅拌机
JP2021513973A JP7309860B2 (ja) 2018-09-12 2019-09-11 ミキサー機
US17/275,308 US12150595B2 (en) 2018-09-12 2019-09-11 Blender
EP19859107.5A EP3851001B1 (en) 2018-09-12 2019-09-11 Mixer
EP22169503.4A EP4049565A1 (en) 2018-09-12 2019-09-11 Blender
US18/819,401 US20240415333A1 (en) 2018-09-12 2024-08-29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22 2018-09-12
KR20180109222 2018-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86B1 true KR102009386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11A Active KR102009386B1 (ko) 2018-09-12 2018-10-26 믹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9386B1 (ko)
CN (2) CN21074865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48A1 (ko) * 2018-09-12 2020-03-19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KR102094169B1 (ko) * 2019-08-20 2020-03-27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CN111187031A (zh) * 2019-11-28 2020-05-22 刘杰 一种水泥管道用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2500238A (ja) * 2018-09-12 2022-01-04 イントロ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ミキサー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86B1 (ko) * 2018-09-12 2019-08-12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CN115638611B (zh) * 2022-11-08 2024-03-22 四川味欣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覆盆子调味剂及其制备方法与生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83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믹서기
KR101772862B1 (ko) * 2016-10-04 2017-09-01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12606A (zh) * 2004-06-25 2005-12-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松弛洗涤物时的电机控制方法
JP3781047B2 (ja) * 2004-11-09 2006-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200951435Y (zh) * 2006-09-27 2007-09-26 滨州永安工程发展有限公司上海分公司 处理生活及医疗废物的装置
CN101678291A (zh) * 2007-07-13 2010-03-24 仲田涂覆株式会社 搅拌装置以及搅拌装置用夹具
JP2010017167A (ja) * 2008-07-08 2010-01-28 Kenkichi Morishita 麺製造用多段蒸機
CN202173300U (zh) * 2011-06-15 2012-03-2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搅拌杯及料理机
CN202237894U (zh) * 2011-08-05 2012-05-30 安徽立顿生物药业有限公司 搅拌机
CN102613873B (zh) * 2012-04-25 2014-10-01 王晓东 带抽气功能的榨汁机
CN203953238U (zh) * 2014-07-09 2014-11-26 曾翠南 一种慢速榨汁机的滤网
CN203916545U (zh) * 2014-07-11 2014-11-05 张勇 一种液体搅拌器
CN104587864B (zh) * 2015-01-09 2016-10-05 长兴明晟冶金炉料有限公司 一种冶金物料搅拌装置
CN204973687U (zh) * 2015-07-15 2016-01-20 吕炳顺 螺旋式禽粪搅拌装置
CN107415046B (zh) * 2015-08-14 2019-07-19 安徽固维特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工程土的混合搅拌方法
CN205386092U (zh) * 2016-02-26 2016-07-20 胡月明 多功能搅拌机
CN105817314B (zh) * 2016-05-26 2018-01-12 杨春艳 防堵塞水力分级机
CN106859273B (zh) * 2017-03-17 2018-12-14 浙江百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料理机
CN206837976U (zh) * 2017-04-10 2018-01-05 青岛宏信塑胶有限公司 混料机
CN206956002U (zh) * 2017-05-04 2018-02-02 芜湖美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葡萄酒发酵罐
KR102008731B1 (ko) * 2017-08-22 2019-08-09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믹서기
CN107616724A (zh) * 2017-11-07 2018-01-23 惠州市无龄康态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五谷破壁料理机
KR102009386B1 (ko) * 2018-09-12 2019-08-12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83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믹서기
KR101772862B1 (ko) * 2016-10-04 2017-09-01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48A1 (ko) * 2018-09-12 2020-03-19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JP2021535833A (ja) * 2018-09-12 2021-12-23 イントロ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ミキサー機
JP2022500238A (ja) * 2018-09-12 2022-01-04 イントロ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ミキサー機
JP7309861B2 (ja) 2018-09-12 2023-07-18 イントロ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ミキサー機
JP7309860B2 (ja) 2018-09-12 2023-07-18 イントロパ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ミキサー機
US12089787B2 (en) 2018-09-12 2024-09-17 Intropack Co., Ltd. Blender
US12150595B2 (en) 2018-09-12 2024-11-26 Intropack Co., Ltd. Blender
KR102094169B1 (ko) * 2019-08-20 2020-03-27 주식회사 인트로팩 믹서기
CN111187031A (zh) * 2019-11-28 2020-05-22 刘杰 一种水泥管道用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187031B (zh) * 2019-11-28 2021-12-31 刘杰 一种水泥管道用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3063A (zh) 2020-03-20
CN110893063B (zh) 2022-01-11
CN210748653U (zh)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86B1 (ko) 믹서기
KR102008730B1 (ko) 믹서기용 통구조체
KR102008731B1 (ko) 진공믹서기
KR101772862B1 (ko) 믹서기
US12150595B2 (en) Blender
JP7309861B2 (ja) ミキサー機
US8453955B2 (en) Mixing machine having improved pulverizing efficiency
KR102059394B1 (ko) 진공믹서기
CN114745995B (zh) 真空搅拌机
EP4005442B1 (en) Mixer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KR102094169B1 (ko) 믹서기
KR102569500B1 (ko) 믹서기 및 믹서기의 제어방법
KR102661564B1 (ko) 믹서기
KR20190057499A (ko) 편심된 회전력으로 분쇄가능한 믹서기
KR102134988B1 (ko) 편심된 회전력과 편심된 형태의 분쇄날을 이용하는 믹서기
KR20210057565A (ko) 믹서기
KR20210012245A (ko) 믹서기
KR20080003936U (ko) 믹서용 혼합날
KR20160045002A (ko)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