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8870B1 -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70B1
KR102008870B1 KR1020180003862A KR20180003862A KR102008870B1 KR 102008870 B1 KR102008870 B1 KR 102008870B1 KR 1020180003862 A KR1020180003862 A KR 1020180003862A KR 20180003862 A KR20180003862 A KR 20180003862A KR 102008870 B1 KR102008870 B1 KR 10200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algasome
microalga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686A (ko
Inventor
김차중
Original Assignee
(주)알렌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렌바이오 filed Critical (주)알렌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0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70B1/ko
Priority to PCT/KR2018/009805 priority patent/WO2019139214A1/ko
Publication of KR2019008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게좀은 포스포리피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스쿠알렌으로 이루어진 지질복합체에 미세조류 추출물이 포집되어 있어, 피부 전달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효과, 피부탄력증진 및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cro algae extracts stabilized in algaesom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노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피부세포의 생리활성이 활발하다. 즉, 진피(Dermis)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는 피부의 탄력 및 주름형성 억제에 중요한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신진대사가 왕성하며, 또한 피부 수분 유지에 필수적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포함한 당단백질류인 GAGS(Glucosaminoglycans) 합성도 활발하여 피부에 탄력성, 부드러움, 유연성 및 보습성을 스스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표피(Epidermis)에서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proliferation)이 활발하고, 피부 세포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라미닌, 인테그린, 데스모좀과 같은 결합단백질(Adhesion protein)의 생성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피부 세포조직을 강화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준다.
그러나 현대인의 피부는 외부의 각종 유해 환경 및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다양한 손상을 받고 있고,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생리활성이 저하되고 손상된 피부의 회복속도가 느려지면서 피부는 탄력저하, 건조, 주름형성, 색소침착, 검버섯, 칙칙함 등의 다양한 피부노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화장료의 가장 큰 목표는 이런 노화증세를 개선하는데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탄력 감소, 피부주름, 색소침착 등의 피부노화현상은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엘라스틴의 소실 및 피부생리 저하에 따른 멜라닌 색소침착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피부 표피와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피부 노화방지에 대한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주름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세포활성촉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의 발전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 생체 내에 존재하는 성장인자와 같은 소량의 신호물질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생체의 노화이론이 재정립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이 신호물질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생체 내에서 감소하게 되는데 바로 이 성장인자의 감소가 우리의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자외선량의 증가와 대기오염 및 현대인의 과도한 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와 자유라디칼은 생체성분(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등)을 산화시키거나 변성시킴으로써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대두되면서 자유라디칼에 대한 관심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이런 다양한 생체 항산화제의 생합성이 저하되고 대기환경의 오염, 불건전한 식생활,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질병 등의 유해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여러 라디칼들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충분히 소거하기 어렵게 되며, 이런 산화적 스트레스에 계속 노출되면 피부는 노화되어 주름형성, 탄력저하, 기미, 주근깨, 건조등 다양한 변화를 맞게된다.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특허공보 4603146, 4877805등에는 레티노이드(비타민 A)를 이용한 사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레티놀은 피부주름 개선 및 방지효과가 매우 우수함에도 제품에 처방되어 변색, 변취, 역가가 떨어져 효과가 떨어지고, 소량 사용에도 불구하고 피부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화장료 분야에서 극히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3,906,108에서는 유용성 산화제인 BHT, dl-α-토코페롤과 킬레이트제인 EDTA를 사용하여 레티노익 애씨드를 안정화시킨 수중유(O/W)형의 유화제형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4,247,547에서는 유용성산화제인 토코페롤과, 구연산을 사용하여 레티놀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의 유화제형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4,826,828에서는 유용성 산화제인 BHT, BHA를 사용하여 레티놀,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함유시켜 안정화시킨 유중수형의 유화제형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4,720,353에서는 레티놀을 항산화제인 BHA, 아스코르빅 애씨드, 토코페릴리놀레에이트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유중수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유럽특허 0440,398 BI에서는 레티노이드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종류 이상의 수용성 항산화제, 한종류이상의 유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젤을 함유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유럽특허 1568106A1 에서는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으로 킬레이트제와 유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제와 수용성 항산화제, 유화물의 유상과 수상에 동시에 존재하는 항산화제 및 자유 염기형의 이미다졸을 함유하는 수중유형의 유화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주름개선, 보습 및 탄력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들의 효과가 뛰어난 물질들은 안전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반면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성분들은 상대적으로 임상적 효능효과의 미약, 가시적 임상결과에 필요한 사용기간의 장기화 등 문제점을 갖고 있다.
리포좀은 현재 제약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등에도 널리 이용되는 있는 물질이다. 이는 생리활성 성분을 깨지지 않고 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생리활성 성분이 지용성이든 수용성이든 모두 내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리포좀은 크게 다막리포좀(MLV:Multilamella vesicle)과 단막리포좀(ULV:Unilamella vesicle)로 구분되고 ULV는 다사 대단막리포좀(Large Unilamella vesicle)과 소단막리포좀(Small Unilamella vesicle)으로 나눌 수 있다. MLV는 그 크기가 400~3,50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은 5~15%이고, LUV는 그 크기가 100~1,00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은 36~65%이고, SLV는 그 크기가 20~5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은 0.5~1.0%이다. 생리활성 물질을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은 LUV가 가장 많으나 불안정하고, SLV는 가장 안정하나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이 적다.
다막리포좀(MLV:Multilamella vesicle)의 형태인 이중막 구조를 갖고 있는 세포막(Cell Membrane)은 모든 세포가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이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서로 구분해 준다. 세포막은 인지질 및 단백질 분자로 구성된 얇고 구조적인 인지질 이중층으로 되어 있으며, 선택적인 투과성을 지닌다. 세포 표면막은 수용체 단백질과 세포부착 단백질(막단백질)을 지니고 있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들도 존재하며, 이러한 단백질은 세포 기능 및 조직 구성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동물 세포에서, 세포막은 이러한 역할을 홀로 수행하는 반면, 효모, 세균, 식물에서는 세포벽이 최외곽 경계를 형성하며, 물리적인 방호력을 제공한다. 세포막은 대략 10 나노미터 두께이며,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희미하게 구분할 수 있다. 세포막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세포전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세포막의 기본 구성 및 구조는 다른 세포소기관을 감싸는 막과 동일하다.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이라는 두 겹의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막은 유동 모자이크 구조로 설명된다. 유동 모자이크란 지질이 자유롭게 떠다니는 2차원적인 흐름을 의미하며, 내부에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통로 혹은 수용체로 작용하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포막 모형은 1971년 S.J. Singer가 지질 단백질 모형을 제안하고, 1972년 G.L. Nicolson과 함께 유동 특성을 제시에 탄수화물이 붙어있다. 세포는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질의 종류 및 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이중층 내부에 있는 콜레스테롤 분자(진핵세포의 경우)나 hopanoids(원핵세포의 경우)는 유동성을 유지시켜주는 데 도움을 준다. 사실 세포막 내부의 모든 지방 분자는 자유롭게 확산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의 유체가 아니다. 즉 카베올라 등은 세포막 영역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많은 단백질의 경우는 확산하지 않는다. 세포골격은 세포막을 지지하면서 세포막 내부 단백질을 고정시키고, 특정한 면으로 향하게 해주며, 또한 단백질이 세포막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해준다. 세포막 표면은 항상 형태 없이 움직이는 유체가 아니라, 어느 정도의 구조를 보여준다. 시냅스는 보다 구조적인 세포막의 예이다.
새로운 물질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해 세포막에 포함되거나 혹은 제거된다. 일 예로, 세포간의 소포의 융합은 소포 내부 물질을 분비할 뿐만 아니라 소포막의 물질을 세포막에 포함시키는 것이며, 세포막은 훗날 소포가 되는 수포를 형성하기도 한다. 다른 예로, 세포막이 관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관으로부터의 물질은 세포막 속으로 흡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비록 세포막 내부에 수성물질의 농도가 낮다고 하더라도(안정된 세포막 구성물은 물에 잘 녹지 않음), 이러한 수성 물질에서 분자 교환이 가능한것이다. 위 모든 경우에서, 세포막의 장력은 물질의 교환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세포에서, 특히 매끈한 형태를 가지는 세포에서, 세포막의 장력 및 면적은 각각 탄력성 및 유동성과 관련이 있다. 시간에 대한 연관성은 항상성이라고 하며, 즉 시간에 대해 면적이나 장력이 얼마나 일정한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피부의 세포막 구조와 유사한 다막(Multilamella)의 구조를 갖고 있는 MLV는 피부와 친화력이 있으나 크기가 너무 커 피부 침투가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0870호는 녹조강(Chlorophyceae)의 클라이도모나달레스(Chlamydomonadales)목의 듀날리엘라세에(Dunaliellaceae)과의 듀날리엘라(Dunaliella)속의 살리나(Salina)종에서 추출한 해조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하던 중 미세조류 추출물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어 피부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 발명을 완성하였다.
기존 리포좀 제조 과정은 60℃ 이상의 열이 발생하는 고압유화장치(microflidizer)를 활용함으로써 미세조류 추출물 내에 있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의 열에 의한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압유화장치를 활용한 경우의 단점 및 피부와 친화력이 있으나 크기가 너무 커 피부 침투가 어려운 기존의 MLV 리포좀의 단점을 보완하여 피부 친화적이며 생리활성 성분들의 활성을 최대한 확보함은 물론 제조가 용이한 알게좀(Algaesome)을 완성하여, 상온에서 미세조류 추출물을 안정화시켜 피부내로 침투시킬 수 있는 기술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여 안정화한 알게좀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방지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미세조류 추출물을 지질복합체에 내포시킨 알게좀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게좀은 포스포리피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스쿠알렌으로 이루어진 지질복합체에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시킨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게좀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포스포리피드 0.01-30.0 중량%, 피토스핑고신 0.01-10.0 중량%, 세라마이드 3 0.01-50.0 중량%, 콜레스테롤 0.01-30.0 중량%, 피토스테롤 0.01-20.0 중량%, 베타-시토스테롤 0.01-10.0 중량%, 스쿠알렌 0.01-80.0 중량% 및 미세조류 추출물 0.01-50.0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게좀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게좀은 포스포리피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스쿠알렌을 고압에서 용해하여 반투명 젤 형태의 지질복합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온에서 상기 지질복합체와 미세조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두나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를 배양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알게좀에 내포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기존 리포좀 포집 화장료보다 피부 전달효과가 우수하여 보다 우수한 피부 노화방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온에서 미세조류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알게좀에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의 입자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의 편광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피부 노화현상을 개선시키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ALGAESOME)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피부노화방지란, 포괄적으로 주름개선, 탄력 증진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미세조류 추출물은 미세조류를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세조류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정제수,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테이트, 헥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정제수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물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은 미세조류를 추출용매, 예를 들어 정제수,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테이트, 헥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 추출기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미세조류"는 흔히 피토플랑크톤(phytoplankton)이라고 부르는 단세포성 식물을 의미하며, 미세조류 현미경으로만 관찰 가능하고 뿌리, 줄기, 잎 등의 구조가 없다. 또한, 색소에 따라 Blue-green, Yellow, Red, Brown 등으로 보이고, 대표적인 미세조류로 규조류(Diatoms)와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가 있다.
본 발명의 미세조류 배양 방법으로는 고가의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고 고농도 배양이 가능한 밀폐형 광생물반응기(closed photobioreactor system)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한 광생물 반응기는 단위부피당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빛의 효율적인 전달을 꾀하고, 전체 빛 에너지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광원의 선택, 광원에서 세포로의 효율적인 빛의 전달을 통하여 균체의 농도를 극대화하였다.
본 발명에서 "알게좀"이란 용어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집하여 안정화시킨 베시클(Vesicle)을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게좀은 피부 친화적이고 안정적인 베시클(Vesicle)을 제조위해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지질 성분인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토스테롤(Phyto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쿠알렌(Squalene)을 고압에서 용해하여 반투명 젤 형태의 지질복합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온에서 상기 지질복합체와 미세조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지질 성분인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 3 (Ceramide 3),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토스테롤(Phyto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쿠알렌(Squalene)을 고압유화장치(Microfludizer)를 활용하여 고압에서 용해하여 반투명 젤 형태의 지질복합체를 만든다. 다음으로 상온에서 이 지질복합체 적당량을 미세조류 추출물이 분산된 수용액에 넣고 섞어주면, 폐쇄된 이중층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반응 공정의 온도는 상온에서 진행된다. 기존의 고압유화장치(microfludizer)를 이용한 리포좀 제조공정이 고온(60℃이상)에서 리포좀이 형성됨으로 인해 온도에 민감한 성분들의 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지질복합체를 형성하는 재료를 혼합하기 위하여 고압유화장치를 사용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리포좀 형성에 고압유화장치를 사용하는 것과는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고압유화장치에서 용해되어 혼합된 지질복합체가 형성되고, 이들이 수용액 상(phase)에서 스스로 베시클을 형성하여 수용액 상에 분산되어 있는 유효성분, 즉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접하여 알게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의 함량은 알게좀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2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알게좀을 구성하는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는 알게좀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세라마이드 3 (Ceramide 3)는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3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피토스테롤(Phytosterol)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스쿠알렌(Squalene) 함량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8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5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알게좀의 평균 소적 크기는 20 내지 50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n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nm인 나노화된 리포좀을 의미한다. 상기 알게좀의 평균 소적 크기가 5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침투 및 제형 안정성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알게좀(ALGAESOME)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미세조류 추출물 이외에 생체성분의 활성을 유지시켜주는 다양한 성분들,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세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바디클렌져, 바디로션, 바디크림, 파우더, 에센스, 팩, 헤어토닉, 헤어트리트먼트, 샴푸, 린스, 여성청결제, 손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 외에 효능을 더 증진시키기 위한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실험예, 제조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 실험예, 제조예 및 제형예는 당업계의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 실험예, 제조예 및 제형예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실험예, 제조예 및 제형예 들은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 제조예 1] 미세조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된 미세조류는 두나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로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KMMCC)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배양을 위해 사용된 배지는 F/2배지(Guillard and Ryther 1962)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위한 두나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를 밀폐형 광생물반응기(closed photobioreactor system)에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2℃에 맞추고, 440nm 파장을 갖는 백색 LED를 60W 세기로 일정하게 공급하면서 10일 동안 배양하여 본 발명의 미세조류를 얻었다. 배양된 미세조류를 10,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배지 성분이 포함된 상등액을 버리고 미세조류만을 분리한 뒤, 정제수를 넣고 진탕하여 다시 10,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려 남아 있는 배지를 깨끗이 제거하여 본 발명의 미세조류를 얻는다. 얻은 미세조류에 정제수를 넣고 음파처리(sonication)(1min on, 30seconds off, 22.5kHz)를 10회 실시한다. 음파처리 후 10,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외한 상등액을 분리하여 다시 한 번 더 10,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이렇게 얻은 상등액을 6 μm 필터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ALGAESOME)의 제조
알게좀(ALGAESOME)은 아래 표 1에 기재된 함량과 같이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 3 (Ceramide 3),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토스테롤(Phyto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쿠알렌(Squalene)을 1,000bar의 압력으로 고압유화장치(microfludizer)를 3회 통과시켜 반투명 젤 형태의 지질복합체를 만들었다. 수용액 상에 미세조류 추출물(제조예 1)을 분산시킨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온에서 이 지질복합체를 미세조류 추출물이 분산된 수용액상에 첨가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이 포집된 알게좀을 제조하였다.
성 분 중량%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세라마이드 3 (Ceramide 3)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토스테롤(Phytoster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쿠알렌(Squalene)
미세조류 추출물 (제조예 1)
5.0
2.5
25.0
2.5
2.5
2.5
50.0
10
100
[ 실험예 1] 알게좀 입자의 입도 분포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게좀 입자의 입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표 1의 제조예 2의 알게좀을 10%-Microplasma Hyopnemoniae OD410=0.1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알게좀 입자의 입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알게좀 입자의 입도는 제타사이저 엔에스(Zetasizer NS) 장비를 이용하여 빛 산란방식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1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렇게 얻어진 알게좀의 입자크기는 평균 120 nm로서, 기존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포좀에 비하여 입도 사이즈가 작고, 균질성이 향상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제조예 2)의 S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1]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과 같이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한 조성물(실시예 1)과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기존 리포좀을 함유한 조성물(비교예 1)이 제조되었다. 비교예 1에 사용된 기존 리포좀(비교제조예 1)은 포스포리피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0 중량%, 에틸알콜 10.0 중량%, 미네랄오일 3.0 중량% 및 정제수 64 중량%를 혼합한 뒤 60℃까지 가온하여 용해한 다음 미세조류 추출물 10.0 중량%를 상기 용해액에 부어 교반한 후 고압유화장치(microfludizer)에서 1,000bar의 압력으로 2회 통과시켜 얻었다.
(단위 : 중량%))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토타롤 0.2 0.2
알게좀(제조예 2) 10.0 -
리포좀(비교제조예 1) - 10.0
A 아라키딜알콜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스쿠알란 5.0 5.0
하이드록시폴리데신 2.0 2.0
트리옥타노인 5.0 5.0
폴리솔베이트 80 1.0 1.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BHT 0.05 0.05
B 정제수 잔량 잔량
농글리세린 4.0 4.0
1,3-부틸렌글리콜 2.0 2.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4 0.4
EDTA-2Na 0.05 0.05
향,방부제 적량 적량
100 100
[ 실험예 2] 피부 주름 개선 효과 ( 기기적 평가)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기기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20세 이상의 여성 20명(평균연령 35.2세)을 2그룹(A, B)으로 나누어 A 그룹을 대상으로는 실시예 1을, B 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예 1를 각각 눈가 2X2 ㎠의 면적에(2회/일, 0.2g/회) 8주간 도포하면서,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용액을 이용하여 피부주름의 레플리카(Replica)를 떠서 피부주름측정기(SKIN VISIOMETER SV400, C+K Electronics GmbH. Germany)로 피부주름변화를 측정하였다. 레플리카의 상을 CCD 카메라로 3차원적 분석하고, 각각의 주름의 거칠기(Rm: m은 1이상의 정수)의 합을 주름의 개수로 나눈 값인 하기 수학식 1의 평균주름거칠기(Rz)로 주름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6 주후 피부주름 개선효과에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03555214-pat00001
평균주름거칠기(Rz, ㎛)
실시예 1 비교예 1
T0 T8 △Rz T0 T8 △Rz
피검자 1 129 62 -67 128 86 -42
피검자 2 128 41 -87 130 78 -52
피검자 3 121 38 -83 124 82 -42
피검자 4 132 55 -77 135 94 -41
피검자 5 120 22 -98 115 46 -69
피검자 6 136 43 -93 130 75 -55
피검자 7 128 36 -92 125 78 -47
피검자 8 121 39 -82 118 69 -49
피검자 9 129 43 -86 122 91 -31
피검자 10 125 41 -84 117 78 -39
평균 -84.9 -46.7
상기 표 3의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8주 후 평균주름거칠기(Rz)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한 화장료(실시예 1)의 경우에는 84.9 ㎛ 낮아져(p<0.01)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일반 리포좀을 함유한 비교예 1 보다 약 81.8% 정도 주름이 더 개선되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로부터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한 실시예 1이 미세조류 추출물을 안정화한 일반 리포좀을 함유한 비교예 1 보다 매우 효과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육안 평가)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주름 개선에 대한 육안평가를 실시하였다.
20세 이상의 여성 20명(평균연령 35.2세)을 2그룹(A, B)으로 나누어 A 그룹을 대상으로는 실시예 1을, B 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예 1을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8주간 도포(2회/일)한 후,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함으로써 피부주름의 개선정도(ΔW)를 측정하였다. 피부주름개선 임상효과는 하기 표 4(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와 표 5(피검자의 주관적 평가)에 나타내었다.
피부주름개선 평가 기준 :
-3: 극히 심하게 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피부주름개선 임상효과(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피부주름 개선정도(△W)
실시예 1 비교예 1
T0 T8 T0 T8
피검자 1 0 3 0 2
피검자 2 0 3 0 1
피검자 3 0 3 0 2
피검자 4 0 2 0 1
피검자 5 0 2 0 2
피검자 6 0 3 0 2
피검자 7 0 3 0 1
피검자 8 0 3 0 3
피검자 9 0 2 0 2
피검자 10 0 3 0 2
△W(T8-T0) 2.7 1.8
피부주름개선 임상효과(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피부주름 개선정도(△W)
실시예 1 비교예 1
T0 T8 T0 T8
피검자 1 0 3 0 2
피검자 2 0 2 0 3
피검자 3 0 3 0 1
피검자 4 0 2 0 2
피검자 5 0 3 0 2
피검자 6 0 2 0 1
피검자 7 0 3 0 3
피검자 8 0 3 0 2
피검자 9 0 2 0 3
피검자 10 0 2 0 1
△W(T8-T0) 2.5 2.0
육안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가 각각 2.7, 2.5로 주름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기존 리포좀을 함유하는 비교예 1에 비해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에서는 50%,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에서는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이 매우 효과적으로 주름을 개선시킴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온도 24 내지 26℃, 습도 7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여성 20명(평균연령 35.2세)을 2그룹(A, B)으로 나누어 A 그룹을 대상으로는 실시예 1을, B 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예 1을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8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Cutometer SEM 575의 △R8(R8(8주)-R8(0주)) 값으로 나타내었다. R8 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실험제품 △R8
실시예 1 0.47
비교예 1 0.30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은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기존 리포좀을 함유한 비교예 1 보다 피부탄력이 56.7% 증가하여, 높은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과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에는 온도 24-26℃,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20~30분간 피부를 안정화시킨 뒤 측정하였다. 20세 이상의 여성 20명(평균연령 40.5세)을 각각 A, B 그룹으로 나누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A 그룹에,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B 그룹에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6주간 도포(2회/일)하였다. TEWAMETER TM210(C+K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 즉,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값을 시간 변화에 따른 TEWL 값 변화량 △TEWL로 측정하고, CORNEOMETER CM 820 PC(C+K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0에서 150까지 피부의 수분량을 수치화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제품 △TEWL Corneometer Value
실시예 1 1.5 118
비교예 1 4.6 85
시험 결과,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TEWL 값은 1.5g/hm2로 비교예 1에 비해 경피수분손실량이 6주 후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한 Corneometer value에서도 실시예 1이 비교예에 비해 각각 28.0% 증가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6] 피부 침투 효과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침투효과를 측정하였다.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1x105 cells/ml 세포를 인체의 결합조직을 이루는 섬유조직과 유사한 콜라겐 젤 구조에 콜라겐 수용액 3mg/ml : 5X DMEM : 2.2% 소듐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와 200mM Hepes 완충액이 포함된 0.05N 수산화나트륨이 7:2:1로 혼합된 배지에 접종하여 5% CO2,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얻은 Dermal Equivalent(DE)를 3μm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Porous polycarbonate) 재질로 된 막(Membrane)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된 플레이트(Plates)의 안쪽에 넣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Dermal Equivalent(DE) 표면위에 표피 각질형성세포(Epidermal Keratinocyte) 1x105 cells/ml 세포를 접종하여 카르티노이드와 BPE가 함유된 K-SFM 배지를 안쪽과 바깥쪽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한다. 그 후 플레이트 안쪽의 배지를 버려 공기가 배양세포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바깥쪽에 10% FBS가 함유된 K-SFM과 카르티노이드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를 넣어 2주간 배양하여 다층의 표피와 진피가 형성된 인공피부를 얻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맨 위층의 인공피부 조직에 적용하여 4시간 배양한 후 카르티노이드가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에서 인공피부의 표피와 진피를 침투하여 통과된 실시예 1의 알게좀과 비교예 1의 리포좀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조류 추출물 내의 카르티노이드 양을 TLC로 분석하였다. 이때 미세조류 추출물 내의 카르티노이드 함량은 200μg/1㎖ 되도록 카르티노이드를 배지에 첨가하고, 미세조류 추출물은 총 중량의 10.0% 함유하도록 실시예 1의 알게좀과 비교예 1의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피부침투효과에 대한 시험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배지중의 EGF의 양(μg/1㎖)
실시예 1 30.7
비교예 1 12.3
이상의 결과에서 미세조류 추출물이 함유된 알게좀은 일반 리포좀에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접했을 때보다 높은 피부침투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게좀의 입자 사이즈가 작고 피부에 더 친화력일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상온에서 진행되어 열에 민감한 카르티노이드의 안정성에 알게좀이 높은 활성을 유지함으로 인해 더 많은 피부침투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상된다.
[ 실험예 7]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제형 안정성를 측정하였다.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온도 시험물질 변색 정도
실시예 1 비교예 1
45℃ 0 1.9
4℃ 0 0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게좀을 함유한 실시예 1은 4℃와 45℃에서 모두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일반 리포좀을 함유한 비교예 1은 4℃는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었으나 45℃에서 분리 증상이 나타나 불안정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8] 피부 안정성 실험
상기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20명(평균연령 26.7세, 연령분포 18세-30세)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 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각 15μg씩 Chamber에 적하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킨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24시간, 48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한다. 판정은 첩포 제거 24시간, 48시간 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10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11에서 피부 안정성으로 나타내었다.
기호 판 정 기 준 평 가 Mean Score
±
+
++
+++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Erythema + Induration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Negative
미소자극
경자극
중자극
강자극
무자극
0~0.9
1.0~2.9
3.0~4.9
5.0이상
0
경과시간 실시예 1 비교예 1
24시간 0 0.0
48시간 0 0.0
표 11의 피부안전성 시험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모두 평균 자극정도가 0으로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2 1.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2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이디티에이-2엔에이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2 10.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탄검 0.1
이디티에이-2엔에이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4] 마사지크림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2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 제형예 5] 팩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2 2.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비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이디티에이-2엔에이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7)

  1. 미세조류인 두나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 추출물을, 스포리피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스쿠알렌으로 이루어진 지질복합체에 내포시킨 알게좀을 함유하고,
    상기 알게좀은 알게좀 총 중량에 대하여 포스포리피드 0.01-30.0 중량%, 피토스핑고신 0.01-10.0 중량%, 세라마이드 3 0.01-50.0 중량%, 콜레스테롤 0.01-30.0 중량%, 피토스테롤 0.01-20.0 중량%, 베타-시토스테롤 0.01-10.0 중량%, 스쿠알렌 0.01-80.0 중량% 및 미세조류 추출물 0.01-50.0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게좀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0 중량% 함유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게좀은 포스포리피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스쿠알렌을 고압에서 용해하여 반투명 젤 형태의 지질복합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온에서 상기 지질복합체와 미세조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03862A 2018-01-11 2018-01-11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00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62A KR102008870B1 (ko) 2018-01-11 2018-01-11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09805 WO2019139214A1 (ko) 2018-01-11 2018-08-24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62A KR102008870B1 (ko) 2018-01-11 2018-01-11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686A KR20190085686A (ko) 2019-07-19
KR102008870B1 true KR102008870B1 (ko) 2019-08-08

Family

ID=6721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862A Active KR102008870B1 (ko) 2018-01-11 2018-01-11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8870B1 (ko)
WO (1) WO20191392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47B1 (ko) 2023-07-19 2023-10-27 주식회사 포러스젠 미세조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9664A1 (en) 2019-12-10 2021-06-17 Mary Kay Inc. Herbal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KR20240127535A (ko) 2023-02-15 2024-08-23 주식회사 리비바이오 유산균 발효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50059047A (ko) 2023-10-24 2025-05-02 (주)코바스 두나리엘라 살리나를 포함하는 균주 배양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727551B1 (ko) 2024-01-30 2024-11-07 (주)한솔바이오텍 복합 배양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32B1 (ko) 2014-04-04 2014-06-23 주식회사 리스토어랩스 미세조류 유래 푸코잔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2359B1 (ko) 2014-03-10 2015-03-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 루테리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멜라닌생성억제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83B1 (ko) * 2012-11-28 2014-09-17 박수아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내포하는 오스모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454A (ko) * 2013-07-23 2015-02-02 파미셀 주식회사 인체골수줄기세포배양액이 포함된 폐쇄이중층의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0286B1 (ko) * 2015-06-12 2018-03-20 (주)그린솔루션스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1118B1 (ko) * 2015-08-18 2018-03-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네데스무스 속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14523B1 (ko) * 2016-03-14 2018-01-04 농업회사법인 미션알지파워 주식회사 미세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359B1 (ko) 2014-03-10 2015-03-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 루테리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멜라닌생성억제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10632B1 (ko) 2014-04-04 2014-06-23 주식회사 리스토어랩스 미세조류 유래 푸코잔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47B1 (ko) 2023-07-19 2023-10-27 주식회사 포러스젠 미세조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214A1 (ko) 2019-07-18
KR20190085686A (ko)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870B1 (ko) 미세조류 추출물을 내포하는 알게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2478B1 (ko) 피부, 점막, 모발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JP6587678B2 (ja) ツバキ(Camellia japonica)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5860983B2 (ja) レウコユム球根の抽出物及びその利用
KR101440383B1 (ko)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내포하는 오스모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6115530A (zh) 冰川水在制备皮肤外用剂中的应用及含其的皮肤外用剂
JP2021532146A (ja) レチノール様活性を示す植物及び細菌抽出物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228136A (zh) 抗衰老去皱复合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544317A (zh) 一种抗衰老组合物阳离子纳米脂质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11525495A (ja) ヒトデ体液を含んでなる化粧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CN116687780A (zh) 含多肽的靶向渗透组合物及其应用
KR20150078868A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056841A (ja) 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
KR102056620B1 (ko)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42752B1 (ko) 콜라겐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522609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皮膚外用剤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656463B2 (ja) カプセル入りの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用もしくは皮膚科用組成物
CN106063769B (zh) 含透明质酸低聚物和包封藏红花提取物的去分化和诱发的三角梅植物细胞的化妆品组合物
JP2024546811A (ja) 特に化粧品の分野で使用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適用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097001A (ja) 皮膚外用剤
KR20150011454A (ko) 인체골수줄기세포배양액이 포함된 폐쇄이중층의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7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