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8808B1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08B1
KR102008808B1 KR1020120145814A KR20120145814A KR102008808B1 KR 102008808 B1 KR102008808 B1 KR 102008808B1 KR 1020120145814 A KR1020120145814 A KR 1020120145814A KR 20120145814 A KR20120145814 A KR 20120145814A KR 102008808 B1 KR102008808 B1 KR 10200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wireless power
power
inductance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070A (ko
Inventor
이정오
이기민
장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14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0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9959 priority patent/WO2014092339A1/en
Priority to CN201710075181.8A priority patent/CN106953421A/zh
Priority to EP13862509.0A priority patent/EP2932578B9/en
Priority to CN201380065285.0A priority patent/CN104871401B/zh
Priority to EP18176543.9A priority patent/EP3407456A1/en
Priority to US14/648,183 priority patent/US10008881B2/en
Priority to JP2015547838A priority patent/JP6013619B2/ja
Priority to TW102141011A priority patent/TWI619325B/zh
Publication of KR2014007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070A/ko
Priority to JP2016184315A priority patent/JP6298509B2/ja
Priority to US16/004,065 priority patent/US201802946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인덕턴스 가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 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전자기 유도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켰을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소형 기기를 중심으로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전력의 전송 거리가 짧은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전자기 유도 이외에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중 전자기 유도 및 공진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기 유도 및 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 측과 수신 측에 형성된 전기신호가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전력 전송 과정에서는 송신 측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양하여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사용 주파수가 다를 경우, 수신 측을 제대로 충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신 측은 송신 측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코일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8735(공개번호, 발명의 명칭: 집적 회로 및 인쇄회로 기판을 위한 가변 인덕터)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사용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사용 주파수 대역을 가변시켜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인덕턴스 가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사용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가변시켜 전력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송신 코일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와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코일이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코일이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코일이 헬리컬 구조를 갖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코일이 헬리컬 구조를 갖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덕턴스 가변부로 멤스 스위치를 사용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은 전력 공급 장치(1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및 부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1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송신 코일(21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의 양단은 제1 송신 코일(210)의 양단과 연결된다.
수신 코일(310)의 양단은 정류부(330)의 양단과 연결되고, 부하(400)는 정류부(330)의 양단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부하(4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의 전력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달한다.
제1 송신 코일(210)과 수신 코일(310)은 유도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송신 코일(210)에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수신 코일(31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되어 수신 코일(310)에 교류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송신 코일(210)로부터 수신 코일(310)로 전송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KHz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그 후, 수신 코일(31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부(33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400)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송신 코일(210) 및 수신 코일(310)은 스파이럴 구조, 헬리컬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에서 품질 지수(Quality Factor)와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전력 전송 효율은 품질 지수 및 결합계수가 큰 값을 가질수록 향상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부근에 축척할 수 있는 에너지의 지표를 의미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동작 주파수(w), 코일의 형상, 치수, 소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품질 지수는 수식으로 Q=w*L/R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L은 코일의 인덕턴스이고, R은 코일자체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량에 해당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품질지수가 클수록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 간 자기적 결합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0에서 1의 범위를 갖는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20)은 전력 공급 장치(1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및 부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1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송신 코일(210) 및 제2 송신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코일(210)의 양단은 전력 공급 장치(10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220)은 제1 송신 코일(210)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의 양단은 정류부(330)의 양단과 연결되고, 부하(400)는 정류부(330)의 양단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부하(4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의 전력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제1 송신 코일(210)에 전달한다. 제1 송신 코일(210)로 전달된 교류 전력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제2 송신 코일(22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1 송신 코일(210)과 제2 송신 코일(220)은 유도 결합되어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에 의해 제1 송신 코일(210)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송신 코일(22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되어 제2 송신 코일(220)에 교류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220)은 제1 송신 코일(21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전력을 공진 또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수신 코일(3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220)이 공진을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2 송신 코일(220)과 수신 코일(310)은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공진 결합되어 있다. 제2 송신 코일(220)과 수신 코일(310)의 공진 결합으로 인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 전송 효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220)이 공진을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와 제2 송신 코일(220)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송신 코일(220)이 공진을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은 6.78MHz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송신 코일(220)이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MHz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제2 송신 코일(220)이 공진 또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할 시,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다름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측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일치시키도록 주파수 대역을 매칭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 이하의 내용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송신 코일(21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210)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제1 송신 코일(210)은 인덕터(L1)의 양단이 캐패시터(C1)의 양단에 연결된 등가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송신 코일(210)은 인턱터(L1)와 캐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된 등가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가 조절됨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220), 수신 코일(310)의 등가 회로도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210)과 제2 송신 코일(220)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 L2)와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코일(310)은 소정의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3)와 캐패시터(C3)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330)는 수신 코일(31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된 직류 전력을 부하(4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330)는 정류기와 평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류기는 실리콘 정류기가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로 등가화 될 수 있다.
정류기는 수신 유도 코일(32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평활 회로는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에 포함된 교류 성분을 제거하여 매끄러운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평활 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캐패시터(C5)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부하(400)는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400)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휴대폰, 노트북, 마우스 등 전력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코일(310)은 전자기기의 형태에 맞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와 인밴드(In band) 또는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인밴드(In band) 통신은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된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저항과 스위치를 이용해 저항에서 흡수하는 전력량을 변화시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상기 소모되는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위치와 저항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 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현재 충전량, 충전량 추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가 개방되면, 저항이 흡수하는 전력은 0이 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도 감소한다.
스위치가 단락되면, 저항이 흡수하는 전력은 0보다 크게 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증가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와 디지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위와 같은 동작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적합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측에 저항과 스위치를 구비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공급 전력량,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가용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웃 오브 밴드 통신에 대해 설명한다.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은 무선전력 전송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아닌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을 말한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은 전력 공급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무선전력 전송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측 코일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주파수를 매칭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은 전력 공급 장치(1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및 부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공급 장치(1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부하(4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주파수 검출부(350), 인덕턴스 가변부(360), 주파수 매칭부(37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 코일(31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구비된 제2 송신 코일(220)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제2 송신 코일(220)로부터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수신 코일(31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수신 코일(310)로 전송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예시로 3가지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KHz 일 수 있고, 전자기 유도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 규격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6.78MHz일 수 있고, 공진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 규격인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제3 주파수 대역은 206 내지 300KHz일 수 있고, 전자기 유도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 규격인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파수 대역의 수치는 예시에 불과하다.
수신 코일(310)은 스파이럴(spiral), 헬리컬(helical)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을 등가회로로 구현하면, 적절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주파수 검출부(350)는 수신 코일(310)이 수신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는 인밴드 통신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해 수신 코일(310)이 수신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연결신호(ping)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통해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이다. 여기서, 연결신호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정상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만약, 주파수 검출부(350)가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주파수 검출부(350)가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해 수신 코일(310)이 수신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는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랜, NFC 중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밴드 통신 및 아웃 오브 밴드 통신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이 수신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이 낮을수록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고, 수신 코일(310)이 수신하는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인덕턴스 가변부(360)가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킨 후, 주파수 매칭부(370)는 가변된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에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는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주파수 매칭부(37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의 주파수에 보다 정확한 매칭이 가능하게 한다.
주파수 매칭부(37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의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시킨 후, 매칭된 상태의 교류 전력을 정류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정류부(330)는 주파수 매칭부(370)로부터 매칭이 완료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수신하여 수신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정류할 수 있다.
정류부(330)는 정류된 직류전력을 부하(400)에 전달하여, 부하(4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주파수 검출부(350), 인덕턴스 가변부(360), 주파수 매칭부(37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스위치는 수신 코일(310)의 일단을 주파수 매칭부(370)의 일단과 연결할 수 있고, 수신 코일(310)의 타단을 주파수 매칭부(330)의 타단과 연결할 수 있다. 도 7에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인덕턴스 가변부(360)에 포함된 스위치는 멤스(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멤스는 미세전자기계 시스템으로, 반도체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성립되는 마이크론(um)이나 mm크기의 초소형 정밀기계 제작기술을 말한다. 인덕턴스 가변부(360)에 포함된 멤스 스위치는 크기가 매우 작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이하에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 2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수신 코일(310)이 수신한 전력이 갖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를 동작시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이 수신하는 전력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이유는, 주파수의 매칭을 통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력의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으로, 이는 전자기파의 전송 시 사용되는 주파수와 인덕턴스 간의 관계식에서 확인될 수 있다. 즉, 주파수(f)와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L) 간의 관계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103959958-pat00001
주파수(f)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인덕턴스(L)가 작아져야 하며, 주파수(f)가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인덕턴스(L)가 커져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주파수(f)가 높아질수록 파장(h)이 짧아져(f=c/h) 상대적으로 작은 인덕턴스가 필요하고, 주파수(f)가 낮아질수록 파장(h)이 길어져 상대적으로 큰 인덕턴스가 필요하다.
인덕턴스 가변부(360)가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킨 후, 주파수 매칭부(370)는 가변된 인덕턴스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에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는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주파수 매칭부(37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의 주파수에 보다 정확한 매칭이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매칭부(370)는 수신 코일(310)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는 고정 또는 가변 커패시터 일 수 있고, 주파수 매칭부(370)로 가변 커패시터가 사용되는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제어부(미도시)는 인덕턴스 가변부(360)에서 가변된 인덕턴스에 따라 각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에 따라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함에 따라, 주파수 매칭부(37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의 주파수 대역에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을 정확히 매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특히,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따라 인덕턴스 가변부(360)의 동작을 통해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를 모두 커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경우,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경우,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110 내지 205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를 수신 코일(310)의 제3 단자(C)에 연결시킨다. 즉,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6.78MHz)보다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도 8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3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6.78M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2 단자(B)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을 수신 코일(310)의 제3 단자(C)에 연결시킨다. 즉,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도 9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4로 표시한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4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205 내지 300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를 수신 코일(310)의 제2 단자(B)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3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는 높고, 제3 주파수 대역보다는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과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와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 전송 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양하더라도 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어 사용자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구비한 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는 모바일 폰, MP3, 스마트 기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수신 코일의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시킨 예들을 살펴본다.
먼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수신 코일(310)이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경우,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코일이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 코일이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신 코일(310), 주파수 검출부(350), 인덕턴스 가변부(360), 주파수 매칭부(37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 코일(310)은 하나의 도선이 평면 나선 형태를 갖는 스파이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수신 코일(310)의 두께(T1)은 100um이고, 선폭(W1)은 600um이고, 선간 간격(S1)은 100um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0의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110 내지 205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을 수신 코일(310)의 제3 단자(C)에 연결시킨다. 즉,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도 10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3로 표시될 수 있고,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는 멤스 스위치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제공된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으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6.78M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2 단자(B)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을 수신 코일(310)의 제3 단자(C)에 연결시킨다. 즉, 제2 주파수 대역은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도 11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4로 가변될 수 있다. L4는 L3보다 작은 값이다.
즉,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코일(310)의 길이는 인덕턴스 가변부(360)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해 제2 단자(B)에서 시작하여 제3 단자(C)로 연결됨에 따라 짧아지고,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로부터 제2 단자(B)까지의 길이만큼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짧아져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4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는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는 개방된 상태로 놓여질 수도 있지만,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 스위치(365)를 통해 접지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3 스위치(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를 접지시키는 이유는 제2 단자(B)에서 제3 단자(C)로 루프가 형성된 수신 코일(310)과 제1 단자(A)에서 제2 단자(B)로 루프가 형성된 수신 코일(31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를 접지시켜 제2 단자(B)에서 제3 단자(C)로 루프가 형성된 수신 코일(310)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205 내지 300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를 수신 코일(310)의 제2 단자(B)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3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는 높고, 제3 주파수 대역보다는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과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와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수신 코일(310)이 헬리컬 구조를 갖는 경우,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신 코일(310), 주파수 검출부(350), 인덕턴스 가변부(360), 주파수 매칭부(37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은 하나의 도선이 입체 나선 형태를 갖는 헬리컬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헬리컬 구조를 갖는 수신 코일(310)의 두께(T2)는 100um이고, 선폭(W2)은 600um이고, 선간 간격(S2)은 100um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2의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110 내지 205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을 수신 코일(310)의 제3 단자(C)에 연결시킨다. 즉,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도 12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3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될 수 있다.
도 13의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6.78M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2 단자(B)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을 수신 코일(310)의 제3 단자(C)에 연결시킨다. 즉,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도 13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4로 가변될 수 있다. L4는 L3보다 작은 값이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4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는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는 개방된 상태로 놓여질 수도 있지만,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 스위치(365)를 통해 접지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3 스위치(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를 접지시키는 이유는 제2 단자(B)에서 제3 단자(C)로 루프가 형성된 수신 코일(310)과 제1 단자(A)에서 제2 단자(B)로 루프가 형성된 수신 코일(31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를 접지시켜 제2 단자(B)에서 제3 단자(C)로 루프가 형성된 수신 코일(310)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205 내지 300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제1 스위치(361)를 수신 코일(310)의 제1 단자(A)에 연결시키고, 제2 스위치(363)를 수신 코일(310)의 제2 단자(B)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3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는 높고, 제3 주파수 대역보다는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과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제1 스위치(361) 및 제2 스위치(36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와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덕턴스 가변부로 멤스 스위치를 사용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주파수 검출부(350), 인덕턴스 가변부(360), 주파수 매칭부(37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하나 이상의 멤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멤스 스위치는 낮은 삽입 손실과 높은 격리도(isolation) 특성을 갖고, 비용이 저렴하며, 크기가 매우 작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도 14에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SPST(Single Pole Single Throw) 타입을 갖는 3개의 멤스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타입 및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3개의 멤스 스위치 즉, 제1 멤스 스위치(366), 제2 멤스 스위치(367) 및 제3 멤스 스위치(368)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멤스 스위치는 전원 공급부(K), 게이트 단자(G), 소스 단자(S), 드레인 단자(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K)는 게이트 단자(G)와 연결될 수 있고, 소스 단자(S)는 수신 코일(310)의 일단자와 연결될 수 있고, 각 드레인 단자(D)는 주파수 매칭부(370)와 연결될 수 있다.
멤스 스위치는 전원 공급부(K)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로, 멤스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G)와 소스 단자(S)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턴 온 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즉, 멤스 스위치를 턴 온 시키고자 한다면, 게이트 단자(G)와 소스 단자(S) 사이에 5V를 인가하면 되고, 턴 오프 시키고자 한다면, 게이트 단자(G)와 소스 단자(S) 사이에 0V를 인가하면 된다. 여기서, 5V 및 0V는 예시에 불과하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110 내지 205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전원 공급부(K)를 통해 제1 멤스 스위치(366)를 턴 온 시키고, 제3 멤스 스위치(368)을 턴 온 시키고, 제2 멤스 스위치(367)를 턴 오프 시킬 수 있다. 즉,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6.78MHz)보다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각 멤스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3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6.78M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전원 공급부(K)를 통해 제1 멤스 스위치(366)를 턴 오프 시키고, 제2 멤스 스위치(367) 및 제3 멤스 스위치(368)를 턴 오프 시킬 수 있다. 즉,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6.78MHz)보다 크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각 멤스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L4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4로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검출부(350)에서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205 내지 300KHz)인 경우,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전원 공급부(K)를 통해 제1 멤스 스위치(366) 및 제2 멤스 스위치(367)를 턴 온 시키고, 제3 멤스 스위치(368)를 턴 오프 시킬 수 있다. 즉, 제3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는 높고, 제2 주파수 대역보다는 낮으므로,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과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각 멤스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L3와 L4 사이의 값을 갖도록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 6 내지 도 14의 내용에 결부시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수신 코일(31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수신하는 전력의 주파수 대역은 2가지 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KHz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6.78MHz일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검출부(35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한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는 인밴드 통신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검출부(350)는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인지를 확인한다(S105). 즉, 주파수 검출부(350)는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인지 제2 주파수 대역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인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적절한 인덕턴스를 갖도록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킨다(S107). 전자기 유도를 기반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기 때문에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를 늘려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10,1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매칭부(370)는 커패시터를 통해 증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조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시키고,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정류부(330)에 전달한다(S109).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정류부(330)는 매칭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정류하여 부하(400)에 전달한다(S111).
한편, 검출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으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는 검출된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판단한다(S113).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적절한 인덕턴스를 갖도록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S115).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기 때문에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수신 코일(310)의 길이를 줄여 인덕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11,1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매칭부(370)는 커패시터를 통해 감소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조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를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시키고,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정류부(330)에 전달한다(S117).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정류부(330)는 매칭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정류하여 부하(400)에 전달한다(S119).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 6 내지 도 14의 내용에 결부시켜 설명한다.
먼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S201). 즉,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매칭부(37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한, 설정된 인덕턴스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KHz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수신 코일(31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한다(S203). 일 실시 예에서 수신 코일(31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제2 송신 코일(220)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통해 무선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검출부(350)는 인밴드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력신호를 전송한다(S205). 인밴드 통신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스위치 및 저항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주파수 검출부(350)는 주기적으로 인밴드 통신을 통해 전력신호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신호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력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력 전송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요구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검출부(35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주기적으로 전력신호를 전송하면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정상적으로 전력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인지 즉, 전력 수신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207).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3번의 전력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정상적인 전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력 수신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전력 수신 상태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3번은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전력 수신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이 아닌 경우일 수 있다.
만약, 전력 수신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검출부(350)는 아웃오브밴드 통신 모듈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S209). 일 실시 예에서 주파수 검출부(350)에는 아웃오브밴드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오브밴드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편, 전력 수신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S201로 돌아간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검출부(350)는 아웃오브밴드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인지를 확인한다(S211). 즉,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아웃오브밴드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은 6.78MHz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하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감소되도록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킨다(S213). 이에 대해서는 도 9, 11, 13에 설명된 내용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매칭부(370)는 커패시터를 통해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보다 정확히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한다(S215).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정류부(330)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정류하여 부하(400)에 전달한다(S217).
한편,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주파수 검출부(35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판단한다(S219). 일 실시 예에서 제3 주파수 대역은 206 내지 300KHz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인덕턴스 가변부(36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을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하기 위해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감소되도록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킨다(S221). 이 경우, 가변된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는 단계 S201의 인덕턴스보다 작으나, 단계 S213의 인덕턴스보다는 크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11, 13에 설명된 내용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매칭부(370)는 커패시터를 통해 수신 코일(310)의 인덕턴스가 가변됨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주파수 대역이 보다 정확히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이 되도록 한다(S223).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정류부(330)는 제3 주파수 대역으로 매칭된 상태의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정류하여 부하(400)에 전달한다(S225).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은 Q 값이 상대적으로 낮고, 밀착된 커플링(tightly coupling)을 의미하고, 공진에 의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은 Q 값이 상대적으로 높고, 느슨한 커플링(loosely coupling)을 의미할 수 있다.
100: 전력 공급 장치
200: 무선전력 송신장치
210: 제1 송신 코일
220: 제2 송신 코일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
310: 수신 코일
330: 정류부
350: 주파수 검출부
360; 인덕턴스 가변부
370: 주파수 매칭부
400: 부하

Claims (26)

  1.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서,
    수신코일;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수신코일에 의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 수신 상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 수신 상태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수신코일에 의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무선전력 수신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KHz인 무선전력 수신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6.78MHz인 무선전력 수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 수신을 종료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덕턴스 가변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 되도록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턴스 가변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 되도록 상기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206KHz 내지 300KHz인 무선전력 수신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덕턴스 가변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 되도록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변경시키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4.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서의 무선전력수신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 수신 상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 수신 상태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인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서의 무선전력수신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무선전력수신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력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무선 전력 수신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110 내지 205KHz인 무선 전력 수신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6.78MHz인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 수신을 종료하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덕턴스 가변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매칭 되도록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덕턴스 가변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매칭 되도록 상기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206KHz 내지 300KHz인 무선 전력 수신 방법.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덕턴스 가변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 매칭 되도록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변경시키는 무선 전력 수신 방법.
KR1020120145814A 2012-12-13 2012-12-13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00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14A KR102008808B1 (ko) 2012-12-13 2012-12-13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5547838A JP6013619B2 (ja) 2012-12-13 2013-11-05 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3862509.0A EP2932578B9 (en) 2012-12-13 2013-11-05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65285.0A CN104871401B (zh) 2012-12-13 2013-11-05 无线电力接收器及控制无线电力接收器的方法
EP18176543.9A EP3407456A1 (en) 2012-12-13 2013-11-05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648,183 US10008881B2 (en) 2012-12-13 2013-11-05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variable frequ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9959 WO2014092339A1 (en) 2012-12-13 2013-11-05 Wir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710075181.8A CN106953421A (zh) 2012-12-13 2013-11-05 无线电力接收器及控制无线电力接收器的方法
TW102141011A TWI619325B (zh) 2012-12-13 2013-11-12 無線功率接收器的控制方法
JP2016184315A JP6298509B2 (ja) 2012-12-13 2016-09-21 無線電力受信方法
US16/004,065 US20180294669A1 (en) 2012-12-13 2018-06-08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14A KR102008808B1 (ko) 2012-12-13 2012-12-13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70A KR20140077070A (ko) 2014-06-23
KR102008808B1 true KR102008808B1 (ko) 2019-10-21

Family

ID=5093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8808B1 (ko) 2012-12-13 2012-12-13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08881B2 (ko)
EP (2) EP2932578B9 (ko)
JP (2) JP6013619B2 (ko)
KR (1) KR102008808B1 (ko)
CN (2) CN104871401B (ko)
TW (1) TWI619325B (ko)
WO (1) WO2014092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6566B2 (en) 2009-03-09 2022-10-18 Nucurrent, Inc. Multi-layer-multi-turn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communication
US9300147B2 (en) * 2011-06-29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voiding signal collis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KR102008808B1 (ko) * 2012-12-13 2019-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21285A (ko) * 2013-08-20 2015-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JP6395535B2 (ja) * 2014-03-31 2018-09-26 ローム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10044232B2 (en) 2014-04-04 2018-08-07 Apple Inc. Inductive power transfer using acoustic or haptic devices
US10135303B2 (en) * 2014-05-19 2018-11-20 Apple Inc. Operating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t multiple frequencies
US10084343B2 (en) * 2014-06-13 2018-09-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Frequency changing encoded resonant power transfer
US10566843B2 (en) * 2014-07-15 2020-02-18 Qorvo Us, Inc. Wireless charging circuit
KR101994741B1 (ko) * 2014-09-11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59970B2 (en) 2014-09-16 2020-02-11 Qorvo Us, Inc.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power control
JP6498438B2 (ja) * 2014-12-26 2019-04-10 ローム株式会社 受電制御回路、ワイヤレス受電装置の制御方法、電子機器
US9923387B2 (en) * 2015-01-09 2018-03-20 Mediatek Inc. Multi-mode wireless receiver apparatus and resonator circuit design
KR20160100755A (ko) * 2015-02-16 2016-08-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KR101810001B1 (ko) * 2015-05-26 2017-12-18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수신모듈
US10566839B2 (en) * 2015-06-30 2020-02-18 WiTricinity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ance and alignment between electric vehicles and wireless charging systems
US10855115B2 (en) * 2015-07-08 2020-12-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with dual-frequency operation
KR101659351B1 (ko) * 2015-07-14 2016-09-27 주식회사 서연전자 무선 충전 표준 감별 장치 및 방법
US10658847B2 (en) 2015-08-07 2020-05-19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063100B2 (en) 2015-08-07 2018-08-28 Nucurrent, Inc. Electrical system incorpor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636563B2 (en) 2015-08-07 2020-04-28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CN111681847B (zh) * 2015-08-07 2022-07-29 纽卡润特有限公司 具有导线宽度可变的多模式天线的设备
US11205848B2 (en) * 2015-08-07 2021-12-21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WO2017031348A1 (en) 2015-08-19 2017-02-23 Nucurrent, Inc.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KR102481953B1 (ko) * 2015-09-09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HK1253268A1 (zh) 2015-09-24 2019-06-14 苹果公司 可配置的無線發射器設備
US10790699B2 (en) 2015-09-24 2020-09-29 Apple Inc. Configurable wireless transmitter device
US10477741B1 (en) 2015-09-29 2019-11-12 Apple Inc. Communication enabled EMF shield enclosures
US10651685B1 (en) 2015-09-30 2020-05-12 Apple Inc. Selective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device
CN208589547U (zh) * 2016-01-13 2019-03-0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装置以及电子设备
GB2547450A (en) * 2016-02-18 2017-08-23 Nordic Semiconductor Asa Wireless charging
GB2547446A (en) * 2016-02-18 2017-08-23 Nordic Semiconductor Asa Wireless charging
CN107134649A (zh) * 2016-02-26 2017-09-05 苏州伊诺联客电子科技有限公司 线圈天线模组及其制作方法
JP6380441B2 (ja) * 2016-03-23 2018-08-29 Smk株式会社 アンテナ付き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US10734840B2 (en) 2016-08-26 2020-08-04 Apple Inc. Shared power converter for a wireless transmitter device
US20180062398A1 (en) 2016-08-26 2018-03-01 Nucurrent, Inc. Wireless Connector Transmitter Module Circuit
WO2018056101A1 (ja) * 2016-09-26 2018-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424969B2 (en) 2016-12-09 2019-09-24 Nucurrent, Inc. Substrate configured to facilitate through-metal energy transfer via near field magnetic coupling
US10594160B2 (en) 2017-01-11 2020-03-17 Apple Inc. Noise mitig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JP7037276B2 (ja) * 2017-02-08 2022-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02547B2 (en) 2017-02-13 2022-11-15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with transmitting antenna having magnetic field shielding panes
KR101871772B1 (ko) * 2017-04-17 2018-06-28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고전력 고전압의 무선전력전송 수신기
JP7073048B2 (ja) * 2017-04-28 202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152151B2 (en) 2017-05-26 2021-10-19 Nucurrent, Inc. Crossover coil structure for wireless transmission
KR20190063930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CN111566894B (zh) * 2018-05-25 2023-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接收装置及移动终端
AU2018424390B2 (en) 2018-05-25 2021-09-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499554B1 (ko) * 2018-12-03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US11469622B2 (en) * 2019-07-17 2022-10-11 Solace Power Inc. Multi-phase wireless electric field power transfer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US11271430B2 (en) 2019-07-19 2022-03-0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extended wireless charging range
US11227712B2 (en) 2019-07-19 2022-01-18 Nucurrent, Inc. Preemptive thermal mitig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US11159056B2 (en) * 2019-09-12 2021-10-26 Spark Connected LLC Wireless power receiver circuit and method
US11056922B1 (en) 2020-01-03 2021-07-06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TWI728652B (zh) * 2020-01-15 2021-05-21 大陸商東莞寶德電子有限公司 無線充電滑鼠及其充電方法
CN115699513A (zh) * 2020-04-30 2023-02-03 努卡任特股份有限公司 用于在扩展间隔距离处传送功率的无线功率发射器和相关联基站
US11310934B2 (en) 2020-04-30 2022-04-19 Nucurrent, Inc. Multi-channel cooling for extended distance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239709B2 (en) 2020-04-30 2022-02-01 Nucurrent, Inc. Operating frequency based power level altering in extended range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482890B2 (en) 2020-04-30 2022-10-25 Nucurrent, Inc. Surface mountab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ssion at extended range
CN111431259B (zh) * 2020-04-30 2021-11-23 中兴新能源汽车有限责任公司 无线充电的启动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476722B2 (en) 2020-04-30 2022-10-18 Nucurrent, Inc. Precision power level control for extended range wireless power transfer
US11283303B2 (en) 2020-07-24 2022-03-22 Nucurrent, Inc. Area-apportioned wireless power antenna for maximized charging volume
US20220052565A1 (en) * 2020-08-15 2022-02-17 Aira, Inc. Resonant Reflection Device Detection
US11876386B2 (en) 2020-12-22 2024-01-16 Nucurrent, Inc.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in large charging volume applications
US11881716B2 (en) 2020-12-22 2024-01-23 Nucurrent, Inc. Ruggedized communic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in multi-device environments
US11387674B1 (en) 2020-12-23 2022-07-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tilizing concave shielding
US11637459B2 (en) 2020-12-23 2023-04-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tilizing T-Core shielding
US11387684B1 (en) 2020-12-23 2022-07-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S11757311B2 (en) 2020-12-23 2023-09-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S11476711B2 (en) 2020-12-23 2022-10-1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hrough-structure charging
US11695302B2 (en) 2021-02-01 2023-07-04 Nucurrent, Inc. Segmented shielding for wide are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220247217A1 (en) * 2021-02-02 2022-08-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Power Over Varying Horizontal Position
WO2022177861A1 (en) * 2021-02-19 2022-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transfer disablement switch in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US11791667B2 (en) 2021-04-30 2023-10-17 Nucurrent, Inc. Power capability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sed on receiver power request
US11482891B1 (en) 2021-04-20 2022-10-25 Nucurrent, Inc. Timing verification in precis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1942799B2 (en) 2021-04-30 2024-03-26 Nucurrent, Inc. False notification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532956B2 (en) 2021-04-30 2022-12-20 Nucurrent, Inc. Power capability detection with verification load in power level control system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1539247B2 (en) 2021-04-30 2022-12-27 Nucurrent, Inc. Power capability detection in precis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751855B1 (ko) * 2021-04-30 2025-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220149295A (ko) * 2021-04-30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식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14755753U (zh) * 2021-05-13 2021-11-16 宁波微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
US12132325B2 (en) 2021-10-12 2024-10-29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th removable magnetic connector panel
US11637448B1 (en) 2021-10-12 2023-04-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th removable magnetic connector panel for vehicular use
US11967830B2 (en) 2021-10-12 2024-04-23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with magnetic connectors
US11831174B2 (en) 2022-03-01 2023-11-28 Nucurrent, Inc.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in du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2003116B2 (en) 2022-03-01 2024-06-04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imultaneous transfer to multiple devices with cross talk and interference mitig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4542A1 (en) * 2008-04-15 2009-12-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Wireless energy transfer device
US20120235636A1 (en) * 2011-01-18 2012-09-20 Afshin Partovi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54559A1 (en) * 1996-09-13 1998-11-1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ic car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ic card
JP3392016B2 (ja) * 1996-09-13 2003-03-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伝送システム並びに電力伝送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DE19837675A1 (de) * 1998-08-19 2000-02-24 Nokia Technology Gmbh Ladevorrichtung für Akkumulatoren in einem mobilen elektrischen Gerät mit induktiver Energieübertragung
US7522878B2 (en) 1999-06-21 2009-04-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with communication
US6184651B1 (en) * 2000-03-20 2001-02-06 Motorola, Inc. Contactless battery charger with wireless control link
US7460001B2 (en) * 2003-09-25 2008-12-0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inductor for integrated circuit and printed circuit board
US8405467B2 (en) 2007-11-27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ductor tuning in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US20090160261A1 (en) * 2007-12-19 2009-06-25 Nokia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JP2009205050A (ja) 2008-02-29 2009-09-1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
JP4987775B2 (ja) * 2008-03-27 2012-07-25 株式会社東芝 無線被給電端末、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911148B2 (ja) 2008-09-02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5258521B2 (ja) 2008-11-14 2013-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US8842410B2 (en) * 2009-08-31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Switchable inductor network
JP5580333B2 (ja) * 2009-11-18 2014-08-27 株式会社東芝 無線電力伝送装置
US8373388B2 (en) * 2009-12-11 2013-02-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rtable device and battery charging method thereof
JP5463932B2 (ja) * 2010-01-26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184503B1 (ko) * 2010-08-13 2012-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전송 방법
JP5693148B2 (ja) 2010-10-29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735558B1 (ko) * 2010-11-10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공진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153179B1 (ko) * 2010-12-20 2012-06-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진 주파수 선택 기반 무선충전 방법 및 장치
US9077192B2 (en) 2010-12-29 2015-07-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mitter and receiver tuning in a wireless charging system
JP5677875B2 (ja) * 2011-03-16 2015-02-2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5490046B2 (ja) * 2011-03-22 2014-05-14 株式会社東芝 伝送装置
KR101859191B1 (ko) 2011-03-23 2018-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US9419685B2 (en) * 2011-04-15 2016-08-16 Nec Corporation Transmitter, receiver,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094055B2 (en) * 2011-04-19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tter tuning
US9444289B2 (en) * 2011-09-09 2016-09-1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system and resonant frequency changing method thereof
KR101349551B1 (ko) * 2011-11-02 2014-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5229895A (zh) * 2012-10-11 2016-01-06 鲍尔马特技术有限公司 感应功率传输系统和用于同时传输数字消息的方法
KR102008808B1 (ko) * 2012-12-13 2019-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4542A1 (en) * 2008-04-15 2009-12-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Wireless energy transfer device
US20120235636A1 (en) * 2011-01-18 2012-09-20 Afshin Partovi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2578B9 (en) 2019-01-02
CN104871401B (zh) 2017-11-10
JP2016504902A (ja) 2016-02-12
US10008881B2 (en) 2018-06-26
CN106953421A (zh) 2017-07-14
EP2932578B1 (en) 2018-07-25
EP2932578A4 (en) 2016-07-20
CN104871401A (zh) 2015-08-26
TW201433039A (zh) 2014-08-16
EP2932578A1 (en) 2015-10-21
US20150318710A1 (en) 2015-11-05
KR20140077070A (ko) 2014-06-23
TWI619325B (zh) 2018-03-21
US20180294669A1 (en) 2018-10-11
WO2014092339A1 (en) 2014-06-19
EP3407456A1 (en) 2018-11-28
JP6298509B2 (ja) 2018-03-20
JP6013619B2 (ja) 2016-10-25
JP2017017992A (ja)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808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597782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thereof
EP2667328B1 (en)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P2843801B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EP2637317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wirelessly receiving power
US994174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EP2754225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535003B2 (ja) 無線電力受信装置
KR101976625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