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721B1 -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 Google Patents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721B1 KR102007721B1 KR1020170140735A KR20170140735A KR102007721B1 KR 102007721 B1 KR102007721 B1 KR 102007721B1 KR 1020170140735 A KR1020170140735 A KR 1020170140735A KR 20170140735 A KR20170140735 A KR 20170140735A KR 102007721 B1 KR102007721 B1 KR 102007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support
- unit
- wheel
- mounting
- carr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완성된 차량용 휠지지체(예를 들어, 차량용 휠 캐리어 등)의 양품 및 불량품 검사작업 및/또는 선별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휠지지체를 양품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여 자동 반출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로서, 휠지지체의 측정유닛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가 대기하는 안착부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반출유닛과;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support dispens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wheel support dispensing apparatus for quickly and easily inspecting and / or sorting a good and defective product of a completed vehicle wheel support (for example, a wheel carrier for a vehicle). It is abou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 support dispen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orting the wheel sup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good quality test results, the vehicle wheel support transported through the gripper transfer unit from the measurement unit of the wheel support A seating portion waiting; A first carrying-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wheel to be inspected from the seating part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wheel to be inspected is a good product; And a second carry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inspected wheel support from the seat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wheel support to be inspected is a defectiv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완성된 차량용 휠지지체(예를 들어, 차량용 휠 캐리어 등)의 양품 및 불량품 검사작업 및/또는 선별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support dispens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wheel support dispensing apparatus for quickly and easily inspecting and / or sorting a good and defective product of a completed vehicle wheel support (for example, a wheel carrier for a vehic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용 휠지지체는 차체의 중량을 차량용 휠에 전달하면서 동시에 차량와 차량용 휠을 연결하는 부품이다.In general, a wheel support for a vehicle is a part that transmit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to the vehicle wheel and at the same time connects the vehicle and the vehicle wheel.
이러한 차량용 휠지지체는 차량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며,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지지체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02606호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wheel support for a vehicle constitutes a part of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and the content of the wheel suppor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2606.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에는 허브베어링, 어퍼암, 로워암, 어시스트암, 캘리퍼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장착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장착부에는 각 주변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여러 장착공이 마련된다.The wheel support for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parts for mounting the hub bearing, the upper arm, the lower arm, the assist arm, the caliper, and the like, and the plurality of mounting parts are provided with various mounting holes for connection with each peripheral part.
즉,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는 여러 장착공들이 마련된다.That is, the vehicle wheel support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mounting holes.
차량용 휠지지체의 성형이 완료되어 완성품이 제조되고 난 후, 이러한 여러 장착공들이 상품화 제품 규격에 맞게 성형 및/또는 제조되었는지 양품/불량품 검사작업이 실행된다.After the molding of the wheel support for the vehicle is completed and the finished product is manufactured, a good / defectiv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various mounting holes are molded and / or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ommercialized product specification.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지지체의 양품 검사작업 및/또는 검사장치는 검사작업자가 차량용 휠지지체의 각 장착부(즉, 각 부위)를 일일이 치수 측정을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검사작업자가 검사완료 후 양품 휠지지체를 다음 공정으로 일일이 손수 옮겨야 하고, 불량 휠지지체 또한 폐기물 보관함으로 일일이 손수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The inspection and / or inspection device of the wheel suppor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only inconvenient that the inspector measures dimensions of each mounting portion (ie, each part) of the wheel support for the vehicle, but also the inspector inspects it. After completion, the wheel wheels have to be manually moved to the next process, and the wheel wheels have to be manually moved to the waste storage.
이로 인해, 종래기술은 휠지지체의 양품 및 불량품 검사작업 및/또는 선별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For this reason, the prior art has been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very low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pect and / or sorting the good and defective products of the wheel suppo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차량용 휠지지체(예를 들어, 차량용 휠 캐리어 등)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단한 후 선별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 support dispensing apparatus that enables to carry out sorting after quickly and easily determining whether a completed vehicle wheel support (for example, a wheel carrier for a vehicle) is good or defectiv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휠지지체를 양품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여 자동 반출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로서, 휠지지체의 측정유닛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가 대기하는 안착부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반출유닛과;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 support dispensing apparatus for selecting and automatically carrying out a wheel sup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goods inspection, measuring unit of the wheel support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wheel support for the vehicle transferred through the gripped transfer unit from the stand-by; A first carrying-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wheel to be inspected from the seating part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wheel to be inspected is a good product; And a second carry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inspected wheel support from the seat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wheel support to be inspected is a defective produc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에서 반출되기 전까지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jig unit for preventing the wheel support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seating position until the wheel support is carried out from the se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그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ji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jig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Dog ji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장착공과; 상기 휠지지체의 캘리퍼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공;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plurality of jig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ounting hol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반출유닛은 2개의 휠지지체에 대해 자동 반출하도록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arrying out uni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configuration so as to automatically carry out for the two wheel suppo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및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지지축과; 상기 승강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carrying out unit comprises: a lifting support shaft moving up and down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And a first gripping arm connected to the lifting support shaft and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지암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암과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파지암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gripping arm comprises: at least one fixed gripp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r more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And at least one movable gripping portion provided to face the at least one fixed gripping arm, the at least one moving gripping portion being configured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gripping arm.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파지부는 원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하단부는 자유단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xed gripping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fixed gripp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configured to decrease toward the free en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제1 파지암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암과; 상기 제1 파지암 및 상기 제2 파지암을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carrying unit comprises: a second gripping arm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at a right angle to the first gripping arm; And a rotatable part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arm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반출유닛은, 상기 지그유닛이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서 하강한 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휠지지체의 후방부분을 밀어 상기 휠지지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에 의한 휠지지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second carrying unit, the jig unit is lower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to push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o carry out the wheel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A sliding plate member configured; And a roller assembly to assis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support by the sliding plate member.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착부, 제1 반출유닛 및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휠지지체의 양품여부검사결과에 따라 휠지지체를 제1 방향(즉, 다음 공정) 및/또는 제2 방향(즉, 불량품 저장부)으로 자동 선별하여 자동 반출할 수 있어 양품검사작업의 속도 및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the first carrying out unit and the second carrying out unit, the wheel support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next step)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good or bad inspection of the wheel support; And / or may be automatically sorted out in the second direction (i.e., the defective part storage) and automatically taken out,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goods inspection opera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기술처럼 검사작업자가 검사완료된 휠지지체를 수작업으로 옮길 필요 없이, 검사완료된 휠지지체를 그 검사결과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자동반출하므로, 양품 검사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need for the inspection worker to manually carry out the inspection of the completed wheel support, as in the prior art, because the automatic removal of the inspected wheel suppor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st piece.
또한, 본 발명은 지그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휠지지체가 파지형 이송유닛에서 안착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안착부의 정위치에 안착되로록 하고, 동시에 이후 상기 휠지지체가 안착부에서 반출유닛들로 반출될 때에도 정위치에서 반출되도록 할 수 있어, 휠지지체를 이송하고 이송받는 과정에서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ig unit, so that the wheel support is seated at the seating posi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gripped transfer unit to the seat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wheel support is carried out from the seating to the carrying out unit Even when it is possible to be taken out from the home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ation from the home position of the seat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receiving the wheel support.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휠지지체의 이송 및 반출과정이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휠지지체의 정자세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휠지지체의 이송 및 반출과정의 안정성을 신뢰도 높게 확보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transport posture and the transport of the wheel support in the normal position of the wheel support in the seat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a high reliability of the transport and transport process of the wheel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제1 반출유닛이 제1 파지암 및 제2 파지암 그리고 회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반출유닛으로 두 개의 휠지지체를 동시에 제1 방향으로 반출할 수 있어 반출효율 및 반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arrying out unit includes a first holding arm, a second holding arm and a rotating unit, so that two wheel supports can be simultaneously taken out in the first direction by one carrying out unit, and thus the carrying out efficiency and It can improve the unloading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휠지지체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출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출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heel suppor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heel suppor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support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chematic perspective, front and side views of the first carrying out uni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carrying 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to be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휠지지체(1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휠지지체(100)는, 전륜 현가장치의 일 부품인 너클(knuckle)과, 후륜 현자장치의 일 부품인 캐리어(carrier)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차량용 휠지지체(100)가 캐리어인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larity,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case in which the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100)는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와, 어퍼암 장착부(120), 로워암 장착부(130), 어시스트암 장착부(140), 트레일링암 장착부(150), 링크 장착부(160) 및 캘리퍼 장착부(170)를 포함하고, 각 장착부는 주로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100)의 본체(즉,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에서부터 각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는 허브베어링(미도시)이 장착 및/또는 수용되는 중앙 장착공(111)과, 그 주변을 둘러싸는 웹(web)으로 구성된다. The hub bearing
상기 웹(web)에는 허브베어링의 플렌지에 구비된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는 제1 장착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공(112)은 허브베어링 및/또는 허브베어링의 플렌지를 3점 지지 또는 4점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마련된다. The web (web) is formed with a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상부에는 어퍼암 장착부(120)가 마련된다. The upper
상기 어퍼암 장착부(120)는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제2 어퍼암 장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상기 제2 어퍼암 장착부(120)는 대향되게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upper
상기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상기 제2 어퍼암 장착부(120) 각각은 어퍼암의 장착을 위한 제2 장착공(12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장착공(121)들은 서로 일직선 상에 정렬되게 형성된다.Each of the first upper
상기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상기 제2 어퍼암 장착부(120)는 어퍼암(미도시)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upper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장착공(121)에는 어퍼암 힌지핀(미도시)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To this end, an upper arm hinge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하부에는 로워암 장착부(130)가 마련된다.The lower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는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lower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는 로워암 힌지핀을 수용하는 중공 원통형태의 제3 장착공(131)을 포함한다.The lower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어시스트암 장착부(140)가 마련된다.An assist
어시스트암 장착부(140)는 어시스트암(미도시)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어시스트암 장착부(140)는 어시스트암의 장착을 위해 중공 원통형태의 제4 장착공(141)을 포함한다.The assist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일측에는 트레일링암 장착부(150)가 형성된다.A trailing
상기 트레일링암 장착부(150)에는 트레일링암(미도시)이 다점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5 장착공(151)이 마련된다.The trailing
상기 트레일링암 장착부(150)와 상기 어퍼암 장착부(120) 사이에는 링크 장착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장착부(160)는 링크의 장착을 위한 제6 장착공(161)이 마련된다.The link mounting unit 160 is provided between the trailing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타측에는 캘리퍼 장착부(170)가 형성된다.The other side of the hub
상기 캘리퍼 장착부(170)는 캘리퍼(미도시)의 플렌지에 구비되는 볼트 등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7 장착공(171)이 구비된다.The
상기 장착공들 사이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중앙 장착공(111) 및 제1 장착공(112), 상기 트레일링암 장착부(150)의 제5 장착공(151), 상기 링크 장착부(160)의 제6 장착공(161), 상기 캘리퍼 장착부(170)의 제7 장착공(171)은 동일한 제1 평면 또는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또는 거의 평행한 평면 상에 형성된다.Looking 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unting holes, the
그리고, 상기 어퍼암 장착부(120)의 제2 장착공(121)들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장착공(121)들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꼬인 위치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ounting
또한,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의 제3 장착공(131)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꼬인 위치 또는 수직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어시스트암 장착부(140)의 제4 장착공(141)도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꼬인 위치 또는 수직 위치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moun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1000)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hee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hee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1000)은, 측정유닛(1100)과, 파지형 이송유닛(1200)과, 검사작업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300)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00)와,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와, 전술한 모든 부품 및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wheel
상기 측정유닛(1100)은 제1 측정부(1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1110)는 휠지지체(100)에 포함되는 중앙 장착공(111)의 내경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100)은 제2 측정부(11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1120)는상기 휠지지체(100)의 전체 높이, 및/또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각 구성(즉, 각 장착부)의 높이 및/또는 단차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은 로봇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측정유닛(1100)에서 측정이 완료된 휠지지체(100)를 파지한 후,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즉, 안착부(15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gripped
상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이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의 안착부(1520)에서 상기 휠지지체(100)에 대해 파지해제할 때, 상기 휠지지체(100)의 자세나 위치가 파지상태 대비 변화될 수 있다.When the gripped
즉, 상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의 파지해제과정에서 휠지지체(100)가 안착부(1520)의 정위치에서 벗어날 상태에서 안착부(1520)에 안착될 우려가 있다.That is, the
그러나, 이러한 우려(즉, 안착부(1520) 정위치 이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유닛(153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However, such a concern (that is, deviation from the seating position 1520) can be prevented by the
상기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는 후술하겠지만 제어신호 관점에서 지그유닛(1530), 센싱부, 제1 반출유닛(1540) 및 제2 반출유닛(1550)을 포함한다. The wheel
상기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더 구처젝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whee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출유닛(154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출유닛(1550)의 작동상태(즉, 제2 반출유닛(1550)을 통한 반출과정)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heel
도 3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는 상기 측정유닛(1100) 및/또는 상기 제어부(1600)의 양품 검사결과에 따라 휠지지체(100)를 선별하여 자동 반출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5C, the wheel
구체적으로, 상기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는, 프레임부(1510)와,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와, 지그유닛(1530)과, 제1 반출유닛(1540)과, 제2 반출유닛(1550)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wheel
상기 프레임부(1510)는 전체적으로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와, 지그유닛(1530)과, 제2 반출유닛(15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510)와, 상기 안착부(1520)와, 상기 제2 반출유닛(1550)(및 후술할 롤러조립체)은, 2개의 휠지지체(100)에 대해 자동 반출하도록 좌우 대칭되게 구성된다.Here, the
상기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는 상기 측정유닛(1100)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100)가 대기하는 부분으로서 평편한 판형 또는 블록형 부재이다.The
상기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휠지지체(100)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상기 관통공은 후술할 지그유닛(1530)의 지그들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이다.The through hole is a path through which jigs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휠지지체(100)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의 제1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개의 제1 관통공(1521)과, 상기 캘리퍼 장착부에 구비되는 2개의 제7 장착공(171) 중 하나의 제7 장착공(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1개의 제2 관통공(1522)과, 상기 2개의 제7 장착공(171)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제7 장착공(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1개의 제3-1 관통공(1523)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include two first through
여기서, 상기 제3-1 관통공(1523)은 후술할 제2 반출유닛(1550)의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에 형성되는 제3-2 관통공(1553)과 상하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3-1 through
상기 지그유닛(1530)은, 상기 휠지지체(100)가 상기 안착부(1520)에서 반출되기 전까지 상기 휠지지체(100)가 상기 안착부(1520)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유닛(1530)은 다수 개의 지그와, 상기 다수 개의 지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jigs ar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지그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의 바형 부재로 구성되며, 하강시에는 상기 안착부(1520)의 상부면에서 전혀 돌출되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하고, 상승시에는 상기 안착부(1520)의 상부면으로부터 각 대응되는 장착공에 삽입되게 돌출되도록 위치한다.To this end, the jig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ar-shaped member as a whole, is located at the bottom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복수 개의 지그는 상기 안착부(15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jig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520).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장착공과; 상기 휠지지체(100)의 캘리퍼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공;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jig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하나의 휠지지체(100)를 기준으로, 2개의 제1 지그(1531)와, 1개의 제2 지그(1532)와, 1개의 제3 지그(1533)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jigs include two
여기서, 상기 2개의 제1 지그(1531)는 상기 제1 관통공 2개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520)에서 상기 2개의 제1 관통공(1521)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two first jig (153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wo first through holes, so as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two first through holes (1521) in the seating portion (1520). It is composed.
그리고, 상기 1개의 제2 지그(1532)는 상기 제2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520)에서 상기 제2 관통공(1522)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1개의 제3 지그(1533)는 상기 제3-1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520)에서 상기 제3-1 관통공(1523) 및 상기 제3-2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ne
그리고, 상기 제1 반출유닛(1540)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를 상기 안착부(152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반출유닛(1550)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를 상기 안착부(1520)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carrying ou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출유닛(1540)은, 승강 지지축(1541)과, 회동부(1542)와, 제1 파지암(1544)과 제2 파지암(1544)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carrying out
상기 승강 지지축(1541)은 상기 안착부(1520)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및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lifting
상기 승강 지지축(154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2축 또는 3축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The lifting
상기 회동부(1542)는 상기 제1 파지암(1544)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을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지암(1544)의 파지암 지지축(1543)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의 파지암 지지축(1543)에 연결된다.The
상기 제1 파지암(1544)과 상기 제2 파지암(1544)은 상기 회동부(1542)를 통하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상기 제1 파지암(1544)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은 상기 휠지지체(10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지암(1544)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은 상기 회동부(1542)에 연결되는 파지암 지지축(1543)과, 상기 파지암 지지축(1543)에 연장되는 판형 또는 블록형 지지부(154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1547)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1546)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1547)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The at least one fixed gripping
이렇게, 고정 파지부(1547)를 포함함으로써, 파지부를 모두 이동 파지부(1546)로 구성하는 것에 비해 현저히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의 복잡성을 단순화시켜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by including the fixed gripping
상기 고정 파지부(1547)는 상기 파지암(1544)이 상기 휠지지체(100)를 파지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fixed
또한, 상기 고정 파지부(1547)는 원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1547)의 하단부는 자유단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xed gripping
이로 인해, 상기 고정 파지부(1547)가 파지암(1544)의 파지를 위하여 해당 장착공에 삽입될 때 장착공 모서리와의 충돌없이 장착공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fixed gripp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1547)는 휠지지체(100)에 포함되는 캘리퍼 장착부의 (2개의) 제7 장착공(171) 및/또는 트레일링암 장착부의 (3개의) 제5 장착공(151)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fixed gripping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1546)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암(1544)과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파지암(1544)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at least one moving
그리고, 상기 제2 반출유닛(1550)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를 상기 안착부(1520)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반출유닛(1550)은, 슬라이딩 판형부재와, 롤러 조립체(1554)와, 센싱부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는, 상기 지그유닛(1530)이 상기 안착부(1520)의 상부면에서 하강한 후 상기 안착부(1520)에 안착된 휠지지체(100)의 후방부분을 밀어 상기 휠지지체(100)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출하도록 구성된다.The sliding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에는, 제3-2 관통공(1553)이 형성된다.Here, the third through
즉,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는 지그들이 안착부(1520)의 하부로 하강한 후 안착부(1520)에 안착된 (모두 불량인 경우) 2개의 휠지지체(100)의 후방 측면을 밀어 제2 방향으로(즉, 롤러 조립체(1554) 방향으로) 불량인 휠지지체(100)를 선별 반출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5a to 5c, the sliding plate member (1551) is jig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는, 미는 힘을 잘 수용하기 위한 평평한 후방부와, 2개의 휠지지체(100)의 후방 측면의 곡면에 유사하게 또는 대응되게 2개의 오목홈(1552)이 형성된 전방부를 포함한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sliding plate-shaped
상기 롤러 조립체(1554)는 복수 개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에 의한 휠지지체(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프레임부(1510)에는, 상기 롤러 조립체(1554)의 중간영역에 센싱부(1555)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상기 센싱부(1555)는 불량으로 판단되어 제2 반출유닛(1550)에 의해 반출되는 휠지지체(100)의 수량을 체크하도록 구성된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is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100 : 차량용 휠지지체
110 : 허브베어링 장착부
111 : 중앙 장착공
112 : 제1 장착공
120 : 어퍼암 장착부
121 : 제2 장착공
130 : 로워암 장착부
131 : 제3 장착공
140 : 어시스트암 장착부
141 : 제4 장착공
150 : 트레일링암 장착부
151 : 제5 장착공
160 : 링크 장착부
161 : 제6 장착공
170 : 캘리퍼 장착부
171 : 제7 장착공
1000 : 검사시스템
1100 : 측정유닛
1110 : 제1 측정부
1120 : 제2 측정부
1200 : 파지형 이송유닛
1300 : 입력부
1400 : 메모리부
1500 : 휠지지체 반출장치
1510 : 프레임부
1520 : 휠지지체 안착부
1521 : 제1 관통공
1522 : 제2 관통공
1523 : 제3-1 관통공
1530 : 지그유닛
1531 : 제1 지그
1532 : 제2 지그
1533 : 제3 지그
1540 : 제1 반출유닛
1541 : 승강 지지축
1542 : 회동부
1543 : 파지암 지지축
1544 : 파지암
1545 : 지지부
1546 : 이동 파지부
1547 : 고정 파지부
1550 : 제2 반출유닛
1551 : 슬라이딩형 판형부재
1552 : 오목홈
1553 : 제3-2 관통공
1554 : 롤러조립체
1555 : 센싱부
1600 : 제어부100: vehicle wheel support
110: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1: center mounting hole
112: first mounting hole
120: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1: the second mounting hole
130: lower arm mounting portion
131: third mounting hole
140: assist arm mounting portion
141: fourth mounting hole
150: trailing arm mounting portion
151: fifth mounting hole
160: link mounting portion
161: 6th mounting hole
170: caliper mounting portion
171: 7th mounting hole
1000: Inspection System
1100: measuring unit
1110: first measuring unit
1120: second measuring unit
1200: Gripping Transfer Unit
1300: input unit
1400: memory
1500: wheel support device
1510: frame portion
1520: wheel support seat
1521: first through hole
1522: second through hole
1523: 3-1 through hole
1530: Jig Unit
1531: first jig
1532: second jig
1533: third jig
1540: first export unit
1541 lifting support shaft
1542: rotating part
1543: grip arm support shaft
1544: phage cancer
1545 support
1546: moving grip
1547: fixed grip
1550: second export unit
1551: sliding plate member
1552: recessed groove
1553: 3-2 through hole
1554: Roller Assembly
1555: sensing unit
1600: control unit
Claims (10)
휠지지체의 측정유닛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가 대기하는 안착부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반출유닛과;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및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지지축과;
상기 승강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암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암과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파지암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A wheel support dispensing device for sort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a wheel sup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parts according to a good quality inspection result,
A seating unit on which the wheel support for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measuring unit of the wheel support through the gripped transfer unit is waiting;
A first carrying-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wheel to be inspected from the seating part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wheel to be inspected is a good product;
And a second carrying 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wheel to be inspected from the seat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wheel to be inspected is a defective product.
The first carrying out unit,
A lifting support shaft which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And a first gripping arm connected to the lifting support shaft and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The first gripping arm,
At least one fixed gripp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mounting hole among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And at least one moving gripping part provided to face the at least one fixed gripping arm, the at least one moving gripping part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lly with respect to the fixed gripping arm.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에서 반출되기 전까지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그유닛;을 더 포함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jig unit for preventing the wheel support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seating position until the wheel support is removed from the seating portion.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그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ji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jig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And the plurality of jigs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장착공과;
상기 휠지지체의 캘리퍼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공;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jig,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Wheel support take-o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of the mounting holes.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반출유닛은 2개의 휠지지체에 대해 자동 반출하도록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arrying unit are symmetrically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arry out the two wheel supports.
상기 고정 파지부는 원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하단부는 자유단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gripping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ed gripping portion wheel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duce the diameter toward the free end.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제1 파지암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암과;
상기 제1 파지암 및 상기 제2 파지암을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arrying out unit,
A second gripping arm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at a right angle to the first gripping arm;
And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arm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제2 반출유닛은,
상기 지그유닛이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서 하강한 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휠지지체의 후방부분을 밀어 상기 휠지지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에 의한 휠지지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arrying unit,
A sliding plate member configured to carry out the wheel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by pushing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fter the jig unit desc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roller assembly for assis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support by the sliding plate-shaped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0735A KR102007721B1 (en) | 2017-10-27 | 2017-10-27 |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0735A KR102007721B1 (en) | 2017-10-27 | 2017-10-27 |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7181A KR20190047181A (en) | 2019-05-08 |
KR102007721B1 true KR102007721B1 (en) | 2019-08-07 |
Family
ID=6658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0735A Active KR102007721B1 (en) | 2017-10-27 | 2017-10-27 |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72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3324A (en) * | 2008-12-23 | 2012-06-14 | ハンミ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Mold tablet sorting and feeding device |
JP2012193001A (en) * | 2011-03-15 | 2012-10-11 | Anritsu Sanki System Co Ltd | Sorting device |
KR101333167B1 (en) * | 2012-05-25 | 2013-11-2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assembling bearing module of linear motion system |
-
2017
- 2017-10-27 KR KR1020170140735A patent/KR1020077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3324A (en) * | 2008-12-23 | 2012-06-14 | ハンミ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Mold tablet sorting and feeding device |
JP2012193001A (en) * | 2011-03-15 | 2012-10-11 | Anritsu Sanki System Co Ltd | Sorting device |
KR101333167B1 (en) * | 2012-05-25 | 2013-11-2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assembling bearing module of linear mo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7181A (en) | 2019-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622396B (en) | Automatic double-parameter detection device for outer diameter and center thickness of lens | |
CN102019565B (en) | For the manufacture of quality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for parts | |
KR101313338B1 (en) | Laser Cutting Automation System | |
CN209363050U (en) | The thick two-parameter automatic detection device of a kind of lens outer diameter and center | |
US6196372B1 (en) | Body handling and assembly system | |
KR101131041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a rod assmbly of the shock absorber | |
KR20010062433A (en) | Processing plant with device for holding and centering bodies in processing stations | |
CN112041112A (en) | Assembly welding or splicing production line for automobile body-in-white components | |
KR101328430B1 (en) | Automatic assemblying apparatus of snap pin | |
GB2208498A (en) | Assembling parts to vehicle undersides | |
CN107263507A (en) | A kind of automobile sensor robot automatic loading/unloading work station | |
KR102007721B1 (en) |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 |
US20030000413A1 (en) | Suspension conveyance system | |
CN115593832A (en) | Intelligent production line for unmanned environment operation | |
KR101131042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a piston valve of the shock absorber | |
CN119346450A (en) | Cell sorting and thickness measuring equipment and battery production line | |
KR102379028B1 (en) | Shaft inspection equipment | |
JP5896727B2 (en) | Rim stock equipment for tires | |
CN218784995U (en) | Sorting apparatus | |
CN115825069B (en) | Square piece surface detection equipment | |
CN117110332A (en) | Material on-line detection control method | |
CN219560509U (en) | Transition plate for cylinder sorting device | |
KR102178948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amd inspecting turbine support plate | |
CN110715676B (en) | Detection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 |
CN108580328B (en) | Vacuum tank detecting and sor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