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704B1 -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with function controliing fine dust and function blocking fine dust using air knif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with function controliing fine dust and function blocking fine dust using air knif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704B1 KR102007704B1 KR1020180153729A KR20180153729A KR102007704B1 KR 102007704 B1 KR102007704 B1 KR 102007704B1 KR 1020180153729 A KR1020180153729 A KR 1020180153729A KR 20180153729 A KR20180153729 A KR 20180153729A KR 102007704 B1 KR102007704 B1 KR 1020077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dust
- air
- bus
- pattern
- dust concen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버스 쉘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과,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구와, 미세먼지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단말기와, 공기를 바닥면으로 토출하여 출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장치와, 수용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토출하며 히터가 구비된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세먼지센서가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시각의 흐름에 따른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설정하는 패턴설정단계 및 패턴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에 따라 에어커튼장치과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작동시키는 패턴추종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shelter control method for removing fine dust inside the bus shelter,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herein, an entrance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a fine dust sensor for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an external device. A bus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 air curtain device for discharging air to the floor to block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and a ventilator equipped with a heater to purify and discharg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helter,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set in the pattern setting step and the pattern setting step of setting the pattern of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u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sensor Bus shelter including pattern tracking step to operat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air curtain system and ventilation system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bus shelter having a fine dust control function and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by an air knif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dust control function and an air knife to remove fine dust inside the bus shel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bus shelter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최근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배출되는 유독 물질, 중금속 등이 포함된 미세먼지가 대량으로 공기 중에 유입됨에 따라 대기 오염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Recently, as a large amount of fine dust containing toxic substances and heavy metals discharged when burning fossil fuels is introduced into the air, air pollu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미세먼지는 입자가 매우 작아서 쉽게 걸러지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몸 속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호흡기 질환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Fine dust particles are very small and are not easily filtered out. In some cases, they penetrate deep into the body and cause a risk of various diseases. In particular, families with children or the elderly are vulnerable to respiratory diseases, so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최근에는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가 많이 보급됨에 외부의 미세먼지농도가 상승하여도 실내에서는 비교적 맑은 공기를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실내가 아닌 외부 공간에서는 여전히 높은 미세먼지 농도의 공기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나아가 특정 계절이나 날씨에서 나타나는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히 위험한 요소로 작용한다. Recently, since many air cleaners that can be used indoors are widely distributed, relatively clean air may be encountered indoors even when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is increased. However, in outdoor spaces other than indoors, they are still exposed to high dust concentration air. Furthermore, high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ppear in certain seasons and weather conditions are very dangerous for the human body.
대도시와 같이 대중교통의 이용객이 많은 경우, 대도시 인구의 상당수는 외부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특히 버스 이용자는 실외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에서 일정 시간 버스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등에 의해 오염된 공기에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버스 정류장이 버스와 가깝기 때문에, 버스 이용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 등에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는 위험에 있다.If there are many users of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large cities, many of the large populations are difficult to avoid exposure to external fine dust. In particular, since the bus user has to wait for a certain time at the bus stop located outdoors, they are exposed to the air contaminated by fine dust. In addition, since bus stops are close to buses, bus users are at risk of being exposed to polluted air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nd the like.
버스 이용자를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공기정화 버스 쉘터가 한국 출원공개번호 10-2018-0038091호를 통해 공개된바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 버스 쉘터는 하부에 공간부(11)를 형성하는 지붕(1), 지붕(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 지붕(1) 저면에 구비되는 에어커튼 분사 장치(6),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저장탱크(3), 우수저장탱크(3)에 저장된 우수에 의해 공기를 정화하고 공간부(11)에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기(4)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붕 상면에 구비되는 태양전지모듈(5)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minimize the exposure of bus users to fine dust, air purification bus shelters have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038091. The air purifying bus shelter includes a
하지만 이러한 공기정화 버스 쉘터는 별도의 우수저장탱크(3)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버스 정류장 즉 버스 쉘터에 추가 설치 및 관리가 쉽지 않으며, 한국의 여름을 제외한 강수량이 적은 계절에 우수저장탱크(3)의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n air purification bus shelter needs to install a separate rainwater storage tank (3). 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install and manage the existing bus stop, that is, the bus shelter is not eas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storm storage tank (3) in the season with low precipitation except summer in Korea.
또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붕 상면에 구비되는 태양전지모듈(5)이 요구됨에 따라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으며, 별도의 전력공급이 필요하다. 나아가 겨울을 대비하여 히터 등을 설치할 경우 별도로 공급되는 전력의 사용량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solar cell module 5 provided on the roof top to supply power is not suitable for rain or cloudy weather, a separate power supply is required. Furthermore, when a heater or the like is installed in preparation for win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power separately supplied is increased.
또한, 버스 쉘터 근처의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함에도 일정한 전력 사용량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tant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even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near the bus shelter is not constant and continuously changes over time.
또한, 버스 이용객이나 부피가 큰 짐 등이 에어커튼 분사 장치(6)의 바로 밑에 위치하여 에어커튼을 간섭하는 경우, 미세먼지가 계속해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bus passenger or a bulky bag is placed under the air curtain injector 6 and interferes with the air curtain, there is a problem that fine dust continues to flow.
또한, 매연을 과다 배출하는 버스가 접근하는 경우, 버스 쉘터에서 대기하는 버스 이용객가 순간적으로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bus that excessively discharges soot is approached, there is a problem that bus users waiting at the bus shelter a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stantly.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전력 사용량의 높은 상승 없이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를 최대한 제거하는 버스 쉘터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shelter control method for maximally removing fine dust inside a bus shelter without a high rise in power usage.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버스 이용객이나 부피가 큰 짐 등이 에어커튼을 간섭하여 미세먼지가 계속해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버스 쉘터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shelter control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bus passengers, bulky luggage, etc. interfere with the air curtain and the fine dust continues to flow.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매연 과다배출 버스로부터 배출되는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로부터 버스 쉘터에서 대기하는 버스 이용객을 보호하는 버스 쉘터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rough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shelter control method for protecting the bus users waiting in the bus shelter from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exhaust fumes exhaust b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구와, 미세먼지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와, 공기를 바닥면으로 토출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장치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장치와 상기 환기장치가 작동을 개시하는 작동개시단계; 상기 수용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단계; 및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 상기 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토출조절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herein, the door and the outside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the fine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floor to the entrance In a control method of a bus shelter comprising an air curtain device for blocking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and a ventilation device for purifying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the operation step of starting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starts operation ; A dus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discharge control step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air flow rate and wi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urtain devic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oes not fall below a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do.
상기 작동개시단계는 공기가 상기 에어커튼장치로부터 중력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토출조절단계는 풍량이 증가하는 풍량증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art step may include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curtain devi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discharge control step may include a flow rate increase step of increasing the air volume.
상기 토출조절단계는 상기 공기의 풍향이 상기 출입구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1풍향조절단계; 및 상기 제1풍향조절단계 수행 중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 상기 공기의 풍향이 상기 출입구로부터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변경되는 제2풍향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control step may include: a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step of inclining the air direction downward in a direction from the entrance to the outside; And a second wind direction adjusting step of changing the air direction of the air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doorway toward the insid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oes not fall below the reference value dur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during the first wind direction adjusting step. It may include.
상기 에어커튼장치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공기를 바닥면으로 분사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보조에어커튼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풍향조절단계 수행 중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 공기가 상기 보조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추가토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air curtain device, and further comprises a secondary air curtain device for blocking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door by injecting air to the bottom surface,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during the first wind direction adjustment step I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oes not fall below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air is further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air curtai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추가토출단계는 공기가 상기 보조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이 중력방향일 수 있다.In the additional discharging step,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air curtain device may be a gravity direction.
상기 추가토출단계 수행 중 상기 보조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과 상기 제2풍향조절단계 수행 중 상기 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상호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air curtain device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step and the air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urtain device during the second wind direction adjusting step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추가토출단계 수행 중 상기 보조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과 상기 제2풍향조절단계 수행 중 상기 에어커튼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 사이에 공기가 흐르지 않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There may be a region where air does not flow between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air curtain device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step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urtain device during the second wind direction adjusting step.
상기 제2풍향조절단계 및 상기 추가토출단계 수행 중 소정의 기준시간 동안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 상기 에어커튼장치 및 상기 보조에어커튼장치의 작동이 종료될 수 있다.During the second wind direction adjusting step and the additional discharging step,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auxiliary air curtain device is terminated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oes not fall below the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Can be.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구와, 미세먼지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단말기와, 공기를 바닥면으로 토출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장치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토출하며 히터가 구비된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herein, the entranc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utside, a fine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charges air to the floo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bus shelter comprising an air curtain devic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and the air purifying and discharge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the ventilator provided with a heater,
상기 미세먼지센서가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시각의 흐름에 따른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설정하는 패턴설정단계; 및 상기 패턴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작동시키는 패턴추종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A pattern setting step of setting a pattern of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by u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sensor; And a pattern tracking step of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set in the pattern setting step. Solve.
상기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버스정보수신단계; 및 해당 버스가 접근하면,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버스먼지측정단계; 및 상기 버스먼지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매연을 과다하게 배출하는 버스를 특정하는 버스특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bus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bus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us dus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n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when the bus is approached. And a bus specifying step of specifying a bus that excessively discharges soot in accordance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bus dust measuring step.
상기 버스특정단계에서 특정된 버스가 다시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패턴의 일부를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bus specified in the bus specifying step is approaching again, a pattern modification step of modifying a part of the set pattern; may further include.
상기 버스 쉘터는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의 수를 감지하는 인원계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원계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수용공간의 사람의 수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패턴의 일부를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s shelter further includes a person count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eople passing through the doorwa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people in the accommodation space detected by the person count sensor exceeds the reference value, Pattern modification step of modifying a portion; may further include.
상기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날씨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날씨정보를 통해 풍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패턴의 일부를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eath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weather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attern correcting step of correcting a part of the set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 direction is high based o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상기 패턴수정단계는 상기 에어커튼장치 및 상기 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속도가 상승하고, 상기 히터의 설정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In the pattern modification step, a discharge speed at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t least one of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reas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er may decrease.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의 설정온도가 추가로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exceeds an allowable value,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er may be further lowered.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허용치 이하인 경우, 미세먼지 농도를 추가로 측정하여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추가로 설정하고, 추가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is less than an allowable valu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additionally measured to additionally set a pattern of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air curtain is further configured according to a pattern of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device and the ventilator can be se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사용량의 높은 상승 없이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를 최대한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removing the fine dust inside the bus shelter as much as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버스 이용객이나 부피가 큰 짐 등이 에어커튼을 간섭하여 미세먼지가 계속해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s passenger or a bulky luggage may interfere with the air curtain to provide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fine dust continuously flowing.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매연 과다배출 버스로부터 배출되는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로부터 버스 쉘터에서 대기하는 버스 이용객을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i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bus users waiting in the bus shelter from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exhaust fumes exhaust b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버스 쉘터의 측단며도이다.
도 3은 버스 쉘터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에어커튼장치 및 환기장치의 가동에 의해서도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지 않는 경우 버스 쉘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버스 쉘터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버스 쉘터 제어방법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s shel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bus shelter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bus shelter.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bus shelter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side the bus shelter is not lowered even by the operation of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us shelter control method of lower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side a bus shelter while efficiently using power.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etailed illustra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some of the dimensions of the components rather than being drawn to scal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scop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 "consist" or "consist"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ne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excluded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1)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버스 쉘터(1)의 측단며도이다.Hereinafter,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쉘터(1)는 내부에 버스 이용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9)과, 외부와 수용공간(19)을 상호간 연통시키는 출입구(17)가 구비된다. 버스 이용객은 버스 쉘터(1)에서 머물면서 버스를 기다리 수 있다. 1 and 2, a
이러한 버스 쉘터(1)는 전면이 개방되어 출입구(17)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후방패널(13)과, 후방패널(13)의 양 측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방패널(12)과, 후방패널(13)과 측방패널(12)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방패널(11)을 포함한다. 이러한 후방패널(13), 측방패널(12) 및 상방패널(11)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19)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방패널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스 쉘터(1)는 전방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입구(17)는 전방패널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버스 쉘터(1)는 출입구(17)에 공기를 토출하여 출입구(17)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1에어커튼장치(200) 및 제2에어커튼장치(400)와, 수용공간(19)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환기장치(300)가 구비된다. Meanwhile, the
제1에어커튼장치(200)는 버스 쉘터(1)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출입구(17)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의 토출되는 토출속도가 높으면, 외부공기가 출입구(17)를 통해 수용공간(19)으로 유동하지 못하며, 수용공간(19)의 공기가 출입구(17)를 통해 외부로 유동하지 못한다.The first air curtain device 200 performs a function of sucking outside air of the
이러한 제1에어커튼장치(200)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이동시키는 제1송풍부(210), 제1송풍부(21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덕트(230), 제1덕트(230)와 연통되며 제1덕트(230)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제2덕트(250) 및 제2덕트(250)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출입구(17)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제1토출부(270)를 포함한다.The first air curtain device 200 has a first
제1송풍부(210)는 회전에 의해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1팬(211), 제1팬(21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미도시), 제1팬(211)과 제1구동부를 수용하는 제1팬하우징(213), 공기를 살균하는 제1플라즈마램프(215)를 포함한다. The
후방패널(13)에 후방패널(13)을 관통하는 제1유입구(231)가 구비됨에 따라, 제1송풍부(210)는 제1유입구(231)를 통해 버스 쉘터(1)의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1유입구(231)에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217)가 구비된다. 제1팬하우징(213)은 제1팬(211)에 의해 공기가 제1덕트(230)로 이동하도록 제1덕트(230)와 연통된다. As the
이러한 제1송풍부(210)는 버스 쉘터(1)의 무게중심을 낮추고 유지보수를 위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버스 쉘터(1)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송풍부(210)는 수용공간(19)의 확보 및 버스 이용객의 출입 편의를 위해 후방패널(13)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제1덕트(230)는 후방패널(13)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버스 쉘터(1)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2덕트(250)는 제1덕트(230)와 연통되며 제1덕트(230)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한다. 일 예로 제2덕트(250)는 상방패널(11)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연장된다. 즉, 제2덕트(250)는 후방패널(13)로부터 출입구(17) 상부까지 연장된다.The
제1토출부(270)는 제2덕트(250)의 선단에 구비되며 제2덕트(250)와 연통된다. 제1토출부(270)는 하부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제2덕트(250)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하방으로 토출한다. The first discharge part 27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또한 제1토출부(270)는 풍향조절부(271)가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토출부(270)는 공기를 중력방향은 물론이고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토출할 수 있으며,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토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unit 270 is provided with a wind
이러한 풍향조절부(27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베인(vane)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풍향을 조절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wind
환기장치(300)는 상방패널(11)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수용공간(19)의 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수용공간(19)으로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환기장치(300)는 제2송풍부(310)와 제2송풍부(31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40)와 제2송풍부(31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제2플라즈마램프(350)를 포함한다.The
제2송풍부(310)는 제2팬(311), 제2팬(3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미도시), 제2팬(311)과 제2구동부를 수용하는 제2팬하우징(313)을 포함한다. The
제2팬(311)은 수용공간(19)의 내부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수용공간(19)으로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팬(311)은 터보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류팬 또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2팬(311)이 터보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팬(311)은 터보팬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켜 제2토출부(316)로 토출시킨다. The
제2팬하우징(313)은 상방패널(11)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제2팬(311)과 제2구동부를 둘러싸는 측면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하부단에 결합하는 하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면플레이트에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제2유입구(315)와 중심부로부터 멀리 이격된 가장자리부를 관통하는 제2토출부(316)가 구비된다. 제2유입구(315)에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317)가 구비된다. The
제2팬(311)이 터보팬인 경우, 터보팬에 의해 이동한 공기는 제2팬하우징(313)의 측면플레이트의 내면에 충돌하면서 일부가 상방을 이동하여 다시 제2유입구(315)로 역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플레이트의 내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역류방지리브가 구비된다. When the
역류방지리브는 측면플레이트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제2팬(311)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역류방지리브는 제2팬(311)의 상부공간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backflow prevention rib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le formed by the
한편, 히터(340)는 제2팬하우징(313)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플라즈마램프(350)는 제2팬하우징(313)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히터(340)와 제2플라즈마램프(350)는 제2팬하우징(31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다.Meanwhile, the
제2에어커튼장치(400)는 출입구(17)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방패널(11)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제2에어커튼장치(400)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3송풍부(410)와 제3필터(417)를 포함한다. The second
제3송풍부(410)는 버스 쉘터(1)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제3팬(411), 제3팬(41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제3구동부(미도시), 제3팬(411)과 제3구동부를 수용하는 제3팬하우징(413)을 포함한다.The third
제3팬하우징(413)은 제3팬하우징(413) 내부의 공기를 출입구(17)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도록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3토출부(416)와, 버스 쉘터(1)의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상부면을 관통하는 제3유입구(415)가 구비된다. 제3유입구(415)에는 제3필터(417)가 구비된다.The
한편, 버스 쉘터(1)는 미세먼지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30, 40)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통신단말기(51, 52)와, 수용공간(19)의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도록 출입구(17)를 통과하는 사람의 수를 카운트 하는 인원계수센서(21, 23)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미세먼지센서(30, 40)는 상방패널(11)에 외면에 구비되어 버스 쉘터(1)의 외부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외부 미세먼지센서(30)와 후방패널(13)의 내면에 구비되어 수용공간(19)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내부 미세먼지센서(40)를 포함한다.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통신단말기(51, 52)는 인터넷 망을 포함한 각종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날씨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단말기(51)와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단말기(52)를 포함한다. 여기서 버스 정보는 버스의 위치, 예상도착시간, 버스의 고유번호 등을 의미한다. 제2통신단말기(52)는 BIS(Bus information System)을 구성하는 BIT(Bus information Terminal)일 수 있다. 제1통신단말기(51)는 일 예로 버스 쉘터(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통신단말기(52)는 일 예로 버스 쉘터(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인원계수센서(21, 23)는 1인만 통과할 수 있도록 게이트를 만들고, 사람이 통과할때 회전장치, 감지 장치로 인원을 감지하는 형태의 게이트형 센서, 사람이 통과하는 출입구(17) 좌측 또는 우측에 적외선을 쏘고, 반대쪽에 수신을 하게 하여 사람이 중간에 있을 경우 적외선 차단으로 인원을 감지하는 형태의 적외선 차단형 센서, 사람이 움직일 때 인체열의 이동을 감지하는 PIR 센서로 인원을 카운트하는 형태의인체열 감지형 센서, 카메라 이미지 가운데 가상의 선을 긋고, 사람으로 추정되는 이미지가 가상의 선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보고 인원을 카운트하는 형태의 이미지 분석형 센서, 인체열을 촬영하는 카메라 이미지에서 가상의 선을 긋고, 사람으로 추정되는 열 이미지가 통과하는 것을 분석하여 인원을 카운트하는 형태의 인체열 이미지 분석형 센서, 스테레오 카메라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원을 카운트하는 형태의 입체 영상 분석형 센서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인원계수센서(21, 23)는 적외선 차단형 센서이며, 센서송신부(21) 및 센서수신부(23)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Personnel counting sensor (21, 23) is to make a gate to pass only one person, the gate-type sensor of the type to detect the person with a rotating device, a sensing device when a person passes, the
이하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버스 쉘터(1)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은 제어부(100)가 센서 및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 및 판단과정을 거친 후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method of the
제어부(100)는 인원계수센서(21, 23), 외부 미세먼지센서(30), 내부 미세먼지센서(40), 통신단말기(51, 5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제1송풍부(210), 제2송풍부(310), 제3송풍부(410), 히터(340), 제2플라즈마램프(350), 제2플라즈마램프(350) 및 풍향조절부(271)에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에 수행될 수 있다.The
이하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에어커튼장치(200, 400) 및 환기장치(300)의 가동에 의해서도 버스 쉘터(1)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지 않는 경우 버스 쉘터(1)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버스 쉘터(1)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은 버스 이용객이나 부피가 큰 짐 등이 에어커튼장치(200, 400)의 바로 밑에 위치하여 에어커튼을 간섭하는 경우를 대비한 제어방법이다. 이 경우 에어커튼장치(200, 400)와 환기장치(300)가 작동되어도 미세먼지가 계속해서 유입되어 수용공간(19)의 미세먼지농도가 낮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에어커튼장치(200) 및 제2에어커튼장치(400)는 각각 에어커튼장치(200) 및 보조에어커튼장치(400)로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method of the
우선,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온(ON)되어 작동이 개시되는 작동개시단계가 수행된다(S410).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작동 개시되면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유입이 차단되며 내부의 미세먼지는 필터링된다.First, an operation start step of starting operation by turning on the first air curtain device 200 and the
이 경우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는 미리 설정된 작동단계에 따라 작동된다(S420).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는 미리 설정된 작동단계에 따라 공기를 일정한 크기의 풍량과 풍속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작동단계에서 제1에어커튼장치(200)는 공기를 대략 중력방향으로 토출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air curtain device 200 and the
이후 내부 미세먼지센서(40)에 이해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되는 먼지측정단계가 수행된다(S431). 내부 미세먼지센서(40)에 의해 측정된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 즉, 수용공간(19)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제어부(100)로 송신되면, 제어부(10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한다.Thereafter, the dus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performed on the internal fine dust sensor 40 (S431). When the in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internal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S431-N),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기 설정된 작동단계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431-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431-Y),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상승된 작동단계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S432). 따라서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토출하는 공기의 풍속이 상승하는 풍속증가단계가 수행된다. 이 경우 풍량이 함께 증가하는 풍량증가단계도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431-Y), the
이후, 작동단계 상승 시점으로부터 측정된 시간인 제1측정시간이 제1기준시간 미만인 경우(S441-N),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시간을 측정한다. 제1측정시간이 제1기준시간 이상인 경우(S441-Y), 제어부(10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한다(S442).Thereafter, when the first measurement time, which is the time measured from the operation point rising tim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S441-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S442-N),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기 설정된 작동단계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442-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442-Y),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의 풍향이 제1풍향이 되도록 제어한다(S443). 즉 제1풍향조절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1풍향은 출입구(17)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방향이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출입구(17) 또는 제1토출부(270) 하부에 사람이나 부피가 큰 물체가 있어 에어커튼이 간섭되는 것을 가정한 결과이다.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442-Y), the
이후, 제1풍향설정 시점으로부터 측정된 시간인 제2측정시간이 제2기준시간 미만인 경우(S451-N),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시간을 측정한다. 제2측정시간이 제2기준시간 이상인 경우(S451-Y), 제어부(10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한다(S452). 제2기준시간은 에어커튼의 간섭을 수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시간과 비교되는 기준시간이며, 짧은 시간 내에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질 것이라는 판단 하에 제1기준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measurement time, which is the time measured from the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time point,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S451-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S452-N),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기 설정된 작동단계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452-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452-Y),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의 풍향이 제2풍향이 되도록 제어한다(S453). 즉 제2풍향설정단계가 수행된다.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452-Y), the
이와 함께 제2에어커튼장치(4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S453). 즉 추가토출단계가 수행된다.In addition, the second
여기서 제2풍향은 출입구(17)로부터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방향이다. The second wind direction is a direction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한편, 제2에어커튼장치(400)가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 방향인 풍향은 중력방향이다. 이에 따라 제1에어커튼장치(200)의 풍향과 제2에어커튼장치(400)의 풍향은 상호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에어커튼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과 제1에어커튼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 사이에 공기가 흐르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 direction, which is the discharg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이러한 제어방법은 외부에서 강한 바람이 부는 것을 가정한 결과이다. 강한 바람이 버스 쉘터(1)를 향하여 불면 버스 쉘터(1)의 내부로 미세먼지가 유입되어 수용공간(19)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에어커튼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과 제1에어커튼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 사이에 공기가 흐르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면 이러한 미세먼지가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This control method is a result of assuming strong wind from outside. When strong wind blows toward the
이후, 제2풍향설정 시점으로부터 측정된 경과시간인 제3측정시간이 제3기준시간 미만인 경우(S461-N),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시간을 측정한다. 제3측정시간이 제3기준시간 이상인 경우(S461-Y), 제어부(10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와 기준치를 비교한다(S462). 제3기준시간은 제2풍향 설정 이후의 에어커튼의 간섭을 수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시간과 비교되는 기준시간이며, 짧은 시간 내에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질 것이라는 판단 하에 제2기준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hird measurement time, which is the elapsed time measured from the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time point,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time (S461-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S462-N),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가 기 설정된 작동단계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462-N), the
미세먼지 농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462-Y), 제어부(100)는 제1에어커튼장치(200)와 환기장치(300)를 오프(OFF)시켜 작동을 중단시킨다(S470).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462-Y), the
상술한 풍속조절단계, 풍량조절단계, 제1풍향조절단계, 제2풍향조절단계 및 추가토출단계는 모두 제1에어커튼장치(200) 및 제2에어커튼장치(4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향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토출조절단계로 지칭할 수 있다. The wind speed control step, the air volume control step, the first wind direction control step, the second wind direction control step and the additional discharge step are all the wind speed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curtain device 200 and the secon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버스 쉘터(1)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버스 쉘터(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외부 미세먼지센서(30)가 감지한 외부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시각의 흐름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의 패턴을 설정하는 패턴설정단계(S510)가 수행된다. 외부 미세먼지 농도는 하루 동안 일정한 패턴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패턴으로 제1에어커튼장치(200)과 환기장치(300)의 사용 전력량 내지 소비되는 전력량이 조절된다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패턴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에 따라 제1에어커튼장치(200)과 환기장치(300)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작동시키는 패턴추종단계(S51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5, first, a pattern setting step (S510) of setting a pattern of an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using an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external
이후, 제2통신단말기(52)를 이용하여 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버스정보수신단계(S520)와 해당 버스가 접근하면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버스먼지측정단계(S520)가 수행된다.Then, the bus information receiving step (S520)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bus using the
이후 버스먼지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매연을 과다하게 배출하는 버스를 특정하는 버스특정단계(S530)가 수행된다. Subsequently, a bus specific step S530 of specifying a bus that excessively discharges soo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bus dust measurement step.
그리고 제1통신단말기(51)를 이용하여 날씨정보를 수신하는 날씨정보수신단계(S540)가 수행된다.And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540) for receiving the weather information by using the
날씨정보수신단계(S540)가 수행된 이후, 매연 과다배출 버스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1)가 수행된다. 매연 과다배출 버스가 접근하지 않으면(S551-N) 계속해서 매연 과다배출 버스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매연 과다배출 버스가 접근여부는 BIT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제어부(100)가 판단한다. 매연 과다배출 버스가 접근하면(S551-Y), 패턴설정단계(S510)에서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S570)가 수행된다.After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540 is performed, a step S551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xhaust fumes bus is approaching. If the exhaust fumes bus is not approached (S551-N), a step of 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xhaust fumes bus is approached is performed. The
한편, 날씨정보수신단(S540)계가 수행된 이후, 인원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2)가 매연 과다배출 버스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1)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인원수는 인원계수센서(21, 23)에 의해 수용공간(19)에 수용된 사람의 수를 의미한다. 인원수가 과다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552-N), 계속해서 인원수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인원수가 과다한 것으로 판단되면(S552-Y), 패턴설정단계(S510)에서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S570)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S540) system is performe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people is excessive (S552) may be performed along with the step (S551)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xcess exhaust bus. The number of persons means the number of persons accommodated in the
한편, 날씨정보수신단계(S540)가 수행된 이후, 외부 풍속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3)가 인원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2)와 매연 과다배출 버스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51)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외부 풍속은 버스 쉘터(1)의 외부의 풍속이며, 외부 풍속이 높은지 여부는 제1통신단말기(51)를 통해 수신된 날씨정보 특히 지역날씨정보를 통해 제어부(100)가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S540) is performe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wind speed is high (S553)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people is excessive (S552) 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ccess of the excess fumes bus ( S551)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one or more of the above. The external wind speed is the outside wind speed of the
풍속이 기준치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553-N), 계속해서 외부 풍속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풍속이 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S553-Y), 패턴설정단계에서 설정된 패턴을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S570)가 수행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 speed is not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S553-N), a step of 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wind speed is high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 speed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S553-Y), the pattern correction step (S570) for correcting the pattern set in the pattern setting step is performed.
여기서 패턴수정단계(S570)는 제1송풍부(210), 제2송풍부(310), 제3송풍부(410), 제1플라즈마램프(215), 제2플라즈마램프(350) 및 히터(340)의 작동단계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작동단계란 소비되는 전력량을 의미한다. The pattern modification step S570 may include a
패턴수정단계(S570)는 일 예로 제1송풍부(210), 제2송풍부(310) 및 제3송풍부(410)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상승시키고, 히터(340)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하강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attern modification step S570 increas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이 경우 제1플라즈마램프(215) 및 제2플라즈마램프(350)가 소비하는 전력량은 유지되거나 상승시키는 것이 패턴수정단계(S57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미세먼지유입 방지를 위한 에어커튼의 강도와 환기장치(300)에서 공기의 이동속도를 높여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이 수용공간(19)에 있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히터(340)를 가동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maintaining or increas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이에 따라 제1에어커튼장치(200), 제2에어커튼장치(400) 및 환기장치(3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속도가 상승하고, 히터(340)의 설정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discharge rate at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 curtain device 200, the second
패턴수정단계(S570)의 수행 이후, 전력량이 허용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81). 전력량이 허용치를 초과하면(S581-Y), 히터(340), 제1플라즈마램프(215) 및 제2플라즈마램프(350)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하강시킨다(S582). 전력량이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으면(S581-N), 외부 미세먼지 농도를 추가로 측정하여 외부 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추가로 설정한다(S583). 그리고 추가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따라 제1에어커튼장치(200), 제2에어커튼장치(400) 및 환기장치(300)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설정된 후 작동된다(S583). After performing the pattern modification step S57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mount of power exceeds the allowable value (S581). When the amount of power exceeds the allowable value (S581-Y),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 버스 쉘터 20: 인원계수센서
30: 외부 미세먼지센서 40: 내부 미세먼지센서
50: 통신 단말기 200: 제1에어커튼장치
300: 환기장치 400: 제2에어커튼장치1: Bus Shelter 20: Personnel Counting Sensor
30: External fine dust sensor 40: Internal fine dust sensor
50: communication terminal 200: first air curtain device
300: ventilation device 400: second air curtain device
Claims (8)
상기 미세먼지센서가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시각의 흐름에 따른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설정하는 패턴설정단계;
상기 패턴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와 상기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작동시키는 패턴추종단계;
상기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버스정보수신단계;
상기 버스가 접근하면,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버스먼지측정단계; 및
상기 버스먼지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매연을 과다하게 배출하는 버스를 특정하는 버스특정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therein, an entrance to communicate the outsid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 fine dust sensor for detecting fine dust concentra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ir discharged to the floor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bus shelter comprising an air curtain device for blocking the flow of air to the air, and a ventilator equipped with a heater to purify and discharge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A pattern setting step of setting a pattern of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by us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sensor;
A pattern tracking step of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set in the pattern setting step;
A bus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a bus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bus dus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n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when the bus approaches; And
And a bus specifying step of specifying a bus that excessively discharges soot in accordance with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bus dust measuring step.
상기 버스특정단계에서 특정된 버스가 다시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패턴의 일부를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And a pattern modification step of modifying a part of the set pattern when the bus specified in the bus specification step approaches again.
상기 버스 쉘터는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의 수를 감지하는 인원계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원계수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수용공간의 사람의 수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패턴의 일부를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shelter further includes a person count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eople passing through the doorway,
And a pattern modification step of correcting a part of the set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persons in the accommodation space detected by the personnel count sensor exceeds a reference value.
상기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날씨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날씨정보를 통해 풍속이 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패턴의 일부를 수정하는 패턴수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A weather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weather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d a pattern modification step of correcting a part of the set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 speed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상기 패턴수정단계는
상기 에어커튼장치 및 상기 환기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속도가 상승하고, 상기 히터의 설정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The pattern modification step
And a discharge rate at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at least one of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increases,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er decreases.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히터의 설정온도가 추가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6,
And a set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further lowered whe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exceeds an allowable value.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허용치 이하인 경우, 미세먼지 농도를 추가로 측정하여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추가로 설정하고, 추가로 설정된 외부미세먼지농도의 패턴을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과 상기 환기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설정되는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ir curtain device and the ventilation device is less than an allowable valu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additionally measured to additionally set a pattern of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air curtain is further configured according to a pattern of external fine dust concentr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bus shelter in which a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ventilator are s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3729A KR102007704B1 (en) | 2018-12-03 | 2018-12-03 |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with function controliing fine dust and function blocking fine dust using air knif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3729A KR102007704B1 (en) | 2018-12-03 | 2018-12-03 |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with function controliing fine dust and function blocking fine dust using air knif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704B1 true KR102007704B1 (en) | 2019-08-06 |
Family
ID=6761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3729A Active KR102007704B1 (en) | 2018-12-03 | 2018-12-03 |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with function controliing fine dust and function blocking fine dust using air knif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704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447B1 (en) * | 2019-09-26 | 2019-11-04 | 박건형 | Air dome apparatus |
KR102131913B1 (en) | 2020-01-06 | 2020-07-08 | 주식회사 시원코리아 | Removing apparatus of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for pedestrian shelter and pedestrian shelter having the same |
KR20210001871U (en) * | 2020-02-11 | 2021-08-19 | 황익현 | Hot air heater and hot air system for bus stop using thereof |
KR20220103444A (en) * | 2021-01-15 | 2022-07-22 | (주)썬레이텍 | Far infrared heating device for bus stop |
CN116498126A (en) * | 2023-05-23 | 2023-07-28 | 江苏泽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Bus shelter with protective structure |
KR102708513B1 (en) * | 2023-10-13 | 2024-09-24 | 강세범 | IoT GATEWAY-BASED SMART BUS SHELTER DEVIC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367A (en) * | 1993-07-08 | 1995-01-27 | Fujita Corp | Display tower with air purifier |
KR200427932Y1 (en) * | 2006-07-24 | 2006-10-04 | 강남필터 주식회사 | Air curtain device of subway station |
KR20090078906A (en) * | 2008-01-16 | 2009-07-21 |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 Bus stop equipped with air purification hydroxyl generator |
KR100910921B1 (en) * | 2007-09-07 | 2009-08-05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
KR101033231B1 (en) * | 2011-03-09 | 2011-05-09 | 주식회사 삼안 | Eco-friendly air conditioning unit using solar heat |
KR20120000693U (en) * | 2010-07-19 | 2012-02-02 | 뎀코 (주) | Shelter for bus platform establish |
CN104279627A (en) * | 2014-05-15 | 2015-01-14 | 浙江大学 | Air purification device and bus shelter using device |
-
2018
- 2018-12-03 KR KR1020180153729A patent/KR1020077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7367A (en) * | 1993-07-08 | 1995-01-27 | Fujita Corp | Display tower with air purifier |
KR200427932Y1 (en) * | 2006-07-24 | 2006-10-04 | 강남필터 주식회사 | Air curtain device of subway station |
KR100910921B1 (en) * | 2007-09-07 | 2009-08-05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
KR20090078906A (en) * | 2008-01-16 | 2009-07-21 |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 Bus stop equipped with air purification hydroxyl generator |
KR20120000693U (en) * | 2010-07-19 | 2012-02-02 | 뎀코 (주) | Shelter for bus platform establish |
KR101033231B1 (en) * | 2011-03-09 | 2011-05-09 | 주식회사 삼안 | Eco-friendly air conditioning unit using solar heat |
CN104279627A (en) * | 2014-05-15 | 2015-01-14 | 浙江大学 | Air purification device and bus shelter using devic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447B1 (en) * | 2019-09-26 | 2019-11-04 | 박건형 | Air dome apparatus |
WO2021060631A1 (en) * | 2019-09-26 | 2021-04-01 | (주)세인환경디자인 | Air dome device |
KR102131913B1 (en) | 2020-01-06 | 2020-07-08 | 주식회사 시원코리아 | Removing apparatus of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for pedestrian shelter and pedestrian shelter having the same |
KR20210001871U (en) * | 2020-02-11 | 2021-08-19 | 황익현 | Hot air heater and hot air system for bus stop using thereof |
KR200495217Y1 (en) | 2020-02-11 | 2022-04-01 | 황익현 | Hot air system for bus stop using thereof |
KR20220103444A (en) * | 2021-01-15 | 2022-07-22 | (주)썬레이텍 | Far infrared heating device for bus stop |
KR102640644B1 (en) * | 2021-01-15 | 2024-02-27 | (주) 썬레이텍 | Far infrared heating device for bus stop |
CN116498126A (en) * | 2023-05-23 | 2023-07-28 | 江苏泽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Bus shelter with protective structure |
CN116498126B (en) * | 2023-05-23 | 2023-11-21 | 江苏泽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Bus shelter with protective structure |
KR102708513B1 (en) * | 2023-10-13 | 2024-09-24 | 강세범 | IoT GATEWAY-BASED SMART BUS SHELTER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7704B1 (en) |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with function controliing fine dust and function blocking fine dust using air knife | |
KR102203801B1 (en) | Window-type smart air purifying ventilator | |
CN105202646B (en) | The cabinet type fresh air ventilator of Intelligent purifying | |
KR102319017B1 (en) | Ventilation apparatus with function of preventing condensation of total heat exchanger and notifying operation of outside air cooling and heating | |
CN206468252U (en) | Window ventilating system with heat exchange and air-cleaning function | |
KR102081237B1 (en) | Ventilation and Energy Saving Air Purifier | |
KR102243305B1 (en) | Air shower apparatus for domestic | |
CN105987426A (en) | Indoor air quality control system | |
TWM378746U (en) | A system for cleaning atmospheric pollution | |
KR102111268B1 (en) |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ir cleaners for ventilation and autonomous driving | |
TW200936963A (en) | Air conditioner | |
KR101988299B1 (en) | Bus stop with an air filter means | |
KR102005425B1 (en) | Control method for bus shelter blocking off fine dust using air curtain | |
KR100622111B1 (en) | Window frame ventilat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function | |
CN203907766U (en) | Air conditioning plant | |
KR20150109796A (en) | a system for Ventilation and Smoke Evacuation on Subway Train Vehicle | |
KR102364961B1 (en) | Air purifier | |
CN105841228A (en) | Air purifier achieving circular ventilation and one-way air exhaust | |
KR101347650B1 (en) | Smoking room | |
CN205717523U (en) | Cyclical breathing and the air purifier of one-way exhaust | |
CN103547294A (en) | Air cleaner | |
KR102393647B1 (en) | Multi-purpose modular bus stop with virus and fine dust protection | |
KR101791194B1 (en) | a ventilation control method for a station | |
KR102210161B1 (en) | Hybrid air purification system | |
KR20220079211A (en) |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IoT devices for an indoor air quality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