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487B1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Using Io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Using I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487B1 KR102007487B1 KR1020180099021A KR20180099021A KR102007487B1 KR 102007487 B1 KR102007487 B1 KR 102007487B1 KR 1020180099021 A KR1020180099021 A KR 1020180099021A KR 20180099021 A KR20180099021 A KR 20180099021A KR 102007487 B1 KR102007487 B1 KR 1020074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blind
- automatic
- closing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자동개폐모듈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가능한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혹은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1 MCU를 갖는 중계모듈; 및 상기 중계모듈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2 MCU와 상기 제2 MCU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하며, 충전 가능한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2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갖는 자동개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모터구동부에 적합하도록 승압시키는 DC 부스터와, 상기 제2 MCU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I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IoT so as to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i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an automatic switch module and a WiFi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WiFi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wherein the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or the WiFi transceiver module is provided. A relay module having a first MCU to control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troller; And a second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odule, and operating a second MCU controll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a motor installed in the blind controlled by the second MCU. And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having a motor driving unit, and a recharge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battery installed therein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and the second MCU, wherei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DC booster for boosting the power to be suitable for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in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second MCU may provide a blind automatic switching device incorporating IoT. .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I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IoT so as to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i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차양, 일사량 조절, 사생활 보호 등의 목적으로 창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동 방식에 따라 버티컬 블라인드, 베네시안 블라인드,플리티드(허니콤) 블라인드, 롤 블라인드 등으로 나눠진다.In general, the blind is installed in the window portion for the purpose of shading, solar radiation control, privacy protection, etc., and is divided into vertical blind, venetian blind, pleated (honeycomb) blind, roll blind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블라인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실내의 밝기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시간대마다 달라지는 광량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블라인드 개폐 정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블라인드를 개폐 시, 현휘에 의한 눈부심 현상 등으로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Conventionally used blinds are a way for the user to manu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brightness of the room is required, the user has to manually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in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ime zone is cumbersome to use an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blind In some cases, discomfort may occur due to glare caused by vertigo.
또한, 다수의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모든 블라인드의 일괄 제어가 어렵고 블라인드마다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므로 블라인드의 개폐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블라인드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동선이 길어져 블라인드의 작동에 있어 비효율적이다.In addition, when a large number of blinds are installed, batch control of all blinds is difficult and manual adjustment is required for each blind. Therefore,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inds. Inefficient in the operation of the blind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621623호는 리모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가 구동됨으로써 막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블라인드 및 커튼용 전동 구동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는 통신거리가 제한적이므로 원거리에서는 블라인드의 개폐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1621623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n electric drive device for blinds and curtains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 membrane by driving a driving motor by a remote control operation, but wireless generated from a remote control. Since the signal has a limited communication dist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blind is impossible at a long distance.
반면, 한국등록특허 제10-1438141호는 블라인드 모터를 제어하여 블라인드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블라인드 개폐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블라인드 높낮이 제어가 이루어져 관리자 단말기와 모터 제어부 간의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전력 소비가 높으며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1438141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n automatic bli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blind by controlling the blind motor. Since the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must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there is an uneconomical disadvantage.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1334호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폰 기반의 수동/자동 블라인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무선 인터페이스와 연동되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제공된 구동 제어신호를 통해 패널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 실시간 제어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가 계속 유지되어야 하며 이는 높은 전력 소모를 야기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11334 discloses a smart phone-based manual / automatic blind control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be remotely controlled using a smart phone, but are linked with a wireless interfac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nel driver through the driv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gateway, the air interface must be maintained for real time control, which causes high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블라인드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저전력화를 통한 전력 소모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ireless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ind not only indoors but also outdoors, and design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rough low power It is to provide blind automatic switchgear using Io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단말기 및 자동개폐모듈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가능한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혹은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1 MCU를 갖는 중계모듈; 및 상기 중계모듈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2 MCU와 상기 제2 MCU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하며, 충전 가능한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2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갖는 자동개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모터구동부에 적합하도록 승압시키는 DC 부스터와, 상기 제2 MCU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an automatic switch module, and a WiFi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WiFi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 relay module having a first MCU to control a signal received through a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or the WiFi transceiver module; And a second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odule, and operating a second MCU controll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a motor installed in the blind controlled by the second MCU. And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having a motor driving unit, and a recharge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battery installed therein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and the second MCU, wherei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DC booster for boosting the power to be suitable for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in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second MCU may provide a blind automatic switching device incorporating IoT. .
이때, 상기 중계모듈은 블라인드의 근거리 원격 제어 시에는, 상기 중계모듈의 저전력화를 위해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에 상기 단말기의 연결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 활성화(Wake-up)되어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자동개폐모듈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블라인드의 원거리 원격 제어 시에는,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이 상시 작동하여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lay module is activated (Wake-up) when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terminal is detected by the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of the relay module in the short-range remote control of the blind, the terminal and th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is set to be possible, and when the remote remote control of the blind, the Wi-Fi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enable the Wi-Fi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t all times.
또한, 상기 중계모듈은 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중계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계모듈용 배터리와,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제1 MCU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lay module may be charged and the relay modu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lay module, and the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lay module battery 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first MCU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반면,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전원부에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 복수 개가 병렬로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단자에 전압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전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불량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for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in parallel in the power supply unit, a voltage sensor is installed at each terminal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batter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ailure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ing module based on the voltage value of the module battery.
이와 더불어,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모터와 결합된 스프라켓 일측에 설치된 광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카운팅된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 수를 바탕으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모터구동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전류 값이 일정치 이상일 경우, 블라인드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구동부로 모터 작동 중지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로 이상 상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has an optical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rocket coupled to the motor to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blind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procket counted by the optical sensor, the rear end of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a current value transmitted to the motor, and when the current value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state of the blind and transmits a motor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motor dr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bnormal status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블라인드 개폐의 원격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전력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ind opening and closing can be remotely performed indoors as well as outdoor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and providing economical efficiency 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through lower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모듈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I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I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100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블라인드 자동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프로토콜 기반으로 통신하여 상기 블라인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1000)는 중계모듈(100) 및 자동개폐모듈(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lind automatic opening and
상기 중계모듈(100)은 상기 블라인드를 구동시키는 상기 자동개폐모듈(200)과 상기 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입력한 블라인드 작동 명령은 상기 중계모듈(100)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자동개폐모듈(200)로 전송되며,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및 제어 상태 정보는 상기 중계모듈(100)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된다.The
따라서, 상기 중계모듈(100)은 무선 통신을 위해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 및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을 구비한다.Accordingly, the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용 송수신 모듈로서,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은 상기 중계모듈(100)이 상기 단말기 및 자동개폐모듈(200)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상기 중계모듈(100)이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WiFi)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Bluetooth transmit / receive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 혹은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수신된 신호는 상기 중계모듈(100) 내 설치된 제1 MCU(130)에 의해 제어된다.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Bluetooth transmission /
반면,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중계모듈(1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210)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모터(240)를 작동시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를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모듈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모듈(100)의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용 송수신 모듈로서,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은 상기 중계모듈(100)이 상기 단말기 및 자동개폐모듈(200)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상기 중계모듈(100)이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1, the first Bluetooth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파이 기술은 장거리에서 작동이 가능하며 고품질의 보안 프로토콜로 로드 가능하나, 저전력인 블루투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상기 중계모듈(100)은 사용자가 블라인드가 설치된 실내 즉, 상기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1000)와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외출 등으로 실외 즉,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1000)와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으로 상기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소모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s is known in the art, the Wi-Fi technology can be operated at a long distance and can be loaded with a high quality security protocol, but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Bluetooth, which is low power, the
이때, 상기 중계모듈(100)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을 통해 통신을 할 것인지 혹은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통신을 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whether the
즉,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을 통해 상기 중계모듈(100)과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드와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상기 중계모듈(100)과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원격 제어 거리에 따라 신호 송수신을 위한 모듈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중계모듈(100)은 충전 가능한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블라인드의 근거리 원격 제어를 위한 블루투스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중계모듈(100)이 수면(Sleep)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110)에 상기 단말기의 연결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 활성화(Wake-up)되어 상기 자동개폐모듈(200)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중계모듈(100)의 저전력화를 통한 배터리 소모를 최적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모듈(141) 및 충전용 아답터를 구비한다.The
상기 충전모듈(141)은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의 충전 시, 충전 전압을 단계적으로 높여 충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에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예를 들어,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의 전압이 4.2V이며, 충전 요구 전압이 3.6V일 경우, 상기 충전모듈(141)은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의 충전 전압을 3.7V부터 4.2V까지 단계적으로 높이면서 충전시킨다. 만약 충전시작시점부터 4.2V로 충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에 전류가 급격하게 증대되어 과전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모듈(141)은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의 충전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voltage of the
또한, 상기 중계모듈(100)은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1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제1 MCU(130)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14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모듈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switch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중계모듈(1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2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2 MCU(220)와 상기 제2 MCU(22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모터(240)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부(23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즉,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제2 MCU(220)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수신된 블라인드 작동 명령 신호를 제어하며, 상기 제2 MCU(220)는 상기 모터(240)가 상기 블라인드 작동 명령에 적합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터구동부(230)를 제어한다.That is, the
반면,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상기 모터(240)는 상기 블라인드가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의 개폐되도록 상기 모터(24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라켓(미도시)과 결합되며, 상기 스프라켓 일측에는 광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광센서에 의해 카운팅된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 수를 바탕으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모터구동부(230)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센서(232)를 구비하여 상기 전류 값이 일정치 이상일 경우, 블라인드 줄 꼬임 등으로 인한 상기 블라인드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구동부(230)로 모터 작동 중지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중계모듈(100)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이상 상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provided with a
한편,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된 전원부(250)를 가지며, 상기 전원부(250)는 상기 제2 MCU(220) 및 상기 모터구동부(230)에 전원을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opening and
상기 전원부(250)에 설치된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미도시)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충전모듈(252)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전원부(250) 내에 복수 개가 병렬로 설치된다.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module battery (not shown) installed in the
이때, 상기 충전모듈(252)은 상기 충전모듈(141)과 같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전압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case,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미도시)의 각 출력 단자에는 전압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전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불량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불량 발생시,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중계모듈(100)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a voltage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at each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ing module (not shown), so that the
게다가, 복수의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 중 일부의 불량으로 인해 쇼트 현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에도 불량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각 출력부에 다이오드(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한다.In addition, when a short phenomenon occurs due to a failure of some of the batteries for the automatic switchgear module, the output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gear module to compensate for this may cause a failure problem to the other automatic switch module battery. An additional diode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unit.
또한,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전원부(2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모터구동부에 적합하도록 승압시키는 DC 부스터(256)와, 상기 제2 MCU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256)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더 나아가, 상기 자동개폐모듈(200)은 상기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1000)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기 모터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상기 블라인드를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2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automatic opening an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0 :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
100 : 중계모듈
110 :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120 :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
130 : 제1 MCU
140 : 중계모듈용 배터리
141 : 충전모듈
142 : DC/DC 컨버터
200 : 자동개폐모듈
210 : 제2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220 : 제2 MCU
230 : 모터구동부
232 : 전류센서
240 : 모터
250 : 전원부
252 : 충전모듈
254 : DC 부스터
256 : DC/DC 컨버터
260 : 스위치1000: blind automatic switchgear
100: relay module
110: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120: wifi transceiver module
130: first MCU
140: battery for the relay module
141: charging module
142: DC / DC converter
200: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210: second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220: second MCU
230: motor drive unit
232: Current sensor
240: motor
250: power supply
252: charging module
254: DC Booster
256: DC / DC converter
260: switch
Claims (5)
단말기 및 자동개폐모듈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가능한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혹은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1 MCU를 갖는 중계모듈; 및
상기 중계모듈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2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2 MCU와 상기 제2 MCU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구동부를 구비하며, 충전 가능한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구동부 및 상기 제2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갖는 자동개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모터구동부에 적합하도록 승압시키는 DC 부스터와, 상기 제2 MCU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모터와 결합된 스프라켓 일측에 설치된 광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카운팅된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 수를 바탕으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모터구동부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전류 값이 일정치 이상일 경우, 블라인드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구동부로 모터 작동 중지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로 이상 상태 알림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자동개폐모듈의 전원부에 설치된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는 1개 이상의 복수개가 병렬로 연결설치되되, 복수의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 중 일부의 불량으로 인해 쇼트 현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에도 불량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각 출력부에 다이오드를 설치되며,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블라인드를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In the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orporating IoT to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i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an auto-opening module and a WiFi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re provided through the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or the WiFi transceiver module. A relay module having a first MCU to control the signal; And
A second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odule is installed, and a second MCU for controll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Bluetooth module and a motor controlled by the second MCU to operate a motor installed in the blind. It includes a motor driving unit, a charge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battery is installed and ha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hav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and the second MCU;
The automatic switching module includes a DC booster for boos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be suitable for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second MCU.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has an optical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rocket coupled to the motor, to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blind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procket counted by the optical sensor,
A current senso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motor driver to measure a current value transmitted to the motor, and when the current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t determines that the blind is in an abnormal state and transmits a motor stop signal to the motor driver.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bnormal statu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ne or more batteries for the automatic switchgear module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automatic switch module are installed in parallel, when a short phenomenon occurs due to some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for the automatic switch module, the other automatic switch modul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 battery for a battery may be provided with diodes installed at each output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ing modul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a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raft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automatic bli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mpossible, the switch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blind by the user directly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unit offline.
상기 중계모듈은,
블라인드의 근거리 원격 제어 시에는, 상기 중계모듈의 저전력화를 위해 상기 제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에 상기 단말기의 연결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 활성화(Wake-up)되어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자동개폐모듈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블라인드의 원거리 원격 제어 시에는, 상기 와이파이 송수신 모듈이 상시 작동하여 상기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y module,
In the near-field remote control of the blind, when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terminal is detected by the first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to reduce the power of the relay module (Wake-up) is activated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nd the automatic switch module Is enabled,
In the remote remote control of the blind, the automatic bli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Io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Fi transceiver module is set to enable the Wi-Fi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t all times.
상기 중계모듈은,
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중계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계모듈용 배터리와,
상기 중계모듈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제1 MCU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y module,
Battery for the relay module that can be charged and supplies power to the relay module,
The blin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grafting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C / 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relay module battery 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first MCU.
상기 자동개폐모듈은,
상기 전원부에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 복수 개가 병렬로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단자에 전압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전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전압 값을 통해 상기 자동개폐모듈용 배터리의 불량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접목한 블라인드 자동 개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A plurality of batteries for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power supply unit,
A voltage sensor is installed at each terminal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ing module,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blinds according to the I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a failure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gear module occurs through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for the automatic switchgear module sensed by the voltag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9021A KR102007487B1 (en) | 2018-08-24 | 2018-08-24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Using I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9021A KR102007487B1 (en) | 2018-08-24 | 2018-08-24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Using I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487B1 true KR102007487B1 (en) | 2019-08-05 |
Family
ID=6761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9021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7487B1 (en) | 2018-08-24 | 2018-08-24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Using I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48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4248B1 (en) * | 2020-02-17 | 2020-08-12 | 이춘식 | Smart windows for opening and closing collectively |
CN111929042A (en) * | 2020-05-28 | 2020-11-13 | 山东省科学院自动化研究所 | Smoke exhaust window fault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KR20210123887A (en) | 2020-04-06 | 2021-10-14 | 주식회사 이노쉐이드 | Control system of a roll-up blind |
WO2023044447A1 (en) * | 2021-09-17 | 2023-03-23 | Hunter Douglas Inc. | Determining placement of an architectural covering gateway |
US11617071B2 (en) | 2019-10-29 | 2023-03-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apparatus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9277A (en) * | 1993-11-19 | 1995-05-30 | Toso Co Ltd | Electric Roll Blind Weight Bar Lift Limit Control Device |
KR100447586B1 (en) * | 2001-09-19 | 2004-09-13 | 이성규 | Vertical blind apparatus |
JP2007032146A (en) * | 2005-07-28 | 2007-02-08 | Bunka Shutter Co Ltd | Transmitter for object sensing device for switchgear |
KR100911246B1 (en) * | 2006-07-27 | 2009-08-07 | (주)준쉐이드 | Curtain opening and closing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047665B1 (en) * | 2010-05-14 | 2011-07-08 | 박대원 | Hoist with overload detection |
KR101438141B1 (en) | 2012-10-29 | 2014-09-12 |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blind |
KR20150111334A (en) | 2015-09-07 | 2015-10-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anual/Auto blind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 phon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reof |
KR101621623B1 (en) | 2014-11-25 | 2016-05-17 | 김종선 | Electric driving apparatus for the blind and curtain |
KR101648746B1 (en) * | 2014-08-27 | 2016-08-18 | 이정환 | Method for cutting off operation and communication stand-by power of a device and the apparatus therefor |
-
2018
- 2018-08-24 KR KR1020180099021A patent/KR10200748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9277A (en) * | 1993-11-19 | 1995-05-30 | Toso Co Ltd | Electric Roll Blind Weight Bar Lift Limit Control Device |
KR100447586B1 (en) * | 2001-09-19 | 2004-09-13 | 이성규 | Vertical blind apparatus |
JP2007032146A (en) * | 2005-07-28 | 2007-02-08 | Bunka Shutter Co Ltd | Transmitter for object sensing device for switchgear |
KR100911246B1 (en) * | 2006-07-27 | 2009-08-07 | (주)준쉐이드 | Curtain opening and closing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047665B1 (en) * | 2010-05-14 | 2011-07-08 | 박대원 | Hoist with overload detection |
KR101438141B1 (en) | 2012-10-29 | 2014-09-12 |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ight of blind |
KR101648746B1 (en) * | 2014-08-27 | 2016-08-18 | 이정환 | Method for cutting off operation and communication stand-by power of a device and the apparatus therefor |
KR101621623B1 (en) | 2014-11-25 | 2016-05-17 | 김종선 | Electric driving apparatus for the blind and curtain |
KR20150111334A (en) | 2015-09-07 | 2015-10-0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anual/Auto blind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 phone and Driving Method using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17071B2 (en) | 2019-10-29 | 2023-03-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apparatus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144248B1 (en) * | 2020-02-17 | 2020-08-12 | 이춘식 | Smart windows for opening and closing collectively |
KR20210123887A (en) | 2020-04-06 | 2021-10-14 | 주식회사 이노쉐이드 | Control system of a roll-up blind |
CN111929042A (en) * | 2020-05-28 | 2020-11-13 | 山东省科学院自动化研究所 | Smoke exhaust window fault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WO2023044447A1 (en) * | 2021-09-17 | 2023-03-23 | Hunter Douglas Inc. | Determining placement of an architectural covering gatew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7487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Using IoT | |
US2019004067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 blinds | |
US9702190B2 (en) | Operating control method of a motorized driving device of a home automation installation | |
US7382063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ource for a barrier operator and related methods | |
US20090125148A1 (en) | Control Unit for an Awning | |
CN207670163U (en) |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n the sunshade control system of vehicle, mobile terminal and vehicle | |
US8665065B2 (en) | Barrier operator with power management features | |
CN106132044A (en) | Room lighting intellige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CN103628805B (en) | A kind of rolling screen door control device | |
CN209707974U (en) | A kind of indoor automatic curtain control device of smart home | |
US11608679B2 (en) | Automated tilt wand controller for window blinds | |
KR102204831B1 (en) | Driver for smart farm integrated with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 of greenhouse | |
KR20180070211A (en) | Intelligent Window Control System and Method | |
CN104534344A (en) | Eye guarding table lamp with monitoring function | |
KR100447586B1 (en) | Vertical blind apparatus | |
CN203515290U (en) | Control device for roller shutter door | |
KR101861294B1 (en) | Automatic roll blind apparatus | |
CN205445289U (en) | Intelligence window control system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and singlechip | |
KR19980068634A (en) | Power supply method of electronic door lock and its device | |
CN104977872A (en) | User-friendly remotely-controllable automatic door and window | |
AU2011101187A4 (en) | Electrical garage door with secondary power supply | |
CN209964310U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connecting mobile phone with lamp control | |
KR20240069537A (en) | Temperature sensing-base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device | |
KR200256882Y1 (en) | Vertical blind apparatus | |
KR20240069536A (en) | Temperature sensing-base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lin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