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7467B1 -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 Google Patents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467B1
KR102007467B1 KR1020180135717A KR20180135717A KR102007467B1 KR 102007467 B1 KR102007467 B1 KR 102007467B1 KR 1020180135717 A KR1020180135717 A KR 1020180135717A KR 20180135717 A KR20180135717 A KR 20180135717A KR 102007467 B1 KR102007467 B1 KR 10200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nger
nipple
gas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환
Original Assignee
(주)하나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하나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13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4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51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02M21/0254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 or piezo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16Seal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76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threaded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젝터조립체(100)에 관한 것으로, 가스유입로(111b)가 형성되며, 플런져(113)를 갖는 플런져모듈(110)과; 상기 플런져(113)가 상기 가스유입로(111b)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코일(125)을 갖는 코일모듈(120)과; 상기 플런져모듈(110)과 상기 코일모듈(120)에 결합되는 하우징(130)과; 상기 가스유입로(111b)와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13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가스배출로(143)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입로(111b)를 통해 상기 가스배출로(143)로 유입된 가스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니플(140)을 포함하며, 상기 니플(140)은, 상기 하우징(13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가스배출로(143)가 구비된 니플본체(141)와; 상기 니플본체(14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며, 공구가 장착되는 외부확장부(145)와; 상기 니플본체(141)로부터 내연기관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배출관(147)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니플본체(141)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INJECTOR ASSEMBLY TO SEPARATE NIPPLE}
본 발명은 인젝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니플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마모된 내부 부품을 교환할 수 있는 인젝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가스차량용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은 봄베(bombe)에서 공급된 연료가 압력센서 및 레귤레이터(압력조절기)에 의해 믹서와 기화기를 거쳐서 기화되어 인젝터를 통해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인젝터는 흡기매니폴드의 해당 위치에 삽입 장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연료공급관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인젝터의 구성은 일본공개특허 2000-110666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인젝터(1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인젝터(10)는 솔레노이드 코일(13)과 플런져(14)가 구비되어 ECU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전력이 인가되면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져(14)가 상승되어 니플(16)과 이격됨으로써 유입구(11)로 유입된 연료가 배출구(17)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기능한다.
그런데, 종래 인젝터(10)는 도 1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터(10)의 하우징(19) 내부에 니플(16)이 수용되고, 하우징(19)의 단부(19a)를 내측방향으로 컬링(curling)하여 니플(16)과의 위치를 고정한다.
컬링에 의해 하우징(19)의 단부(19a)가 니플(16)를 감싸게 되면, 하우징(19)과 니플(16)의 위치가 고정되어 니플(16)을 분해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인젝터(10)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인젝터(10) 내부의 플런져(14)와 리턴스프링(15)이 마모되어 교체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인젝터(10)는 니플(16)의 분해가 불가능하므로, 전체 인젝터(10)를 교체해야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니플을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내부 부품의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인젝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플의 착탈시에도 하부오링의 손상을 막아 기밀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인젝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니플과 하우징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공구장착이 용이한 인젝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배기량별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젝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젝터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젝터조립체(100)는, 가스유입로(111b)가 형성되며, 플런져(113)를 갖는 플런져모듈(110)과; 상기 플런져(113)가 상기 가스유입로(111b)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코일(125)을 갖는 코일모듈(120)과; 상기 플런져모듈(110)과 상기 코일모듈(120)에 결합되는 하우징(130)과; 상기 가스유입로(111b)와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13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가스배출로(143)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입로(111b)를 통해 상기 가스배출로(143)로 유입된 가스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니플(140)을 포함하며, 상기 니플(140)은, 상기 하우징(13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가스배출로(143)가 구비된 니플본체(141)와; 상기 니플본체(14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며, 공구가 장착되는 외부확장부(145)와; 상기 니플본체(141)로부터 내연기관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배출관(147)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니플본체(141)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30)의 내벽면에는 제1나사산(136)이 형성되고, 상기 니플본체(141)의 외벽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136)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142)이 형성되고, 상기 니플본체(141)와 상기 외부확장부(145)의 경계영역에 하부오링(148)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30)의 외벽면에는 상기 하우징(130)에 상기 니플(140)을 나사결합할 때, 상기 하우징(130)을 고정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장착절단면(137)이 절단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147)에는 내연기관의 배기량에 따라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배출조절팁(14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런져모듈(110)의 내부에는 상기 플런져관(111)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플런져관(111) 사이에 압입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부슁(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는 니플이 하우징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 중 수명이 다하거나 수리가 필요한 부품이 있는 경우 니플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니플의 나사결합시에 하부오링이 나사산의 하부에 구비되어 나사결합시 하부오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에 의해 니플이 반복적으로 착탈되더라도 하부오링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밀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외부로 공구장착절단면을 형성하여 공구장착의 용이성을 향상시켰다.
도 1은 종래 인젝터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인젝터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인젝터조립체(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100)는 상하로 이동되며 연료가 기화된 가스의 공급을 단속하는 플런져(113)를 갖는 플런져모듈(110)과, 플런져모듈(110)의 외부에 구비되어 플런져(11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코일모듈(120)과, 플런져모듈(110)과 코일모듈(120)과 결합되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져모듈(110)을 통해 이동된 가스(G)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니플(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100)는 플런져모듈(110)의 하부에 니플(140)이 하우징(13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런져모듈(110)의 내부에 수용된 플런져(113)와 리턴스프링(114) 등을 외부로 분리하여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런져모듈(110)은 연료 가스가 이동되는 가스유입로(111b)를 형성하며, 플런져(113)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플런져모듈(110)은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플런져관(111)과, 플런져관(111)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상부캡(112)과, 플런져관(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며 니플(140)의 가스배출로(143)를 개폐하는 플런져(113)와, 솔레노이드코일(125)에 의해 상승된 플런져(11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114)과, 리턴스프링(114)의 장력을 조절하는 어저스터(115)와,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부슁(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런져관(111), 상부캡(112), 플런져(113), 리턴스프링(114), 어저스터(115)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슁(116)은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시 함께 이동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30)과 플런져관(111) 사이에 압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플런져(113)만 부슁(116)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므로 부슁(116)의 마모는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코일모듈(120)은 플런져모듈(110)의 외측에 결합되어 플런져(113)가 상하로 이동하며 가스배출로(143)를 개폐하도록 한다. 코일모듈(120)은 플런져관(111)의 상부를 감싸는 코일하우징(121)과, 하우징(130)과 플런져관(111) 사이에 수용되는 솔레노이드코일(125)과, 솔레노이드코일(125)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커넥터(123)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코일(125)은 차량의 ECU(미도시)로부터 배선커넥터(123)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된다. 솔레노이드코일(125)의 작동여부에 따라 플런져(11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130)은 플런져모듈(110)과 코일모듈(120)이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이들을 결합시킨다. 하우징(130)에는 솔레노이드코일(125)이 수용되는 코일삽입공간(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30)의 상부에는 상부캡(112)이 결합되는 캡결합단(133)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니플(140)이 결합되는 니플결합단(135)이 구비된다.
캡결합단(133)에는 상부캡(112)이 안착된 후, 코일하우징(121)에 의해 감싸여져 위치가 고정된다. 니플결합단(135)의 내벽면에는 제1나사산(136)이 형성된다. 제1나사산(136)에는 니플(140)의 제2나사산(142)이 나사결합된다.
한편, 하우징(130)의 외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장착절단면(137)이 절단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니플(140)은 하우징(130)의 하부에 나사결합된다. 니플(140)과 하우징(130)의 나사결합을 위해 하우징(130)은 공구(미도시)에 고정되고 니플(140)을 회전시켜야 한다.
하우징(130)의 외면이 원형인 경우 곡률에 의해 공구(미도시)가 하우징(1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으므로, 공구장착절단면(137)을 형성하여 공구(미도시)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게 하고, 원활한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니플(140)은 하우징(13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져모듈(110)을 통해 유입된 가스(G)를 엔진(미도시)으로 분사한다. 니플(140)은 하우징(130)의 니플결합단(135) 내부로 삽입되는 니플본체(141)와, 니플본체(14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플런져(113)로부터 공급받은 가스(G)를 엔진(미도시)으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로(143)와, 니플본체(141)의 하단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외부확장부(145)와, 니플본체(141)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관(147)과, 외부확장부(145)와 니플본체(141)의 경계영역에 구비되어 가스(G)의 누설을 차단하는 하부오링(148)을 포함한다.
니플본체(141)는 하우징(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125)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런져(113)의 개폐면(113b)과 접촉되게 위치된다. 니플본체(141)의 내부에는 가스배출로(143)과 배출관(147)까지 관통되게 형성된다.
니플본체(141)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산(142)이 형성된다. 제2나사산(142)은 하우징(130)의 제1나사산(136)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의해 니플(140)이 하우징(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나사산(142)은 도 5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본체(141)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외부확장부(145)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부로 형성된다. 외부확장부(145)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는 하부오링(148)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인젝터(10)는 하부오링(18)이 니플(16)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니플본체(141)와 하우징(130)이 나사결합을 하므로 하부오링(148)이 니플본체(141)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할 경우 나사결합 과정에서 하부오링(148)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오링(148)은 제2나사산(142)의 하부에 결합되어 손상을 방지하고, 기밀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외부확장부(145)는 니플본체(141)로부터 하우징(130)의 니플결합단(135)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확장형성된다. 이 때, 외부확장부(145)는 공구 장착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배출관(147)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배출조절팁(14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량배출조절팁(149)은 가스(G)가 분사되는 차량 엔진의 배기량에 따라 다양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엔진으로 분사되는 가스의 공급량은 가스배출로(143)의 내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런데, 니플(140)의 가스배출로(143)의 내경이 한 가지 크기로 설계되는 경우 다양한 배기량의 차량에 호환되어 사용되기 어렵다.
유량배출조절팁(149)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의 배기량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배출관(14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배출관(147)의 단부에는 제3나사산(147a)이 형성되고 유량배출조절팁(149)의 외부에는 제4나사산(149a)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100)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젝터조립체(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런져관(111)에 상부캡(112)을 끼운다. 그리고, 상부캡(112)이 끼워진 플런져관(111)에 상부오링(117)을 끼우고, 원통 형태의 솔레노이드코일(125)을 결합한다. 솔레노이드코일(125)이 결합된 플런져관(111)에 중간오링(138)을 끼우고, 하우징(130) 내부로 삽입한다.
플런져관(111) 내부로 어저스터(115)를 삽입한다. 그리고, 부슁(116)을 하우징(130)의 내부로 삽입하고, 공구를 이용해 압입하여 부슁(116)을 하우징(130) 내부에 고정시킨다. 부슁(116) 내부로 플런져(113)를 삽입하고, 리턴스프링(114)을 삽입한다.
만일, 인젝트조립체(100)의 마모된 부품을 교환할 경우에는 니플결합단(135)으로 새로운 리턴스프링(114)을 삽입하고, 새로운 플런져(113)를 삽입한 후에 니플결합단(135)에 니플(140)을 체결한다.
플런져(113)의 삽입이 완료되면, 니플(140)을 하우징(130)의 니플결합단(135)에 결합시킨다. 니플(140)은 니플본체(141)와 외부확장부(145) 사이에 하부오링(148)을 결합시켜 준비한다. 하우징(130)은 공구를 이용해 고정하고, 외부확장부(145)의 외주연에 공구를 결합시키고 외부확장부(145)를 회전시켜 하우징(130)에 니플(140)을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하우징(130)의 상부에 코일하우징(121)과 배선커넥터(123)를 끼워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인젝터조립체(100)는 흡기매니폴드의 해당 위치에 삽입 장착되어 사용된다. 차량의 ECU에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기 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져(113)는 하강되어 니플(140)과 접촉되어 가스배출로(143)를 막고 있다.
ECU(미도시)에서 솔레노이드코일(125)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져(113)가 일정높이(h) 상승된다. 이에 의해 플런져관(111)의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가스(G)가 어저스터(115)와 리턴스프링(114), 플런져(113)의 내부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된 후, 플런져(113)의 가스유입공(113a)을 통해 배출되고 플런져(113)와 니플(14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가스배출로(143)로 이동된다.
가스(G)는 가스배출로(143)로 이동된 후 배출관(147)을 따라 이동되고 엔진(미도시)으로 분사된다.
이렇게 인젝터조립체(100)가 엔진(미도시)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플런져관(111) 내부의 플런져(113)의 개폐면(113b)이 마모되거나, 리턴스프링(114)의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렇게 내부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니플(140)을 하우징(130)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인젝터(10)는 하우징(130) 단부(19a)가 내측으로 컬링됨에 따라 내경(d1)이 플런져(113)의 외경 보다 좁아 플런져(113)를 외부로 배출하기에 공간이 협소한 제약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인젝터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이 컬링되지 않아 내경(d2)이 플런져(113) 보다 넓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니플(140)을 하우징(130)으로부터 분리한 후, 플런져(113)와 리턴스프링(114)을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조립체는 니플이 하우징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 중 수명이 다하거나 수리가 필요한 부품이 있는 경우 니플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니플의 나사결합시에 하부오링이 나사산의 하부에 구비되어 나사결합시 하부오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에 의해 니플이 반복적으로 착탈되더라도 하부오링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밀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외부로 공구장착절단면을 형성하여 공구장착의 용이성을 향상시켰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인젝터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인젝터조립체 110 : 플런져모듈
111 : 플런져관 111a : 유입구
111b : 가스유입로 112 : 상부캡
113 : 플런져 113a : 가스유입공
113b : 개폐면 114 : 리턴스프링
115 : 어저스터 116 : 부슁
117 : 상부오링 120 : 코일모듈
121 : 코일하우징 123 : 배선커넥터
125 : 솔레노이드코일 130 : 하우징
131 : 코일삽입공간 133 : 캡결합단
135 : 니플결합단 136 : 제1나사산
137 : 공구장착절단면 138 : 중간오링
140 : 니플 141 : 니플본체
142 : 제2나사산 143 : 가스배출로
145 : 외부확장부 147 : 배출관
147a : 제3나사산 148 : 하부오링
149 : 유량배출조절팁 149a : 제4나사산
G : 가스

Claims (5)

  1. 가스유입로(111b)가 형성되며, 플런져(113)를 갖는 플런져모듈(110)과;
    상기 플런져(113)가 상기 가스유입로(111b)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코일(125)을 갖는 코일모듈(120)과;
    상기 플런져모듈(110)과 상기 코일모듈(120)에 결합되는 하우징(130)과;
    상기 가스유입로(111b)와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13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가스배출로(143)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입로(111b)를 통해 상기 가스배출로(143)로 유입된 가스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니플(140)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져모듈(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플런져관(111)과;
    상기 플런져관(111)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상부캡(112)과,
    상기 플런져관(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며 니플(140)의 가스배출로(143)를 개폐하는 플런져(113)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125)에 의해 상승된 플런져(11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114)과;
    상기 리턴스프링(114)의 장력을 조절하는 어저스터(115)와;
    상기 플런져(11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부슁(116)을 포함하고,
    상기 부슁(116)은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플런져관(111) 사이에 압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모듈(120)은,
    상기 플런져관(111)의 상부를 감싸는 코일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30)과 플런져관(111) 사이에 수용되는 솔레노이드코일(125)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125)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커넥터(12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125)이 수용되는 코일삽입공간(13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캡(112)이 결합되는 캡결합단(133)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니플(140)이 결합되는 니플결합단(135)이 구비되고, 상기 캡결합단(133)에 상기 상부캡(112)이 안착된 후 상기 코일하우징(121)에 의해 감싸여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니플(140)은,
    상기 하우징(13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가스배출로(143)가 관통형성된 니플본체(141)와;
    상기 니플본체(14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며, 공구가 장착되는 외부확장부(145)와;
    상기 니플본체(141)로부터 내연기관을 향해 연장형성되며, 내연기관의 배기량에 따라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배출조절팁(14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147)을 포함하며,
    상기 니플본체(141)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125)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플런져(113)의 개폐면(113b)과 접촉되게 위치하고,
    상기 니플결합단(135)의 내벽면에는 제1나사산(136)이 형성되고, 상기 니플본체(141)의 외벽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136)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30)과 상기 니플본체(141)는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나사산(142)는 상기 외부확장부(145)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산(142)의 하부에 하부오링(148)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30)의 외벽면에는 상기 하우징(130)에 상기 니플본체(141)를 나사결합할 때, 상기 하우징(130)을 고정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장착절단면(137)이 절단 형성되고, 상기 외부확장부(145)는 공구가 장착되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상이며,
    상기 니플(140)을 상기 하우징(130)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니플결합단(135)으로 부품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5717A 2018-11-07 2018-11-07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Active KR10200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17A KR102007467B1 (ko) 2018-11-07 2018-11-07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17A KR102007467B1 (ko) 2018-11-07 2018-11-07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467B1 true KR102007467B1 (ko) 2019-08-05

Family

ID=6761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717A Active KR102007467B1 (ko) 2018-11-07 2018-11-07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4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841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도하인더스트리 압축천연가스 연료공급장치
KR101137529B1 (ko) * 2011-11-10 2012-04-20 정안철 가스 차량용 가스 인젝터
KR101200791B1 (ko) * 2012-06-05 2012-11-13 권태주 가스인젝터용 분사노즐
KR20150091883A (ko) * 2014-02-04 2015-08-12 김영희 가스차량 엔진용 연료가스 인젝터
JP2016118186A (ja) * 2014-12-23 2016-06-3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ユニット
KR20180002729U (ko) * 2017-03-10 2018-09-19 안홍길 부품교체가 가능한 가스차량용 인젝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841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도하인더스트리 압축천연가스 연료공급장치
KR101137529B1 (ko) * 2011-11-10 2012-04-20 정안철 가스 차량용 가스 인젝터
KR101200791B1 (ko) * 2012-06-05 2012-11-13 권태주 가스인젝터용 분사노즐
KR20150091883A (ko) * 2014-02-04 2015-08-12 김영희 가스차량 엔진용 연료가스 인젝터
JP2016118186A (ja) * 2014-12-23 2016-06-3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ユニット
KR20180002729U (ko) * 2017-03-10 2018-09-19 안홍길 부품교체가 가능한 가스차량용 인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08329C2 (nl) Brandstofinjecteurklep voor vloeibaar gemaakte brandstof.
KR101603029B1 (ko) 연료 분사 밸브 및 연료 분사 장치
KR19980702840A (ko) 연료분사장치
CN100414156C (zh) 用于控制流体的阀
US8171917B2 (en) Coupling device
ITTO970617A1 (it) Iniettore di combustibile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US20150013799A1 (en) Component attaching structure and pressure regulator
JP2006529012A (ja) 流体を制御するための弁
ITTO970874A1 (it) Iniettore di combustibile a comando elettromagnetico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KR102007467B1 (ko) 니플이 분리가능한 인젝터조립체
US5794856A (en) Air assist injector and retainer shroud therefor
CN102220924A (zh) 大型二冲程柴油机的燃油阀
KR101137529B1 (ko) 가스 차량용 가스 인젝터
US5397061A (en) Apparatus for injecting a fuel-gas mixture
JP2009121291A (ja) インジェクタ
US9976529B2 (en)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valve and injection valve
JP6384366B2 (ja) 燃料噴射装置
KR19990014928A (ko) 상단 교정피드를 가지는 바닥피드인젝터
JP2006526111A (ja) 燃料噴射システム
CN104948350A (zh) 具有两个密封区域的气体喷射器
EP1467087B1 (en) Spray pattern element and fuel injection valve with a spray pattern element
US20210246859A1 (en) Fuel injector
EP2251541B1 (en) Fuel injec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KR102195832B1 (ko) 퓨얼 인젝터
JP2003214298A (ja) 燃料噴射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7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