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697B1 -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6697B1 KR102006697B1 KR1020180011966A KR20180011966A KR102006697B1 KR 102006697 B1 KR102006697 B1 KR 102006697B1 KR 1020180011966 A KR1020180011966 A KR 1020180011966A KR 20180011966 A KR20180011966 A KR 20180011966A KR 102006697 B1 KR102006697 B1 KR 1020066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layer
- layer
- transparent electrode
- thin film
- electrochrom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2—Inner electrode, e.g. the electrochromic layer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support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두께가 다른 각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굴절율 정합층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공정을 이용한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칭공정을 이용한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층 두께 변화에 따른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투과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층 두께 변화에 따른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00: 기판
200: 하부산화물층
300: 금속층
310: 제 n-3 금속층
320: 제 n-2 금속층
330: 제 n-1 금속층
340: 제 n 금속층
400: 상부산화물층
500: 굴절율 정합층
Claims (11)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하부산화물층;
상기 하부산화물층 상에 위치하는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산화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가장자리보다 중심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금속층은 제 1 내지 제 n 금속층을 순서대로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수학식 1]
제 n-2 금속층의 상부 면적 > 제 n-1 금속층의 상부 면적 > 제 n 금속층의 상부 면적
(n은 3 이상의 자연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Ag, Au, Ti, Ni, Mo, Cu, 및 Al 에서 선택되는 1종의 단일 금속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산화물층 및 상기 상부산화물층은 Ti, Ga, Al, Ge, As, Cu, Mn, Zr, Nb, Ru, Hf, Zn, Sr, Ba, Fe, Ag, In, Re, Cr, Ni, Mo, V, W, Mg, Si, Sn, 및 Ta 에서 선택되는 1종의 단일 금속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산화물층 및 상기 상부산화물층은 10~1000n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금속층은 1~2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산화물층의 가장자리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측면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금속층 각각의 두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제1항에 있어서,
다층박막 투명전극 구조 내에 굴절율 정합층(Index matching laye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하부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산화물층 상에 가장자리보다 중심의 두께가 두꺼운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 상에 상부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제 1 내지 제 n 금속층을 순서대로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수학식 1]
제 n-2 금속층의 상부 면적 > 제 n-1 금속층의 상부 면적 > 제 n 금속층의 상부 면적
(n은 3 이상의 자연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상에 상부산화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 뒤에 추가적으로 50~900℃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966A KR102006697B1 (ko) | 2018-01-31 | 2018-01-31 |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PCT/KR2019/001371 WO2019151801A1 (ko) | 2018-01-31 | 2019-01-31 |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US16/476,234 US11474407B2 (en) | 2018-01-31 | 2019-01-31 | Multilayered thin film transparent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966A KR102006697B1 (ko) | 2018-01-31 | 2018-01-31 |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6697B1 true KR102006697B1 (ko) | 2019-08-02 |
Family
ID=6747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1966A Active KR102006697B1 (ko) | 2018-01-31 | 2018-01-31 |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474407B2 (ko) |
KR (1) | KR102006697B1 (ko) |
WO (1) | WO2019151801A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4776A (ja) * | 2004-03-23 | 2005-10-06 | Tohoku Pioneer Corp | 表示パネル基板及び引出配線の形成方法 |
KR20100067503A (ko) * | 2008-12-11 | 2010-06-21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JP2013045063A (ja) * | 2011-08-26 | 2013-03-04 | Nec Corp | 表示デバイス、および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
JP2016207027A (ja) * | 2015-04-24 | 2016-12-08 | Tdk株式会社 | 透明導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 |
KR20170104189A (ko) * | 2016-03-07 | 2017-09-15 |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 비정질 산화인듐갈륨아연막 구조를 이용한 저방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170112310A (ko) * | 2016-03-31 | 2017-10-1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투명 전극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70142473A (ko) * | 2016-06-17 | 2017-12-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
KR20180000169A (ko) * | 2016-06-22 | 2018-01-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명전극 |
KR20180000181A (ko) | 2016-06-22 | 2018-01-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00173A (ko) * | 2016-06-22 | 2018-01-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명전극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05528A1 (en) * | 1997-10-10 | 2001-06-28 | Jae-Gyoung Lee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vapor deposition polymerization |
JPH11199864A (ja) * | 1997-10-10 | 1999-07-27 | Koto Gijutsu Kenkyuin Kenkyu Kumiai | 電気発光素子の製造方法 |
JP2003057640A (ja) * | 2001-06-05 | 2003-02-26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
JP2005303003A (ja) * | 2004-04-12 | 2005-10-27 | Kobe Steel Ltd | 表示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法 |
EP1938965A4 (en) * | 2005-09-22 | 2013-01-23 | Tomoegawa Co Ltd | THIN FILM SUBSTRATE, THIN FILM SUBSTRATE WITH ELECTRODE AND THIS USER DISPLAY |
JP4506785B2 (ja) * | 2007-06-14 | 2010-07-21 |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 静電容量型入力装置 |
JP4467632B2 (ja) * | 2008-03-24 | 2010-05-26 | 丸文株式会社 | ビーム加工装置、ビーム加工方法およびビーム加工基板 |
JP2009259203A (ja) * | 2008-03-25 | 2009-11-05 | Epson Imaging Devices Corp |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20100055750A (ko) | 2008-11-18 | 2010-05-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CN102933496B (zh) * | 2010-06-08 | 2014-10-22 |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 金属氧化物膜的制造方法及金属氧化物膜、使用该金属氧化物膜的元件、带有金属氧化物膜的基板以及使用该基板的器件 |
JP5533448B2 (ja) * | 2010-08-30 | 2014-06-25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透明導電膜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薄膜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20100438A (ko) * | 2011-03-04 | 2012-09-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면발광형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2016063181A (ja) * | 2014-09-22 | 2016-04-25 | 株式会社東芝 | 光電変換素子、太陽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
TWI606771B (zh) * | 2015-04-01 | 2017-11-21 |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 顯示面板 |
CN105629655B (zh) * | 2016-01-11 | 2018-08-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掩膜板 |
KR102533359B1 (ko) | 2016-04-08 | 2023-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기변색 소자 |
TWI615601B (zh) * | 2017-01-25 | 2018-02-21 |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 透明壓力感測器及其製造方法 |
CN107799466B (zh) * | 2017-11-16 | 2020-04-07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Tft基板及其制作方法 |
-
2018
- 2018-01-31 KR KR1020180011966A patent/KR102006697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1-31 US US16/476,234 patent/US11474407B2/en active Active
- 2019-01-31 WO PCT/KR2019/001371 patent/WO201915180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4776A (ja) * | 2004-03-23 | 2005-10-06 | Tohoku Pioneer Corp | 表示パネル基板及び引出配線の形成方法 |
KR20100067503A (ko) * | 2008-12-11 | 2010-06-21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JP2013045063A (ja) * | 2011-08-26 | 2013-03-04 | Nec Corp | 表示デバイス、および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
JP2016207027A (ja) * | 2015-04-24 | 2016-12-08 | Tdk株式会社 | 透明導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 |
KR20170104189A (ko) * | 2016-03-07 | 2017-09-15 |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 비정질 산화인듐갈륨아연막 구조를 이용한 저방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20170112310A (ko) * | 2016-03-31 | 2017-10-1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투명 전극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70142473A (ko) * | 2016-06-17 | 2017-12-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
KR20180000169A (ko) * | 2016-06-22 | 2018-01-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명전극 |
KR20180000181A (ko) | 2016-06-22 | 2018-01-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층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00173A (ko) * | 2016-06-22 | 2018-01-0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명전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51801A1 (ko) | 2019-08-08 |
US11474407B2 (en) | 2022-10-18 |
US20210232012A1 (en) | 2021-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21030B2 (ja) | 構造体、タッチ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 | |
US10551740B2 (en) | Transparent substrate with antireflective film having specified luminous transmittance and luminous reflectance | |
TWI549814B (zh) | 金屬結構體及其製造方法 | |
KR101380000B1 (ko) | 전도성 구조체, 터치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56581B1 (ko) | 전도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JP7019909B2 (ja) |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14134124A1 (en) | Anti-reflective coating | |
KR102612902B1 (ko) | 투명 전도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 |
EP2148240B1 (en) | Transparent electrode | |
US20160224151A1 (en) | Electrode to be used i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US11747520B2 (en) | Optical thin film having metal layer containing silver and high standard electrode potential metal | |
JP6884968B2 (ja) | 装飾部材 | |
WO2014140297A1 (en) | Transparent electrode and substrate for optoelectronic or plasmonic applications comprising silver | |
CN108351450A (zh) | 金色调多层涂层和包含所述涂层的反射体 | |
CN108388382B (zh) | 触控面板及其触控显示装置 | |
KR102006697B1 (ko) |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CN213537738U (zh) | 有色玻璃 | |
US20170087927A1 (en) | Layered product | |
CN106201042A (zh) | 触控面板及其应用 | |
TW201640290A (zh) | 觸控面板及其應用 | |
CN113031356A (zh) |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 |
US20140248507A1 (en) | Anti-reflective coating | |
KR101671170B1 (ko) | 미세 신호 배선 형성이 가능한 투명 터치 패널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 |
KR101543394B1 (ko) | 미세 신호 배선 형성이 가능한 투명 터치 패널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 |
CN116940537A (zh) | 带有多层膜的透明基体和图像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