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064B1 -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6064B1 KR102006064B1 KR1020170072427A KR20170072427A KR102006064B1 KR 102006064 B1 KR102006064 B1 KR 102006064B1 KR 1020170072427 A KR1020170072427 A KR 1020170072427A KR 20170072427 A KR20170072427 A KR 20170072427A KR 102006064 B1 KR102006064 B1 KR 102006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ground
- depth
- image
- virtual viewpoint
- depth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064 k means clus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T15/205—Image-based rende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별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비겹침 패치별로 배경 코드북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추정하는 시간적 배경 정보 추정 단계; 상기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3D 워핑하여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3D 워핑하여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3D 워핑 단계; 상기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고,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고스트 제거 단계;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 깊이 영상의 각 가려짐 영역으로부터 공간적 배경 정보를 추정하는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 단계;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여 1차 홀 채움을 수행하는 1차 홀 채움 단계; 및 깊이 항을 포함하는 우선순위 함수 기반 인페인팅을 수행하여 잔여 홀들에 대한 홀 채움을 수행하는 2차 홀 채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시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코드북 생성부에서 비겹침 패치 Pi별로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4는 도 2의 추정부에서 시간적 배경 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추정된 시간적 배경 정보의 성능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고스트 제거부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고스트 제거부에서 각 가려짐 영역을 레이블링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8은 도 1의 고스트 제거부에서 각 가려짐 영역을 레이블링한 결과의 일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방식의 성능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에서 국부적인 배경 깊이 값을 추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2차 홀 채움부에서 2차 홀 채움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115. 배경 코드북 분리부, 117. 추정부,
120, 130. 3D 워핑부, 140, 150. 고스트 제거부,
160.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 170. 1차 홀 채움부,
180. 2차 홀 채움부
Claims (13)
-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별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비겹침 패치별로 배경 코드북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추정하는 시간적 배경 정보 추정 단계;
상기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3D 워핑하여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3D 워핑하여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3D 워핑 단계;
상기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고,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고스트 제거 단계;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 깊이 영상의 각 가려짐 영역으로부터 공간적 배경 정보를 추정하는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 단계;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여 1차 홀 채움을 수행하는 1차 홀 채움 단계; 및
깊이 항을 포함하는 우선순위 함수 기반 인페인팅을 수행하여 잔여 홀들에 대한 홀 채움을 수행하는 2차 홀 채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스트 제거 단계는,
상기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또는 깊이 영상에서 이진 영상을 얻는 단계;
상기 이진 영상를 이용하여 경계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계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 가려짐 경계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전경 및 배경 영역의 경계 화소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레이블링된 각 가려짐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사각 영역을 비겹침 자녀 사각 영역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각 자녀 사각 영역 내의 깊이 정보를 낮은 깊이 군집 영역과 높은 깊이 군집 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높은 깊이 군집 영역의 최소 깊이 값을 임계치로 이용하여 각 자녀 사각 영역 내의 배경 경계 영역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배경 정보 추정 단계는,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별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비겹침 패치별로 코드북을 생성하는 코드북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코드북에서 배경 코드북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배경 코드북을 이용하여 시간적 배경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 단계는,
고스트 현상이 제거된 가상 시점의 깊이 영상에서 이진 마스크를 얻는 단계;
상기 이진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 가려짐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각 가려짐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레이블링된 각 가려짐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사각 영역을 비겹침 자녀 사각 영역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각 자녀 사각 영역 내의 깊이 정보를 낮은 깊이 군집 영역과 높은 깊이 군집 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낮은 깊이 군집의 깊이 정보의 최대 및 최소값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에서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의 하한 및 상한값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홀 채움 단계는,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이 상기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의 하한 및 상한값 내에 있으면,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깊이 영상을 갱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의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깊이 영상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이 상기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의 하한 및 상한값 내에 있으면,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을 갱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홀 채움 단계는,
가상 시점 시공간 컬러 영상의 각 가려짐 경계 영역 화소를 중심으로 비겹침 패치를 설정하는 단계;
각 비겹침 패치에 대해, 신뢰도 항, 데이터 항, 깊이 항으로 이루어지는 우선순위 함수를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가려짐 경계 영역 화소에 대한 인페이팅을 수행하여 잔여 홀들에 대한 홀 채움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홀 채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별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비겹침 패치별로 배경 코드북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추정하는 시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
상기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3D 워핑하여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3D 워핑하여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3D 워핑부;
상기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고,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고스트 제거부;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 깊이 영상의 각 가려짐 영역으로부터 공간적 배경 정보를 추정하는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하여 1차 홀 채움을 수행하는 1차 홀 채움부; 및
깊이 항을 포함하는 우선순위 함수 기반 인페인팅을 수행하여 잔여 홀들에 대한 홀 채움을 수행하는 2차 홀 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스트 제거부는,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 또는 깊이 영상에서 이진 영상을 얻고, 상기 이진 영상를 이용하여 경계 마스크를 생성한 다음, 상기 경계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 가려짐 경계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전경 및 배경 영역의 경계 화소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으며, 상기 레이블링된 각 가려짐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사각 영역을 비겹침 자녀 사각 영역들로 세분화한 후, 각 자녀 사각 영역 내의 깊이 정보를 낮은 깊이 군집 영역과 높은 깊이 군집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높은 깊이 군집 영역의 최소 깊이 값을 임계치로 이용하여 각 자녀 사각 영역 내의 배경 경계 영역에서 고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는,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별 컬러 영상 및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비겹침 패치별로 코드북을 생성하는 코드북 생성부;
상기 생성된 코드북에서 배경 코드북을 분리하는 배경 코드북 분리부; 및
분리된 배경 코드북을 이용하여 시간적 배경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장치.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배경 정보 추정부는,
고스트 현상이 제거된 가상 시점의 깊이 영상에서 이진 마스크를 얻고, 상기 이진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 가려짐 영역을 레이블링하고, 각 가려짐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은 다음, 상기 레이블링된 각 가려짐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사각 영역을 비겹침 자녀 사각 영역들로 세분화한 후, 각 자녀 사각 영역 내의 깊이 정보를 낮은 깊이 군집 영역과 높은 깊이 군집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낮은 깊이 군집의 깊이 정보의 최대 및 최소값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에서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의 하한 및 상한값을 추정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홀 채움부는,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이 상기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의 하한 및 상한값 내에 있으면,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깊이 영상을 갱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의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깊이 영상을 갱신하고,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과 가상 시점의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깊이 영상이 상기 공간적 배경 깊이 영상의 하한 및 상한값 내에 있으면, 가상 시점의 시간적 배경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을 갱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고스트가 제거된 가상 시점의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의 시공간 배경 컬러 영상을 갱신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홀 채움부는,
가상 시점 시공간 컬러 영상의 각 가려짐 경계 영역 화소를 중심으로 비겹침 패치를 설정한 후, 각 비겹침 패치에 대해, 신뢰도 항, 데이터 항, 깊이 항으로 이루어지는 우선순위 함수를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가려짐 경계 영역 화소에 대한 인페이팅을 수행하여 잔여 홀들에 대한 홀 채움을 수행하는,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427A KR102006064B1 (ko) | 2017-06-09 | 2017-06-09 |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US15/710,442 US10497166B2 (en) | 2017-06-09 | 2017-09-20 | Home filling method using estimated spatio-temporal background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427A KR102006064B1 (ko) | 2017-06-09 | 2017-06-09 |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4563A KR20180134563A (ko) | 2018-12-19 |
KR102006064B1 true KR102006064B1 (ko) | 2019-07-31 |
Family
ID=6456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2427A Active KR102006064B1 (ko) | 2017-06-09 | 2017-06-09 |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497166B2 (ko) |
KR (1) | KR1020060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63197A1 (ko) * | 2022-09-20 | 2024-03-28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영상 인페인팅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65259A1 (en) * | 2016-12-28 | 2019-11-0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Three-dimensional model distribution method, three-dimensional model receiving method, three-dimensional model distribution device, and three-dimensional model receiving device |
US11393113B2 (en) * | 2019-02-28 | 2022-07-19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Hole filling for depth image based rendering |
CN110929469A (zh) * | 2019-11-19 | 2020-03-27 | 南京九芯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填充过孔阵列的方法 |
KR102433632B1 (ko) | 2020-10-29 | 2022-08-1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라이다 깊이 이미지 채움 장치 및 방법 |
US11538140B2 (en) * | 2020-11-13 | 2022-12-27 | Adobe Inc. | Image inpainting based on multiple image transformations |
CN114520866B (zh) * | 2020-11-19 | 2024-06-07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图像散景处理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
CN112581567B (zh) * | 2020-12-25 | 2024-05-28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2929628B (zh) * | 2021-02-08 | 2023-11-21 |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 虚拟视点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908162B (zh) * | 2022-10-28 | 2023-07-04 | 中山职业技术学院 | 一种基于背景纹理识别的虚拟视点生成方法及系统 |
WO2024096453A1 (ko) * | 2022-11-01 | 2024-05-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인페인팅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N117173405B (zh) * | 2023-03-23 | 2024-12-13 | 荣耀终端有限公司 | 图像处理方法和电子设备 |
WO2025075288A1 (ko) * | 2023-10-06 | 2025-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의 채우기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85952B (zh) | 2011-05-12 | 2016-06-22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图像生成装置及图像生成方法 |
KR101855980B1 (ko) | 2011-12-14 | 2018-05-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홀 채우기 방법 및 장치 |
JP7012642B2 (ja) * | 2015-11-09 | 2022-01-28 | ヴァーシテック・リミテッド | アーチファクトを意識したビュー合成のための補助データ |
-
2017
- 2017-06-09 KR KR1020170072427A patent/KR102006064B1/ko active Active
- 2017-09-20 US US15/710,442 patent/US10497166B2/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Huu Noi Doan, "A Spatial-Temporal Hole Filling Approach with Background Modeling and Texture Synthesis for 3D Video", 숭실대학교 학위논문 2015.* |
Martin Köppel, "Consistent spatio-temporal filling of disocclusions in the multiview-video-plus-depth format", IEEE 14th International Workshop on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2012.* |
Sunghwan Choi, "Space-Time Hole Filling With Random Walks in View Extrapolation for 3D Video",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3.*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63197A1 (ko) * | 2022-09-20 | 2024-03-28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영상 인페인팅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4563A (ko) | 2018-12-19 |
US10497166B2 (en) | 2019-12-03 |
US20180357813A1 (en) | 2018-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6064B1 (ko) | 추정된 시공간 배경 정보를 이용한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
USRE42790E1 (en) | Occlusion/disocclusion detection using K-means clustering near object boundary with comparison of average motion of clusters to object and background motions | |
EP2230855B1 (en) | Synthesizing virtual images from texture and depth images | |
US776091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based optical flow estimation | |
KR102380862B1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EP1519589A2 (en) | Object tracking in vector images | |
US2013005057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targeting Video Sequences | |
JPH0795592A (ja) | 画像データを符号化して夫々がコヒーレント運動領域を表わす複数の層とそれら層に付随する運動パラメータとにするシステム | |
KR20130073459A (ko) | 멀티-뷰 생성 방법 및 장치 | |
Choi et al. | Space-time hole filling with random walks in view extrapolation for 3D video | |
KR101173559B1 (ko) | 비디오 동영상의 움직이는 다중 객체 자동 분할 장치 및 방법 | |
KR20190030870A (ko) | 가상 크로마키 배경을 이용하여 영상을 합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EP2979449B1 (en) | Enhancing motion pictures with accurate motion information | |
EP2680226B1 (en) | Temporally consistent superpixels | |
EP2061009A1 (en) | Iterative motion segmentation | |
KR101781942B1 (ko) | 홀 채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 |
US20210319541A1 (en) | Model-free physics-based reconstruction of images acquired in scattering media | |
Nguyen et al. | New hole-filling method using extrapolated spatio-temporal background information for a synthesized free-view | |
KR101841966B1 (ko) | 영상에서 이동 객체 그림자 제거 방법 및 장치 | |
KR102735389B1 (ko) | 인페인팅 기법에 기반한 배경 모델링을 이용한 동적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 |
Ghanbari et al. | Contour-based video inpainting | |
KR101785203B1 (ko) | 깊이 이미지를 이용한 다시점 객체 분리 방법 및 시스템 | |
KR101689562B1 (ko) | 이중 다크 채널에 기반한 안개 제거 방법 및 장치 | |
KR101195978B1 (ko) | 동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RU266947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логотипов и субтитров с видео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