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916B1 -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implant 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 Google Patents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implant 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5916B1 KR102005916B1 KR1020170075598A KR20170075598A KR102005916B1 KR 102005916 B1 KR102005916 B1 KR 102005916B1 KR 1020170075598 A KR1020170075598 A KR 1020170075598A KR 20170075598 A KR20170075598 A KR 20170075598A KR 102005916 B1 KR102005916 B1 KR 102005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contact portion
- dental implant
- support
- storage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수납용기 내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납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지지체(30; 40)는, 메인 프레임(31; 41)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수납용기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2, 33; 42, 43)와,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35; 45)를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supporting a dental implant in a storage container and a storage container for a dental implant having the support are disclosed.
The support (30; 40) includes a main frame (31; 41), a mounting portion (32, 33; 42, 43) for mounting the main frame 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nd may include resiliently deformable contacts 35 (45)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mpla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수납용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가지는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for example, a support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fixture in a storage container, and a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Implant refers to a replacement that restores the lost human tissue. In the dentist, a fixture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natural root to replace the root (root) of the lost tooth, To restor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tooth.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치근과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스크류의 결합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가 있는데, 종래의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임플란트 조립체)은, 픽스츄어, 지대주 및 보철물 등으로 구성된다.Such dental implant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bonding the artificial teeth and the root teeth. Among them, screw type implants are used as screw type binding forces. Conventional screw type implant systems (implant assemblies) consist of fixtures, abutments and prostheses.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매식되어 전체 임플란트 시스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체 골조직과의 융합을 위해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티타늄 등으로 제조된다. 지대주는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철물은 인상채득, 작업모형 제작, 납형제작, 매몰 및 소환 공정 등의 공정을 통해 치아의 형태로 제작된다.The fixture is immersed in the alveolar bone and serves to fix the entire implant system, and is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for fusion with the human bone tissue. The abutment is attached to the fixture and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prosthesis. Prostheses are made in the form of teeth through processes such as impression making, work modeling, lead-making, burial and recalling processe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임플란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하부 구조물인 픽스츄어 매식단계와, 인상 채득 및 작업모형 완성단계와, 납형제작 및 내관주조단계와, 보철물 성형단계와, 보철물을 외관에 시멘트(cement)로 결합시키는 보철물 접착단계를 거쳐 시술된다.The implant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includes a fixture implanting step as an implant substructure, an impression taking and work modeling step, a lead forming and an inner pipe casting step, a prosthesis forming step, a cement cement to the prosthesis.
도 1에는 임플란트 조립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츄어(1)와, 이 픽스츄어(1)에 결합되는 지대주(3)와, 이 지대주(3)에 의해 픽스츄어(1)에 고정되는 보철물(도시생략)을 포함한다. 지대주(3)와 픽스츄어(1) 사이의 결합은, 픽스츄어(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와 지대주(3)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4)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1 shows an example of an implant assembly. The implant assembly shown in Fig. 1 includes a
도 2에는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츄어(1A)와, 이 픽스츄어(1A)에 결합되는 지대주(6)와, 이 지대주(6)에 의해 픽스츄어(1A)에 고정되는 보철물(도시생략)을 포함한다. 지대주(6)는 내부를 관통하는 지대주 나사(8)에 의해 픽스츄어(1A)에 고정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an implant assembly is shown in Fig. The implant assembly shown in Fig. 2 comprises a
이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치과용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구성부품들을 준비해 두어야 한다.In this way, dental implants can have various shapes. In order to perform dental implants, various sizes and shapes of component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patient's oral condition.
한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 구성부품들은, 환자의 구강 내에 식립되기 전에는 위생적으로 보관 및 취급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수납용기 내에 수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component of the dental implant must be stored and handled hygienically before being placed in the mouth of the patient, and thus housed in a suitably sized storage container.
그런데, 치과용 임플란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므로, 수납용기 역시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되었다.However, since the dental implants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containers are also made to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to accommodate dental implant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izes.
그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수납용기를 각각 제작하기 위해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치과용 임플란트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수납용기 내에 수납하는 작업도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it takes a lot of cost and effort to manufacture the respective storage containers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store the dental implant in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corresponding shape and size.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수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에 삽입되어 이 암나사부(2)와 맞닿을 수 있는 탄성편(22)을 갖는 결합부재(2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수납용기의 본체는 도시하지 않는다.(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결합부재(20)는, 픽스츄어(1)의 내부에 삽입되어 암나사부(2)와 맞닿아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픽스츄어를 매달아 지지하는 탄성편(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결합부재(20)는, 탄성편(22)과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수납용기로부터 픽스츄어(1)를 인출할 때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4)와, 수납용기의 본체(도시생략)에 대하여 결합부재(20)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26)와, 픽스츄어(1)의 상단과 맞닿아 탄성편(22)이 필요 이상 픽스츄어(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부(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0)에 의해 픽스츄어(1)를 매달아 지지하면, 픽스츄어(1)의 길이가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에도 픽스츄어(1)를 지지할 수 있다.The
그런데, 탄성편(22)이 가지는 탄성력만으로 픽스츄어(1)를 지지할 경우, 보관 또는 운반 중에 픽스츄어(1)가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의 내부에서 결합부재(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결합부재(20)에 매달려 지지되는 픽스츄어(1)를 아래에서 받치도록 기능하는 지지체가 제안되었다.However, whe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를 위아래에서 결합부재 및 지지체에 의해 지지할 경우, 수납용기를 픽스츄어의 크기에 관계 없이 제작할 수 있으며, 보관 또는 운반 중에 픽스츄어(1)이 이탈될 우려도 해소할 수 있지만, 지지체의 형상을 픽스츄어의 크기에 맞춰야 한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수납용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변형 지지부를 가지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가지는 수납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implant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for example, a support having a deformable support portion which can be deformed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fixture in a storage container And a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용기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로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수납용기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for supporting a dental implant in a storage container, the support comprising: a main frame;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ain fram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frame and elastically deformabl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ental implant; 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can be provided.
상기 접촉부는 1단 이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by folding at least one step.
대안적으로, 상기 접촉부는 둥글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rounded curved shape.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접촉부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루는 연결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be bent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contact por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angle formed by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main frame may be an acute angle,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대안적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연결부분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지 않고 둥글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rounded shape without having a bent shape.
상기 접촉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1개 이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more than one from the main frame.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납용기의 상단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장착부와,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upper moun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a lower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mount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can do.
상기 접촉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3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the main frame,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third contac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is smaller than an angle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and an angle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is smaller than an angle between the third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It can have a value smaller than the angle between frames.
상기 제1 내지 제3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각의 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 또는 둔각을 각각 이룰 수 있다.The respective angles between the first to third contact portions and the main frame may be an acute angle,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납용기로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수납용기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age container for a dental implant for storing a dental implant, the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so as to support the dental implant; 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to support the dental implant from below; . ≪ / RTI > The support may include a main frame,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ain frame 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nd a resiliently deformable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frame and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dental implant.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내부표면과 탄성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탄성편을 가질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may have an elastic piece inserted into the dental implant and capable of elastical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implant.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의 크기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변형 지지부를 가지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가지는 수납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provided a support hav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ntal implant, for example, a deformable support which can be deformed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xture, and a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용기 내에 장착되는 지지체가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의 치수에 맞춰 변형될 수 있어, 다양한 치수의 수납용기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용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ounted in the container can be deformed to fit the dimensions of a dental implant, for example, a fixture, so that a dental implant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implant for use in the storage contai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치과용 임플란트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결합부재가 치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결합부재와, 치과용 임플란트를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가지는 수납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에는 수납용기 내부에 지지체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결합부재 및 지지체에 의해 수납용기 내부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하여 지지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체를 사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납용기 내에 장착되어, 수납용기 내부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납하여 지지하는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 변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지지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용기 내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지지체의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nt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nt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a dental implant to support the dental implant is supporte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orage container having a coupling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a dental implant suspended thereon and a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dental implant from below, wherein (a) (B) shows a state in which a dental implant is received in and supported by a coupling member and a support in a storage contain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a dental implant us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ody which is mounted in the storage container shown in Fig. 5 and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dental implant in the storage container; Fig.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shape of the dental implan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ntal implant in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 및 수납용기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upport and a storage container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납용기(10)는,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1)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수납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1)를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수납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체(30)를 포함한다.5, the
도 5에는 수납용기(10)가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납용기(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수납용기(10)는 내부에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납용기(10)의 상부에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는 결합부재(20)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거나 별도의 도시하지 않은 덮개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또한, 수납용기(10)에 수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픽스츄어(1)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수납용기(10)에 수납되어 지지체(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은 픽스츄어(1)만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픽스츄어(1)의 형상 역시 도면에 도시된 것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결합부재(20)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수납하기 위해, 픽스츄어(1)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에 삽입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내부표면, 즉, 암나사부(2)와 맞닿을 수 있는 탄성편(22)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engaging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0)는, 픽스츄어(1)의 내부에 삽입되어 암나사부(2)와 맞닿아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픽스츄어를 매달아 지지하는 탄성편(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결합부재(20)는, 탄성편(22)과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수납용기로부터 픽스츄어(1)를 인출할 때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4)와, 수납용기(10)에 대하여 결합부재(20)를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26)와, 픽스츄어(1)의 상단과 맞닿아 탄성편(22)이 필요 이상 픽스츄어(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부(28)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engaging
도 5에 도시된 결합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편(22)의 탄성력에 의해 치과용 임플란트, 예컨대 픽스츄어(1)를 매달아 지지할 수만 있다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결합부재(20)의 형상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30)는, 메인 프레임(31)과, 이 메인 프레임(31)을 수납용기(10)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2, 33)와, 메인 프레임(31)으로부터 연장되어 픽스츄어(1)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35)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a
치과용 임플란트 지지체(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체(30)의 메인 프레임(31)은, 수납용기(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수납용기(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깊이와 대략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의 강도 보강을 위해서 메인 프레임(31)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보강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31a)는, 메인 프레임(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하는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대략 90도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지지체(30)가 수납용기(1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단 장착부(32) 및 하단 장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장착부(32)는 수납용기(10)의 내부에서 상단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하단 장착부(33)는 수납용기(10)의 내부에서 바닥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단 장착부(32) 및 하단 장착부(33)는 각각 수납용기(10)의 상부와 바닥에 장착됨으로써 지지체(30)가 수납용기(10)의 내부에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상단 장착부(32)는, 메인 프레임(3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말단으로부터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위쪽으로 연장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mounting
또한, 하단 장착부(33)는, 메인 프레임(31)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말단으로부터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상단 장착부(32) 및 하단 장착부(33)는 수납용기(10)에 장착되기 위해 각각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수납용기(10) 내에서 지지체(3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만 있다면 상단 장착부(32) 및 하단 장착부(3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 외의도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The upper
접촉부(35)는 메인 프레임(3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5)는, 메인 프레임(3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31)과의 사이의 각도가 대략 65도인 제1 접촉부(35a)와, 이 제1 접촉부(35a)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31)과의 사이의 각도가 대략 85도인 제2 접촉부(35b)와, 이 제2 접촉부(35b)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메인 프레임(31)과의 사이의 각도가 대략 115도인 제3 접촉부(35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제2 및 제3 접촉부(35a, 35b, 35c)가 이루는 각도, 즉, 65도, 85도, 및 115도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 각도 값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도 값은 수납용기에 수납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픽스츄어들의 대략적인 길이 범위를 감안하여 설계시 변경될 수 있다.The angles formed by the first, second and
도시된 접촉부(35)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촉부(35a, 35b)의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31)과의 사이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고, 제3 접촉부(35c)의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31)과의 사이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하지만 접촉부(35)는, 제1 내지 제3 접촉부(35a, 35b, 35c)가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모두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제1 내지 제3 접촉부(35a, 35b, 35c) 중 어느 하나가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5)는, 제1 접촉부(35a)만이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2 및 제3 접촉부(35b, 35c)가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ed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접촉부(35)는 메인 프레임(31)과의 연결부분에서 메인 프레임(31)과 이루는 각도(이하, '연결각도'라고 함)가 예각, 예를 들어 65도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 연결각도는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서, 메인 프레임(31)과 접촉부(35) 사이의 연결부분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지 않고, 둥글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6 and 7 may have an acute ang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nection angle ") between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30)에 의하면, 크기 및 형상이 서로 상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예를 들어 픽스츄어를 지지하는 경우에, 접촉부(35)가 변형되면서 픽스츄어를 아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도 7에서 가장 왼쪽에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접촉부(35)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서 중앙에는 접촉부(35)가 미소하게 변형되면서 제2 접촉부(35b) 상에 픽스츄어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서 가장 오른쪽에는 접촉부(35)가 상대적으로 크게 변형되면서 제3 접촉부(35c) 상에 픽스츄어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변형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접촉부(35)를 기준으로 수평선(L)을 표시한다.In Fig. 7, the leftmost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지지체(30)의 접촉부(35)는 3단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접촉부(35)는 1단,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절곡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The
도 8에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수납용기 내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지지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ntal implant in a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지지체(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지지체(30)와 대비하여, 접촉부(45)가 절곡된 형상이 아니라 둥글게 만곡된 원호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지며 그 외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40)는, 메인 프레임(41)과, 이 메인 프레임(41)을 수납용기(10)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2, 43)와, 메인 프레임(41)으로부터 연장되어 픽스츄어(1)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45)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메인 프레임(41)의 강도 보강을 위해서 메인 프레임(41)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보강부(41a)가 형성될 수 있다.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지지체(40)가 수납용기(1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4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단 장착부(42) 및 하단 장착부(43)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접촉부(45)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둥글게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4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Th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접촉부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하나의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접촉부(35, 45)에 비해 폭이 좁은 2개 이상의 접촉부가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2개의 이상의 접촉부를 가지도록 변형될 경우, 접촉부는 메인 프레임(31, 41)의 폭방향으로 중심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프레임(31, 41)의 폭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31, 41)의 폭방향으로 중심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메인 프레임(31, 41)의 보강부(31a, 41a)로부터 접촉부가 연장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contact portions can be formed. 5 to 8 show an example in which one contact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able from the main frame. However, two or more contact portions narrower in width tha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접촉부(35, 45)가 위쪽으로 튀어나오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hat follow.
1: 치과용 임플란트로서의 픽스츄어(fixture)
10: 수납용기
20: 결합부재
30, 40: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
31, 41: 메인 프레임
31a, 41a: 보강부
32, 42: 상단 장착부
33, 43: 하단 장착부
35, 45: 접촉부1: Fixture as a dental implant
10: storage container
20:
30, 40: Support (of dental implant)
31, 41: main frame
31a, 41a:
32, 42: Upper mounting portion
33, 43: Lower mounting part
35, 45:
Claims (11)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수납용기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1. 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for supporting a dental implant in a containment container,
A main frame;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ain fram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frame and elastically deformabl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ental implant;
≪ / RTI >
상기 접촉부는 1단 이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e step.
상기 접촉부는 둥글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utment portion has a rounded curved shape.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접촉부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루는 연결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angle of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main frame is an acute angle or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연결부분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지 않고 둥글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contact portion has a rounded shape without a bent shape.
상기 접촉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1개 이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t least one from the main frame.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납용기의 상단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 장착부와, 상기 수납용기의 바닥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장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n upper moun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a lower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mount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상기 접촉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3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the main frame,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third contact portion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is smaller than an angle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Wherein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angle between the third contact portion and the main frame.
상기 제1 내지 제3 접촉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각의 각도는, 예각 또는 직각 또는 둔각을 각각 이루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each of the angles between the first to third contact portions and the main frame is an acute angle or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respectively.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아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수납용기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의 하단과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납용기.A storage container for a dental implant for storing a dental implant,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so as to support the dental implant in a suspended state;
A support for a dental implant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to support the dental implant from below; / RTI >
Wherein the support comprises:
A main frame,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main frame inside the housing container,
And a resiliently deformable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frame and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dental implant.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내부표면과 탄성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탄성편을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납용기.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ngaging member has an elastic piec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ental implant and capable of resilient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impla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5598A KR102005916B1 (en) | 2017-06-15 | 2017-06-15 |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implant 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5598A KR102005916B1 (en) | 2017-06-15 | 2017-06-15 |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implant 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640A KR20180136640A (en) | 2018-12-26 |
KR102005916B1 true KR102005916B1 (en) | 2019-07-31 |
Family
ID=6500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5598A Active KR102005916B1 (en) | 2017-06-15 | 2017-06-15 |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implant 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591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2148A1 (en) | 2003-10-16 | 2007-03-29 | Marcello Memmolo | Transfer part for an implant |
KR101360952B1 (en) | 2012-12-28 | 2014-02-1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mplant, device for implant and container for implant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63388B1 (en) * | 1998-12-28 | 2003-12-16 | Institut Straumann Ag | Connection between a dental implant and an abutment |
KR200441072Y1 (en) | 2008-05-19 | 2008-07-21 | (주)메코텍 | Fixture fixing bush for dental implant |
KR100958841B1 (en) | 2008-09-24 | 2010-05-19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Implant Component Packaging Ampoule |
KR20110008520U (en) * | 2010-02-26 | 2011-09-0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Storing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
KR20160058071A (en) * | 2016-01-20 | 2016-05-24 | (주)포인트닉스 | Dental implant package for enhancing bioactivity of implant surface and Packaging method |
KR101688931B1 (en) | 2016-02-19 | 2017-01-02 | 주식회사 디오 | package for dental implant |
-
2017
- 2017-06-15 KR KR1020170075598A patent/KR1020059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2148A1 (en) | 2003-10-16 | 2007-03-29 | Marcello Memmolo | Transfer part for an implant |
KR101360952B1 (en) | 2012-12-28 | 2014-02-1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mplant, device for implant and container for impl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640A (en) | 2018-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8551B2 (en) | Storage container for implant fixture | |
RU2555384C2 (en) | Module support device, intended for inclined dental implants | |
ES2699427T3 (en) | 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 |
KR102173435B1 (en) | Dental prosthesis system | |
EP2233109B1 (en) | Housing container for implant fixture | |
EP2172166A1 (en) |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 |
KR101140620B1 (en) | Temporary clamping member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implant theraphy | |
KR101601154B1 (en) | Attachment for false teeth using magnetic object | |
KR101331496B1 (en) | An implant device | |
KR200473225Y1 (en) | Magnetic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 |
BR112019027315B1 (en) | SET AND SYSTEM FOR DENTAL RESTORATION | |
KR200470574Y1 (en) | Ball 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 |
US20120237900A1 (en) | Conically tapered dental implant | |
KR100807150B1 (en) | Overdenture Implants | |
KR101155702B1 (en) | One body implant | |
KR101414901B1 (en) | Container storage container | |
KR102005916B1 (en) | Support for supporting dental implant in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upport | |
KR101486851B1 (en) | Dental Implant Abutment | |
KR101380919B1 (en) | Abutment, and dental impla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20110024189A (en) | Dental implant assembly with anti-sedimentation step | |
KR200404051Y1 (en) | Supporting means for implant and package for implant using the same | |
CN105101906B (en) | One-piece or multi-piece planting system having a mounting element with one or more outer rings | |
KR101429659B1 (en) | Dental implant abutment and dental implant assembly with the same | |
KR200448952Y1 (en) | Dental surgery implant fixture support steel | |
KR102356447B1 (en) |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